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618B1 -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 그 제조방법 및 그 코팅조성물의 사용 - Google Patents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 그 제조방법 및 그 코팅조성물의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618B1
KR0180618B1 KR1019950035394A KR19950035394A KR0180618B1 KR 0180618 B1 KR0180618 B1 KR 0180618B1 KR 1019950035394 A KR1019950035394 A KR 1019950035394A KR 19950035394 A KR19950035394 A KR 19950035394A KR 0180618 B1 KR0180618 B1 KR 0180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opolysiloxane
resin solution
compound
hydrocarbon compoun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5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214A (ko
Inventor
바이드너 리차드
호케마이어 프리드리히
프레이 폴커
하르트 뮤러 라인
얀 하르트무트
Original Assignee
에리히 프란케;칼 하인즈 림뵉
와커-헤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리히 프란케;칼 하인즈 림뵉, 와커-헤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리히 프란케;칼 하인즈 림뵉
Publication of KR960014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6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9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 C08J3/091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the organic liquid
    • C08J3/092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2Poly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06Preparato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0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4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only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1-알켄으로 구성되고 방향족 탄화수소화합물로부터 유리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 그 제조방법 및 점착성 물질을 기피하는 코팅을 제조할 수 있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 그 제조방법 및 그 코팅조성물의 사용
이 발명은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이 없고 1-알켄을 포함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 그 제조방법 및 그 코팅조성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 및 그 제조방법은 여러 가지 특허문헌에서 공지되었다.
예로서, 특허문허 EP 195 936 A(Toray silicone Co., Ltd : 1986. 10. 1.공고)에서 반응혼합물에는 최소한 5wt%의 염화수소를 포함하며 알킬실리케이트를 최종성분으로 하여 서서히 적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알킬실리케이트와 단작용 실란(monofunctional silane)의 가수분해에 의해 MQ수지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허 DE 42 16 139 A(Wacker-Chemie GmbH : 1993. 11. 18. 공고)에서는 실란 또는 그 부분가수분해물(Partial hydrolysates)의 산가수분해와, 물과 알코올의 동시 증류제거에서 공비첨가제(entraining agent)로서 작용하는 수-불용성유기용매, 특히 톨루엔의 존재하에서 염기성 후처리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그 물과 알코올의 제거는 Si-결합 히드록시기 및 알콕시기의 함량이 낮은 실리콘수지의 제조에서 특히 중요하다.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화합물로 구성되는 코팅조성물은 동일하게 이미 특허문헌에 기재되어 있어 공지된 바 있다.
예로서, 특허문헌 EP 105 208 B1(General Electric Co., 1988. 4. 27.공고)와 EP 216 376 A1(General Electric Co., 1987. 4. 1. 공고)에서는 다른 성분중에-올레핀등 반응성 있는 저점도 희석제를 포함하는 점착분야의 이형코팅조성물(release coating composition)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그 코팅조성물의 가교는 주로 백금-촉매부가반응에 의해 발생한다.
그 반응성희석제는 이형첨가제에 의해 그 코팅계에 도입된다.
이들의 이형첨가제는 이 첨가제를 사용하여 코팅계의 이형성질을 조절할 수 있으며, 실리콘수지가 있고, 주로 적합한 반응성 희석제중에서 MQ수지는 그 실리콘수지를 톨루엔 또는 키실렌중에시 용해한 용액과 그 반응성 있는 비점이 높은 희석제를 혼합시킨 다음, 가급적 낮은 온도에서 증류에 의해 그 방향족 화합물 용매를 제거시켜 제조한다.
이와같은 코팅조성물에는 일반적으로 방향족화합물용매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용매는 그 코팅조성물을 치리할 때 방출한다.
따라서, 이 발명은 탄소인자 10-14개의 1-알켄으로 구성되고, 방향족탄화수소 화합물이 없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을 제공한다.
이 발명에서, 용어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올리고머실록산을 포함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말한다.
이 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은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함량 50-90wt%가 바람직하고, 특히 60-85wt%의 함량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은 점도(25℃) 3-10,000mm2/s가 바람직하며, 특히 50-3,000mm2/s가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은 탄소원자 10-14개를 가진 1-알켄이외의 탄화수소화합물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제1단계에서는 다음 일반식( I )의 최소한 하나의 실란 및/또는 그 가수분해물과, 다음 일반식(Ⅱ)의 최소한 하나의 실란 및/또는 그 부분가수분해물과, 선택적으로 다음 일반식(Ⅲ)의 실란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한 오르가노실리콘 화합물 및/또는 그 부분가수분해물과, 다음 일반식(Ⅳ)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그 화합물을 산의 존재하에 물과 반응시켜 생성한 알코올의 최소한 일부를 증류에 의해 제거시키며, 제2단계에서는 제1단계에서 얻은 균질의 반응물질을 염기와, 균질반응물질을 얻는 데 최소한 충분한 양의 말단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의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증류에 의해 물과 알코올을 제거시키며, 제3단계에서는 제2단계에서 얻은 균질의 반응물질을 산으로 중화시켜 말단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을 부분적으로 증류제거하고, 아직도 존재한 물과 알코올을 완전히 증류제거시켜 그 중화반응에서 발생한 침전염을 제거하며, 선택적으로 제4단계에서는 제3단계에서 얻은 균질의 반응물질을 말단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과 부분적으로 유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탄화수소화합물이 없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위식에서, R은 각각의 경우 같거나 다르며, 1가 유기래디컬이고,
R1은 알킬래디컬이며,
R2는 각각의 경우 같거나 다르며, 알킬래디컬이고,
a는 1 또는 2이고,
R3은 각각의 경우 같거나 다르며, 1가 유기래디컬이고,
R4는 각각의 경우 같거나 다르며, 알킬래디컬이며,
R5는 각각의 경우 같거나 다르며, 1가의 유기래디컬이고,
b는 3-8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4 또는 5이다.
그 래디컬 R, R3및 R5는 각각의 경우 서로 각각, 탄소원자 1-18개를 가진 1가 탄화수소래디컬이 바람직하다.
