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481B1 - 냉동장치, 그 냉동 장치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 및 그 공기 조화기의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냉동장치, 그 냉동 장치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 및 그 공기 조화기의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481B1
KR0183481B1 KR1019960004038A KR19960004038A KR0183481B1 KR 0183481 B1 KR0183481 B1 KR 0183481B1 KR 1019960004038 A KR1019960004038 A KR 1019960004038A KR 19960004038 A KR19960004038 A KR 19960004038A KR 0183481 B1 KR0183481 B1 KR 0183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refrigerant
heat exchanger
controlling
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932A (ko
Inventor
구니에 세끼가미
고오지 나가에
가즈또요 가가미
Original Assignee
다까노 야스아끼
상요 덴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7832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382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15701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327125A/ja
Application filed by 다까노 야스아끼, 상요 덴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노 야스아끼
Publication of KR960034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5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5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 F25B2400/0751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the compressors having different capac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on-off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6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unlo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열교환기에 압축기를 구비한 냉동 장치에 있어서, 압축기는 그 구동에 사용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한 정격 압축기이며, 정격 압축기는 그 정격 압축기의 용기 내의 압축 도중의 냉매의 일부를 이 압축기의 용기로 복귀시키는 파워 세이브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일부를 정격 압축기의 냉매 흡입축으로 복귀시키는 냉매 복귀 기구를 또 구비하고, 파워 세이브 기구와 냉매 복귀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냉동 장치의 출력 파워를 가변으로 한다.
또 파워 세이브 기구를 구비한 정격 압축기 대신에 극수 변환 기구를 구비한 압축기(극수 변환형 압축기)를 이용하고, 이 극수 변환 기구와 냉매 복귀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냉동 장치의 출력 파워를 가변으로 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냉동 장치, 그 냉동 장치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 및 그 공기 조화기의 운전 방법
제1도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냉매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되는 압축기에 내장된 파워 세이브 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파워 세이브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제5도는 냉매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운전 마력(압축기의 출력 파워)의 변화와, 압축기의 선택적 구동 동작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개략적인 파워 제어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제어 내용을 더욱 상세히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제8도는 제2도의 실시예의 변형예인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냉매 회로도이며, 제2도의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도에 대응하는 것이다.
제10도는 제9도의 공기 조화기의 개략 파워 제어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한 제어 내용을 더욱 상세히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제12도는 본 실시예의 냉매 제어장치에 있어서의 운전 마력(압축기의 출력 파워)의 변화와, 압축기의 선택적 구동 동작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13도는 제9도의 공기 조화기의 압축기를 파워 세이브 기구를 내장한 압축기로 한 경우의,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제3실시예의 냉매 회로도.
제14도는 제13도의 공기 조화기의 극수 변환 기구와 파워 세이브 기구를 병용한 경우의 운전 제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조화기 3 : 실내 열교환기
5 : 냉매 제어 장치 6 : 사방 밸브
8 : 어큐뮤레이터 9 : 오일 분리기
11, 12 : 압축기 13 : 파워 세이브 기구
17 : 제어 밸브 18 : 밀폐 용기
21, 22 : 실린더 27 : 중간 격벽판
29, 30 : 피스톤 32 : 코일 스프링
41 : 밸브 47 : 복귀관
49 : 복귀밸브 85 : 감압기
111, 211 : 극수 변환형 압축기 111a, 211a : 극수 변환기
A, A2 : 실내 유니트 B : 실외 유니트
T1, T2 : 검출기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냉동기 등의 냉매 회로에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동 장치, 그 냉동 장치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 및 그 공기 조화기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81, 91), 오일 분리기(82), 사방 밸브(83), 응축기(84), 감압기(85), 리시버 탱크(86), 감압기(92), 증발기(87)를 순차 연결하여 냉매 회로를 구성한 냉동 장치나 공기 조화기가 알려져 있다.
도면 부호 84a는 응축기용 송풍기이다. 이런 종류의 것에서는 공조의 부하가 변동할 때는 그 부하의 변동에 맞추어 압축기의 능력을 가변하게 하고 있다.
이 압축기의 능력을 가변으로 하는 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지는 것은 구동 전력 주파수를 변화시켜서 그 능력을 변동시키는 소위 인버터 압축기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압축기로서 인버터 압축기를 이용한 경우에는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량(냉동 능력)을 극히 미세하고도 광범위하게 제어 하는 연속 운전이 가능하다는 이점은 있으나, 장치가 고가(제조 비용이 상승)인 동시에 인버터 압축기를 이용한 경우에는 인버터의 동작에 수반하여 고주파가 발생하고, 이러한 전력의 고주파수 성분은 부근에 있는 주변 기기(컴퓨터 등)에 노이즈를 부여하거나 콘덴서(전기 부품)를 고장내는 등의 악영향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인버터 압축기 대신에 구동 전력 주파수가 일정한 정격 압축기를 이용하고, 정격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일부를 흡입측 흡입관으로 복귀시키는 냉매 복귀 기구만을 이용하여 정격 압축기로 다단계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문제점은 회피할 수 있으나, 원활한 구동 제어가 불가능해지며, 헌팅(hunting)의 원인이 되거나, 제어 범위도 극히 좁은 범위로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헌팅이 생기면, 실온 변동이 커지며, 쾌적한 공조 상태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그 구성의 간이화, 부품 개수의 삭감 등의 요청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위에 배치된 기기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또 헌팅을 방지할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며,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냉동 장치, 그 냉동 장치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 및 그 공기 조화기의 운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르면,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구비한 냉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그 구동에 사용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한 정격 압축기만을 구비하고, 이 정격 압축기는 압축기의 압축측 실린더와 압축기의 흡입측 실린더를 연결하는 통로를 구성하고 그 정격 압축기의 압축측 실린더 내의 냉매의 일부를 이 압축기의 흡입측 실린더로 복귀시키는 파워 세이브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 그 정격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일부를 그 정격 압축기의 