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764B1 -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764B1
KR0179764B1 KR1019950045120A KR19950045120A KR0179764B1 KR 0179764 B1 KR0179764 B1 KR 0179764B1 KR 1019950045120 A KR1019950045120 A KR 1019950045120A KR 19950045120 A KR19950045120 A KR 19950045120A KR 0179764 B1 KR0179764 B1 KR 0179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tery
lottery ticket
door
vending machine
unp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9204A (ko
Inventor
강순정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50045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764B1/ko
Publication of KR970029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9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torn or severed from strips or she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Regular and instant lottery, e.g. electronic scratch c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비포장 컵음료 및 캔상품 복합 자동판매기에 복권 판매 메터니즘을 적용하여, 상용자의 취향을 보다 만족시키는 잇점이 있으며, 복권의 초기 로딩을 자동을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하고, 다양한 형태의 복원 판매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또한 1회에 1장씩의 판매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복권 메커니즘을 자동판매기의 내부 상측으로부터 낙하되는 물기로부터 부호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
제1도 및 제2도는 일반적인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복합 자동판매기를 보인 것으로,
제1도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외관 사시도.
재2도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내부 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포장 컵음료 및 캔상품의 복합 자동판매기를 보인 것으로,
제3도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외관 사시도.
제4도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내부 사시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자동판매기의 복권 판매부를 보인 것으로,
제5도는 수작업에 의한 복권의 세팅을 보인 사시도.
제6도는 복권의 자동 로딩을 위하여 자동 로딩 스위치를 누르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자동판매기의 복권 판매부를 보인 사시도.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자동판매기의 복권 판매부를 구성하는 복권판매 메커니즘을 보인 것으로,
제8도는 전체 구성도.
제9도는 제8도의 좌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자동판매기의 복권 판매부를 물기로부터 보호 하기 위한 복권 판매부 보호 수단을 보인 측면도.
제11도는 종래의 복권 전용 자동판매기에만 적용되는 복권의 정면도.
제12도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자동판매기에 적용되는 복권의 정면도.
제13도는 종래의 복권 전용 자동판매기에 의한 복권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복합 자동판매기에 의한 복권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자동판매기의 복권 자동 로딩방법을 설명한 흐름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자동판매기의 각 상품 판매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복합 자동판매기의 복권 판매부를 위한 흐름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자동판매기의 복권 판매를 위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비포장 컵음료 판매부 B : 캔상품 판매부
C : 복권 판매부 L : 도어 개폐 램프
S : 자동 로딩 스위치 100 : 본체
101 : 공간부 102 : 도어
110 : 복권 보관함 111 : 복권 판매 메커니즘
121 : 브래키트 122 : 구동 롤로
123 : 복원 절단봉 124 : 복권 판매 도어
127 : 안내 롤러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포장 컵음료 및 캔상품의 판매는 물론, 복권의 판매도 가능하게 한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비포장 컵음료 전용 자동판매기와, 캔상품 전용 자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포장 컵음료 정용 자동판매기와, 캔상품 전용 자판기는, 어느 것이나, 한 종류의 상품만을 판매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최근에는 한 장소에서 사용자의 취향예 따라 비포장 컵음료와 캔상품을 선택적으로 판매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비포장 컵음료 및 캔상품 복합 자동판매기의 일례를 보인 것으로, 도면중 1은 전조판, 2는 비포장 컵음료 선택 버튼, 3은 표시 램프부, 4는 반환 레버, 5는 도어 잠금 장치, 6은 동작중 램프, 7은 컵 취출구, 8은 투시창, 9는 동전 반환구, 10은 수평 조절나사, 11은 캔 취출구 12는 지폐 투입구, 13은 동전 투입구, 14는 캔상품 선택 버튼, 15는 캔상품, 16은 세척용 밸브, 17은 살균 탱크, 18은 온수 탱크 19는 원료통, 20은 컵박스, 21은 믹싱 기구, 22는 트랜스, 23은 펌프 모터, 24는 파워 박스, 25는 판매대, 26은 물받이통, 27은 물통, 28은 내부 도어, 29는 동파 방지용 고내등, 30은 돈통, 31은 동전 반환통, 32는 테스트 스위치, 33은 코인 메커니즘, 34는 지폐 식별기, 35는 캔 랙크, 36은 비포장 컵음료 판매용 콘트롤러, 37은 캔상품 판매용 콘트롤러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복합 자동판매기는, 전면에 형성된 지폐 투입구(12), 또는 동전 투입구(13)에 지폐, 또는 동전을 투입하게 되면, 지폐 식별기(34), 또는 코인 메커니즘(33)에서 지폐, 또는 동전을 식별하게 되며, 그 신호는 비포장 컵음료 판매용 콘트롤러(36), 또는 캔상품 판매용 콘트롤러(37)로 전달되어 표시 램프부(3) 금액이 표시된다.
