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384B1 - 빵 반죽 등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빵 반죽 등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384B1
KR0183384B1 KR1019960015742A KR19960015742A KR0183384B1 KR 0183384 B1 KR0183384 B1 KR 0183384B1 KR 1019960015742 A KR1019960015742 A KR 1019960015742A KR 19960015742 A KR19960015742 A KR 19960015742A KR 0183384 B1 KR0183384 B1 KR 0183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d dough
delivery device
roller
planetar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5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402A (ko
Inventor
토라히코 하야시
Original Assignee
토라히코 하야시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317211A external-priority patent/JP2917002B2/ja
Application filed by 토라히코 하야시,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라히코 하야시
Publication of KR970025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21C3/025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with one or more rollers moving perpendicularly to its rotation axis, e.g. reciprocally
    • A21C3/027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with one or more rollers moving perpendicularly to its rotation axis, e.g. reciprocally with multiple rollers moving in a closed loop, e.g. in an orbital path; Planetary roller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빵 반죽 신장방법에 있어, 반대편 롤러에 의한 전단응력이 상기 빵 반죽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빵 반죽내의 글루틴 구조(gluten structure)를 파괴시키기 때문에, 상기 빵 반죽은 탄력을 잃고, 거품 비슷한 발효가스를 포함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빵 반죽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종래 방법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빵 반죽 신장 장치는 원형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다수개의 유성롤러와, 공간 내에서 빵 반죽이 신장되도록 하기 위해 컨베이어 부품으로부터 상기 공간을 이루며 분리된 회전 부품의 아래에 위치하는 전달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유성롤러 각각은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며, 상기 전달장치는 상기 유성롤러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간은 상기 전달장치의 입구로부터 출구에 이르기까지 점차적으로 그 크기가 감소한다.

Description

빵 반죽 등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tretching bread dough and the like)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기능을 도시한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기능을 도시한 다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빵 반죽 2 : 공급 컨베이어
3 : 전달장치 4 : 배출 컨베이어
5, 5', 17, 17' : 유성롤러 6 : 샤프트
7 : 휠 8 : 구동 샤프트
9 : 기어
10, 51, 52, 53, 54, 55, 57, 58 : 모터
11 : 구동 플레이트 12, 13 : 프레임
14 : 로터리 15 : 메인 샤프트
16 : 모터 풀리 18 : 핸들
31, 32, 33, 34, 35 : 롤러 56 : 조정장치
[기술분야]
본 발명은 빵 반죽과 같은 고도의 탄력을 가진 물질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단순한 진동전달효과를 응용함으로써, 빵반죽을 얇은 시트 모양으로 만들기 위해, 컨베이어로서 빵 반죽 등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연속적으로 신장시킴으로써 고품질의 빵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종래의 경우에는 재래식 반죽 재료에 압박을 가함으로써만 탄성반죽 재료의 몰딩이 가능하며, 이 단계가 상기 반죽 재료를 생산하는 요점이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손실된 탄력이 자체내에서 회복될 수 없다. 따라서 중요한 조건으로 탄력이 요구되는 음식, 특히 빵을 만드는데는 숙련된 수작업이 항상 필요하게 된다.
기계에 의해 빵이 자동생산 되는 경우, 빵이 만들어지는 동안 반죽 재료의 탄력이 항상 감손된다. 더욱이, 반죽 재료의 탄력이 조금이라도 감손된다면,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서 만들어진 빵과 똑같은 맛을 갖는 빵을 만든다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 반죽 재료가 기계에 의해 몰드 되는 동안 감소된 탄력을 회복시키기 위해, 화학적 첨가제로서 브롬화 칼륨 또는 그 비슷한 화학약품을 반죽 재료에 혼합시킴으로써, 그리고 일정시간 동안 상기 몰드된 반죽재료를 정적인 조건하에 둠으로써, 얇은 막 형성기능(membrane-forming function)의 탄력이 회복된다.
