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462Y1 - 자판기 - Google Patents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462Y1
KR200420462Y1 KR2020060010341U KR20060010341U KR200420462Y1 KR 200420462 Y1 KR200420462 Y1 KR 200420462Y1 KR 2020060010341 U KR2020060010341 U KR 2020060010341U KR 20060010341 U KR20060010341 U KR 20060010341U KR 200420462 Y1 KR200420462 Y1 KR 2004204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vending machine
outlet
operation button
machin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호
Original Assignee
조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태호 filed Critical 조태호
Priority to KR2020060010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4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4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4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료캔을 전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창이 전면에 형성되는 자판기몸체와, 전시된 음료캔 선택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작동버튼과, 사용자의 상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작동버튼의 작동에 따라 음료캔이 배출되는 음료캔취출구를 포함하고, 자판기몸체의 상부와 하부에는 음료캔이 보관되는 임시저장부가 재고저장부가 각각 형성되는 구성으로, 음료취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음료캔을 허리 구부림 없이 편리하게 꺼낼 수 있고, 자판기 내부에 형성되는 여유 공간을 음료캔이 적재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자판기, 디스플레이창, 작동버튼

Description

자판기{VENDING MACHIN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판기의 임시저장부와 재고저장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자판기몸체 110 : 디스플레이창
200 : 작동버튼 300 : 음료캔취출부
400 : 임시저장부 500 : 재고저장부
600 : 보너스상품부
본 고안은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상체와 대응되는 위치인 자판기몸체의 상부에 음료캔취출구가 형성하므로 이로부터 음료캔을 편리하게 꺼낼수 있는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캔이 판매되는 자판기는 일정 금액 이상의 동전을 투입하여 음료를 선택하면 선택된 음료가 음료취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잔액이 있는 경우에는 선택된 음료캔의 가격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이 반환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음료캔이 판매되는 자판기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판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자판기는 장방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의 전면을 보호하는 도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20)의 상단부에는 다양한 음료가 전시된 진열대(30)가 마련되고, 상기 진열대(30)의 하부에는 전시된 음료를 선택하기 위한 작동버튼(40)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도어(20)의 일측에는 지폐 투입이 가능한 지폐투입구(60)와, 동전 투입이 가능한 동전투입구(7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도어(20)의 하부에는 상기 작동버튼(40)에 의해 선택된 음료캔이 배출되는 음료취출구(50)와, 선택한 음료캔 가격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이 반환되는 반환구(80)가 각각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자판기는 음료취출구(50)가 자판기의 하부에 위치되므로, 음료수취출구로부터 음료캔을 꺼내기 위해 사용자는 음료수취출구가 위치한 높이까지 몸을 구부려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특히, 치마 또는 가슴선 이 파인 상의를 입은 여성이나, 허리가 약하신 노약자가 종래 구성에 따른 자판기를 이용하여 음료캔을 취출하는 경우에는 그 불편함이 더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음료캔을 음료취출구로부터 편리하게 꺼낼 수 있는 자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음료캔을 전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창이 전면에 형성되는 자판기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창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시된 음료캔을 선택하여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작동버튼과, 상기 작동버튼의 작동에 따라 음료캔이 배출되는 음료캔취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캔취출구는 사용자의 상체와 대응되는 범위내의 상기 작동버튼 인접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자판기 몸체의 내측 하부에는 음료캔이 장기간 보관되는 공간을 갖는 재고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판기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음료캔취출구로 배출되는 음료캔이 보관되는 임시저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판기몸체에는 작은 크기의 보너스상품이 수용되는 보너스상품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자판기몸체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보너스상품부의 상품이 작동버튼과 연동하여 배출시 보 너스상품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추가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판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판기몸체(100)와, 상기 자판기몸체(100)내 수용된 음료캔(700)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작동버튼(200)과, 사용자의 상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작동버튼(200)과 인접하게 위치하여 음료캔(700)이 배출되는 음료캔취출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판기몸체(100)는 내측으로 여러 종류의 음료캔(700)이 수용되고, 해당 전면에는 이러한 여러 종류의 음료캔(700)을 전시하는 디스플레이창(110)과, 전시된 음료캔(700)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개의 작동버튼(200) 및, 상기 작동버튼(200)의 작동에 따라 음료캔(700)이 배출되는 음료캔취출구(300)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음료캔취출구(300)는 사용자의 상체와 대응되는 범위 중 상기 작동버튼(200)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은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음료캔취출구(300)로부터 음료캔(700)을 편리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바, 음료캔취출구(300)가 자판기의 하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려 음료캔을 꺼내기 불편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자판기몸체(100)에는 작은 크기의 보너스상품이 수용되는 보너스상품부(600)가 더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보너스상품부(600)와 인접한 자판기몸체(100)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작동버튼(200)에 의해 음료캔(700)이 선택되는 경우 보너스 상품부(600)에 수용된 보너스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버튼(610)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상체와 대응되는 범위내에 보너스상품이 배출되는 보너스상품취출구(6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너스상품부(600)에 수용되는 보너스상품으로는 초콜렛, 사탕, 비타민, 껌, 초코바 등과 같은 작은 크기의 기호식품(800)이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은 음료캔(700)을 구매하는 사용자는 물론 주변 사람들에게 제품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므로 제품 매출을 향상 시킬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판기몸체(100)의 전면 일측에는 지폐 투입이 가능한 지폐투입구(120)와, 동전 투입이 가능한 동전투입구(130) 및, 잔돈이 반환되는 반환구(140)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반환구(140)는 사용자의 상체와 대응되는 범위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판기내의 임시저장부와 재고저장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판기몸체(100)의 상부 내측에는 임시저장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시저장부(400)는 작동버튼(200)의 작동에 따라 음료캔취출구(300)로 배출되는 음료캔(700)을 임시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으로, 작동버튼(200)의 작동에 따라 그에 해당되는 음료캔(700)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임시저장부(400)는 상기 음료캔취출구(300)로 음료캔(700)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음료캔취출구(300)와 일정 높이차를 갖는 자판기몸체(100)의 상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판기 몸체의 하부 내측에는 음료캔(700)의 장기 보관이 가능한 재고저장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고저장부(500)는 다량의 음료캔(700)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상기 임시저장부(400)에 수용된 음료캔(700) 부족시, 적재된 음료캔 중에서 부족한 음료캔을 선택하여 임시저장부(400)에 보충할 수 있다.
종래의 자판기의 경우 다량의 음료수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자판기가 놓여진 주위 공간에 별도의 음료캔 저장물을 준비하고 이를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본 고안의 경우 자판기 몸체 내측에 음료캔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므로 관리가 용이하고, 별도의 음료캔 저장물이 불필요하므로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음료캔이 배출되는 음료취출구가 자판기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므로 허리를 구부리는 불편함 없이 음료캔을 편리하게 꺼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자판기 하부의 여유 공간을 음료캔이 적재되는 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자판기 내 효과적인 공간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더하여, 본 고안은 하나의 제품을 선택하는 경우 작은 크기의 보너스상품이 추가로 주어지도록 구성하여 사용자는 물론 주변 사람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하므로 제품의 매출 향상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음료캔을 전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창이 전면에 형성되는 자판기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창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시된 음료캔을 선택하여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작동버튼과,
    상기 작동버튼의 작동에 따라 음료캔이 배출되는 음료캔취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캔취출구는 사용자의 상체와 대응되는 범위내의 상기 작동버튼 인접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판기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음료캔취출구로 배출되는 음료캔이 보관되는 임시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판기 몸체의 내측 하부에는
    음료캔이 장기간 보관되는 공간을 갖는 재고저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판기몸체에는
    작은 크기의 보너스상품이 수용되는 보너스상품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자판기몸체의 전면 일측에는
    작동버튼의 작동시 작동버튼과 연동하여 보너스상품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추가버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KR2020060010341U 2006-04-18 2006-04-18 자판기 KR2004204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341U KR200420462Y1 (ko) 2006-04-18 2006-04-18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341U KR200420462Y1 (ko) 2006-04-18 2006-04-18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462Y1 true KR200420462Y1 (ko) 2006-07-04