래디컬 R, R1및 R3는 각각의 경우 서로 각각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 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필,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및 t-펜틸래디컬, n-헥실래디컬 등 헥실래디컬, n-헵틸래디컬 등 헵틸래디컬, n-옥틸 래디컬 및 2,2,4-트리메틸펜틸래디컬등의 이소옥틸래디컬 등 옥틸래디컬, n-노닐래디컬 등 노닐래디컬, n-데실래디컬 등 데실래디컬, n-도데실 래디컬 등 도데실 래디컬 및 n-옥타데실래디컬 등 옥타데실래니컬 등의 알킬래디컬; 비닐, 알릴, n-5-헥세닐, 4-비닐 시클로헥실 및 3-노르보른에닐 래디컬 등의 알케닐 래디컬; 시킬로펜틸, 시클로헥실, 4-에틸 시클로헥실 및 시클로 헵틸래디컬, 노르보르닐래디컬 및 메틸시클로헥실 래디컬 등의 시클로 알킬래디컬; 페닐, 비페닐, 나프틸, 안트릴 및 펜안트릴 래디컬 등의 아릴래디컬; O-, m- 및 P-톨릴래디컬, 키실릴래디컬 및 에틸페닐 래디컬 등의 알카릴 래디컬; 벤질래디컬 및 α- 및 β- 페닐에틸 래디컬 등의 아랄킬래디컬이 있다.
래디컬 R, R3또는 R5로서 치환 탄화수소래디컬의 예로는 각각의 경우 서로 각각 클로로메틸, 3-클로로 프로필, 3-브로모프로필, 3,3,3-트리플루오로 프로필 및 5,5,4,4,3,3-헵타 플루오로 펜틸래디컬 및 클로로 페닐, 디클로로페닐 및 트리플루오로톨릴래디컬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래디컬;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및 3-메탈크릴로일옥시 프로필래리컬 등의 아실옥시알킬래디컬; 히드록시프로필 래디컬 및 다음식의 레디컬등의 히드록시알킬래디컬이 있다.
래디컬 R, R3및 R5는 각각의 경우 서로 각각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 및 비닐래디컬로 구성한다.
래디컬 R1, R2및 R4의 예로는 R, R3및 R5에 나타낸 알킬래리컬의 예가 있다.
래디컬 R1, R2및 R4는 각각의 경우 서로 각각 탄소원자 1-4개를 가진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래디컬 R1, R2및 R4는 각각의 경우 서로 각각 메틸 및 에틸래디컬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에서, 일반식(I), (Ⅱ) 및 필요할 경우(Ⅲ) 및/또는 그 (부분) 가수분해물(여기서 R1, R2및 R4는 동일한 정의를 가짐)의 실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방법에서 일반식(Ⅱ) 및 (Ⅲ)의 실란의 부분가수분해물을 사용할 경우, 각각의 경우 실리콘원자 15개까지를 가진 부분가수분해물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일반식(I)의 실란 및/또는 그 가수분해물, 즉 디실록산의 예로는 트리메틸에톡시실란, 비닐디메틸에폭시실란, 비닐디메틸에톡시실란, 헥사메틸디실록산, 1,3-디페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1,3-비스(알릴)테트라메틸디실록산, 1,3-디비닐테트라메틸실록산이 있으며, 특히 헥사메틸디실록산 및 1,3-디비닐테트라메틸실록산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에서 사용되는 일반식(Ⅱ)의 실란의 예로는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폭시실란 및 테트라 n-프로폭시실란이 있으며, 특히 테트라에톡시실란 및 그 부분 가수분해물이 바람직하다.
필요로 할 경우 이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일반식(Ⅲ)의 실란의 예로는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O-, m- 및 P-톨릴트리메톡시실란,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및 디메틸에톡시실란이 있으며,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O-, m- 및 P-톨릴트리에톡시실란 및 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필요로 할 경우 이 발명에 의한 방법에서 사용되는 일반식(Ⅳ)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예로는 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및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이 있으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및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이 바람직하다.
일반식(Ⅲ)의 실란 및/또는 그 부분 가수분해물 및/또는 일반식(Ⅳ)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할 경우, 그 실리콘화합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5wt%까지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일반식(Ⅲ)의 실란 및/또는 그 부분가수분해물 및 일반식(Ⅳ)의 오르가노폴리식록산의 사용은 이 발명에 의한 방법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1단계에서는 일반식(I)의 실란 및/또는 그 가수분해물, 특히 R이 메틸 또는 비닐래디컬인 가수분해물의 화합물과, 일반식(Ⅱ)의 실란 및/또는 그 가수분해물은 Si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몰비 0.4 : 1 - 2.0 : 1 특히 바람직하게는 몰비 0.5 : 1 - 1.5 : 1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일반식(I)에시 R1은 일반식(Ⅱ)의 R1과 동일한 정의를 가진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1단계에서 물과 산을 일반식(I)의 실란 및/또는 그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일반식(Ⅱ)의 실란 및/또는 그 부분가수분해물과 필요할 경우 일반식(Ⅲ)의 오르가노실리콘화합물 및/또는 일반식(Ⅳ)의 부분가수분해물에 첨가시켜 이들의 성분을 혼합시킨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1단계에서 증류전 제1단계의 반응물질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경우 물은 바람직하게는 5-30wt%, 특히 바람직하게는 5-20wt%, 특히 8-18wt%로 사용한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1단계에서 사용되는 산은 실란과 알콕시기의 가수분해반응전에 사용되는 동일한 산이다.
이와같은 산의 예로는 HCl, HClO4, H2SO4및 H3PO4등의 무기산과, 아세트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메탄설폰산과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이 있으며, HCI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균질반응물질을 얻기 위하여, 이 발명에 의한 방법과 제1단계에서는 증류전 제1단계의 반응물질 1000g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0.2-50m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2.5-15mmol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산의 농도가 더 높을때에는 그 반응물질의 균질성을 얻지 못한다.
예로서, 산으로서 특히 바람직한 HCl를 사용할 때, 증류전 제1단계의 반응 물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농도범위 100-500ppm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1단계에서 가수분해를 할 때 생성되는 알코올은 가수분해시에 또는 가수분해후에 특히 가수분해후에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그 알코올의 특성과 사용한 물의 양에 따라 그 증류액에서는 일정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알코올은 그 반응물질이 균질상태로 될 때까지 가수분해후에 증발제거시킨다.
생성한 알코올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알코을 50-90wt%를 증류에 의해 제거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1단계는 그 반응물질의 온도 20℃-비점온도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그 반응물질의 온도 50℃-비점도온도에서 압력 900-1100hpa하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1단계는 바람직하게는 30분-5시간후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1-3시간 후에 완료한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1단계 완료후에 염기를 최소한 염기성 반응물질을 얻는 데 필요한 량으로 하여 첨가하며, 필요로 할 경우 또 다른 물질과 말단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을 첨가한다.
그 사용한 염기에 따라 그 염기의 량은 일반적으로 증류전 2단계에서 반응물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2-2.0wt%이다.
그 2단계에서 첨가한 염기의 량은 PH가 8.0-14.0, 바람직하게는 9.0-12.0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의 2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염기는 축합반응시에 촉매로서 종래에 사용되었던 염기일체를 포함한다.
