KR200261812Y1 - 경품권을 제공가능한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경품권을 제공가능한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812Y1
KR200261812Y1 KR2020010032337U KR20010032337U KR200261812Y1 KR 200261812 Y1 KR200261812 Y1 KR 200261812Y1 KR 2020010032337 U KR2020010032337 U KR 2020010032337U KR 20010032337 U KR20010032337 U KR 20010032337U KR 200261812 Y1 KR200261812 Y1 KR 200261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ze
product
unit
selection button
prize ti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철오
Original Assignee
백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철오 filed Critical 백철오
Priority to KR2020010032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8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812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택버튼 및 상품배출구가 마련된 본체케이싱, 및 선택버튼으로 선택된 상품을 상기 상품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상품배출부를 구비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는, 본체케이싱내에 상품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복수의 경품권을 적재하는 경품권박스; 경품권박스내의 경품권을 본체케이싱의 외면에 마련된 경품권배출구로 배출시키는 경품권배출부; 및 선택버튼의 선택시, 상품배출부의 작동과 연동하여 경품권배출부를 작동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선택된 상품이외에 경품권을 제공가능하다.

Description

경품권을 제공가능한 자동판매기{AUTOMATIC BENDING MACHING OFFERING GIFT COUPON}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구입시 경품권을 제공가능한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는 장소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다소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능하며, 특히, 무인으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그 사용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5는 이러한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판매기(51)는, 전면이 개구된 거의 사각통상의 본체케이싱(53), 및 이 본체케이싱(53)의 전면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55)를 구비한다. 도어(55)의 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따라 상품진열장(57), 돈투입구(59, 60), 및 상품투입구(61)가 마련되어 있다. 상품진열장(57)에는 다수의 상품이 가로방향으로 진열되어 있고, 그 하부에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선택버튼(63)이 마련되어 있다.
소비자는, 동전투입구(60) 또는 지폐투입구(59)에 돈을 넣고, 선택하고자 하는 상품의 선택버튼(63)을 누른다. 그러면, 해당 상품이 상품배출구(61)로 배출되며, 소비자는 상품배출구(61)를 통해 상품을 인출시켜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동판매기들은, 거의 대부분 유사한 형상 및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서, 상품의 판매효율적인 면에서나 타사 제품과의 경쟁력의 면에 있어서, 어느 것이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단정지을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관련 업체들은 각자 다른 업체의 제품보다 비교우위에 서고 또한, 상품의 판매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있으며, 이에 새로운 모델을 시시각각 출시하고는 있지만, 이러한 새로운 모델들도 대게 그 디자인만을 변형한데 불과한 것이어서 그 효과는 미미한 수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업체들은 단순히 형상이나 디자인의 변형에만 주력하고 있는데, 이러한 형상이나 디자인의 변경에는 그 기술력에 한계가 있고, 또한, 그 노력이나 시간에 비하여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소비자들의 시선을 자극하여 상품의 판매력을 증진시킬 새로운 방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단순한 형상이나 디자인의 변경으로 만족할 수 없는 부분을 보완하여 기능적인 면을 추가한 새로운 제품을 제안한다면, 타제품보다 향상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서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상품의 구입시 각종 경품권을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타제품과 차별화를 도모하고 이에 의해, 상품의 판매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경품권을 제공가능한 자동판매기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부분확대 측단면도로서, 경품권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3은 도1의 구성블록도,
도4는 도1의 작동순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경품권을 제공가능한 자동판매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5는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본체케이싱 5 : 도어
11 : 광고부분 19 : 연동부
20 : 상품배출부 21 : 상품진열부분
23, 25 : 진열장 29 : 선택버튼
31 : 상품배출부분 37 : 경품권배출구
41 : 경품권배출구 43 : 로울러
45 : 구동모터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선택버튼 및 상품배출구가 마련된 본체케이싱, 및 상기 선택버튼으로 선택된 상품을 상기 상품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상품배출부를 구비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내에 상기 상품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복수의 경품권을 적재하는 경품권박스; 상기 경품권박스내의 상기 경품권을 상기 본체케이싱의 외면에 마련된 경품권배출구로 배출시키는 경품권배출부; 및 상기 선택버튼의 선택시, 상기 상품배출부의 작동과 연동하여 상기 경품권배출부를 작동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품권배출부는, 상기 경품권박스와 상기 경품권배출구 사이에 상호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고 접면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로울러; 상기 한 쌍의 로울러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회전시켜, 상기 경품권박스에 적재된 상기 경품권을 상기 한 쌍의 로울러의 접촉면 사이로 인출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인출되는 경품권을 상기 경품권배출구로 안내하는 안내가이드를 포함하여 간단히 구성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선택버튼의 선택신호 인가시, 상기 경품권배출부의 구동모터 및 상기 상품배출부의 작동신호를 동시에 지령하는 제어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경품권을 제공가능한 자동판매기의 사시도이다. 본 자동판매기(1)는, 종래의 도5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거의 유사한 외관을 가지고 있다. 즉, 거의 사각통상의 본체케이싱(3), 및 이 본체케이싱(3)의 전면에 설치되어 본체케이싱(3)의 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5)를 구비한다.