이때, 표시 램프부(3)에 표기된 금액이 사용자가 음용하고자 하는 비포장 컵음료 및 캔상품의 액수 보다 같거나, 많을 경우에는해당 비포장 컵음료 선택 버튼(3), 또는 캔상품 선택 버튼(14)을 누르게 되면, 컵 취출구(7)로부터 비포장 컵음료가 취출되거나, 또는 캔 취출구(11)로부터 캔상품이 취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용자가 선택한 비포장 컵음료 및 캔상품의 가격 보다 표시 램프부(3)에 표기된 금액이 많을 경우에는 동전 반환구(9)를 통하여 잔돈이 거슬러져 나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비포장 컵음료 및 캔상품 복합 자동 판매기는, 비포장 컵음료 또는 캔상품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른 용도의 자동판매기로는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었다.
예를 들어, 최근에는 공공 기관 등에서 특수한 사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복권의 시판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복권의 구입을 위하여는 가판점을 이용하거나, 은행을 이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는 바, 기존의 비포장 컵음료 및 캔상품 복합 자동판매기에 복권 자동판매기를 일체로 구성한 자동판매기는 알려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분제점을 감안하여, 비포장 컵음료 및 캔상품 복합 자동판매기에 복권 판매 메터니즘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을 보다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 및 복권 자동 로딩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한편, 최근까지 알려진 복권판매기는, 자동판매기의 일종으로서 단지 복권의 판매만 가능한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기존에 널리 알려진 복권 자동판매기는 복권의 초기 로딩 동작을 수동으로 하여야 함으로써 그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복권을 판매할 수 없으며, 또한 사용자의 의지에 관계없이 반드시 1회에 2장의 복권을 구입하여야만 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권의 초기 로딩을 자동으로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하고, 다양한 형태의 복원 판매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1회에 1장씩의 판매를 가능하도록 한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 및 복권 자동 로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권 메커니즘을 자동판매기의 내부 상측으로부터 낙하되는 물리골부터 보호하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비포장 컵음료, 캔 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 및 복권 자동 로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100)의 중간 공간부(101) 양측에 배치되는 비포장 컵음료 판매부(A) 및 캔상품판매부(B)와; 상기 본체(100)의 중간 공간부(101)와 대향되게 도어(102)의 내측면 중간부에 배치되고, 복권이 지그재그 식의 접힌 상태로 보관되는 복권보관함(110)의 상부측에는 롤러 구동모터(125)의 구동력을 벨트(126)로 전달받아 구도하면서 하부측 안내롤러(127)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으로 복권을 이송시키는 구동롤러(122)가 설치되면, 상기 구동롤러(122)의 전방측에는 복권 절단동(123)과 탄성부재(136)의 탄성력으로 힌지핀(128)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어 상기 복권절단봉(123)과의 사이를 개방시키고 자동 로딩 스위치(S)와 연동되는 도어 구동 모터(129)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면서 이의 전방측 제1,2마이크로 스위치(133)(134)를 작동시키는 제1 캠(131) 및 제2캠(132)의 가압으로 복권절단봉(123)과 접촉되어 상기 복권절단봉(123)과의 사이를 폐쇄시키는 복권 판매 도어(124)가 설치된 복권판매부(C)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권 판매 메커니즘의 구동 롤러 및 안내 롤러의 사이로 복권의 선단부를 대략 밀어 넣는 단계와, 자동 로딩 스위치를 눌러 도어 구동수단의 구동으로 복권 판매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와, 롤러 구동 모터의 구동으로 복권 감지수단의 둘 중 어느 하나가 1일 때 까지 복권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복권 감지수단의 둘 중의 어느 하나가 1이면, 롤러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도어 구동수단의 구동을 정지하여 복권 판매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의 순으로 진행한다.