냉매 흡입측 흡입관으로 복귀시키는 냉매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파워 세이브 기구와 상기 냉매 복귀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압축 능력을 가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2태양에 따르면, 상기 제1태양의 냉동 장치가 또 복수개의 압축기를 구비하고,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가 상기 파워 세이브 기구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태양에 따르면, 각각에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복수의 실내 유니트와,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탑재하는 실외 유니트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가, 상기 구성의 냉동 장치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태양에 따르면, 각각에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복수의 실내 유니트와,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탑재한 실외 유니트를 구비하고 냉방 및 난방 운전을 행할 수 있는, 상기 구성의 냉동 장치를 갖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각 실내 유니트에는 냉방·난방 어느 운전시에도 작용하여 각각의 실내 열교환기에 흘러드는 냉매량을 제어하고, 상기 실내 유니트의 공조 부하에 따라서 그 개도를 제어하여 상기 공조 부하에 맞춘 냉방/난방 운전을 행하는 제어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태양에 따르면, 압축기를 구비한 냉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를 극수 변환 기구를 구비한 압축기(극수 변환형 압축기)로 하고, 이 극수 변환형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일부를 그 극수 변환형 압축기의 냉매 흡입측 흡입관으로 복귀시키는 냉매 복귀 기구를 설치하고, 이 냉매 복귀 기구를 상기 극수 변환형 압축기의 극수 변환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압축 응력을 가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태양에 따르면, 압축기를 구비한 냉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를 극수 변환형 압축기로 하고, 이 극수 변환형 압축기는 압축기의 압축측 실린더와 압축기의 흡입측 실린더를 연결하는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압축기의 압축측 실린더 내의 냉매의 일부를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 실린더로 복귀시키는 파워 세이브 기구를 구비하고, 이 파워 세이브 기구와 극수 변환형 압축기의 극수 변환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압축 능력을 가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7태양에 따르면, 압축기를 구비한 냉동 장치에 있어서, 압축기는 극수 변환 기구를 구비한 압축기(극수 변환형 압축기)로 하고, 이 극수 변환형 압축기는 압축기의 압축측 실린더와 압축기의 흡입측 실린더를 연결하는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압축기의 압축측 실린더 내의 냉매의 일부를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 실린더로 복귀시키는 파워 세이브 기구를 구비하고, 또 극수 변환형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일부를 상기 압축기의 냉매 흡입측 흡입관으로 복귀시키는 냉매 복귀 기구를 설치하고, 이 냉매 복귀 기구와 파워 세이브 기구와 극수 변환형 압축기의 극수 변환기구를 제어함으로써 압축 능력을 가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8태양에 따르면, 제5내지 제 7태양의 냉동 장치에 있어서, 냉동장치는 복수의 압축기를 갖고, 이들 복수의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가 상기 파워 세이브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9태양에 따르면,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복수의 실내 유니트와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갖는 실외 유니트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로서, 상기 공기 조화기는 제5내지 제7태양의 어느 냉동 장치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0태양에 따르면, 제9태양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니트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흘러드는 냉매량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 유니트의 공조 부하에 따라서 이 제어 밸브의 개도를 제어하여 상기 공조 부하에 맞춘 냉방/난방 운전을 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1태양에 따르면, 각각에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복수의 실내 유니트와,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탑재하는 실외 유니트로 이루어지는 냉동 장치를 구비하고, 공조 부하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능력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방법으로서, 압축기는 정격 압축기이며, 각 실내 열교환기는 냉매의 유입량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있으며, 공조 부하에 따라서 상기 제어 밸브의 밸브 개도를 제어하여 상기 공조 부하에 맞춘 냉방/난방을 행하고, 또 상기 냉동 장치는 냉매 복귀 기구와 파워 세이브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공조 부하에 대하여 상기 제어 밸브의 밸브 개도를 제어한 때에 이 제어 밸브에 의해 대응할 수 없는 경우에만 상기 냉매 복귀 기구와 상기 파워 세이브 기구의 선택적인 구동 동작에 의해 능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2태양에 따르면,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복수의 실내 유니트와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갖는 실외 유니트로 이루어지는 냉동 장치를 구비하고, 공조 부하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능력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방법으로서, 각 실내 열교환기는 냉매의 유입량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있으며, 공조부하에 따라서 상기 제어 밸브의 밸브 개도를 제어하여 상기 공조 부하에 맞춘 냉방/난방 운전을 행하고, 또 상기 냉동 장치는 냉매 복귀 기구 및/ 또는 파워 세이브 기구와,적어도 하나가 극수 변환 기구를 구비한 극수 변환형 압축기인 압축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 밸브의 제어에 의해 공조 부하의 변동에 대응할 수 없는 때에는 상기 냉매 복귀 기구 및/ 또는 파워 세이브 기구와, 상기 극수 변환형 압축기의 극수 변환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압축 능력을 가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격 압축기만으로 냉동 능력을 가변으로 하지만, 그 경우, 파워 세이브 기구에 의해 압축기의 압축측 실린더 내의 냉매의 일부를 이 압축기의 흡입측 실린더로 복귀시키는 이외에 냉매 복귀 기구에 의해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일부를 압축기의 흡입측 흡입관으로 복귀시켜 행한다.
이와 같이, 파워 세이브 기구와 냉매 복귀 기구의 2개의 기구를 조합하여 냉동 능력을 제어함으로써 정격 압축기만을 이용해도, 극히 미세한 제어가 광범위하게 가능하므로, 헌팅을 방지할 수 있고, 인버터 압축기와 마찬가지로 직선형인 출력 파워 제어가 가능해진다. 게다가, 공급하는 전력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인버터 압축기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주위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냉동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인버터 압축기와 같이 인버터(주파수 변환기)가 필요 없고, 이 냉동 장치 내의 냉매 순환량은 실내 유니트 내의 제어 밸브로 조정되게 하였으므로, 실외 유니트에는 이와 같은 냉매 순환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가 필요 없어진다. 이 때문에, 실외 유니트에는 종래 이용되고 있던 수액기(리시버)나 상술한 제어 밸브가 불필요해 지며, 구성이 간단해지고, 부품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정격 압축기에 파워 세이브 기구를 이용한 구성 대신에 압축기에 극수 변환 기구를 설치한 극수 변환형 압축기를 이용해도 상술한 효과와 동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극수 변환형 압축기의 극수를 변환하는 이외에, 냉매 복귀 기구에 의해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일부를 압축기의 흡입측 흡입관으로 복귀시킴으로써 냉동 능력을 보다 더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냉동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인버터 압축기와 같은 인버터(주파수 변환기)가 필요 없고, 가령 냉동 장치 내의 순환량을 실내 유니트 내의 제어 밸브로 조정하도록 하면, 실외 유니트는 이와 같은 냉매의 순환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가 필요 없어진다.