도어(5)의 전면은 크게, 그 상하방향을 따라 광고부분(11),상품진열부분(21), 그리고, 상품배출부분(31)으로 구분가능하다. 광고부분(11)는, 도어(5)의 전면 상부에 거의 사각형상의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에 투명재질의 광고부커버(13)가 차단하고 있다. 이 광고부커버(13)에 의해 차단된 내부에 소정의 광고포스터(도시않음)가 부착된다. 이러한 광고포스터는, 일반적으로, 기기의 출시당시부터 부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교체가능하다.
중앙영역의 상품진열부분(21)은, 상하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평행한 상부진열장(23) 및 하부진열장(25)을 구비하고 있다. 각 진열장(23, 25)은 도어(5)의 판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어 있고, 이 함몰된 개구면에 역시 투명재질의 진열장커버(22)가 결합되어 있다. 각 진열장(23, 25)내에는 그 길이방향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상품진열대(27)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품진열대(27)에는 각각 예를 들어, 음료캔이나 병, 또는 껌, 환약을 비롯한 특정상품들이 진열된다. 한편, 각 진열장(23, 25)의 하부에는 각 상품진열대(27)에 대응하여 역시 복수의 선택버튼(29)들이 마련되어 있다.
하부영역의 상품배출부분(31)에는, 그 중앙영역에 상품배출구(33)가 마련되어 있다. 상품배출구(33)의 전면에는 덮개(35)가 설치되어 있고, 이 덮개(35)는 상품배출구(31)의 개구를 상하 회동개폐가능하다. 덮개(35)의 일측 즉, 회동축(도시않음)에 인접한 영역에는 자세히 후술할 경품권배출구(도3의 37)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품권배출구(37)의 전면에는 그 개루를 상하회동개폐가능한 배출구도어(3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품배출구(33)를 중심으로 경품권배출구(37)에 대향하는 위치에 동전반환부(39)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하부진열장(35)과 상품배출구(35) 사이에는 지폐주입구(14) 및 동전투입구(15)가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지폐주입구(14)와 동전투입구(15) 사이에는 반환레버(17)가 설치되어 있다. 반환레버(17)를 돌리면, 잔돈이나 불량동전이 상품배출구(3)의 외측에 마련된 동전반환부(39)로 떨어진다. 동전주입구(15)의 외측에는 또한, 도어(5)의 개폐를 위한 도어개폐부(1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지폐주입구(14)를 중심으로 도어개폐부(16)에 대향하는 타측에는 상부배출구(1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상부배출구(18)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상품 예를 들어, 껌이나 환약등이 투출되는 곳이다.
이러한 도어(5)의 내측 즉, 본체케이싱(3)의 내부에는 상품배출부(도3의 20) 및 경품권배출부(도2의 41)와, 이들 상품배출부와 경품권배출부(41)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연동부(도3의 19))가 마련되어 있다. 상품배출부(20)는 기계적 및 전자적인 구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상품을 적치시키는 래크(도시않음), 및 이 래크에 적재된 상품을 투출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도시않은)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품배출부(20)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로, 한국특허 등록공보번호 제222649호등에 자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소비자가 선택버튼(29)을 눌러 특정 상품을 선택하면, 래크에 적치된 해당상품이 상품배출구(33)로 투출된다. 그러면, 소비자는 그 상품을 손으로 인출시켜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경품권배출부(41)는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경품권배출부(41)는, 경품권배출구(37)에 인접하는 도어(5) 내측에 설치되는 경품권박스(도시않음), 경품권박스와 경품권배출구(37) 사이에 마련되는 한 쌍의 로울러(43a, 43b), 로울러(43b)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5), 및 경품권(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47)로 구성되어 있다.
경품권박스내에는 다수의 경품권(40)이 적층된다. 한 쌍의 로울러(43a, 43b)는 상하로 배치되어 상호 평행하며, 양측의 회전면이 접면하도록 배치된다. 구동모터(45)의 회전축과 상측 로울러(43b)의 회전축는 벨트(49)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모터(45)의 구동으로 로울러(43b)가 회전하면, 상하 로울러(43a, 43b)의 접촉면 사이로 경품권박스내의 경품권(40)이 밀려 이동한다. 한편, 안내가이드(47)는 경품권배출구(37)의 하부영역에 볼트(4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가이드면(48)이 로울러(43a, 43b)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로울러(43a, 43b) 사이로 밀려 이동하는 경품권(40)은 안내가이드(47)의 가이드면(48)을 따라 이동하며, 경품권배출구(3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연동부(19)는 선택버튼(29)의 선택시, 상품배출부(20) 및 경품권배출부(41)를 동시에 전자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19)로 간단히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어부(19)로 구성된 연동부의 기능 즉, 신호입출력에 대해서는, 본 고안을 구성블록도로 나타낸 도3에 잘 나타나 있다.
한편,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작동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소비자가 선택버튼(29)을 눌러 상품을 선택하면(S1), 제어부(19)에 그 상품선택신호가 인가된다. 그러면, 제어부(19)는, 그 인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우선,상품배출부(20)를 작동시킨다(S2). 이 때, 솔레노이드밸브가 래크의 하부영역을 개방시켜 래크에 적치된 해당상품을 방출하고, 이와 같이 방출된 상품은 상품배출구(33)로 투출된다.
제어부(19)는 또한, 상품배출부(20)를 작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경품권배출부(41)도 작동시킨다(S3). 그러면, 구동모터(45)가 작동하여 로울러(43b)를 회전시키고, 이 회전으로 경품권(40)이 안내가이드(47)를 따라 이동하여 경품권투출구(37)로 배출된다. 이 후, 상품이 배출되었는가를 확인하고(S4), 상품이 배출되지 않은 경우, 상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을 반복한다. 한편, 상품이 배출된 경우, 선택버튼(29)이 다시 선택될 때까지 대기한다(S5).
이와 같은 작동으로 상품배출구(33)에 상품이 배출되면, 소비자는 손으로 상품을 인출시켜 음용한다. 여기서, 배출된 경품권(40)은, 추가의 상품을 지급하는 행운권이거나 혹은 예를 들어, 공중파 방송을 통한 추첨식 경품권일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경품권은 하나의 상품을 구매하거나, 혹은 두 개 또는 세 개의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가능하다.
한편,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경품권배출권을 따로 마련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품배출구를 통해 경품권이 배출되는 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의 상품은 일반 스포츠 음료 및 이온음료가 수용된 캔이나 병은 물론이고, 특히, 건강을 고려한 건강음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소비자가 진열된 상품을 구입하는 경우, 그 선택된 품목이외에 각종 경품권을 제공하므로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상품구매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타제품과 차별화를 통하여 제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자동판매기가 제공된다.