이와같은 염기의 예로는 소듐 히드록사이드 및 포타슘 히드록사이드등 알칼리금속히드록사이드; 소듐 실리코네이트 및 포타슘 실리코네이트등 알칼리 금속실리코네이트; 메틸 아민, 디메틸아민, 에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및 n-부틸아민 등 아민류; 테트라메틸암모늄 히드록사이드 및 테트라 - n- 부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등 암모늄화합물이 있으며, 소듐 히드록사이드, 포타슘 히드록사이드, 메틸아민, 에틸아민 및 디에틸아민이 바람직하며, 특히 소듐 히드록사이드, 포타슘 히드록사이드 및 메틸아민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말단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은 예로서 1데센, 1-도데센, 1-데트라데센 및 1-헥사데센등 탄소원자 10-18개를 가진 1-알켄이 바람직하며, 특히 1-도데센, 1-테트라데센등의 탄소원자 10-14개를 가진 1-알켄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2단계에서 사용되는 말단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은 최소한 균질의 반응물질을 얻는 데 충분한 량으로 사용된다.
증류전 제2단계에서 반응물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경우 말단 불포화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50wt%미만, 특히 40wt%미만이 바람직하다.
특히, 첨가하는 말단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의 용량부(vol)는 적합할 경우 제1단계에서 증류제거한 물과 알코올의 용량부와 같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2단계에서 실시한 증류과정에서, 그 반응혼합액에 존재한 물과 잔류알코올은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증발제거시키며, 필요할 경우 말단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의 소량을 이들과 함께 증류제거시킨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2단계에서 실시한 증류는 염기를 첨가시킨 후 바로 실시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 증류는 알콕시 및/또는 히드록시기를 제거하여 분리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또는 알콕시 및/또는 히드록시 함량이 낮은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기 위하여 필요하다.
제2단계에서 그 염기를 제1단계의 산반응물질에 첨가할 때 제2단계에서 증류한 후 침전시킨 소량의 염을 생성한다.
이 발명에서, 침전시킬 수 있는 염은 제2단계에서 균질의 반응물질과 관련지을 필요가 없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2단계는 그 반응물질의 비점온도와 압력 900-1100hpa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2단계는 0.5-5시간 후에, 특히 1-3시간후에 완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2단계 완료후 균질의 반응혼합물은 제3단계에서 산과 중화시키며, 아직도 존재한 물과 알코올을 완전하게 증류제거시키고 침전염을 제거한다.
이 처리단계에서 필요할 경우 일부 말단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을 증류제거할 수도 있다.
이 발명의 방법에 의한 제3단계에서의 증류는 압력 5-1100hpa, 온도 80-180℃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화반응에 적합한 산은 제1단계에서 설명한 산전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단계에서와 같은 동일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방법의 제3단계의 중화반응에서 물로 희석한 산을 사용할 경우와 제2단계에서 증류를 완전하게 실시하지 않을 경우 제3단계에서는 물을 증류시켜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증류후에는 그 반응물질에 존재한 염을 완전히 침전시킨다.
그 다음 침전된 염을 여과에 의해 그 반응혼합액에서 제거시킨다.
이 발명방법의 제3단계 완료후에는 필요할 경우 제4단계에서 증류에 의해 일부 말단불포화 지방족 화합물에서 얻은 균질의 반응물질을 유리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그 증류를 압력 5-1100hpa, 온도 100-180℃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1단계에서는 바람직할 경우 1,3-디비닐 테트라메틸디실록산 및/또는 비닐디메틸에톡시실란 및 테트라에톡시실란 및/또는 그 부분 가수분해물을 가진 혼합물중에서 헥사메틸디실록산 및/또는 트리메틸에톡시실란을 증류전 제1단계의 반응물질 1000g을 기준으로 하여 산 0.2-50mmol 및 물과 혼합시켜, 이들의 성분을 그 반응물질의 비점온도와 압력 900-1100hpa에서 반응시켜 생성한 에탄올을 증류제거시키고, 제2단계에서는 제1단계에서 얻어진 균질의 반응물질을 소듐 히드록사이드, 포타슘 히드록사이드 및 메털아민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한 염기와 말단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 특히 탄소원자 10-18개를 가진 1-알켄의 존재하에서 그 반응물질의 비점온도와 압력 900-1100hpa하에 물과 반응시켜 에탄올을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증류제거시키며, 제3단계에서는 제2단계에서 얻어진 균질의 반응물질을 산과 중화시켜 물과 에탄올을 완전히 증류제거시키고 말단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을 일부 증류제거시키고, 중화 반응시켜 생성된 침전염을 여과시켜 제거하며, 바람직할 경우 제4단계에서는 제3단계에서 얻은 반응물질을 증류에 의해 일부 말단분포화 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에서 유리시킨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에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1단계에서는 필요한 경우 1,3-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및/또는 비닐디메틸에톡시실란 및 테트라에톡시실란 및/또는 그 부분가수분해물을 가진 혼합물중에서 헥사메틸디실록산 및/또는 트리메틸에톡시실란을 증류전 제1단계에의 반응물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HCl 100-500ppm 및 물과 혼합시켜 이들의 성분을 그 반응물질의 비점온도와 압력 900-1100hpa에서 반응시켜 생성한 에탄올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그 생성한 에탄올 약 70wt%를 증류시켜 제거하고, 제2단계에서는 제1단계에시 얻어진 균질의 반응물질을 소듐 히드록사이드, 포타슘 히드록사이드 및 메틸아민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한 염기와 탄소원자 10-18개를 가진 1-알켄, 특히 1-도데센 또는 1-테트라데센의 존재하에서 그 반응물질의 비점온도와 압력 900-1100hpa하에 물과 반응시켜 에탄올을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증류시켜 제거하고, 제3단계에서는 제2단계에서 얻은 균질의 반응물질을 HCl과 중화시켜 물과 에탄올을 완전히 증류제거시키고 1-알켄을 부분적으로 증류제거시키며 중화 반응시에 생성된 침전염을 여과시켜 제거하고, 필요할 경우 제4단계에서는 제3단계에서 얻은 반응물질을 증류에 의해 일부 말단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에서 유리시킨다.
이 발명에 의해 제조한 수지용액은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함량 50-90wt%, 특히 60-85wt%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중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평균분자량 500-10,000g/mol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4작용 Si단위(SiO4/2)에 대하여 알콕시기 평균 0(Zero)mol%, 또는 약 6mol%를 가지며, Si-결합 히드록시기 0(Zero) 또는 약 0.4wt%를 가진다.