반죽의 고유 탄력을 마멸시키고, 비틀어 압박을 가하는 스크류 전달장치 등의 메카니즘을 사용함으로써 빵 반죽이 신장되고, 또 몰드된다. 상기 스크류 전달장치 등의 메카니즘은 상기 반죽재료의 글루틴 겔 구조(gluten's gel structure)를 파괴하여 탄력을 감손시키는 기능을 하며, 화학적 첨가제를 첨가시킴으로써 이때 감손된 탄력이 회복된다. 그러나, 제빵기로 만든 빵과 수작업으로 만든 빵을 비교해 보면, 제빵기로 만든 빵은 맛이 떨어지고, 또한, 화학적 첨가제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부자연스런 접근 방식을 초래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빵을 생산할 때 사용되는 화학적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 기계로 빵 반죽을 만드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명명된 선회하는 신장장치(orbitary stretching apparatus) 및 원형 궤도회전을 응용하는 신장장치(a stretching apparatus using a circular orbit revolution)가 일본 특허 공보 63-54333 번 및 일본 실용 초기 공고 47-13493 번에 공개되었다. 그러나, 이들 장치는 높은 탄력을 가지고 얇게 신장시키는 충분한 능력을 갖지 못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해결되어야 할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
탄성의 감손에 기인되며, 빵의 내부에서 글루틴의 네트웍 구조(gluten's network structure)를 파괴하는 발효가스를 제거함으로써, 빵의 품질을 개량시켜야 한다. 이에 따르는 문제점은 관습적으로 만들어지는 바와 같이, 얇은 시트 모양의 빵 반죽을 얻기 위해, 상기 빵 반죽을 신장시키는 작업에 사용되는 반대편의 롤러(roller)에 의해 가해지는 전단 응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진다는 점이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없애려면, 브롬화 칼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산성의 첨가제를 반죽 재료에 첨가시켜 글루틴 구조를 강화시켜야 한다. 이런 경우 반죽 재료는 별개의 조각들로 잘라내는 단계에 의해 여러 조각들로 몰드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반죽 재료에 화학적 첨가물을 첨가할 필요가 없고, 또한 상기 반죽 재료를 일정 기간동안 정적인 상태로 두어야 한다는 조건을 요구하지 않는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탄력이 깨어지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 및 장치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반죽 재료를 늘려 신장시키는 수단이 제공되며, 이러한 수단이 탄력을 만드는 요점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원형 궤도를 따라 자유롭게 회전하는 롤러에 의해 강력한 주기적 진동이 반죽 재료에 가해진다. 상기와 같은 진동에 의해 반죽내에서는 소위 틱소트로피 효과(thixotropy effect)라고 하는 일시적 유동 현상이 나타난다. 이 현상이 나타나는 짧은 시간 동안, 소위 인장응력이 반죽에 가해지지 않음으로써, 상기 반죽의 겔 구조(gel structure)를 파괴하지 않고, 빵 반죽이 신장되어 얇은 시트 모양의 빵 재료가 만들어진다. 이런 방식으로 해서 얻어진 빵 재료는 어떠한 요구된 형태의 바(bar) 모양으로 감겨진다. 이렇게 감겨진 반죽 재료는 몰드된 반죽의 작은 절단길이로 만들기 위해 원하는 길이에서 절단된다. 빵 반죽의 커다란 덩어리로부터 빵의 작은 조각이 직접 몰드되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화학적 첨가제를 사용함이 없이, 수작업에 의해 만들어진 것과 동등하고 다양한 형태의 빵을 제공해 준다.