이 때문에, 실외 유니트에는 종래 이용되고 있던 수액기(리시버)나 상술한 제어 밸브가 불필요해지므로, 구성이 간단해지고,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냉동 장치가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가 파워 세이브 기구를 구비한 정격 압축기로 이루어지는 구성이거나 혹은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가 극수 변환형 압축기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므로, 상술한 효과에다가 각각의 압축기의 조합에 의해 보다 광범위하고 또 극히 미세한 제어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소위 멀티형 공기 조화기가 상술한 냉동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이므로, 실내 유니트에 있어서 극히 미세한 제어가 광범위하게 가능하므로 쾌적한 공조를 얻을 수 있다.
또, 실내 유니트에 공급하는 냉매량을 압축기의 능력이나 실내 유니트 내의 제어 밸브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실외 유니트에 있어서 냉매량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기기가, 예를 들면 리시버 탱크 등이 불필요하며, 구성이 간단하고, 부품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소위 히트 펌프식 멀티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실내 유니트에 공급하는 냉매량을 실내 유니트에 설치된 제어 밸브로 제어하기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필요로 된 리시버 탱크나 실외 열교환기의 개폐 밸브가 없어도 부하에 따른 공조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유니트에 공급하는 냉매량은 압축기의 냉매 제어(극수 변환, 냉매 복귀, 파워 세이브)기구와 실내 유니트 내의 제어 밸브의 개도에 의해 제어하고 있으므로, 부하 변동에 대응하여 압송하는 냉매량이 변화해도 종래 필요했던 리시버 탱크나, 실외 유니트 측의 개폐 밸브가 필요치 않다.
따라서, 구성이 간단해지며, 부품 개수의 삭감도 도모할 수 있다.
또, 파워 세이브 기구(용량 제어) 또는 극수 변환 기구가 작동하기 전에 실내 유니트의 제어 밸브로 실내 열교환기에 흘러드는 냉매량을 조정하기 때문에, 이 냉동 장치는 부하에 맞춘 운전이 가능해지며, 보다 안정된 쾌적한 공조가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2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1은 멀티형의 분리형 공기 조화기이며, 이 공기 조화기(1)는 복수의 실내 유니트(A1, A2)와 실외 유니트(B)와 양 유니트(A1, A2, B)사이를 잇는 유니트간 배관(2)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실내 유니트(A1, A2)에는 냉방 운전시에 증발기로서 작용하고 난방 운전시에 응축기로서 작용하는 실내 열교환기(3)와, 실내 팬(도시 않음)이 내장되어 있다.
각 실내 유니트(A1, A2)에는 실내 열교환기(3)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각각 온도 검출기(T1, T2)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검지 신호를 제어장치 (5a)로 보내고, 각 실내 열교환기(3)에 있어서의 부하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각 실내 유니트(A1, A2)에는 실내 열교환기(3)와, 감압기로서 작용하는 제어 밸브(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밸브(17)는 각 실내 유니트(A1, A2)의 운전 정지 시에 폐쇄하여 냉매의 유입을 정지하는 이외에, 그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여 공조 부하에 따른 냉매 유입량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밸브(17)에 따라서 실내 열교환기(3)로의 냉매 유입량이 제어되므로, 일시적으로는 실외 유니트(B)의 부하 상태에 관계없이, 공조의 부하에 따른 제어가 가능해진다.
실외 유니트(B)에는 압축기(후술한다) 등으로 구성되는 냉매 제어 장치(5)가 설치되고, 이 냉매 제어 장치(5)는 제어 장치(5a)로부터 일점 쇄선으로 도시되는 제어선을 거쳐서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압축기 등의 능력을 제어하고 있다.
