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049B1 - 자동차의 시동 꺼짐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동 꺼짐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049B1
KR0183049B1 KR1019930026692A KR930026692A KR0183049B1 KR 0183049 B1 KR0183049 B1 KR 0183049B1 KR 1019930026692 A KR1019930026692 A KR 1019930026692A KR 930026692 A KR930026692 A KR 930026692A KR 0183049 B1 KR0183049 B1 KR 0183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ower
engine
vehicle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6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183A (ko
Inventor
전병욱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30026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049B1/ko
Publication of KR95001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1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차량의 출발시 본의 아닌 엔진 시동 꺼짐 및 역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엔진 시동 꺼짐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엔진의 동력은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를 거쳐 변속기로 입력되고, 이에 입력된 동력은 다수의 변속기어를 거치면서 1차 감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차동장치를 포함하는 종감속장치로 전달되어 구동축으로 전달되는 수동변속기 탑재 차량의 동력 전달계통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의 입력축상에 엔진 회전수에 따른 전자 제어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자 클러치를 설치하고, 상기 입력축이 관통하는 변속기 하우징과의 사이로 일방향 클러치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시동 꺼짐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동 꺼짐 방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 구성도.
제2도는 종래 동력전달 구성도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동 꺼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의 회전수 이하로 떨어질 때는 변속기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 미숙으로 엔진의 시동이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행에 기여할 수 있는 자동차의 시동 꺼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수동 변속기를 탑재한 종래 자동차의 동력전달 과정을 살펴보면, 제2도에서와 같이, 엔진(50)에서 발생된 동력이 클러치(51)를 거쳐 변속기로(52)로 입력되고, 이에 입력된 동력은 다수의 변속기어를 거치면서 감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차동장치를 포함하는 종감속장치(53)를 통해 구동축(54)으로 전달되어 이에 장착되는 구동륜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동력 전달계통에 있어서는 엔진(50)의 동력이 클러치(51)에서만 단속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바, 미숙련 운전자의 경우 엔진의 시동이 꺼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예컨대, 자동차의 언덕길 주행중 신호대기 또는 정체 등 여타 요인으로 인하여 정차 후, 재출발하는 경우에는 엔진에 무리한 부하가 걸려 엔진이 정지하거나 또는 클러치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전진 기어를 넣고 브레이크 페달을 놓으면서 가속페달을 밟아 출발하려는 순간에 동력전달계통에는 무동력 상태가 되어 차량이 역진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언덕길에서 차량이 역진 또는 시동이 꺼지지 않고 순조롭게 출발시키는 것은 운전자의 숙달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출발조작은 신속하면서도 클러치 디스크가 플라이 휠에 살며시 닿게끔하여야 하는데 초보자들은 클러치 페달과 변속기어의 조작 그리고 가속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의 순간적인 교체 조작이 미숙하여 언덕길의 출발에 대한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대한 불안감마저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초보 운전자들은 언덕길의 무난한 출발을 위해 숙달되기까지는 임시적인 수단으로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당겨 제동한 후, 출발시 클러치 페달을 놓음과 동시에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서서히 놓으면서 출발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차량으로 언덕길에서 순조롭게 출발하기 위하여는 출발에 따른 일련의 조작을 순간적인 운전자의 감각 능력과 순발력에 의존하여야 하며, 또한, 다른 수단으로는 자동 변속기를 채택할 수 있겠으나, 이는 고가인 반면에 연료소비율이 매우 높고, 고장시 대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출발시 본의 아닌 엔진 시동 꺼짐 및 역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엔진 시동 꺼짐 방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의 동력은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를 거쳐 변속기로 입력되고, 이에 입력된 동력은 다수의 변속기어를 거치면서 1차 감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차동장치를 포함하는 종감속장치로 전달되어 구동축으로 전달되는 수동 변속기 탑재 차량의 동력 전달계통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의 입력축상에 엔진 회전수에 따른 전자 제어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자 클러치를 설치하고, 상기 입력축이 관통하는 변속기 하우징과의 사이로 일방향 클러치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시동 꺼짐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력전달계통의 구성도로서, 엔진(1)의 동력은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2)를 거쳐 변속기(4)로 입력되고, 이에 입력된 동력은 다수의 변속기어를 거치면서 1차 감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차동장치를 포함하는 종감속장치(6)로 전달된다.
그리고 종감속장치(6)로 전달된 동력은 이곳에서 최종 감속이 이루어져 구동축(8)으로 전달되면서 이에 장착되는 구동륜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동력전달계통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변속기(4)의 입력축(10)에 전자 제어 유닛(12)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자 클러치(14)를 설치하고, 상기 입력축(10)이 관통하는 변속기 하우징(16)과의 사이로 일방향 클러치(18)을 설치하였다.
