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663B1 - 무인 판매기 - Google Patents

무인 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663B1
KR102665663B1 KR1020220071411A KR20220071411A KR102665663B1 KR 102665663 B1 KR102665663 B1 KR 102665663B1 KR 1020220071411 A KR1020220071411 A KR 1020220071411A KR 20220071411 A KR20220071411 A KR 20220071411A KR 102665663 B1 KR102665663 B1 KR 102665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vending machine
unmanned vend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71167A (ko
Inventor
이희연
차재민
박재민
김동희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1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663B1/ko
Priority to PCT/KR2023/007532 priority patent/WO2023243915A1/ko
Publication of KR20230171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05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fastenings for doors; for turnsti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fastenings for doors; for turnstiles
    • G07F17/145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fastenings for doors; for turnstiles for revolving doors or turnsti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exhibiting advertisements, announcements, pictur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0873Details of the card rea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 G07F9/0235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the arrangements being full-front touch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Finance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무인 판매기의 일 실시예는, 상품이 수납되는 상품 진열대가 내부에 마련되고, 전면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상품 진열대로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상기 도어에 부착되어 상기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도어 손잡이; 및 상기 도어 손잡이에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결제를 실행하기 위한 결제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인 판매기{Unmanned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무인 판매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결제 모듈과 도어 손잡이를 일체화 하여 제품의 크기를 줄이고 상품 결제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무인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옥외 및 옥내의 공공장소에는 커피 및 음료수와 같은 식품, 티슈와 같은 일회용 물품 또는 각종 티켓 등을 자동으로 판매하는 무인 판매기가 설치되어 있다. 근래에는 종래의 무인 판매기에 구비된 현금 결제를 위한 결제수단 및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수취구로 이송하기 위한 기계적 이송수단의 구성을 생략하여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 함과 아울러 상품의 진열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하고, 상품 진열대에 진열된 상품을 사용자가 직접 수취하고 카드 등의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결제를 실행하는 무인 판매기가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무인 판매기는 그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상기 도어를 여닫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도어 손잡이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결제를 실행하기 위한 결제 모듈을 구성하는 각 유닛들은 무인 판매기의 일측에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있어 무인 판매기의 전체 크기가 확장되어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무인 판매기를 구성하는 전체 시스템이 분산 배치되어 조화롭지 못하고, 무인 판매기의 이동과 설치 및 유지보수 관리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상품 결제 시에 도어를 열고 상품을 선택한 후에 상품 결제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한 곳에서 여러가지 동작을 한꺼번에 수행할 수 없고 무인 판매기의 전면에서 상품을 선택한 후에 무인 판매기의 일측에 위치한 결제 모듈로 이동하여 결제를 실행해야 하므로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무인 판매기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38689호에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품의 크기를 줄이고 사용자의 상품 결제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인 판매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인 판매기는, 상품이 수납되는 상품 진열대가 내부에 마련되고, 전면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상품 진열대로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상기 도어에 부착되어 상기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도어 손잡이; 및 상기 도어 손잡이에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결제를 실행하기 위한 결제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 전면부의 일측부와 상기 도어의 일측부에 연결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어 손잡이와 상기 결제 모듈은 상기 힌지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도어의 타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손잡이는, 상기 결제 모듈이 일체로 결합된 플레이트 형상의 손잡이 몸체와, 상기 손잡이 몸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에 결합된 손잡이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손잡이 몸체와 상기 도어 사이에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몸체를 파지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제 모듈은, 마그네틱 카드의 마그네틱 띠 부분을 읽는 제1 카드 리더기, 또는 IC 카드의 IC 칩 부분을 읽는 제2 카드 리더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카드 리더기 또는 상기 제2 카드 리더기에서 카드가 삽입되는 부분은 상기 손잡이 지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제 모듈은, QR 코드, 바 코드, RFID 태그 중 어느 하나를 읽는 인식표 리더기와,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종류와 수량 및 결제 금액이 표시되고 결제를 실행하기 위한 선택 버튼이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모듈의 상측으로 상기 손잡이 몸체에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본체 내부의 상품 진열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투시창, 터치 스크린, 제1 카드 리더기, 제2 카드 리더기 및 인식표 리더기는 상기 도어 손잡이에 종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시창의 상측으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보안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안 모듈의 일측으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광고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안 모듈은, 상기 도어 손잡이에 종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도어 손잡이와 전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한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투명한 강화 유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강화 유리의 테두리부에는 전사지가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판매기에 의하면, 결제 모듈을 도어 손잡이에 일체화 하여 무인 판매기의 제품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상품 