틱소트로피 효과(thixotropy effect)에 의해 얻어진 빵 반죽은 유동성이 회복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해 만들어지며, 얇게 신장된 빵 반죽은 정적인 조건하에서 단지 몇분 만에 원래의 탄력으로 회복된다. 따라서 이 방법은 빵 반죽의 탄력을 제거시킴으로써 상기 반죽을 몰드하기 위한, 강제적 절단 작업이 수행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다른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응용되는 틱소트로피 효과(thixotropy effect)에 의해, 빵 반죽내의 글루틴구조(gluten structure)는 전혀 손상을 입지 않는다. 본 발명은 빵 반죽을 얇게 신장시키는 간단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해 준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하는 부품이 구비 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품에는 그 주위를 유성(planetary)처럼 자유롭게 회전하는 유성롤러(planetary roller)가 구비되어 있다. 빵 반죽 전달장치에는 상기 유성롤러에 의해 그 외형이 결정되는 아치형의 둘레에 다수개의 롤러가 구비되며, 빵 반죽은 상기 전달장치로 공급된다. 상기 유성롤러의 아래에는 컨베이어 롤러(conveyer's roller)가 위치해 있다. 상기 유성롤러와 컨베이어 롤러 사이의 공간은 빵 반죽 흐름의 하류부 방향으로 그 크기가 줄어들도록 장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 롤러는 하류부의 롤러가 상류부의 롤러보다 더 빠르게 회전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달장치에 의해 전달되는 빵 반죽은 회전하는 부품의 작용에 의해 윗방향으로부터 반복적으로 압축되고, 또한 진동된다. 이러한 작용은 빵 반죽의 유동성을 일시적으로 향상시키고, 상기 빵 반죽 내부에 틱소트로피 효과(thixotropy effect)가 나타나도록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은 빵 반죽 재료에 굉장한 신장효과를 제공해준다. 이러한 사실은 전달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롤러의 회전속도가 각각의 롤러 마다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효과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빵 반죽을 신장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의 방법은 회전 부품의 원형 주위 둘레에 장착되어 있으며,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다수개의 유성롤러가 구비된 상기 회전 부품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회전 부품의 궤도로부터 아랫쪽에 공간을 이루며 분리되어 위치된 전달장치로 빵 반죽을 공급해 주는 단계와, 전달장치의 입구로부터 출구에까지 점차 빠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롤러가 구비된 전달장치의 상부에서 움직이는 빵 반죽을 상기 전달장치로부터 회전 부품에 의해 일시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압축시키는 단계와, 진동의 결과로서 얻어지는 틱소트로피 효과(thixotropy effect)에 의하여 나타나는 빵 반죽내의 일시적인 유동 효과를 얻기 위해 상기 빵 반죽을 연속적으로 진동시키는 단계와, 회전 부품과 전달장치 사이의 공간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달장치에 구비된 롤러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달장치에 공급된 빵 반죽을 얇게 신장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원형 궤도를 따라서 회전하는 다수개의 유성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 부품과, 상기 회전 부품으로부터 아랫쪽에 빵 반죽이 신장이 될 수 있도록 공간을 이루며 분리되어 위치되고 있는 전달장치로 구성되는 빵 반죽을 신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품에 구비된 각각의 유성롤러는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샤프트에 장착되고, 전달장치와, 상기 전달장치의 윗쪽에 위치해 있는 유성롤러 사이에 곡선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은 빵 반죽의 입구로부터 출구에 이르기까지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공간은 전달장치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롤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전달장치의 롤러 위에 위치되어 있는 유성롤러의 원형 회전 궤도는 빵반죽의 출구쪽을 향해 점차적으로 좁아지고, 그리고 속도 조정장치는 상기 출구쪽을 향하여 전달장치의 롤러의 회전속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빵 반죽에 대한 신장효과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기능을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빵 반죽 신장장치는 동일원의 원형 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다수개의 유성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 부품과, 상기 회전 부품 아래에서 빵 반죽이 신장될 수 있도록 공간을 이루며 분리된 전달장치로 구성되는 빵 반죽 신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성롤러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샤프트에 장착되고, 상기 전달장치는 상기 유성롤러와 정 반대의 관계에 있는 다수개의 롤러를 구비하며, 빵 반죽의 입구로부터 출구에 이르기까지 공간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켜 나가도록 기능을 하며, 상기 유성롤러를 강력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플레이트는 전달장치의 입구에 인접한 곳에서 유성롤러의 원궤도를 따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빵 반죽 신장장치는 동일원의 원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다수개의 유성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 부품과, 상기 회전 부품 아래에서 빵 반죽이 신장될 수 있도록 공간을 이루며 분리된 전달장치와, 상기 전달장치의 출구에 위치된 배출 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 부품의 유성롤러 각각은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샤프트에 장착되고, 전달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개의 롤러는 상기 전달장치의 입구로부터 출구에 이르기까지 점차적으로 그 공간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전달장치에 구비된 롤러는 상기 입구로부터 출구에 이르기까지 그 회전 속도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전달장치의 출구에 위치된 롤러는 그 회전 속도가 상기 배출 장치의 배출 속도보다 더 빠르게 되도록 제작된다.