이 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과 이들의 용액을 구성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완전 상용성(compatible)이 있으며, 그 오르가노폴리실록산수지는 최소한 일부,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액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 용해시킬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에 존재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의 예로는 [Me3SiO1/2]x[SiO4/2]y(여기서 Me는 메디래디컬이고, x와 y의 비는 0.5 : 1-1.5 : 1이다)와 [Me3SiO1/2]x[Me2ViSiO1/2]y[SiO4/2]z(여기서 Me는 메틸래디컬이고, Vi는 비닐래디컬이며 , (x+y)와 z의 비는 0,5 : 1-1.5 : 1이고, x와 y의 비는 98 : 2-50 : 50이다)가 있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은 실시가 극히 간단하며, 재현성이 높고 공시수율(space-time yields)이 높은데 잇점이 있다.
이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말단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은 그 어떤 화학적 변화도 행하지 않으며, 특히 이성화(isomerization), 즉 재현성 이형치(reproducible release values)를 얻기 위하여 점착분야(self-adhesive sector)의 코팅조성물 사용에 가장 중요한 그 말단탄소-탄소 이중결합의 이행을 하지 않는 잇점이 있다.
어떤경우에는 얻어진 말단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을 이 프로세스에 재순환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잇점은 이 발명의 방법에서 액/액상분리가 없어, 수율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발명에 의해 제조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은 안정성이 높고, 적어도 일년간 25℃에서 주위 대기압하에 점도의 변화가 없는 잇점이 있다.
그 반응기간에는 균질이고, 산농도가 낮기 때문에 저분자량 수지프랙션(fraction)의 소량부분만을 가진 수지가 생성되어 그 수지는 이형코팅조성물에 사용될 때 결과적으로 잇점이 있다.
이 발명의 방법에 의해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은 고순도로 얻어지며, Si-결합 알콕시 및/또는 히드록시기 또는 저함량의 알콕시 및/또는 히드록시가 없고, 이들의 용액은 저장시에 고도의 안정성을 가진다.
이 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은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 및/또는 이들의 용액을 종래에 사용할 수 있었던 모든 응용분야에 적합하며, 특히 톨루엔등 소량의 방향족 탄화수소화합물의 존재하에 바람직하지 않은 응용분야에 적합하다.
이 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은 지방족 탄소-탄소 2중결합에 Si-결합수소를 부가시켜 가교할 수 있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하며, 그 조성물로부터 점조성물질을 기피하는 코팅을 제조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은 (A)말단 지방족 탄소-탄소 2중결합을 포함하는 SiC-결합 유기래디컬을 가진 오리가노폴리실록산과,
(B) Si-결합수소를 포함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C) 이 발명에 의해 또는 이 발명에 의해 제조한 오르가노폴롤리실록산 수지 용액과,
(D) 금속착체 또는 섭그룹(subgroup) 8의 금속화합물과, 필요할 경우,
(E) 지방족 2중결합에 Si-결합수소의 부가를 지연시키는 화합물로 구성하는 가교할 수 있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제공한다.
위 성분 (A),(B),(C) 및 (E)는 지방족 탄소-탄소 2중결합에 Si-결합수소의 부가에 의해 가교할 수 있는 조성물중에서 종래에 사용할 수도 있었던 성분과 동일하다.
그 오르가노폴리실록산(A)는 다음식(V)의 단위를 구성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바람직하다.
위 식에서, R6은 각각의 경우 같거나 다르며, 탄소원자 1-18개를 가진 지방족 포화되고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SiC-결합 탄화수소래디컬이고, R7은 각각의 경우 같거나 다르며, 말단지방족 탄소-탄소 2중결합을 가진 SiC-결합 유기래디컬이며, e는 0, 1, 2 또는 3이고, f는 0, 1, 2 또는 3이다.
단, e와 f의 합은 3과 같거나 3미만이고, 그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은 분자당 평균 최소한 2개의 래디컬 R7을 가진다.
위 식(V)에 의해 구체적으로 나타낸 바 없으나, 그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에서 래디컬 R65%미만은 알콕시 래디컬을 가진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의 SiC-결합 래디컬 전제중 최소한 90%는 메틸래디컬 이다.
래디컬 R6의 예로는 R에 의해 위에서 설명한 지방족 포화 래디컬의 예가 있다.
래디컬 R7의 예로는 비닐, 알릴, 3-부테닐, 5-헥세닐, 7-옥테닐 및 9-데세닐래디컬이 있으며, 특히 비닐 및 5-헥세닐 래디컬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은 분자당 말단 지방족 탄소-탄소 2중결합을 평균 2개 가진 유기래디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은 특히 디메틸비닐 말단기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과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은 점도(25℃) 20-5000mm2/s가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은 요오드가(iodine numbers) 1-30이 바람직하며, 특히 2-20이 바람직하다.
그 요오드가는 사용하여 분식하고저하는 물질 100g당 그 2중결합에 부가되는 과정에서 소비되는 요오드량(g)을 나타낸다.
그 오르가노폴리실록산(B)은 종래에 공지된 Si-결합수소를 포함하는 선상, 분기상 또는 환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B)으로서 다음식(Ⅵ)의 단위로 구성하는 선상, 환상 또 분기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위 식에서, R8은 각각의 경우 같거나 다르며, 위 R6의 정의를 가지며, c는 0, 1, 2, 3이고, d는 0, 1 또는 2이다.
단, c+d의 합은 3과 같거나 3미만이고 분자당 평균 최소한 2개의 Si-결합수소원자가 존재한다.
위 식(Ⅵ)에 의해 나타낸 바 있으나, 그 오르가노폴리실록산(B)에서 래디컬 R88%미만은 알콕시래디컬을 가진다.
그 오르가노폴리실록산(B)은 평균점도(25℃) 5-1000mm2/s가 바람직하며, 특히 10-500mm2/s가 바람직하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B)의 SiC-결합래디컬 전제중 최소한 50%는 메틸래디컬이다.
이 발명에 의해 사용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B)은 분자당 평균 최소한 3개의 Si-결합 수소원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해 사용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B)은 그 오리가노폴리실록산(B)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Si-결합수소 0.1-2wt%의 포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0.8-1.7wt%의 포함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있어서, 그 오르가노폴리실록산(B)은 각각의 경우 그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의 말단지방족탄소-탄소 2중결합 1mol을 기준으로 하여 Si-결합수소 0.7-5mol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특히 Si-결합수소 1.1-3mol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성분(C)으로서 이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사용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은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함량 50-90wt%가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있어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C)은 각각의 경우, 이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0.5-95wt%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특히 1-90wt%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성분(C)에서 사용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수지의 량에 따라 그 가교할 수 있는 조성물의 이형성질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오르가노록리실록산수지의 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이형치(release values)가 증가한다.