실외 유니트(B)에는 또 사방 밸브(6)와, 냉방 운전시에는 응축기로서 작용하고 난방 운전시에는 증발기로서 작용하는 실외 열교환기(7)와, 어큐뮤레이터(8) 및 실외 팬이 내장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 열교환기(3) 및 실외 열교환기(7)에는 직경이 작은 관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통상의 관(구경이 약 9mm)보다도 구경이 작은 약 7mm의 관이 사용되고, 저렴하면서도 용량이 작아진다. 이와 같은 관 직경이 작은 것을 사용함으로써 실내 유니트(A1, A2)측의 냉매 회로의 용량을 적게 할 수 있고, 또 그에 의해 봉입하는 냉매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공기 조화기(1)의 전체적인 냉매 회로에 있어서, 소위 감압기는 실내 유니트(A1, A2)에 설치되는 제어 밸브(17)뿐이며, 종래 기술에서 필요로 했던 감압기(85), 리시버 탱크(86)(제1도 참조)는 배치되지 않는다.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 제어 장치(5)에는 두 개의 압축기(11, 12)가 설치되고, 각각 그 흡입측에는 어큐뮤레이터(8)가 연결되고, 토출측에는 오일 분리기(9)가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쪽 압축기(11)는 4마력이며, 다른 쪽 압축기(12)는 6마력인 압축기를 이용하고 있다. 이들 두 개의 압축기(11, 12)는 구동 전력 주파수가 일정한 소위 정격 압축기이지만, 한 쪽 압축기(마력이 적은 쪽의 압축기)(11)에는 후술하는 파워 세이브 기구(13)가 내장되고, 이 파워 세이브 기구(13)는 압축기(11)의 출력(마력)을 세이브하고,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양을 가변하고 있다. 또, 냉매 제어 장치(5)에는 양쪽 압축기(11, 12)의 토출관으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일부를 압축기(11, 12)의 냉매 흡입측 흡입관(45)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냉매 복귀 기구(15)가 설치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는 파워 세이브 기구(1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 파워 세이브 기구(13)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11)의 밀폐용기(18)내에 회전 압축 요소가 수납되고, 이 회전 압축 요소는 중간 격벽판(27)과, 이 중간 격벽판(27)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압축측 및 흡입측 실린더(21, 22)를 구비하고 있다. 양 실린더(21, 22)의 내측 벽에 설치된 제1구멍(23,24)과, 이 제1구멍(23, 24)에 연통하도록 양 실린더(21, 22)에 설치된 제2구멍(25, 26)과, 이 제2구멍(25, 26)을 연통하는 중간 격벽(27)에 설치된 제3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또, 양 실린더(21, 22)의 제2구멍(25, 26)에는 피스톤(29, 30)이 수납되어 있으며, 양 피스톤(29, 30)에 걸쳐서 코일 스프링(탄성체라면 판 스프링이나 벨로우즈도 좋음)(32)이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21, 22)에 형성된 요부(31)에 의해 양 실린더(21, 22)의 각각의 제2구멍(25, 26)과 연통하는 제4구멍(33, 34)과, 이 제4구멍(33, 34)과 외부 냉매 회로의 저압측 또는 고압측을 절환하는 밸브 등에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통로(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구성의 파워 세이브 기구(13)에 의한 파워 세이브 제어시에는 통로(35), 제4구멍(33, 34), 요부(31)를 거쳐서 제2구멍(25, 26)에 저압측 압력을 배압으로 하여 가함으로써 피스톤(29, 30)을 상사점으로 이동시키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구멍(23, 24)을 개방함으로써 한 쪽의 압축측 실린더(21)내에서 압축 공정 중에 있는 가스를 제1구멍(23), 제2구멍(25), 제3구멍(28), 제2구멍(26), 제1구멍(24)을 거쳐서 흡입 공정에 있는 다른 쪽 실린더(22)내로 흐르도록 구성하고, 이에 의해 일부 출력의 세이브가 가능해진다.
한편, 통상 운전시(비세이브 제어시)에는 제4도와 같이, 통로(35), 제4구멍(33, 34), 요부(31)를 거쳐서 제2구멍(25, 26)에 고압측 압력을 배압으로 하여 가함으로써 피스톤(29, 30)을 하사점으로 이동시키고, 양쪽 제1구멍(23, 24)을 폐쇄함으로써 양 실린더(21, 22) 사이에서의 가스의 이동을 없게 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파워 세이브 기구(13)에 따르면, 약 50%의 출력을 세이브할 수 있고, 4마력의 압축기에 대해 2마력의 출력이 세이브될 수 있는 것이다(즉, 압축기(11)의 출력 파워를 2마력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파워 세이브 기구(13)의 온, 오프는 제어 장치(5a)로부터의 지령 신호를 받아서 밸브(41)(제2도 참조)의 개폐에 의해 행해진다. 즉, 파워 세이브 기구(13)의 온 제어시에는 지령 신호에 의해 밸브(41)가 개방되고, 어큐뮤레이터(8)측으로부터 저압이 배압으로서 통로(35)를 거쳐서 파워 세이브 기구(13)로 가해지고, 압축 공정에 있는 실린더(21)내의 일부의 가스(냉매)가 다른 쪽 실린더(22)로 누설되고, 파워 세이브가 행해진다. 또, 파워 세이브 기구(13)의 오프 제어시에는 지령 신호에 의해 밸브(41)가 닫히고, 압축기(11)의 토출측으로부터 고압이 배압으로서 통로(35)를 거쳐서 파워 세이브 기구(13)로 가해지므로, 압축 공정에 있는 실린더(21)내의 가스(냉매)는 다른 쪽 실린더(22)로 누설되는 일이 없고, 오일 분리기(9)로 토출된다.
또, 냉매 복귀 기구(15)는 양쪽 정격 압축기(11, 12)의 토출관측으로부터 양쪽 압축기(11, 12)의 흡입측 관에 토출 냉매의 일부를 복귀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오일 분리기(9)와 사방 밸브(6) 사이의 토출관(43)과, 어큐뮤레이터(8)와 사방밸브(6) 사이의 흡입관(45)을 연통하는 복귀관(47)을 구비하고, 그 복귀관(47)에 설치된 복귀 밸브(49)를 개폐함으로써 토출 냉매의 일부를 어큐뮤레이터(8)로 복귀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냉매 복귀 기구(15)에서는 압축기(11, 12)의 합계 출력 마력으로부터 1마력의 출력을 세이브(저감)하도록 되어 있다.
복귀 밸브(49)는 제어 장치(5a)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개폐되고, 실내 유니트(A1, A2)에 공급되는 냉매량(압축기의 능력)을 제어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정격 압축기를 이용한 출력 파워 가변 제어)에 대해 제2도의 냉매 회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한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에 있어서, 사방 밸브(6)를 절환하여 냉매의 흐름을 바꾸면,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을 행할 수 있다.
제2도에 있어서, 냉방시의 냉매의 흐름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난방시의 냉매의 흐름은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런데, 운전 중에는 각 실내 유니트의 온도 센서(T1, T2)가 각각 실내 열교환기(3)의 냉매 입구 및 출구 온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5a)에 송신한다. 제어 장치(5a)는 예를 들면 리모콘(52)으로부터의 설정 온도 신호와 온도 센서(T1, T2)의 온도 신호를 기초로 하여 각 실내 열교환기(3)에 요구되는 공조 부하를 연산하고, 연산한 부하에 따라서 각 실내 유니트(A1, A2)의 제어 밸브(17)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냉매 제어 장치(5)로부터의 능력을 제어하여 냉매 제어를 행한다.
