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392B1 -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그의 수성 분산체 및 이것으로 코우팅된 접착이 빠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그의 수성 분산체 및 이것으로 코우팅된 접착이 빠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392B1
KR0179392B1 KR1019940006833A KR19940006833A KR0179392B1 KR 0179392 B1 KR0179392 B1 KR 0179392B1 KR 1019940006833 A KR1019940006833 A KR 1019940006833A KR 19940006833 A KR19940006833 A KR 19940006833A KR 0179392 B1 KR0179392 B1 KR 0179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ol
polyester
dicarboxylic aci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900A (ko
Inventor
도모끼 나까무라
데쓰오 이찌하시
마사유끼 후꾸다
Original Assignee
이따가끼 히로시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따가끼 히로시,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따가끼 히로시
Priority to KR1019940006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392B1/ko
Publication of KR950026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8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63/688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containing sulfur
    • C08G63/6884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containing sulfur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88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9Hydroxy compoun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93Hydroxy compounds containing aromatic rings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63/195Bisphenol 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08G63/668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72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9D1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A)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95 몰% 이상이 30 ∼ 99.5 몰 % 의 2,6 -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0.005 몰% 이상 5 몰 % 미만의 술폰산염 기를 갖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함유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B) 글리콜 성분의 95 몰% 이상이 에틸렌 글리콜 성분 및 비스페놀 A 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로부터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에틸렌 글리콜 성분 : 비스페놀 A 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 성분의 몰비가 40 ∼ 99 : 60 ∼ 1 인,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글리콜 성분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상기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1 이상의 표면상에 형성된 코우팅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이 빠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Description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그의 수성 분산체 및 이것으로 코우팅된 접착이 빠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은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그의 수성 분산체 및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로 코우팅된 접착을 빠르게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접착을 빠르게 하는 성질은 이하 빠른 접착성 이라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내열성, 내수성 및 내블로킹성이 우수한 접착이 빠른 코우팅 (층) 을 형성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이의 수성 분산체, 및 이것으로 코우팅되어 있으며 포장재료, 자기 카드,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및 인쇄 재료 등에 유용한 접착이 빠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동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의 동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이들 동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배합물과 같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및 소량의 기타의 수지를 용융 압출시키고, 압출물을 2 축 연신시키고, 연신된 필름을 열경화시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므로 산업상의 여러분야에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면 필름 표면이 고도로 결정배향되어 코우팅 조성물, 접착제 또는 잉크에의 수용성 (receptivity)을 나타내지 않는 문제점이 생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표면의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합성수지의 프라이머층(하 코우팅층) 을 필름표면상에 미리 형성하고 기재필름과는 다른 얇은 표면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프라이머층은 합성수지의 유기용매용액 또는 수성액(수용액 또는 수성 분산액) 을 필름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 99,947/1980 호에는 (A) 테레프탈산, (B) 1,4 - 부탄디올 또는 에틸렌 글리콜, (C)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디올 공중합체 성분 및 (D) 에스테르-형성 술폰산 금속염 단량체로부터 형성된 폴리에스테르의 수성 분산체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 3,419/1990 호에는 30 ∼ 70 몰% 가 비스페놀 A 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비스페놀 S 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및/또는 네오펜틸 글리콜로부터 형성된 글리콜 유래의 