상기 복권 판매 도어의 개방시 도어 개폐 램프를 점등시키고, 폐쇄시 소등시키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 및 복권 자동 로딩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포장 컵음료 및 캔상품의 복합 자동판매기를 보인 것으로, 제3도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고, 제4도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내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는, 비포장 컵음료 판매부(A), 캔상품 판매부(B), 및 복권 판매부(C)를 일체로 구성하여, 비포장 컵음료 및 캔상품의 판매는 물론 복권의 판매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비포장 컵음료 판매부(A) 및 캔상품 판매부(B)는 자동판매기 본체(100)의 중간부에 형성된 공간부(101)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권 판매부(C)는 본체(100)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도어(102)의 내측면 중간부에 본체(100)의 공간부(101)와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도어(102)를 본체(100)에 닫을 경우, 복권 판매부(C)가 다른 부품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복권 판매부(C)는, 예를 들어, 5장의 복권이 지그 재그 형태로 접혀져 보관되는 복권 보관함(110)과, 그 복권 보관함(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자동 로딩 스위치(S)의 조작으로 복권을 초기에 자동으로 로딩시킴과 아울러 복권을 취출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만큼 이송시키는 복권 판매 메커니즘(1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권 메커니즘(111)은, 외관상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키트(121)의 전방측 상하부에 구동 롤러(122) 및 복권 절단봉(123)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 복권 판매 도어(124)가 미세 각도 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그 복권 판매 도어(124)의 회전 동작에의하여 복권(P)이 외부로 취출되거나, 또는 복권(P)이 취출되지 못하도록 잡아주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5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롤러(122)는 복권 판매 메커니즘(111)의 내부에 설치된 롤러 구동 모터(125)와 벨트(126)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내측 하부에는 안내 롤러(127)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구동 모터(125)의 구동력으로 구동 롤러(122)가 회전되면서 그 구동 롤러(122)와 안내 롤러(127)의 사이에 개재된 복권(P)을 취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권 판매 메터니즘(111)의 내부에는 복권 판매 도어(124)를 힌지핀(128)을 중심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도어 구동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바,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어 구동수단은, 자동 로딩 스위치(S)에 연동되는 도어 구동 모터(129)와, 상기 구동 모터(129)의 회전축(130)의 전,후방에 각각 고정되는 제1 캠(131) 및 제2캠(132)과, 상기 제1 캠(131) 및 제2캠(132)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제1 마이크로 스위치(133) 및 제2 마이크로 스위치(134)와, 상기 복권 판매 도어(124)에 결합되어 제1 캠(131)에 연동되는 베어링(135)와, 상기 복권 판매 도어(124)에 연결되어 그 복권 판매 도어(124)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3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동 로딩 스위치(S)의 일측에는 제2 마이크로 스위치(134)와 연동되어 복권 판매 도어(124)의 개방시에는 점등되고 폐쇄시에는 소등되는 도어 개폐 램프(L)가 설치되어 있어, 복권 판매 도어(124)의 개폐 여부를 도어 개폐 램프(L)의 점등 여부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137은 복권 취출구, 138은 복권 취출 도어, 139는 복권 전시창, 140은 복권 선택 버튼, 141은 복권 판매 표시부, 142는 수작업을 복권 판매 도어(124)를 개방시키는 도어 개폐 스위치를 보인 것이고, 도면중 종래의 자동판매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는, 본체(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물기, 예를 들어, 캔상품의 표면에 응축된 물방울이 낙하되어 복권 판매부(C)의 복권 판매 메터니즘(111)에 감겨져 있는 복권(P)을 손상시키거나, 복권 보관함(110)에 수납된 복권(P)을 오염시킴으로써 오동작을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102)에 복권 판매부 보호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복권 판매부 보호 수단의 실시례로서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02)의 내측면에 통상적인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물기를 외측으로 흘러내리기 위한 제1 복권 보호 브래키트(151)과, 상기 복권 