다음에, 이 냉매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5a)에서는 우선 스텝 S1 있어서 검지한 부하를 기초로 하여 제어 밸브(17)의 개도를 제어한다. 다음에, 스텝 S2에 있어서 부하가 일정 범위 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바꿔 말하면, 온도(T0)와 설정 온도(리모콘(52)에 의해 이용자가 설정하는 온도)(T3)의 차 |T0-T3|가 소정치 F보다 작은지가 판단된다. |T0-T3|가 소정치 F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텝 S1으로 복귀하고, |T0-T3|가 소정치 F 보다 큰 경우에는 스텝 S3로 진행하고, 냉매 제어 장치(5)에 의한 능력 제어를 행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제어 밸브(170의 밸브 개도의 제어를 행하고, 이 제어밸브(17)의 제어만으로는 공조(냉동) 능력의 제어가 불가능한 경우에, 냉매 제어 장치(5)에 의한 압축기의 능력 제어를 행한다.
제7도를 참조하여, 제어 밸브(17)에 의한 제어의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스텝 S11에서는 우선 실온(T0)과 설정 온도(T3)에 의한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실내 열교환기(3)에 요구되는 초기 부하 |T0-T3|를 검출하여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스텝 S11에서 검출된 초기 부하에 응답하여 제어 밸브(17)의 밸브 개도를 설정하여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열교환기(3)의 입구 및 출구 온도(T1, T2)를 기초로 하여 연산하고, |T1-T2|=△T를 검출하고,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T가 소정치 K와 같은지가 판단되고, 같은 경우에는 스텝 S13으로 복귀하고, 같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5에서는, △T가 소정치 K 보다 큰지 아닌지가 판단되고, 큰 경우에는 스텝 S16으로 진행하고, 제어 밸브(17)를 개방한 후 스텝 S17로 진행하여 냉매 제어장치(5)에 의한 압축기의 능력 제어를 행한다. 이 압축기의 능력 제어를 행한 후에는 스텝 S13으로 복귀한다. 한편, △T가 소정치 K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8로 진행하고, 제어 밸브(17)를 소정량 닫아서 개도가 적어지도록 제어한 후, 스텝 S13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제어 밸브(17)의 밸브 개도의 제어를 행하고, 이 제어 밸브(17)의 제어만으로는 공조(냉동) 능력의 제어가 불가능한 경우에, 냉매 제어 장치(5)에 의해 다음과 같이 압축기의 능력 제어를 행한다.
스텝 S17에서 행하는 압축기의 능력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냉매 제어 장치(5)에서는 상술한 파워 세이브 기구(13)및 냉매 복귀 기구(15)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므로, 출력 파워를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직선적으로 변동시켜서 공조 부하에 대응한 출력을 얻고 있다.
제5도는 본 실시예의 구성을 갖는 냉매 회로로서, 냉매의 압축기의 능력을 1마력마다 변동 제어하는 경우의 파워 세이브 기구(13)및 냉매 복귀 기구(15)의 선택 구동을 도시한 표이다.
즉, 두 대의 정격 압축기(11, 12)의 출력은 4마력과 6마력이므로, 파워 세이브 기구(13)의 밸브(41) 및 복귀 밸브(49)를 오프한 상태(두 개의 밸브를 닫은 상태)에서는 합계 10마력의 토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요구 출력(마력)이 10마력인 경우에는 두 대의 정격 압축기(11, 12)의 각각의 마그네트 스위치만을 온으로 한다.
또, 여기서 정격 압축기(11)의 내부는 제4도의 상태로 되어 있다.
요구 마력이 9마력인 경우에는 두 대의 정격 압축기(11, 12)의 각각의 마그네트 스위치를 온으로 하는 동시에, 복귀 밸브(49)를 개방한다(온).
이 경우에는 복귀관(47)으로부터 1마력 분의 토출량이 어큐뮤레이터(8)로 복귀되고, 압축기(11, 12)의 합계 마력으로부터 1마력을 뺀 9마력이 최종 토출 출력이 된다. 요구 마력이 8마력인 경우에는 두 대의 정격 압축기(11, 12)의 각각의 마그네트 스위치를 온으로 하는 동시에 복귀 밸브(49)는 닫은 채(-), 파워 세이브 기구(13)의 밸브(41)를 개방한다(온).
이 경우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워 세이브 기구(13)의 작용에 의해 한 쪽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되는 출력은 2마력(4마력의 출력이 절반으로 된다)이 되며, 다른 쪽 압축기(12)의 출력은 6마력이므로 합계 8마력이 된다.
요구 마력이 7마력인 경우에는, 두 대의 정격 압축기(11, 12)의 각각의 마그네트 스위치를 온으로 하는 동시에 복귀 밸브(49)를 개방하고(온), 파워 세이브 기구(13)의 밸브(41)를 개방한다(온).
이 경우에는 세이브 기구(13)의 작용에 의해 한 쪽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되는 출력은 2마력(4마력의 출력이 절반으로 된다)이 되며(제3도 참조), 또 복귀관(47)으로부터 1마력 분의 냉매가 복귀되므로 합계 7마력이 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제5도의 표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워 세이브 기구(13)의 밸브(41)와, 복귀 밸브(49)의 개폐(온 또는 -)를 조합함으로써 1내지 10마력까지 1마력씩 미세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텝 S17의 압축기의 능력 제어는 1내지 10마력까지 1마력씩 단계적 제어이다.
이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밸브(17)에 의한 미묘한 출력 파워 제어가 더욱 가해지므로, 제5도의 그래프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인버터 압축기를 사용한 제어와 거의 동등한 매끄러운 대략 직선적인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서, 인버터 압축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정격 압축기만으로 요구되는 매끄러운 가변(대략 직선 변동)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인버터 압축기에 의한 노이즈 등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저렴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① 실내 열교환기의 관 직경은 7mm이며, 실외 열교환기의 관 직경 9mm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② 실내 유니트(A1, A2)에만 냉매의 감압기로서 작용하는 제어 밸브(17)를 배치하게 하여 냉방·난방 어느 운전시에도 유니트 배관 내를 흐르는 냉매가 액상으로 되게 하고 있다. ③ 이들 두 개의 구성에 의해 냉매 회로 내에 봉입되는 냉매량을 최소한으로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리시버 탱크나 개폐 밸브(92)(제13도 참조)가 불필요해지며,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술한 냉매 제어 장치(5)에서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가 하나뿐인 압축기로 파워 세이브 기구(13)만을 갖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의 출력 제어는 예를 들면 2마력마다 제어된다.