회전 부품의 유성롤러가 회전함으로써, 빵 반죽이 전달장치를 통과하게 될 때, 상기 회전 부품과 전달장치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반죽은 유성롤러와 전달장치의 롤러위치의 적어도 2곳에서 연속적으로 신장되기 때문에 신장의 효과는 더욱 높아진다. 더욱이 전달장치의 출구에 위치된 롤러의 속도는 배출 컨베이어의 속도보다 더 빠르게 되도록 제작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빵 반죽(1)을 전달하기 위한 공급 컨베이어(2)와, 상기 공급 컨베이어(2) 흐름의 하류에 위치된 전달장치(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달장치(3)는 다수개의 롤러(31 내지 35)로 구성되어 있다. 배출 컨베이어(4)는 상기 전달장치(3)의 인접한 곳에, 그리고 상기 전달장치(3)의 하류에 위치된다.
상기 전달장치(3)는 다수개의 유성롤러(5,5')에 위치되어, 상기 유성롤러(5,5')가 원형 경로를 따라 궤도운동을 할 수 있도록 기능을 한다.
상기 유성롤러(5,5')는 휠(7)에 고정되어 있는 샤프트(6)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6)는 상기 전달장치(3)와 반대쪽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성롤러(5,5')는 상기 전달장치(3)와 평행하도록 운동한다.
상기 휠(7)은 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 샤프트(8)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휠(7)은 상기 구동 샤프트(8)에 장착된 기어(9)를 거쳐, 모터(10)에 의해 회전된다.
구동 플레이트(11)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2)와 그 흐름의 하류 끝단에 위치되어, 상기 유성롤러(5,5')의 외부 둘레가 상기 구동 플레이트(11)와 접촉한다. 상기와 같은 접촉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유성롤러(5,5')에 초기 회전을 분배하도록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회전된 유성롤러(5,5')는 빵 반죽(1)의 위에서 움직이며, 상기 빵 반죽(1)을 얇게 신장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달장치(3)에 구비된 롤러(31 내지 35)는 상기 유성롤러(5,5') 가까이에 투시선으로 도시된 원(a)과 컨베이어 롤러(31 내지 35) 사이의 거리 C가 상류의 롤러(31)로부터 하류의 롤러(35)의 방향으로 점차 감소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롤러(31 내지 35)는 구동 샤프트를 중심으로 모터(51 내지 55)에 의하여 하류쪽 방향으로 회전된다.
각각 모터(51 내지 55)의 회전 속도는 일종의 변환기인 조정장치(56)에 의해 개별적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31 내지 35)는 틱소트로피 효과(thixotropy effect)를 베이스로 하여, 출구쪽으로(즉, 반죽이 신장되는 방향으로) 그 속도가 증가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31 내지 35)는 전달 방향쪽으로 그 회전속도가 빠르게 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롤러(31 내지 35)의 회전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공간 C의 크기가 역비례로 감소되도록 만들 수 있다.