Claims (3)

  1. 선택버튼 및 상품배출구가 마련된 본체케이싱, 및 상기 선택버튼으로 선택된 상품을 상기 상품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상품배출부를 구비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내에 상기 상품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복수의 경품권을 적재하는 경품권박스;
    상기 경품권박스내의 상기 경품권을 상기 본체케이싱의 외면에 마련된 경품권배출구로 배출시키는 경품권배출부; 및
    상기 선택버튼의 선택시, 상기 상품배출부의 작동과 연동하여 상기 경품권배출부를 작동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권배출부는,
    상기 경품권박스와 상기 경품권배출구 사이에 상호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고 접면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로울러;
    상기 한 쌍의 로울러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회전시켜, 상기 경품권박스에 적재된 상기 경품권을 상기 한 쌍의 로울러의 접촉면 사이로 인출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인출되는 경품권을 상기 경품권배출구로 안내하는 안내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선택버튼의 선택신호 인가시, 상기 경품권배출부의 구동모터 및 상기 상품배출부의 작동신호를 동시에 지령하는 제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KR2020010032337U 2001-10-23 2001-10-23 경품권을 제공가능한 자동판매기 KR2002618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337U KR200261812Y1 (ko) 2001-10-23 2001-10-23 경품권을 제공가능한 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337U KR200261812Y1 (ko) 2001-10-23 2001-10-23 경품권을 제공가능한 자동판매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384A Division KR20030031645A (ko) 2001-10-15 2001-10-15 경품권을 제공가능한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812Y1 true KR200261812Y1 (ko) 2002-01-24

Family

ID=73054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337U KR200261812Y1 (ko) 2001-10-23 2001-10-23 경품권을 제공가능한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8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7481B2 (en) Vending machine face
US60591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nding multiple products
KR20040029250A (ko) 자동 판매기
KR19990011262A (ko) 복합 자동판매기의 상품판매 방법
US20060035698A1 (en) Gaming device and method
KR200261812Y1 (ko) 경품권을 제공가능한 자동판매기
KR20030031645A (ko) 경품권을 제공가능한 자동판매기
JP2000353272A (ja) ゲームおよびボーナス商品提供の自動販売機
JP5293349B2 (ja) 自動販売機
KR19990055546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및 방법
KR19980068814U (ko) 자판기에 부가적으로 설치한 보너스 경품게임기
KR200187188Y1 (ko) 자동판매기의 전면 배치 구조
KR100217774B1 (ko) 자동판매기
KR0179764B1 (ko)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
KR100694184B1 (ko) 음료자동판매기
KR100415152B1 (ko) 광고 및 게임 기능을 구비한 자동판매기 및 그 사용 방법
AU744376B2 (en) Selection button for a vending machine
KR200190110Y1 (ko) 게임기능을 구비한 상품자동판매기
KR20060027386A (ko) 경품권투출기를 갖는 자동판매기와 그 제어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AU593386B2 (en) Increased column/selectivity vender
JPH09115043A (ja) 自動販売機
KR200261772Y1 (ko) 자동판매기
KR200420462Y1 (ko) 자판기
KR20010111810A (ko) 광고검색기능이 구비된 자동판매기
KR20030042225A (ko) 향수 자동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