또, 실내 유니트 A는 복수개 구비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기에 한하지 않고, 실내 유니트 A는 하나라도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도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두 개의 압축기 중 한 쪽의 압축기(111)가 정격 압축기가 아니고, 극수 변환형 압축기인 점이다. 이 극수 변환형 압축기(111)는 압축기 모터의 극수를 변환하기 위한 극수 변환기(111a)로부터의 지령으로 압축기 모터의 극수를 2극으로부터 4극으로 절환하면 압축기의 회전수가 반감하고, 그 반대로 4극으로부터 2극으로 절환하면 압축기의 회전수가 배증된다.
즉, 전술한 실시예가 파워 세이브 기구를 이용하여 압축기의 출력을 저감(반감)하고 있었는데 반해, 본 실시예는 극수 변환 기구를 이용하여 압축기의 출력을 저감(반감)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공조 부하에 따라서, 우선 제어 밸브(17)의 개도가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공조 부하가 증대하면 실내 유니트(A1, A2)의 각각의 제어 밸브(17)의 개도가 개방되고, 그 반대로 공조 부하가 감소되면 각각의 제어 밸브(17)의 개도가 닫힌다. 그리고, 제어 밸브(17)의 개도를 제어하는 것만으로는 공조 부하의 증감에 대처할 수 없어지면 제10도의 스텝 S103, 및 제11도의 스텝 S1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극수 변환기(111a)로 부터의 지령으로, 압축기 모터의 극수를 절환하여 압축기(111)의 토출량을 증감하거나, 혹은 제9도를 참조하여 복귀 밸브(49)를 개방함으로써, 복귀관(47)으로부터 토출량의 일부를 어큐뮤레이터(8)로 복귀시킨다.
이 동안의 제어는 제어 장치(5a)가 맡는다.
이에 따르면, 제5도에 상당하는 제12도를 참조하여 1 내지 10마력까지 1마력씩의 단계 제어를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제어 밸브(17)에 의한 제어가 가해지므로, 제10도의 그래프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인버터 압축기를 사용한 제어와 거의 동등한 매끄러운 대략 직선 제어가 가능해진다.
제13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3도를 참조하여, 두 개의 압축기 중 한 쪽 압축기(211)는 제2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50% 파워 세이브 기구(13)를 내장하는 압축기이며, 또 이 압축기(211)에는 극수 변환기(211a)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압축기(211)는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 파워(2극 운전시)를 4마력이라 하면 그 50% 파워 세이브 운전시에는 2마력이 되며, 4극 운전시에는 풀 파워로 2마력이 되고, 그 50% 파워 세이브 운전시에는 1마력이 된다.
게다가, 이들 각각의 운전시에 있어서 복귀 밸브(49)를 개방으로 함으로써 상기 마력보다 1마력 작은 능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들 제어와 한 쪽 정격 압축기(12)의 조합에 의해 압축기에 의해 1마력 눈금의 능력 설정이 가능해진다.
이 능력 설정과 제어밸브(17)의 개도를 제어함으로써, 인버터 압축기를 사용한 경우의 제어와 거의 동등한 매끄러운 대략 직선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어의 초기에는 반드시 제어 밸브(17)의 밸브 개도의 제어가 행해짐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격 압축기를 갖는 냉매 제어 장치가 파워 세이브 기구와 냉매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파워 세이브 기구와 냉매 복귀 기구의 2개의 기구를 조합하여 냉매의 토출량을 제어함으로써 정격 압축기만을 이용해도 극히 세밀한 제어가 광범위하게 가능하므로 헌팅을 방지할 수 있고, 인버터 압축기와 마찬가지 제어가 가능해지며, 공급하는 전력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인버터 압축기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주위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또, 냉매 회로가 이와 같은 냉매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공급하는 냉매량을 냉매 제어 장치만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냉매량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기기가 불필요해지며, 구성이 간단해지고,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정격 압축기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정격 압축기가 파워 세이브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이므로, 상술한 발명에다가, 각각의 압축기의 조합에 의해 보다 광범위하고도 극히 미세한 제어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소위 멀티형 공기 조화가 상술한 냉동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이므로, 실내 유니트에 있어서 극히 미세한 제어가 광범위하게 가능하여 쾌적한 공조를 얻을 수 있다. 또, 유니트에 공급되는 냉매량을 압축기의 능력이나 실내 유니트 내의 제어 밸브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실외 유니트에 있어서 냉매량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기기, 예를 들면 리시버 탱크 등이 불필요해지며, 구성이 간단해지고, 부품 개수의 삭감도 도모할 수 있다.
또, 소위 히트 펌프식 멀티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실내 유니트에 공급되는 냉매량을 실내 유니트에 설치된 제어 밸브로 제어하기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필요했던 리시버 탱크나 실외 열교환기의 개폐 밸브가 없어도 부하에 따른 공조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고, 부품 개수의 삭감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유니트에 공급하는 냉매량은 압축기의 냉매 제어(냉매 복귀 파워 세이브)기구와 실내 유니트 내의 제어 밸브의 개도에 의해 제어하고 있으므로, 부하 변동에 대응하여 압송하는 냉매량이 변화해도 종래 필요했던 리시버 탱크나 실외 유니트 측의 개폐 밸브가 필요 없다.
따라서, 구성이 간단해지며, 부품 개수의 삭감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파워 세이브 기구 대신에 극수 변환형 압축기를 이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극수를 변화시키는 외에 냉매 복귀 기구에 의해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일부를 압축기의 흡입측 흡입관으로 복귀시킴으로써 냉동 능력을 가변으로 할 수 있다.