화살표 f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위 압축률이라 규정되는 공간 C의 감소 크기는 핸들(18)을 회전시킴으로써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공급 컨베이어(2)의 회전 속도는 상기 롤러(31)의 회전 속도와 같은 속도, 혹은 더 느린 속도로 조정되어야 하며, 상기 배출 컨베이어(4)의 회전속도는 상기 롤러(35)의 회전속도와 같은 속도, 혹은 더 빠른 속도로 조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인접해 있는 유성롤러(5,5')들 사이의 공간이 전달장치(3)의 롤러(31 내지 35)들 사이 공간의 2배가 되도록 조정하면, 상기 유성롤러(5,5')들은 상기 전달장치(3)의 롤러(31 내지 35)들에 관해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유성롤러(5,5')와 상기 전달장치(3)의 롤러(31 내지 35)가 거의 동시에 마주치도록 되어, 이것으로써 산출라인(generating line)이 생성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유성롤러(5,5')를 캔틸레버(cantilever) 방식으로 지지하는 제2도의 구조와는 달리,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성롤러(7,17')의 양 끝단에서 지지하는 방식을 응용한다.
로터리 휠(14)은 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로터리 휠(14)의 메인 샤프트(15)에는 모터 풀리(16)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모터 풀리(16)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유성롤러(7,17)도 회전한다.
나머지 설명이 안된 제2실시예의 구조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언급을 피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기능 및 효과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상류부 공급 컨베이어(2)에 의해 전달된 빵 반죽(1)은 전달장치(3)에 공급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유성롤러(5,5')와 상기 전달장치(3)의 롤러(31 내지 35) 그룹 사이로 물려 들어간다. 상기 빵 반죽(1)은 상기 전달장치(3)의 롤러(31 내지 51)에 의해점차 신장되고, 또한 상기 롤러(31 내지 51)의 회전 속도는 점차 빨라져 상기 빵 반죽(1)을 방출 컨베이어(4)에 의해 방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신장 효과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자유롭게 회전하는 유성롤러(5,5')가 전달장치(3)의 롤러(31 내지 35)를 통과할 때, 압축과 이완작용의 반복된 진동이 빵 반죽(1)에 분배되어 틱소트로피 효과(thixotropy effect)가 나타난다. 따라서, 보통의 경우 탄력 때문에 낮은 유동성을 갖는 빵 반죽(1)의 유동성이 일시적으로 높아진다.
따라서, 높은 유동성을 갖도록 만들어진 상기 빵 반죽(1)은 전달장치(3)의 롤러(31 내지 35)의 속도차이에 의해 쉽게 신장되어 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험적 결과에 의하면, 유성롤러(5,5')의 속도를 분당 30m와 70m로 지정함으로써, 상기 유성롤러(5,5')와 전달장치(3)의 롤러(31 내지 35)에 의해 빵 반죽(1)에 가해지는 비팅작용(beating action)을 분당 1,000번으로 조정하면, 상기 빵 반죽(1)은 틱소트로피 효과(thixotropy effect)에 의해 쉽게, 그리고 일시적으로 신장되는 종래 기술에서는 알려져 있지 않은 신장 효과가 얻어진다.
유성롤러(5,5')와 전달장치(3)의 롤러(31 내지 35)의 서로 반대로 배치된 산출라인(generating line)에 의해, 상기 유성롤러(5,5')와 상기 전달장치(3)의 롤러(31 내지 35)가 상기 빵 반죽(1)의 적어도 2곳을 압축할 경우, 상기 빵 반죽(1)이 신장되는 부분에서 압축되는 2곳의 속도차이 때문에 상기 빵 반죽(1)은 보다 낳게 보다 효과적으로 신장된다.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 빵 반죽(1)은 유성롤러(5,5')와 전달장치(3)의 롤러(31 내지 35)에 의해 결정되는 신장 부분내의 2점 혹은 3점에서 신장되고, 상기 2점 혹은 3점의 신장점은 유성롤러(5,5')가 회전됨에 따라 반복적으로 변화한다.
신장되지 않은 부분의 빵 반죽(1)은 외부 저항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신장되며, 신장되는 영역에서 반복적으로 신장된다.