Family

ID=41769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341U KR200420462Y1 (ko) 2006-04-18 2006-04-18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4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4807A (en) Vending machine for a sequential purchase of goods
KR20040029250A (ko) 자동 판매기
KR200420462Y1 (ko) 자판기
CN205507980U (zh) 一种自动贩卖机
JP5293349B2 (ja) 自動販売機
JPS5942374Y2 (ja) 罐入り飲料自動販売機用プレミヤム品
KR101360006B1 (ko) 컴팩트 자동판매기
JP2009098926A (ja) 自動販売機、容器入りゴルフ商品及びゴルフ商品用容器
KR200286091Y1 (ko) 자동판매기
KR200187188Y1 (ko) 자동판매기의 전면 배치 구조
KR200309395Y1 (ko) 공산품 및 식음료 겸용 소형자판기
KR200399685Y1 (ko) 보너스로 경품을 뽑을 수 있는 경품 뽑기가 일측에 장착된자판기
KR100333914B1 (ko) 자동판매기의 가변형 컵디스펜서
KR100383140B1 (ko) 자기 컵을 이용한 자동판매기의 상품 판매방법
KR200323830Y1 (ko) 바코드 인식기가 장착된 담배 인출기
KR200261772Y1 (ko) 자동판매기
JPH09115043A (ja) 自動販売機
KR200261812Y1 (ko) 경품권을 제공가능한 자동판매기
CN201238885Y (zh) 一种封闭式商品销售单元盒
JP3146878U (ja) 自動販売機用占い・おみくじ装置および占い・おみくじ機能付き自動販売機
KR20100005170A (ko) 상품을 서서 꺼내는 자동판매기 구조
JPH09297885A (ja) 自動販売機
JP2517901Y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KR20010058049A (ko) 과자 자동 판매기
KR20030042225A (ko) 향수 자동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