결제 시에 결제 모듈의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동작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고객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카드 리더기와 제2 카드 리더기의 카드 삽입 부분을 도어 손잡이의 손잡이 지지부에 형성함으로써 손잡이 몸체를 얇은 크기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도어 손잡이의 무게를 줄이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결제 모듈의 상측에 위치하는 도어 손잡이 부분에는 투시창을 구비함으로써 본체의 외부에서도 본체 내부의 상품 진열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 손잡이에 의한 상품 가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보안 모듈과 투시창 및 결제 모듈을 구성하는 터치 스크린, 제1 카드 리더기, 제2 카드 리더기 및 인식표 리더기가 본체의 전면부 일측부에 종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무인 판매기의 외관 디자인을 컴팩트하고 세련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전면부 상부에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보안 모듈을 구비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보안 모듈의 일측에는 광고판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판매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판매기에서 도어가 열린 모습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판매기의 도어와 도어 손잡이 및 결제 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판매기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판매기(1)는, 상품이 수납되는 상품 진열대(150)가 내부에 마련되고, 전면부(140)에는 사용자가 상품 진열대(150)로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140a)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개구부(140a)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200), 상기 도어(200)에 부착되어 도어(200)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도어 손잡이(300), 및 상기 도어 손잡이(300)에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결제를 실행하기 위한 결제 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바닥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좌우 및 배면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120)와, 상기 측면부(120)의 상부에 안착된 상면부(130), 및 상기 좌우측의 측면부(120)와 연결되고 상단은 상면부(130)에 연결되며 하단은 베이스(110)에 연결된 전면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200)는, 본체(100)의 전면부(140)에 형성된 개구부(140a)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어(200)의 일측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힌지부(231,232)가 결합되고, 상기 힌지부(231,232)는 본체(100)의 전면부(140)의 일측 상단과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는 힌지부(231,232)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은 도어(200)가 전면부(140)에 접촉되어 개구부(140a)가 닫힌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어(200)가 전면부(140)로부터 전방으로 회전되어 개구부(140a)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200)가 여닫이 방식으로 회전되어 개폐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도어(200)를 미닫이 방식으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도어(200)는 투명한 강화 유리(210)로 이루어지고, 강화 유리(210)의 테두리부에는 전사지(220)가 코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어(20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본체(100)의 외부에서 투명한 강화 유리(210)를 투시하여 본체(100) 내부의 상품 진열대(150)에 진열된 상품을 확인할 수 있고, 강화 유리(210)는 일반 유리 재질에 비하여 강도를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강화 유리(210)의 테두리부에 두께가 얇은 전사지(220)를 코팅함으로써 강화 유리(210)와 전사지(220) 간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매끈하게 마감 처리됨으로써 도어(200)의 외관 디자인을 세련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에는 결제 모듈(400)을 이용한 상품의 결제가 수행되는 동안에는 도어(20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잠금 해제되고, 상품의 결제가 수행되지 않는 동안에는 도어(200)가 잠금되도록 하는 잠금장치(160;160-1,160-2)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 손잡이(30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도어(200)를 열고 닫기 위한 구성이며, 일 실시예로 상기 힌지부(231,232)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도어(200)의 타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어 손잡이(300)는 횡방향으로 소정의 너비를 갖고 종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손잡이 몸체(310)와, 상기 손잡이 몸체(310)에서 돌출 형성되어 도어(200)에 결합되는 손잡이 지지부(320;320-1,3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지지부(320)는, 손잡이 몸체(310)의 하부에서 도어(20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제1 손잡이 지지부(320-1)와, 손잡이 몸체(310)의 상부에서 도어(20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제2 손잡이 지지부(320-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 몸체(310)와 도어(200)는 제1 손잡이 지지부(320-1)와 제2 손잡이 지지부(320-2)의 돌출된 길이 만큼 서로 이격되므로, 이격된 공간으로 사용자가 손을 넣고 손잡이 몸체(210)를 파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지지부(320;320-1,320-2)와 도어(200) 간의 결합은 다양한 결합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로, 볼트와 너트, 리벳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거나, 맞닿는 부분을 접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 몸체(310)는 도어(200)의 타측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점유하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손잡이 몸체(310)의 일측면에는 결제 모듈(400)과 투시창(500)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결제 모듈(400)은 사용자의 결제 수단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별하고, 결제 수단이 유효한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종류와 수량에 따른 결제 금액을 산출하며, 통신 수단을 통하여 카드사 서버 등에 승인 요청한 후, 승인이 완료되면 결제 금액의 결제를 실행하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종류와 수량 및 결제 금액은 상품 진열대(150)에 구비된 무게 센서(미도시됨)에서 상품 선택 전후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무게 변화값을 기준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모듈(400)은, 마그네틱 카드(Magnetic Card)의 마그네틱 띠(Magnetic Stripe) 부분을 읽는 제1 카드 리더기(410)와, IC 카드(Integrated Circuit Card)의 IC 칩(Integrated Circuit Chip) 부분을 읽는 제2 카드 리더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드 리더기(410)에서는 사용자가 카드의 마그네틱 띠 부분을 삽입하고 일방향으로 밀면서 카드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제2 카드 리더기(420)에서는 사용자가 카드의 IC 칩 부분을 삽입하여 꽂아둔 상태에서 카드 정보를 인식한다. 