비팅작용(틱소트로피 효과)은 휠(7)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급된 빵 반죽(1)의 신장비(stretching ratio)와 생산속도도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빵 반죽(1)은 다수개의 롤러(31 내지 35)에 의해 전달된다. 유성롤러(5,5')는 상기 유성롤러(5,5') 직선형의 표면위에서 회전적으로 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빵 반죽(1)에는 아무런 마찰 응력도 가해지지 않으며, 짧은 진동수의 진동효과에 의해 틱소트로피 효과(thixotropy effect)가 나타난다.
상기와 같은 진동에 의해 빵 반죽(1)의 내부에서 상기 틱소트로피 효과(thixotropy effect)가 나타나기 때문에, 상기 빵 반죽(1)은 쉽사리 흘러내려가고, 전달장치(3)의 롤러(31,32,33,34,35)의 속도 차이에 의해서 쉽사리 신장된다.
유성롤러(5,5')에 회전관성을 부여하고, 또한 빵 반죽(1) 표면의 윗쪽에서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동 플레이트(11)는 상기 유성롤러(5,5')가 초기에 강력하게 회전시키도록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전달장치(3)의 상류부 롤러(31)에 공급된 빵 반죽(1)은 상기 유성롤러(5,5')에 의해 강력하게 당겨지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전달장치(3)의 하류부 롤러(35)의 회전속도와 배출 컨베이어(4)의 속도가 같거나, 혹은 상기 배출 컨베이어(4)의 속도가 상기 전달장치(3)의 하류부 롤러(35)의 회전 속도보다 더 빨라야 한다는 사실이 분명해 진다. 그러나, 상기 빵 반죽(1)이 상기 전달장치(3)의 롤러(31,32,33,34,35)에 의해 신장되고 난 후, 상기 빵 반죽(1)은 그 자체의 고유 탄력성 때문에 배출 컨베이어(4)의 표면에서 수축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상기 빵 반죽(1)을 원하는 두께로 만드는 작업이 어렵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상기 빵 반죽(1)의 수축되는 현상을 고려하여, 상기 전달장치(3)의 하류부 롤러(34,35)의 속도를 상기 배출 컨베이어(4)의 전달 속도보다 더 빠르게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빵 반죽(1)은 상기 컨베이어 장치(3)의 하류부 롤러(34,35)에 의해 크게 인장되고, 따라서 신장된 빵 반죽(1)의 수축현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빵 반죽(1)을 원하는 두께로 만들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 빵 반죽이 신장될 때, 틱소트로피 효과(thixotropy effect)에 의해 상기 빵 반죽에 일시적인 유동성이 주어지고, 동시에 상기 틱소트로피 효과(thixotropy effect)에 의해 상기 유성롤러가 가하는 압박이 약하더라도 상기 빵 반죽이 신장될 수 있다.
빵 반죽내에서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퍼짐성에 의해, 그리고, 전달장치에 구비된 롤러의 속도 차이 때문에, 상기 빵 반죽은 완전하게 신장된다. 또한, 유성롤러가 가하는 압박이 약해, 상기 빵 반죽의 글루틴 구조(gluten structure)를 파괴시키지 않고도 얇고, 끊임없이 이어진 빵 반죽을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회전 부품의 원형 주위 둘레에 장착되어 있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다수개의 유성롤러가 구비된 상기 회전 부품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회전 부품의 궤도로 부터 아랫쪽에 공간을 이루며 분리되어 위치된 전달장치로 빵 반죽을 공급해 주는 단계와, 상기 전달장치의 입구로부터 출구에까지 점차 빠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롤러가 구비된 전달장치의 상부에서 움직이는 빵 반죽을 상기 전달장치로부터 회전 부품에 의해 일시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압축시키는 단계와, 진동의 결과로서 얻어지는 틱소트로피 효과(thixotropy effect)에 의하여 나타나는 빵 반죽내의 일시적인 유동 효과를 얻기 위해 상기 빵 반죽을 연속적으로 진동시키는 단계와, 회전 부품과 전달장치 사이의 공간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달장치의 공급된 빵 반죽을 얇게 신장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반죽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법.