지방족 2중결합에 Si-결합수소의 부가를 촉진시키는 촉매(D)로서, 가교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지방족 3중결합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Si-결합수소함유화합물을 가교시키는 종래의 공지된 조성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동일한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백금금속 또는 그 화합물 및/또는 그 착체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특히 백금 화합물 또는 백금착체가 바람직하다.
촉매(D)의 예로는 H2PtCl6·6H2O와 시클로헥사논의 반응생성물, 백금-비닐실록산착체, 특히 백금-1, 3-디비닐-1, 1, 3, 3-테트라메틸디실록산착체, 비스(γ-피클린)-폴라티늄클로라이드, 트리메틸렌디피리딘 폴라티늄 디클로라이드, 디시클로 펜타디엔 폴라티늄 디클로라이드, 디메틸 설폭사이드-에틸렌 플라티늄(Ⅱ)디클로라이드, 플라티늄 테트라클로라이드와 올레핀 및 1급아민 또는 2급아민의 반응생성물, 예로서 1-옥텐에 용해한 플라티늄 테트라클로라이드와 sec-부틴아민의 반응생성물, 시클로옥타디엔 플라티늄 디클로라이드 및 노르보른아디엔 폴라티늄 디클로라이드를 포함하여 백금할라이드, 즉 PtCl4, H2PtCl6·6H2O, Na2PtCl4·4H2O, 백금-올레핀착제, 백금-알코올착체, 백금-알코올레이트착체, 백금-에테르착체, 백금-알데히드착체, 백금-케톤착체등 백금화합물 또는 백금착체가 있다.
이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있어서, 촉매(D)는 각각의 경우 이 발명에 의한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백금원소로 계산하여 10-1000wt.ppm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특히 50-200wt.ppm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디중결합에 Si-결합수소의 부가를 지연시키는 지연제, 즉 억제제(inhibitors)의 예로는 알키놀, 푸마르산, 말레인산, 푸마레이트 및 말리에이트(maleates)가 있다.
이 발명의 조성물에서, 억제제(E)는 각각의 경우 이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5-2wt%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특히 0.1-1.0wt%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 이 발명에 의한 가교할 수 있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은 통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한 가교할 수 있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은 예로서 각각의 성분의 간단한 혼합등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억제제(E) 및 필요한 경우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가진 혼합액중에서 이 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C)은 이형첨가제로서 사용된다.
또, 이 발명은 이 발명에 의해 제조되고, 이 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C)과, 지방족 2중결합에 Si-결합수소의 부가를 지연시키는 화합물(E) 및 필요할 경우 말단지방족 탄소-탄소 2중결합을 포함한 SiC-결합유기 래디컬을 가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Si-결합수소를 포함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구성하는 이형첨가제(release additives)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의한 이형첨가제는 각각의 경우 그 수지용액(C)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억제제(E) 0.1-1.5wt%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특히 억제제 (E)0.1-1.0wt%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이 발명에 의한 이형첨가제가 포함할 경우 점도 30-100,000mm2/s를 가진 식(V)의 단위를 구성하는 실록산이 바람직하다.
특히, 위 점도범위에서 말단비닐기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이형점가제가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할 때 각각의 경우 수지용액(C)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그 함량은 1-40wt%가 바람직하며, 특히 2-30wt%가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이형첨가제에는 수지용액(C)이외에 억제제(E) 및 필요할 경우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며, 그 이상의 또다른 성분은 없다.
그 다음 이 발명에 의한 이형첨가제는 공지의 방법으로 다른성분(A), (B) 및 (D)와 혼합시켜 점착물질을 기피하는 코팅의 제조가 가능한 가교할 수 있는 오르가노폴리시록산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한 가교할 수 있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은, 예로서 접착제품에 대한 이형코팅의 제조에 부가-가교를 할 수 있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이 종래에 사용하였던 모든 목적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조성물은 예로서 캐스트필름(cast film) 또는 장식필름(decorative films) 노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된 폼(foam)을 포함하는 각종 폼의 제조에 사용되는 간삽이형지(interleaving and release papers)를 포함하여 이형, 지지 및 간삽하는 종이의 제조에 적합하다.
또, 이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예로서 점착테이프 또는 점착필름의 이면(reverse faces) 또는 점착라벨의 기입면(written faces)을 처리하는 이형,지지 및 간삽카드(interleaving cards), 필름 및 천(cloths)의 제조에도 적합하다.
이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또 종이, 카드보오드박스, 금속포일 및 드럼으로 구성되는 패키징재, 예로서 점착제, 점착식품, 즉 케이크(cakes), 꿀, 캔디 및 육류, 비튜멘(bitumen), 아스팔트, 그리스재 및 생고무등 점조성상품의 저장 및/또는 수송에 이용되는 플라스틱제, 목제 및 철제 카드보오의 패키징재의 처리에 적합하다.
이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사용의 또다른 예로는 이송과정(transfer process)에서 접촉접착층 이송용 지지체의 처리에 있다.
이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오프-라인방법(off-line method)과, 인-라인(in-line method)에 의해 그 이형지에 접속시킨 점착재 제조에 적합하다.
이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물품표면에 처리시켜 임의의 방법으로하여 점착성 물질에 기피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방법은 액상물질의 코팅제조에 적합하며, 대부분 그 방법은 디핑(dpping), 브러싱(brushing), 유동코팅(flow-coating), 분무(spraying), 롤링 또는 프린팅에 의해 공지되어 있으며, 예로서 오프셋 그라비아 코팅장치, 나이프(knife) 또는 닥터-블레이드코팅(doctor-blade coating) 또는 에어브러시의 사용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점조성물질에 기피실(repellent)이 있도록 이 발명의 범위내에서 처리할 수 있는 표면은 실온과 압력 900-1100hpa에서 고형인 물질의 표면이다.
이와같은 표면의 예로는 종이, 목제, 코르크 및 폴리머 필름, 예로서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 프로필렌 필름,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또는 유리섬유로 된 직포 및 부직포, 세라믹 제품, 글라스, 금속, 폴리에틸렌 피복지의 표면 및 보오드(boards)표면과 석면표면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폴리에틸렌 피복지는 각각의 경우 고압, 중압 또는 저압 폴리에틸렌으로 할 수 있다.
그 종이는 원지(raw)- 즉, 화학제품 및/또는 폴리머 물질로 사전처리하지 않은 원지-중량 60-150g/m2을 가진 크라프트지, 미사이징지(unsizing paper), 여수도(濾氷度)값이 낮은 종이, 글레이징(glazing) 또는 캘렌더링(calendering)을 하지 않은 종이, 종이제조시에 건조 글레이징 실린더를 사용하므로서 추가로 복잡한 처리없이 한쪽면이 평활한 종이를 포함하여 흡수지등 저급지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종이는 머신-글레이지드 페이퍼(machinc-glazed papers), 미코팅지(uncoated papers) 또는 폐지에 제조된 종이, 즉 재생지이다.