보관함(110)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그 복권 보관함(110)에 수납된 복권(P)을 물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2 복권 보호 수단 판매부 보호 브래키트(15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복권 판매부 보호 수단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내부의 물기,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등으로부터 복권(P)을 보호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는, 종래에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낱장의 테두리에 감지부(161)가 형성된 복권(P)만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낱장의 테두리에 감지부(161)가 형성된 복권(P), 뿐만 아니라, 2장의 복권(P)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고 그 테두리에 감지부(162)가 형성된 복권(P)의 사용도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복권 전용 자동판매기는, 사용자의 의지에 관계없이 반드시 1회에 2장의 복권을 구입하여야만 하므로, 복권(P)의 각 낱장 상하폭의 거리를 두고 배치된 감지수단(S1)(S2)의 감지 신호가 모두 1인 경우에만 복권(P)이 정위치에 놓였는지를 판단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의한 비포장 컵음료, 캔 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는, 제12도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장의 테두리에 감지부(162)가 형성되거나, 또는 각 낱장의 테두리에 감지부(161)가 형성된 복권(P)일 경우, 감지수단(S1)(S2)의 둘 증 어느 하나가 1이면, 복권(P)이 정위치에 놓여져 있는 것을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복권 전용 자동판매기는, 제12도의 (a)에 도시한 형태의 복권(P)은 사요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비포장 컵음료, 캔 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는, 비포장 컵음료 판매부(A), 캔상품 판매부(B), 및 복권 판매부(C)를 일체로 구성하여, 비포장 컵음료 및 캔상품의 판매는 물론 복권의 판매도 가능하록 한 것인 바, 먼저, 복권(P)의 초기 자동 로딩방법을 제15도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권 판매 메터니즘(111)의 구동 롤러(122) 및 안내 롤러(127)의 사이로 복권(P)의 선단부를 대략 밀어 넣는 단계와, 자동 로딩 스위치(S)를 눌러 도어 구동수단의 구동으로 복권 판매 도어(124)를 개방시키는 단계와, 롤러 구동 모터의 구동으로 복권 감지수단(S1)(S2)의 둘 중의 어느 하나가 1일 때 까지 복권을 이동시키는 단계와,복권 감지수단(S1)(S2)의 둘 중의 어느 하나가 1이면, 롤러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도어 구동수단의 구동을 정지하여 복권 판매 도어(124)를 폐쇄하는 단계의 순으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복권 판매 도어(124)의 개방시 도어 개폐 램프(L)를 점등시키고, 폐쇄시 소등시키도록 하여, 작업자가 개방된 도어(102)의 반대편을 돌아가서 복권 판매 도어(124)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복권 판매 도어(124)의 개폐 여부를 도어 개폐 램프(L)의 점등 여부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5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권 판매 메커니즘(111)의 구동 롤러(122) 및 안내 롤러(127)의 사이로 복권(P)의 선당부를 대략 밀어 넣는 상태에서 자동 로딩 스위치(S)를 누르게 되면, 도어 구동수단을 구성하는 도어 구동 모터(129)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축(130)이 회전하게 되므로, 그 회전축(130)의 전,후방에 각각 고정된 제1 캠(131) 및 제2캠(132)이 각각 회전하여, 그 제1 캠(133) 및 제2캠(134)의 반경이 작은 외주면에 제1 마이크로 스위치(133) 및 제2 마이크로 스위치(134)가 각각 위치하게 됨으로써 그 제1 마이크로 스위치(133) 및 제2 마이크로 스위치(134)는 모두 오프(off)가 되는 것이며, 따라서 복권 판매 도어(124)가 탄성부재(136)의 복원력에 의하여 힌지핀(128)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큼 회전되므로 복권(P)의 취출 유로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롤러 구동 모터(125)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 롤러(122)가 회전하여 복권 감지수단(S1)(S2)의 둘 중 어느 하나가 1일 때 까지 복권을 이동시키게 되며, 이후, 계속되는 제1 캠(133) 및 제2캠(134)의 회전에 의하여 그 제1 캠(133) 및 제2 캠(134)의 반경이 가장 큰 외주면에 제1 마이크로 스위치(133) 및 제2 마이크로 스위치(134)가 위치하게 되면, 그 제1 마이크로 스위치(133) 및 제2 마이크로 스위치(134)는 온(on)이 되어 롤러 구동 모터(135)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복권 판매 도어(124)의 선당부가 전방으로 약 2 ∼ 3mm 정도 돌출된 복권(P)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복권(P)의 초기 자동 로딩 동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제1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포장 