  2. 원형 궤도를 따라서 회전하는 다수개의 유성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 부품과, 상기 회전 부품으로부터 아랫쪽에 빵 반죽이 신장될 수 있도록 공간을 이루며 분리되어 위치하고 있는 전달장치로 구성되는 빵 반죽을 신장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품에 구비된 각각의 유성롤러는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샤프트에 장착되고, 전달장치와, 상기 전달장치의 윗쪽에 위치해 있는 유성롤러 사이에 곡선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은 빵 반죽의 입구로부터 출구에 이르기까지 점차적으로 좁아지며, 상기 공간은 전달장치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롤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전달장치의 롤러 위에 위치되어 있는 유성롤러의 원형 회전 궤도는 빵 반죽의 출구쪽을 향해 점차적으로 좁아지며 속도 조정장치는 상기 출구쪽을 향하여 전달장치의 롤러의 회전속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빵 반죽의 신장효과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반죽을 신장시키기 위한 장치.
  3. 동일원의 원형 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다수개의 유성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 부품과, 상기 회전 부품 아래에서 빵 반죽이 신장될 수 있도록 공간을 이루며 분리된 전달장치로 구성되는 빵 반죽을 신장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유성롤러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샤프트에 장착되고, 전달장치는 상기 유성롤러와 정 반대의 관계에 있는 다수개의 롤러를 구비하며, 빵 반죽의 입구로부터 출구에 이르기까지 공간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켜 나가도록 기능을 하며, 상기 유성롤러를 강력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플레이트는 전달장치의 입구에 인접한 곳에서 유성롤러의 원궤도를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반죽을 신장시키기 위한 장치.
  4. 동일원의 원형 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다수개의 유성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 부품과, 상기 회전 부품의 아래에서 빵 반죽이 신장될 수 있도록 공간을 이루며 분리된 전달장치와, 상기 전달장치의 출구에 위치된 배출장치로 구성되는 빵 반죽을 신장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회전 부품의 유성롤러 각각은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샤프트에 장착되고, 전달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개의 롤러는 상기 전달장치의 입구로부터 출구에 이르기까지 점차적으로 그 공간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전달장치에 구비된 롤러는 상기 입구로부터 출구에 이르기까지 그 회전 속도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달장치의 출구에 위치된 롤러를 그 회전 속도가 상기 배출 장치의 배출 속도보다 더 빠르게 되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반죽을 신장시키는 장치.
  5. 원형 궤도를 따라서 회전하는 다수개의 유성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 부품과, 상기 회전 부품으로부터 아랫쪽에 빵 반죽이 신장될 수 있도록 공간을 이루며 분리되어 위치하고 있는 전달장치로 구성되는 빵 반죽을 신장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품에 구비된 각각의 유성롤러는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샤프트에 장착되고, 전달장치와, 상기 전달장치의 윗쪽에 위치해 있는 유성롤러 사이에 곡선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은 빵 반죽의 입구로부터 출구에 이르기까지 점차적으로 좁아지며, 상기 공간은 전달장치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롤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전달장치의 롤러 위에 위치되어 있는 유성롤러의 원형 회전 궤도는 빵 반죽의 출구쪽을 향해 점차적으로 좁아지며, 속도 조정장치는 상기 출구쪽을 향하여 전달장치의 롤러의 회전속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빵 반죽의 신장효과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기능을 하고, 그리고 유성롤러와 운반장치의 롤러는 적어도 2곳에서 동시에 서로 접촉하도록 위치되며,이것에 의해 빵 반죽의 신장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반죽을 신장시키기 위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공급된 빵 반죽에 진동이 가해지며, 상기 진동의 진동수는 전달장치의 전달속도에 관계없이, 회전수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반죽을 신장시키기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공급 컨베이어의 속도는 전달장치의 상류부 끝단에 구비된 롤러의 회전 속도와 같은 속도이거나 또는 느린 속도로 되어야 하며, 상기 배출 컨베이어의 속도는 상기 전달장치의 하류부 끝단에 구비된 롤러의 회전 속도와 같은 속도이거나 혹은 느린 속도로 되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반죽을 신장시키기 위한 장치.