상기에서 전자 제어유닛(12)은 엔진의 회전수 센서(21)의 신호를 받아 전자 클러치(14)를 제어하게 되며, 또한 경보수단(20)과 연결되어 경보를 하게 되는데, 이때 엔진 회전수는 엔진의 시동이 꺼지지 않는 최저 회전수 즉, 300 RPM 정도에서 전자 클러치(14)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 클러치(14)는 전원을 인가하면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동력을 차단할 수 있게 하고, 전원을 차단하면 동작이 정지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공지와 동일한 구성과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입력축(10)과 변속기 하우징(16) 사이에 개재되는 일방향 클러치(18)는 입력축(10)의 정회전만 인가하고 역회전은 제한하는 것으로서, 이 또한 공지와 같으므로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엔진 시동 꺼짐 방지장치는 운전 부주의 또는 미숙련으로 엔진의 회전수가 순간적으로 떨어져 대략 300RPM이 되면 이의 신호가 전자 제어유닛(12)으로 입력되어 이의 전자 제어유닛(12)에서는 전자 클러치(14)를 동작시켜 변속기(4)로의 동력전달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그러면 동력 전달계통은 중립의 상태가 되는 바, 엔진의 시동은 꺼지지 않게 되는 것이며, 이때 입력축(10)상에는 일방향 클러치(18)가 설치되어 있는 바, 구동륜으로부터 역으로 회전력이 입력되더라도 입력축(16)의 역회전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차량은 역진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일시적인 동력전달 차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 클러치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전자 클러치(14)의 동작시간은 소정시간(약 1초)동안만 작동이 이루어지며, 만일 이시간 동안 운전자의 아무런 조치 없이 엔진의 회전수가 다시 300RPM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동작이 3회이상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전자 제어유닛(12)에서 경보수단(20)을 동작시켜 경보음 내지는 경보등을 점등시킴으로써, 현 운전상태를 운전자에게 인식시켜 주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의 회전수 이하로 떨어지면 변속기로 입력되는 엔진의 동력을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엔진의 시동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때 입력축의 역회전을 제한하여 차량이 후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운행에 기여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엔진의 동력은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를 거쳐 변속기로 입력되고, 이에 입력된 동력은 다수의 변속기어를 거치면서 1차 감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차동장치를 포함하는 종감속장치로 전달되어 구동축으로 전달되는 수동 변속기 탑재 차량의 동력 전달계통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의 입력축상에 엔진 회전수에 따른 전자 제어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자 클러치를 설치하고, 상기 입력축이 관통하는 변속기 하우징과의 사이로 일방향 클러치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시동 꺼짐 방지장치.
KR1019930026692A 1993-12-07 1993-12-07 자동차의 시동 꺼짐 방지장치 KR0183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692A KR0183049B1 (ko) 1993-12-07 1993-12-07 자동차의 시동 꺼짐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692A KR0183049B1 (ko) 1993-12-07 1993-12-07 자동차의 시동 꺼짐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183A KR950019183A (ko) 1995-07-22
KR0183049B1 true KR0183049B1 (ko) 1999-03-20

Family

ID=1937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6692A KR0183049B1 (ko) 1993-12-07 1993-12-07 자동차의 시동 꺼짐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0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669A (ko) 2020-12-30 2022-07-08 안인수 시동 꺼짐 발생시 차량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669A (ko) 2020-12-30 2022-07-08 안인수 시동 꺼짐 발생시 차량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183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25576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JP2006298064A (ja) 車両のクリープ制御装置
JP3168721B2 (ja) 電気自動車の走行制御装置
KR0183049B1 (ko) 자동차의 시동 꺼짐 방지장치
ITTO960891A1 (it) Sistema di controllo dello stazionamento e della partenza in pendenza di un autoveicolo.
JP2000265870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3565678B2 (ja) 車両の変速装置
JPH01275937A (ja) 変速機のクリープトルク制御装置
JP2603840B2 (ja) 電磁式クラッチ付車両のクリープ制御装置
JPS61238533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270053B1 (ko) 자동차의구배로출발장치및그제어방법
JP3422531B2 (ja) 電気自動車のモータ制御装置
JPH0312584Y2 (ko)
JP2533400B2 (ja) 車両前後進切り換え制御方法
JPH09142270A (ja) 車両の制動力保持装置
KR100199724B1 (ko) 자동차의 수동식 클러치 장치
JPH0126534Y2 (ko)
KR0123490Y1 (ko) 자동 브레이크 장치
JPH066144U (ja) 車両制動装置
JP2791085B2 (ja) 自動車用無段階変速機の制御装置
JPS61119457A (ja) 車両用自動ブレ−キシステム
JPH09280275A (ja) 自動クラッチ制御装置
JPH02127133A (ja) 緩速走行停止装置
KR100452192B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JPS63297131A (ja) オ−トマチツクトランスミツシヨ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