이와 같이 제1 카드 리더기(410)와 제2 카드 리더기(420)는 공통적으로 카드가 소정 깊이로 삽입되는 공간을 필요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카드 리더기(410)와 제2 카드 리더기(420)에서 카드가 삽입되는 부분은 도어 손잡이(300)의 손잡이 지지부(320;320-1)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만일, 카드가 삽입되는 부분을 도어 손잡이(300)의 손잡이 몸체(310)에 형성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손잡이 몸체(310)의 두께는 최소한 카드가 삽입되는 깊이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대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카드가 삽입되는 부분을 손잡이 지지부(320;320-1)에 형성함으로써, 카드가 삽입되는 부분을 손잡이 몸체(310)에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손잡이 몸체(310)의 두께를 보다 얇은 크기로 제작할 수 있게 되므로 도어 손잡이(320)의 두께와 무게를 줄이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상기 결제 모듈(400)은, QR 코드, 바 코드, RFID 태그 중 어느 하나를 읽는 인식표 리더기(430)와,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종류와 수량 및 결제 금액이 표시되고 결제를 실행하기 위한 선택 버튼이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4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제 모듈(400)의 상측으로 손잡이 몸체(310)에는 사용자가 본체(100)의 외부에서 본체(100) 내부의 상품 진열대(150)에 진열된 상품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500)이 결합되어 있다. 손잡이 몸체(310)에는 투시창(50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투시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제 모듈(300)의 상측에 위치하는 도어 손잡이(300) 부분에 투시창(500)을 구비함으로써 본체(100)의 외부에서도 본체(100) 내부의 상품 진열대(150)의 상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 손잡이(300)에 의한 상품 가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투시창(500)과, 결제 모듈(400)을 구성하는 터치 스크린(440), 제1 카드 리더기(410), 제2 카드 리더기(420) 및 인식표 리더기(430)는 도어 손잡이(300)에 종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품 선택을 위하여 도어(200)를 열고 상품을 수취한 후에 도어(200)를 닫고, 곧바로 도어 손잡이(300)에 일체로 구비된 결제 모듈(400)을 통하여 상품 결제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상품 결제 시에 결제 모듈(400)의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동작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고객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무인 판매기(1)의 외관 디자인을 컴팩트하고 세련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손잡이(300)가 도어(200)에 종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으로 결합되고, 투시창(500)과 결제 모듈(400)이 도어 손잡이(300)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다른 실시예로 도어 손잡이(300)가 도어(200)에 횡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으로 결합되고, 투시창(500)과 결제 모듈(400)이 도어 손잡이(300)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투시창(500)의 상측으로 본체(100)의 상부에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610)를 포함하는 보안 모듈(6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안 모듈(600)은 도난 방지를 위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목적으로 활용되거나, 판매 상품의 종류에 따라서는 주류와 같이 구입 가능 연령이 제한되는 경우에는 미성년인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
상기 보안 모듈(600)의 일측으로 본체(100)의 상부에는 광고판(7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고판(700)에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거나, 기타 다양한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무인 판매기(1)의 제품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인 판매기(1)에서 취급하는 상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종래 일반적인 무인 판매기에서 취급하는 상품 이외에 냉장, 냉동 신선 식품, 축산품 등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취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무인 판매기 100 : 본체
110 : 베이스 120 : 측면부
130 : 상면부 140 : 전면부
140a : 개구부 150 : 상품 진열대
160,160-1,160-2 : 잠금장치 200 : 도어
210 : 강화유리 220 : 전사지
231,232 : 힌지부 300 : 도어 손잡이
310 : 손잡이 몸체 311 : 투시부
320,320-1,320-2 : 손잡이 지지부 400 : 결제 모듈
410 : 제1 카드 리더기 420 : 제2 카드 리더기
430 : 인식표 리더기 440 : 터치 스크린
500 : 투시창 600 : 보안 모듈
610 : 카메라 700 : 광고판

Claims (11)

  1. 상품이 수납되는 상품 진열대가 내부에 마련되고, 전면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상품 진열대로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상기 도어에 부착되어 상기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도어 손잡이; 및
    상기 도어 손잡이에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결제를 실행하기 위한 결제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도어 손잡이는, 상기 결제 모듈이 일체로 결합된 플레이트 형상의 손잡이 몸체와, 상기 손잡이 몸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에 결합된 손잡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모듈의 상측으로 상기 손잡이 몸체에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본체 내부의 상품 진열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판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 전면부의 일측부와 상기 도어의 일측부에 연결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어 손잡이와 상기 결제 모듈은 상기 힌지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도어의 타측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판매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몸체와 상기 도어 사이에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몸체를 파지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판매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모듈은, 마그네틱 카드의 마그네틱 띠 부분을 읽는 제1 카드 리더기, 또는 IC 카드의 IC 칩 부분을 읽는 제2 카드 리더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카드 리더기 또는 상기 제2 카드 리더기에서 카드가 삽입되는 부분은 상기 손잡이 지지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판매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모듈은, QR 코드, 바 코드, RFID 태그 중 어느 하나를 읽는 인식표 리더기와,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종류와 수량 및 결제 금액이 표시되고 결제를 실행하기 위한 선택 버튼이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무인 판매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 터치 스크린, 제1 카드 리더기, 제2 카드 리더기 및 인식표 리더기는 상기 도어 손잡이에 종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판매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의 상측으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보안 모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판매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모듈의 일측으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광고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판매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모듈은,
    상기 도어 손잡이에 종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도어 손잡이와 전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한 너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판매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투명한 강화 유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강화 유리의 테두리부에는 전사지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판매기.