  8. 동일원의 원형 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다수개의 유성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 부품과, 상기 회전 부품 아래에서 빵 반죽이 신장될 수 있도록 공간을 이루며 분리된 전달장치로 구성되는 빵 반죽을 신장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유성롤러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샤프트에 장착되고, 전달장치는 상기 유성롤러와 정 반대의 관계에 있는 다수개의 롤러를 구비하며, 빵 반죽의 입구로부터 출구에 이르기까지 공간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켜 나가도록 기능을 하며, 상기 유성롤러를 강력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플레이트는 전달장치의 입구에 인접한 곳에서 유성롤러의 원궤도를 따라 설치되고, 그리고 유성롤러와 운반장치의 롤러는 적어도 2곳에서 동시에 서로 접촉하도록 위치되며, 이것에 의해 빵 반죽의 신장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반죽을 신장시키기 위한 장치.
  9. 동일원의 원형 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다수개의 유성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 부품과, 상기 회전 부품의 아래에서 빵 반죽이 신장될 수 있도록 공간을 이루며 분리된 전달장치와, 상기 전달장치의 출구에 위치된 배출장치로 구성되는 빵 반죽을 신장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회전 부품의 유성롤러 각각은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샤프트에 장착되고, 전달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개의 롤러는 상기 전달장치의 입구로부터 출구에 이르기까지 점차적으로 그 공간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전달장치에 구비된 롤러는 상기 입구로부터 출구에 이르기까지 그 회전 속도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달장치의 출구에 위치된 롤러는 그 회전 속도가 상기 배출 장치의 배출 속도 보다 더 빠르게 되도록 제작되고, 그리고 유성롤러와 운반장치의 롤러는 적어도 2곳에서 동시에 서로 접촉하도록 위치되며, 이것에 의해 빵 반죽을 신장시키기 위한 장치.
KR1019960015742A 1995-11-09 1996-05-07 빵 반죽 등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0183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17211 1995-11-09
JP7317211A JP2917002B2 (ja) 1995-05-02 1995-11-09 パン生地等の延展方法およ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402A KR970025402A (ko) 1997-06-24
KR0183384B1 true KR0183384B1 (ko) 1999-03-20

Family

ID=1808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5742A KR0183384B1 (ko) 1995-11-09 1996-05-07 빵 반죽 등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3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402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0313C (en) An apparatus for stretching bread dough and the like
EP07409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tching bread dough and the like
US4276317A (en) Method for processing bread dough
US3646894A (en) Extruding and cutting dough
JPH0757157B2 (ja) 充填装置から出た連続するソーセージのストランドを個々のソーセージに分割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A225801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hredded cheese
US3869831A (en) Flexible foam material shaper
US4178147A (en) Stretcher of dough for cakes, bread and the like
JPH0551256B2 (ko)
US3491637A (en) Cutting apparatus
KR0183384B1 (ko) 빵 반죽 등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343036A (ja) 生地延展方法及び装置
JP3615465B2 (ja) 生地延ばし装置
EP0434238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crimping
JPH01199546A (ja) 菓子生地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EP0118264A1 (en) Method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dough material
US2613619A (en) Multiple mold continuous plastic forming machine
KR830001814B1 (ko) 빵반죽의 분할성형방법
JP3728047B2 (ja) 手揉機及び手揉み風麺の製造方法
JPS60241839A (ja) 振動圧延装置
JPS61115470A (ja) 水産練製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07123901A (ja) 麺類製造機における原料ドウの送り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