이 냉동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인버터 압축기와 같은 인버터(주파수 변환기)가 필요 없고, 가령 냉동 장치 내의 순환량을 실내 유니트 내의 제어 밸브로 조정하게 되면 실외 유니트에는 이와 같은 냉매의 순환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가 필요 없어진다. 이 때문에, 실외 유니트에는 종래 이용되고 있던 수액기(리시버)나 상술한 제어 밸브가 불필요해지므로, 구성이 간단해지고,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0)

  1.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구비한 냉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그 구동에 사용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한 정격 압축기이고, 상기 정격 압축기는 압축기의 압축측 실린더와 압축기의 흡입측 실린더를 연결하는 통로를 구성하고 그 정격 압축기의 압축측 실린더 내의 냉매의 일부를 이 압축기의 흡입측 실린더로 복귀시키는 파워 세이브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 상기 정격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일부를 그 정격 압축기의 냉매 흡입측 흡입관으로 복귀시키는 냉매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파워 세이브 기구와 상기 냉매 복귀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압축 능력을 가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 장치가 또 복수개의 압축기를 구비하고,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가 상기 파워 세이브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3. 각각에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복수의 실내 유니트와,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탑재하는 실외 유니트를 구비하고, 냉방 및 난방 운전을 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그 구동에 사용되는 전력의 주파수가 일정한 정격 압축기이고, 상기 정격 압축기는 압축기의 압축측 실린더와 압축기의 흡입측 실린더를 연결하는 통로를 구성하고 그 정격 압축기의 압축측 실린더 내의 냉매의 일부를 이 압축기의 흡입측 실린더로 복귀시키는 파워 세이브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 상기 정격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일부를 그 정격 압축기의 냉매 흡입측 흡입관으로 복귀시키는 냉매 복귀 기구도 구비하고, 상기 파워 세이브 기구와 상기 냉매 복귀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압축 능력을 가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각 실내 유니트에는 냉방·난방 어느 운전시에도 작용하여 각각의 실내 열교환기에 흘러드는 냉매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공기 조화기의 출력 파워를 제어하는 제어 밸브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압축기를 구비한 냉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를 극수 변환 기구를 구비한 극수 변환형 압축기로 하고, 또 상기 냉동 장치는, 압축기의 압축측 실린더와 압축기의 흡입측 실린더를 연결하는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압축기의 압축측 실린더 내의 냉매의 일부를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 실린더로 복귀시키는 파워 세이브 기구, 및 상기 극수 변환형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일부를 상기 극수 변환형 압축기의 냉매 흡입측 흡입관으로 복귀시키는 냉매 복귀 기구의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냉매 복귀 기구 및 /또는 파워 세이브 기구 및 상기 극수 변환형 압축기의 극수 변환 기구를 제어함으로서 압축능력을 가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 장치는 복수의 압축기를 갖고, 이들 복수의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가 상기 파워 세이브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7.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복수의 실내 유니트와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갖는 실외 유니트를 구비하고, 냉방 및 난방 운전을 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그 구동에 사용되는 극수 변환 기구를 구비한 압축기이고, 상기 압축기는 압축기의 압축측 실린더와 압축기의 흡입측 실린더를 연결하는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압축기의 압축측 실린더 내의 냉매의 일부를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 실린더로 복귀시키는 파워 세이브 기구 및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일부를 상기 압축기의 냉매 흡입측 흡입관으로 복귀시키는 냉매 복귀 기구의 적어도 하나를 또 구비하고, 상기 파워 세이브 기구 및/또는 상기 냉매 복귀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냉동 장치의 압축 능력을 가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롤하는 공기 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니트에는 냉방·난방 어느 운전시에도 작용하여 각각의 실내 열교환기로 흘러드는 냉매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공기 조화기의 출력파워를 제어하는 제어 밸브를 또 구비하고, 상기 실내 유니트의 공조 부하에 따라서 이 제어 밸브의 개도를 제어하여 상기 공조 부하에 맞춘 냉방/난방 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9. 각각에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복수의 실내 유니트와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탑재하는 실외 유니트로 이루어지는 냉동 장치를 구비하고, 공조 부하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능력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정격 압축기이며, 각 실내 열교환기는 냉매의 유입량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냉동 장치는 냉매 복귀 기구와 상기 정격 압축기의 내부에 파워 세이브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공조 부하에 따라서 상기 제어 밸브의 밸브 개도를 제어하고 이 제어 밸브에 의해 대응할 수 없는 경우에만 상기 냉매 복귀 기구와 상기 파워 세이브 기구로 능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방법.
  10.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복수의 실내 유니트와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갖는 실외 유니트로 이루어지는 냉동 장치를 구비하고, 공조 부하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능력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극수 변환 기구를 구비한 극수 변환 압축기이고, 각 실내 열교환기는 냉매의 유입량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있으며, 공조 부하에 따라서 상기 제어 밸브의 밸브 개도를 제어하여 상기 공조 부하에 맞춘 냉방/난방 운전을 행하고, 또 상기 냉동 장치는 압축기의 압축측 실린더와 압축기의 흡입측 실린더를 연결하는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압축기의 압축측 실린더 내의 냉매의 일부를 이 압축기의 흡입측 실린더로 복귀시키는 파워 세이브 기구 및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일부를 상기 압축기의 냉매 흡입측 흡입관으로 복귀시키는 냉매 복귀 기구의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이 제어 밸브의 제어에 의해 공조 부하의 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때에는 상기 냉매 복귀 기구와 상기 파워 세이브 기구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극수 변환형 압축기의 극수 변환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출력 파워를 가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방법.