KR1020220071411A 2022-06-13 2022-06-13 무인 판매기 KR102665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411A KR102665663B1 (ko) 2022-06-13 2022-06-13 무인 판매기
PCT/KR2023/007532 WO2023243915A1 (ko) 2022-06-13 2023-06-01 무인 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411A KR102665663B1 (ko) 2022-06-13 2022-06-13 무인 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167A KR20230171167A (ko) 2023-12-20
KR102665663B1 true KR102665663B1 (ko) 2024-05-10

Family

ID=8919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411A KR102665663B1 (ko) 2022-06-13 2022-06-13 무인 판매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65663B1 (ko)
WO (1) WO202324391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694B1 (ko) * 2019-07-26 2020-06-10 김대식 쇼케이스 운영 시스템
KR102126637B1 (ko) 2019-11-18 2020-06-24 권오석 결제기능을 구비한 무인 물품저장고
US20210065492A1 (en) * 2019-09-03 2021-03-04 Pepsico, Inc. Handles and displays for product vending system
KR102273794B1 (ko) 2021-01-22 2021-07-06 하나시스 주식회사 무인판매기의 경고 송출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7051A (ja) * 2004-05-13 2005-11-24 Sega Corp 商品払出装置
CN109147170A (zh) * 2018-07-26 2019-01-04 上海凯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识别的无人售货柜
KR102398182B1 (ko) * 2020-06-19 2022-05-13 박진석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694B1 (ko) * 2019-07-26 2020-06-10 김대식 쇼케이스 운영 시스템
US20210065492A1 (en) * 2019-09-03 2021-03-04 Pepsico, Inc. Handles and displays for product vending system
KR102126637B1 (ko) 2019-11-18 2020-06-24 권오석 결제기능을 구비한 무인 물품저장고
KR102273794B1 (ko) 2021-01-22 2021-07-06 하나시스 주식회사 무인판매기의 경고 송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167A (ko) 2023-12-20
WO2023243915A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806B1 (ko) 도어를 개방하여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스마트 자판기
US9864971B2 (en) Secure self-checkout station
RU2671767C2 (ru) Управляемый компьютером киоск с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оплатой, не требующий присутствия продавца
US10216157B2 (en) Order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US5927544A (en) Vending machine for encased recording media
US7474938B2 (en) Interactive automated article dispensing system
US5468942A (en) Dispensing device for hand scanners accessible from two sides
US20180268358A1 (en) Order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with item sensor
CN104916042B (zh) 一种自助式售货装置
KR20090078284A (ko) 도서 대여/반납 장치에 사용되는 보조 케이스, 도서대여/반납 장치 및 그 방법
KR102065306B1 (ko) 냉동 냉장 상품 무인 판매 장치
US5429430A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EP1384210B1 (en) Device for storing and disposing articles for withdrawal
US20040050855A1 (en) Vending machine
KR102665663B1 (ko) 무인 판매기
RU130813U1 (ru) Мини-бар
JP7209215B2 (ja) 販売システム及び販売方法
AU2018269927B2 (en) Order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with item sensor
KR200490285Y1 (ko)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JP7403795B2 (ja) 袋支持装置及び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4734918B2 (ja) ショーケース
KR20230041511A (ko) 물품 자동판매장치
ES1305052U (es) Armario de almacenamiento
KR20230084765A (ko) 무인 판매 장치
CN112967449A (zh) 一种推拉式快捷支付的多功能智能售货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