그러나, 이 발명에 의해 처리된 종이는 물론 고급지, 즉 저흡수지, 사이징지, 여수도값이 높은 종이, 화학지(chemical papers), 캘렌더링 또는 글레이징지(calendered or glazed papers), 글라신 페이퍼(glassine papers), 황산지(parchimentlzed papers) 또는 프리코트 페이퍼(precoated paper)로 처리할 수 있다.
카드와 보오도 역시 저급 또는 고급으로 할 수도 있다.
이 발명에 의한 가교할 수 있는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으로 가열시킬 수 있으며, 그 가교반응을 할 때, 이 발명에 의해 사용된 성분(C)의 말단불포화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이 화학적으로 그 실리콘 매트릭스(Silicone matrix)에 결합된다.
이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온도 50℃-200℃, 특히 60℃-150℃와 압력900-1100hpa에서 가열반응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디.
가열에 의한 가교반응에 있어서, 에너지원은 오브(ovens), 예로서 접촉전열 오븐(convection ovens), 가열터널(heating tunnels), 가열롤러, 가열판 또는 적외선 영역에서의 열선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방향족 탄화수소화합물을 분리시키므로서 특히 비교적 고온에서 위에서 설명한 이용과정중에 바람직하게 방사를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안전성이 높고 재현팔 수 있는 이형치(release values)를 가진 코팅을 나타내는 추가 잇점이 있다.
다음 실시예에서 특별한 설멸이 없으면 모든부와 백분율(%)은 중량부와 중량 %를 나타낸다.
또, 다음 실시예는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압력은 주위 대기압, 즉 약1000hpa에서 실온, 즉 약 20℃ 또는 반응물질을 추가 가열 또는 냉각없이 실온에서 혼합할 때 설정한 온도에서 실시한다.
다음 실시예에서 나타낸 점도 전체는 온도 25℃에서 행한 것이다.
[실시예 1]
물 420g과 20% 염산 3.8g을, 40% SiO2함량을 가진 테트라에톡시실란 1800g (상품명 TES 40, Wacher-Chemie GmbH 제품), 헥사메틸 디실록산 730g alc 1,3-디비닐테트라메틸 디실록산 110g에 첨가시켜 얻어진 혼합액을 환류하에 온도 78℃에서 2.5시간 가열하였다.
그 다음, 증류액 970g을 1시간에 걸쳐 얻었다.
그 얻어진 증류액에는 10%의 물과 90%의 에탄올이 포함되었다.
1-도데센(chevron chemical Houston 제품, 제네바) 990g과 NaOH를 물에 용해한 25% 농도용액 8g을 그 균질의 반응 혼합액에 첨가하여 휘발성분 560g을 증류시켜 제거하였다.
얻어진 그 증류액에는 에탄을 56%, 물 42% 및 1-도데센 2%로 구성되었다.
그 다음으로 그 균질의 반응 혼합액을 20%농도의 염산 5ml로 중화시켜 휘발성된 15g을 증류시켜 제거하였다.
이 증류액에는 에탄콜 61%, 물 27%. 1-도데센 12%가 포함되었다.
다음으로 완전 침전된 소듐 클로라이드를 여과시켜 제거하였다.
이와같이하여 얻어진 그 수지용액을 온도 130℃와 압력 30hpa에서 휘발성분568g을 증류제거에 의해 또 다른 처리단계에서 농축시켰다.
그 얻어진 증류액에는 에탄올 1%과 1-도데센 99%로 구성되었으며, 그 수지용액의 제조에서 재사용 할 수 있다.
수지함량 78%와 점도 767㎜2/s을 가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 1745g을 얻었다.
25℃에서 2개월간 저장한 후 그 수지용액의 점도변화가 없었다.
1H-NMR의 측정에 의해, 그 스지를 제조할 때 1-도데센에서의 말단탄소-탄소 2중결합의 이성화가 없었음을 나타내었다.
-CH=CH-단위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 얻어진 수지용액을 1-도데센으로 그 수지함량 50%까지 희석 시킬 경우 그 언어진 용액은 점도 7.8㎜2/s와 Si결합히드록시기 함량 0.09% 및 잔류산농도 3ppm을 가졌다.
[대비 실시예 1]
이 밭명의 실시예 1의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위 인용한 독일특허 공보 DE 42,16139A의 실시예 3에 기재된 공정에 따라 제조되고, 톨루엔에 [Me3SiO1/2], [(CH2=CH)Me2SiO1/2] 및 (SiO4/2)단위로 구성되는 MQ수지(여기서 Me는 메틸 래디컬임)를 용해시키고 고형분함량 70%를 가진 용액 500g을 1-도데센 500g과 혼합하였다.
휘발성분 152g을 온도 75℃와 압력 30hpa에서 증류제거하였다.
언어진 잔류물은 1-도데센에 MQ수지를 용해한 78%용액 448g으로 구성되었다. [잔류톨루엔함량 0.9%(1H-NMR측정에 의해 구함)와 점도 721㎜2/s을 가짐]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78%농도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을 사용하여 다음 물질과의 혼합에 의해 코팅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78%농도 수지용액 70부, 점도 500㎜2/s을 가진 α, ω-디메틸비닐 실록시폴리 디메틸실록산 20부, 점도 20,000m2/s을 가진 α,ω-디메틸비닐실록시폴리 디메틸 실록산 10부, 점토 25㎜2/s, Si-결합수소함량 1.62%를 가진, α, ω-트리메틸실록시폴리메틸 히드리도실록산 5.3부, 에티닐시클로헥산을 0.25부 및 백금원소를 기준으로 하여 전체 혼합액이 백금함량 100ppm을 갖도록 하는 량으로 하여 백금 -1,3-디비닐-1,1,3,3-테트라메틸 디실록산 착체 형태의 백금.
이와같이 하여 제조한 혼합액을, 그 처리중량이 1.5g/m2으로 되도록 금속제드로잉로드(drawing rod), 수동식 닥터나이프(doctor knife)를 사용하혀 65g/m2의 글라신페이퍼(glassine paper)에 코팅하였다.
그 다음, 이와같이 코팅을 한 종이를 150℃에서 12초동안 접촉전열오븐(convection oven)내에서 경화하였다.
그 다음 그 코팅지의 한 섹션 각각을 고무접착제, 상품명 T-4154 및
K-7476과 아크릴 접착제, 상품명 A-7475(Beiersdorf사 제품, 독일)로 커버시켰다(피복).