KR1019960004038A 1995-03-09 1996-02-21 냉동장치, 그 냉동 장치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 및 그 공기 조화기의 운전 방법 KR0183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78324 1995-03-09
JP07832495A JP3338229B2 (ja) 1995-03-09 1995-03-09 空気調和機の運転方法
JP95-157016 1995-05-31
JP7157016A JPH08327125A (ja) 1995-05-31 1995-05-31 冷凍装置及びその冷凍装置を用いた空気調和機並びにその空気調和機の運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932A KR960034932A (ko) 1996-10-24
KR0183481B1 true KR0183481B1 (ko) 1999-05-01

Family

ID=2641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4038A KR0183481B1 (ko) 1995-03-09 1996-02-21 냉동장치, 그 냉동 장치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 및 그 공기 조화기의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768903A (ko)
EP (1) EP0731325B1 (ko)
KR (1) KR0183481B1 (ko)
CN (1) CN1144000C (ko)
AU (1) AU706151B2 (ko)
DE (1) DE69634743T2 (ko)
ES (1) ES2242962T3 (ko)
PT (1) PT731325E (ko)
SG (1) SG59967A1 (ko)
TW (1) TW2993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2733A (en) * 1996-02-23 1998-11-10 Sanyo Electric Co., Ltd Power controllable type air conditioner
US6085533A (en) * 1999-03-15 2000-07-11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orque control to regulate power requirement at start up
JP3798374B2 (ja) 2000-06-07 2006-07-19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空気調和機の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6282910B1 (en) * 2000-06-21 2001-09-04 American Standard International Inc. Indoor blower variable speed drive for reduced airflow
US6553778B2 (en) * 2001-01-16 2003-04-29 Emerson Electric Co. Multi-stage refrigeration system
US6735964B2 (en) * 2002-06-05 2004-05-18 Carrier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refrigerant charge management
JP4300804B2 (ja) * 2002-06-11 2009-07-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構の均油回路、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冷凍装置
JP3940840B2 (ja) * 2002-11-22 2007-07-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20040050477A (ko) * 2002-12-10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KR100649600B1 (ko) * 2004-05-28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멀티 압축기 제어 방법
JP2006023009A (ja) * 2004-07-08 2006-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100761285B1 (ko) * 2004-12-10 2007-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1504222B (zh) * 2009-02-19 2011-07-27 艾默生网络能源有限公司 一种空调
KR101362596B1 (ko) * 2009-05-29 2014-02-12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난방 전용 공기 조화 장치
US10544957B2 (en) * 2015-06-08 2020-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856449B2 (en) * 2016-12-02 2020-12-01 Dell Products L.P. Dynamic cooling system
CN106949581B (zh) * 2017-02-28 2022-06-10 深圳市艾特网能技术有限公司 变频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026712B (zh) * 2018-06-27 2020-03-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缩机的变容控制方法、装置及智能家电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5741A (en) * 1937-07-28 1939-07-11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Compressor unloader
US2245053A (en) * 1938-09-03 1941-06-10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Refrigerating apparatus
US2319130A (en) * 1941-03-05 1943-05-11 B F Sturtevant Co Refrigeration control for air conditioned passenger vehicles
US2401827A (en) * 1943-09-06 1946-06-11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2555005A (en) * 1948-01-31 1951-05-29 Gen Electric Reciprocating compressor with unloading and capacity modulating control
US2774219A (en) * 1954-10-27 1956-12-18 Gen Motors Corp Automobile refrigerating apparatus
US2961148A (en) * 1956-02-28 1960-11-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mpressor cylinder unloaders
JPS6460795A (en) * 1987-08-31 1989-03-07 Toshiba Corp Rotary compressor
JP2557903B2 (ja) * 1987-09-10 1996-11-27 株式会社東芝 空気調和機
JPH02125990A (ja) * 1988-11-04 1990-05-14 Kobe Steel Ltd スライド弁付きスクリュ圧縮機の容量制御方法
JP2810422B2 (ja) * 1989-07-05 1998-10-15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凍装置
US5577390A (en) * 1994-11-14 1996-11-26 Carrier Corporation Compressor for single or multi-stage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31325B1 (en) 2005-05-18
AU4797196A (en) 1996-09-19
DE69634743T2 (de) 2006-05-11
EP0731325A2 (en) 1996-09-11
TW299393B (ko) 1997-03-01
SG59967A1 (en) 1999-02-22
PT731325E (pt) 2005-08-31
ES2242962T3 (es) 2005-11-16
EP0731325A3 (en) 2002-01-02
KR960034932A (ko) 1996-10-24
US5768903A (en) 1998-06-23
CN1139195A (zh) 1997-01-01
DE69634743D1 (de) 2005-06-23
AU706151B2 (en) 1999-06-10
CN1144000C (zh)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3481B1 (ko) 냉동장치, 그 냉동 장치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 및 그 공기 조화기의 운전 방법
KR930012234B1 (ko) 용량제어 공기조화기
KR100511698B1 (ko) 스크롤 압축기 및 공기 조화기
US5050233A (en) Rotary compressor
KR100484800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동작방법
KR20020075393A (ko) 공기 조화 장치
JPS61134545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H04295566A (ja) エンジン駆動式空気調和機
JPH0861790A (ja) 空気調和機
KR100556771B1 (ko) 다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조시스템의 실온제어방법
US20050086954A1 (en) Air conditioner having multiple outdoor uni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02191882A (ja) 圧縮機の容量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042585A (ja) 空気調和機
KR100690892B1 (ko) 용량 가변 압축기 및 그 운전방법
JP3338229B2 (ja) 空気調和機の運転方法
JPH01302072A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JPH11211251A (ja) 超臨界蒸気圧縮サイクルの運転方法および運転装置、ならびに空調制御方法および空調制御装置
JPH08327125A (ja) 冷凍装置及びその冷凍装置を用いた空気調和機並びにその空気調和機の運転方法
JPS63172863A (ja) 冷凍装置の圧縮機容量制御装置
KR100364530B1 (ko) 냉장고
JPH0526532A (ja) 空気調和機
JPH04359759A (ja) スクリュー圧縮機の容量制御方法及び装置
JP2614253B2 (ja) 空気調和機
JP3134459B2 (ja) 空気調和機
KR100471439B1 (ko) 공기 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