컵음료, 캔 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의 각 상품 판매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제17도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복권 판매부(C)에 의한 복권 판매의 흐름도이며, 또한 제18도는 1장의 복권(P)도 판매를 가능하도록 구성한 회로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 판매기 및 복권 자동 로딩방법은, 비포장 컵음료 및 캔상품 복합 자동 판매기에 복권 판매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을 보다 만족시키는 잇점이 있으며, 복권의 초기 로딩을 자동으로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하고, 다양한 형태의 복원 판매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또한 1회에 1장씩의 판매를 가능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권 메커니즘을 자동판매기의 내부 상측으로부터 낙하되는 물기로부터 보호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100)의 중간 공간부(101) 양측에 배치되는 비포장 컵음료판매부(A) 및 캔상품판매부(B)와; 상기 본체(100)의 중간 공간부(101)와 대향되게 도어(102)의 내측면 중간부에 배치되고, 복권이 지그재그 식의 접힌 상태로 보관되는 복권보관함(110)의 상부측에는 롤러 구동모터(125)의 구동력을 벨트(126)로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하부측 안내롤러(127)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으로 복권을 이송시키는 구동롤러(122)가 설치되면, 상기 구동롤러(122)의 전방측에는 복권 절단봉(123)과 탄성부재(136)의 탄성력으로 힌지핀(128)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어 상기 복권절단봉(123)과의 사이를 개방시키고 자동 로딩 스위치(S)와 연동되는 도어 구동 모터(129)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면서 이의 전방측 제1,2마이크로 스위치(133)(134)를 작동시키는 제1 캠(131) 및 제2캠(132)의 가압으로 복권절단봉(123)과 접촉되어 상기 복권절단봉(123)과의 사이를 폐쇄시키는 복권 판매 도어(124)가 설치된 복권판매부(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
KR1019950045120A 1995-11-28 1995-11-28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 KR0179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120A KR0179764B1 (ko) 1995-11-28 1995-11-28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120A KR0179764B1 (ko) 1995-11-28 1995-11-28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9204A KR970029204A (ko) 1997-06-26
KR0179764B1 true KR0179764B1 (ko) 1999-04-01

Family

ID=19436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5120A KR0179764B1 (ko) 1995-11-28 1995-11-28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97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9204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52368C2 (ru) Упрощенный торговый автомат
US7754990B2 (en) Means in a reverse vending machine (RVM) for receiving, handling, sorting and storing returnable items or objects
EP2038853B1 (en) Vending machine with one-way mechanism
US7802700B2 (en) Product discharge and delivery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US60591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nding multiple products
RU2579975C2 (ru) Торговый автомат
KR20040029250A (ko) 자동 판매기
US1987835A (en) Vending machine
KR19990011262A (ko) 복합 자동판매기의 상품판매 방법
KR0179764B1 (ko) 비포장 컵음료, 캔상품, 및 복권의 복합 자동판매기
US3549045A (en) Delivery door operating mechanism
JP5293349B2 (ja) 自動販売機
JP4830234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100217774B1 (ko) 자동판매기
KR200157090Y1 (ko) 자동판매기용 지폐투입구의 개폐장치
KR102665663B1 (ko) 무인 판매기
KR200261812Y1 (ko) 경품권을 제공가능한 자동판매기
JP3357931B2 (ja) 自動販売機
JP2001101496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装置
KR200261772Y1 (ko) 자동판매기
KR19980035122U (ko)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냉.온음료 표시장치
KR200307251Y1 (ko) 속눈썹 제품자동자판기
KR940004369Y1 (ko) 자동판매기의 매상집계장치
KR20030031645A (ko) 경품권을 제공가능한 자동판매기
JP2596469Y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