그 다음으로 그 래미네이트(laminate)를 숙성시켜(age) FINAT테스트(test) No.10에 따라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를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대비 실시예 2]
그 코팅조성물물 제조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78%농도 수지용액 70% 대신 대비실시예의 78%농도수지용액 70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처리공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그 코팅조성물의 경화 과정에서 틀루엔이 방출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78%농도의 수지용액을 점도500㎜ /s를 가진 α, ω-디메틸비닐실록시 폴리 디메틸실록산과 중량비 1:1로 혼합하였다.
25℃와 주위 대기압에서 수일간 저장하여도 그 혼합액은 완전히 투명하였고, 균질상태로 유지되었다.
흐림(cloudiness)이 없었다.

Claims (7)

  1. 탄소원자 10-14개를 가진 1-알켄으로 구성되고 방향족 탄화수소화합물이 없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
  2. 제1항에 있어서, 탄소원자 10-14개를 가진 1-알켄 이외에는 탄화수소화합물이 없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
  3. 제1단계에서 다음식(I)의 최소한 하나의 실란 및/또는 그 가수분해물(R3SiOSiR3)과, 다음식(II)의 최소한 하나의 실란 및/또는 그 부분 가수분해물과, 선택적으로 다음식 (III)의 실란 및/또는 그 부분 가수분해물과 다음식(IV)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한 오르가노 실리콘 화합물을 산의 존재하에서 물과 반응시켜 생성한 알코올의 최소한 일부를 증류에 의해 제거시키며; 제2단계에서는 제1단계에서 얻어진 균질의 반응물질을 염기와, 균질의 반응물질을 얻는 데 최소한 충분한 양의 말단과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의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물과 알코올을 증류에 의해 제거시키며; 제3단계에서는 제2단계에서 얻어진 균질의 반응물질을 산으로 중화시켜 말단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을 부분적으로 증류 제거하고 아직도 존재하는 물과 알코올을 완전히 증류시켜 그 중화반응에서 발생한 침전된 염을 제거시키며; 선택적으로 제4단계에서는 제3단계에서 얻어진 균질의 반응물질을 말단 불포화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에서 부분적으로 유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탄화수소화합물이 없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의 제조방법.
    위식에서, R은 각각의 경우 같거나 다르며, 1가 유기래디컬이고, R1은 알킬래디컬이고, R2는 각각의 경우 같거나 다르며, 알킬래디컬이며, a는 1또는 2이고, R3은 각각의 경우 같거나 다르며, 1가 유기래디컬이고, R4는 각각의 경우 같거나 다르며, 알킬래디컬이고, R5는 각각의 경우 같거나 다르며, 1가 유기래디컬이고, b는 3-8의 정수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그 말단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은 탄소원자 10-18개를 가진1-알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탄화수소화합물이 없는 오르가노포리실록산 수지용액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는 필요할 경우 1,3-디비닐테트라메틸 디실록산 및/또는 비닐디메틸에록시실란 및 테트라에톡시실란 및/또는 그 부분 가수분해물을 가진 혼합물중에서 헥사메틸디실록산 및/또는 트리메틸에톡시실란을 증류전 제1단계의 반응물질 총중량을 기준으로하여 HCl 100-500ppm 및 물과 혼합시켜 이들의 성분을 그 반응물질의 비점온도와 압력 900-1100hpa에서 반응시키며, 생성한 에탄올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생성된 에탄올 약 70wt%를 증류제거시키고; 제2단계에서는 제1단계에서 얻은 균질의 반응물질을 소듐 히드록사이드, 포타슘히드록사이드 및 메틸아민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한 염기와 탄소원자 10-18개를 가진 1-알켄의 존재하에서 그 반응물질의 비점온도와 압력 900-1100hpa하에 물과 반응시켜, 에탄올을 완전히 증류 제거시키며; 제3단계에서는 제2단계에서 얻어진 균질의 반응물질을 HCl과 중화시켜, 물과 에탄올을 완전히 증류 제거시키며, 1-알켄을 부분적으로 증류 제거시키고, 중화반응에서 생성한 침전염을 여과시켜 제거하고; 선택적으로 제4단계에서는 제3단계에서 얻어진 반응물질을 증류에 의해 말단 불포화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로부터 유리시킴을 특징으로하는 방향족 탄화수소화합물이 없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의 제조방법.
  6. (A) 말단 지방족 탄소-탄소 2중 결합을 포함하는 SiC-결합유기 래디컬을 가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 (B) Si-결할수소를 포함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C) 제1항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 (D) 섭그룹(subgroup)8의 금속착체 또는 금속화합물 및 선택적으로 (E)지방족 2중 결합에 Si-결합수소의 부가를 지연시키는 화합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할 수 있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7. 제1항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C)과, 지방족 2중 결합에 Si-결합수소의 부가를 지연시키는 화합물(E)과, 선택적으로 말단 지방족 탄소-탄소 2중 결합을 포함하는 Si-결합 유기래티컬을 가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Si-결합수소를 포함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 구성하는 그룹에서 선택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첨가제(release additive).
KR1019950035394A 1994-10-14 1995-10-13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 그 제조방법 및 그 코팅조성물의 사용 KR0180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436817A DE4436817A1 (de) 1994-10-14 1994-10-14 Organopolysiloxanharzlösung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in Beschichtungsmassen
DE94-P4436817.8 1994-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214A KR960014214A (ko) 1996-05-22
KR0180618B1 true KR0180618B1 (ko) 1999-05-15

Family

ID=6530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5394A KR0180618B1 (ko) 1994-10-14 1995-10-13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 그 제조방법 및 그 코팅조성물의 사용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861457A (ko)
EP (1) EP0707028B1 (ko)
JP (1) JP2793157B2 (ko)
KR (1) KR0180618B1 (ko)
CN (1) CN1066468C (ko)
AT (1) ATE157381T1 (ko)
CA (1) CA2157455C (ko)
DE (2) DE4436817A1 (ko)
ES (1) ES2105831T3 (ko)
RU (1) RU2129571C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378B1 (ko) * 2005-12-07 2010-06-2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박리력을 조절할 수 있는 실리콘 이형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실리콘 이형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06113B (en) 1997-03-20 2000-09-21 Wacker Chemie Gmbh Crosslinkable compositions possibly comprising MQ silicone resins
WO1998042789A1 (de) * 1997-03-20 1998-10-01 Wacker-Chemie Gmbh Gegebenfalls mq-siliconharze enthaltende vernetzbare zusammensetzungen
KR100274785B1 (ko) * 1997-10-31 2000-12-15 양 딩유안 자동 밴드-스캔 기능을 갖는 풀-밴드 페이저
US6182572B1 (en) * 1998-08-29 2001-02-06 Malessa Partner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ultiple cut business forms
US6656555B1 (en) * 1999-10-13 2003-12-02 Malessa Partners, L.L.C. Integrated forms and method of making such forms
DE10242418A1 (de) 2002-09-12 2004-03-25 Wacker-Chem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rganopolysiloxanharz
DE102005003899A1 (de) * 2005-01-27 2006-08-03 Wacker Chemie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alkoxyarmen Siliconharzen
DE102006009745A1 (de) * 2006-03-02 2007-09-06 Wacker Chemie Ag Vernetzbare Siliconzusammensetzungen
DE102010043149A1 (de) * 2010-10-29 2012-05-03 Wacker Chemie Ag Hochtransparente durch Licht vernetzbare Siliconmischungen
RU2612532C2 (ru) * 2015-07-01 2017-03-0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космических и авиа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ООО "НИИКАМ") Катализатор полимеризации на основе высокомолекулярных комплексов платины, полимерная теплопроводящая композиция,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лимерной теплопроводящей композиции и эластичная теплопроводящая электроизолирующая прокладка
CN106700438A (zh) * 2016-12-08 2017-05-24 广西北海浩邦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环保塑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76429D1 (en) 1982-09-10 1988-06-01 Gen Electric Solventless silicone controlled release compositions
US4526953A (en) * 1983-10-03 1985-07-02 General Electric Company Modified silicone release coating compositions
US4830924A (en) * 1983-10-03 1989-05-16 General Electric Company Modified silicone release coating compositions
JPS61195129A (ja) 1985-02-22 1986-08-29 Toray Silicone Co Ltd 有機けい素重合体の製造方法
US4623700A (en) * 1985-06-07 1986-11-18 General Electric Company 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useful for coating optical fibers
JPH0739493B2 (ja) * 1991-10-01 1995-05-01 ワツカー−ケミー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樹脂の製法及び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樹脂粉末の製法
DE4132697A1 (de) * 1991-10-01 1993-04-08 Wacker Chem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rganopolysiloxanharz
JPH05112430A (ja) * 1991-10-18 1993-05-07 Kanebo Ltd 化粧料
CA2087760A1 (en) * 1992-02-06 1993-08-07 Frank J. Traver Mq resin manufactured in solvent consisting of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from 6 to 15 carbon atoms
JP3095868B2 (ja) * 1992-03-31 2000-10-10 株式会社日本触媒 電気粘性流体組成物
US5548053A (en) 1992-05-15 1996-08-20 Wacker-Chemie Gmb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rganopolysiloxane resin
FR2698875B1 (fr) * 1992-12-04 1995-01-13 Rhone Poulenc Chimie Système silicone modulateur d'adhérence et son utilisation pour la préparation de compositions antiadhérentes durcissables.
FR2704553B1 (fr) * 1993-04-30 1995-06-09 Rhone Poulenc Chimie Alcools alpha-acétyléniques à longue chaîne comme inhibiteurs de réaction d'hydrosilylation, et leur application pour la préparation de compositions silicones durcissables stables.
GB9317813D0 (en) * 1993-08-27 1993-10-13 Dow Corning Sa Silicone emulsion compositions
GB9526498D0 (en) * 1995-12-23 1996-02-28 Dow Corning Silicone release coating composi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378B1 (ko) * 2005-12-07 2010-06-2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박리력을 조절할 수 있는 실리콘 이형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실리콘 이형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468C (zh) 2001-05-30
KR960014214A (ko) 1996-05-22
CN1126731A (zh) 1996-07-17
CA2157455A1 (en) 1996-04-15
DE4436817A1 (de) 1996-04-18
CA2157455C (en) 1999-08-03
ES2105831T3 (es) 1997-10-16
EP0707028A1 (de) 1996-04-17
ATE157381T1 (de) 1997-09-15
JPH08183860A (ja) 1996-07-16
DE59500562D1 (de) 1997-10-02
JP2793157B2 (ja) 1998-09-03
EP0707028B1 (de) 1997-08-27
US5861457A (en) 1999-01-19
RU2129571C1 (ru) 1999-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7987A (en) Organopolysiloxanes containing both acryloxyalkyl groups and Si-bonded hydrogen atoms in the same molecule
JP3120081B2 (ja) アルケニル基を有するシロキサンコポリマー、その製造方法、該シロキサンコポリマーを含有する架橋性組成物、該組成物の使用、Si結合水素原子を有するシロキサンコポリマ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60012462B1 (ko) 푸마레이트 경화-조절 첨가제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034985B1 (ko) 실리콘 이형 코팅 조성물
KR100275288B1 (ko) 지방족불포화래디컬을 가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그 제조방법 및 가교조성물에서의 그 사용(organopolysiloxanes having aliphatically unsaturated radicals,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in crosslinkable materials)
US6093782A (en) Crosslinkable compositions
KR0180618B1 (ko)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액, 그 제조방법 및 그 코팅조성물의 사용
US5942591A (en) Curable silicone release composition and release sheet
JP4160795B2 (ja) 分枝したオルガノシロキサン(コ)ポリマー、その製法、その使用、これを含有する被覆組成物、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成形体及び被覆及び粘着物質拒絶性皮膜の製法
JPH09208827A (ja) 有機珪素化合物、その製法、これを含有する架橋性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粘着物質拒絶性被覆
US5760145A (en) Crosslinkable compositions comprising organopolysiloxanes containing aliphat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radicals
JP2003226840A (ja) シリコーン塗料組成物のための曇り防止添加剤としてのアルケニル基を有するシロキサンコポリマー
US5567764A (en) Curable silicone coatings containing alkoxy and alkenyl functional siloxanes
JPH10501022A (ja) 官能化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及びその一つの製造方法
KR101037999B1 (ko) 가교결합 가능한 실리콘 코팅 조성물
JP2006083392A (ja) アルケニル基を有す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
JP4173820B2 (ja) シリコーン被覆組成物用の霧化防止添加物としてのSi結合水素原子を有するシロキサンコポリマー
US5386007A (en) Siloxane copolymers containing alkenyl group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KR20080005576A (ko) 알릴유기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가교성 조성물
KR20070090824A (ko) 가교결합성 실리콘 조성물
US5484871A (en) Organopolysiloxanes containing hydrophilic groups
US6274692B1 (en) Cross-linkable compounds, optionally containing MQ silicon resins
CA2041262C (en) Crosslinkable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the production of coatings which repel sticky substances
JP4065852B2 (ja) 架橋可能なシリコーン被覆組成物中の霧化防止添加物としての、アルケニル基を有するシロキサンコポリマーの使用
US5866707A (en) Process for preparing organosilicon compounds having Si-bonded hydrogen ato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