성분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수성 분산체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 132,171 / 1991 호에는 0 ∼ 60 몰% 가 비스페놀 A 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로부터 형성된 글리콜 유래의 성분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수성 분산체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 328,308 / 1991 호에는 5 몰% 이상의 페닐인단디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다염기산 유래의 성분으로부터 형성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 348,941 / 1992 호에는 Tg 가 30 ∼ 130 ℃이며 5 - 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을 함유하는 코폴리에스테르 적층 표면층을 가진 접착이 빠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공보의 실시예 2 에는 87.5 몰% 의 테레프탈산 및 12.5 몰% 의 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으로부터 형성된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성분 및 70 몰% 의 에틸렌 글리콜 및 30 몰% 의 미스페놀 S 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로부터 형성된 디올 유래의 성분을 가진 코폴리에스테르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 86,175 / 1993 호에는 50 몰% 이상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에스테르 형성 술폰산 알칼리금속염 화합물 및 5 ∼ 90 몰% 의 2,2-비스(4-히드록시페닐) 프로판 유도체를 함유하는 글리콜 성분으로부터 형성된 수용성 코폴리에스테르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보의 실시예 4 에는 80 몰% 의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및 20 몰% 의 디메틸 5- 나트륨술포이소 프탈레이트로부터 형성된 테레프탈레이트 및 20 몰% 의 디메틸 5 - 나트륨술포이소 프탈레이트로부터 형성된 가르복실산 유래의 성분 및 30 몰% 의 2,2-비스(4-히드록시페닐) 프로판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 및 70 몰% 에틸렌 글리콜로부터 형성된 글리콜 유래의 성분을 갖는 수용성 코폴리에스테르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통상적인 폴리에스테르의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용액으로부터 형성된 프라이머층은 내열성 및 내수성의 면에서 만족스럽지 않다. 따라서, 필름 형성단계 및 생성물인 필름의 취급시에 문제가 있다. 특히, 고습도하에 고온에서의 필름의 점착성 (블로킹) 에 문제가 있다. 블로킹을 방지하기 위해,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코우팅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코우팅양의 감소에 따라 목적하는 접착성이 빠른 성능도 감소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의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내열성, 내수성 및 내블로킹성이 우수한 접착이 빠른 코우팅 (프라이머층 : 접착이 빠른층) 을 형성할 수 있는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수성 분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함유하는 코우팅이 제공된 접착이 빠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의 특징 및 잇점은 하기의 기술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및 잇점은 우선,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글리콜 성분을 함유하는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에 의해서 달성되며, 여기에서 (A)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95 몰% 이상이 30 ∼ 99.5 몰% 의 2, 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0.005 몰% 이상 5 몰 % 미만의 술폰산염 기를 갖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B) 글리콜 성분의 95 몰% 이상이 에틸렌 글리콜 성분 및 비스페놀 A 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로부터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에틸렌 글리콜 성분 : 비스페놀 A 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 성분의 몰비가 40 ∼ 99 : 60 ∼ 1 이다.
본 발명의 수분산성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에서는, 95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거의 모두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5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2 몰% 이하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이외의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이외의 이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 및 세바스산과 같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30 ∼ 99.5 몰%, 바람직하게는 35 ∼ 99 몰% 의 2,6 -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술폰산염 기를 갖는 0.005 (포함) ∼ 5(제외) 몰% 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함유한다.
2,6 -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의 함량이 30 몰% 미만이면, 바람직하지 않게도 코폴리에스테르 코우팅을 갖는 필름은 내블로킹성이 불량하다. 99.5 몰% 를 초과하면, 이후에 기재할 수성 분산체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친수성 유기용매에 코폴리에스테르를 용해시키기 어렵다. 또한, 술폰산염 기를 갖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함량이 0.005 몰% 미만이면, 바람직하지 않게도 코폴리에스테르는 감소된 친수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수성 분산체를 형성하기 어렵다. 5 몰% 보다 많으면, 바람직하지 않게도 코폴리에스테르 코우팅을 갖는 필름은 감소된 내블로킹성을 나타낸다.
술폰산염 기를 갖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바람직하게는 5-나트륨술포이소프탈레이트, 5-칼륨술포이소프탈레이트, 5-리툼술포이소프탈레이트 및 5-포스포늄술포이소프탈레이트가 있다. 이들 중에서, 5-나트륨술포이소프탈레이트 및 5-리튬술포이소프탈레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며, 5-리튬술포이소프탈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2, 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술폰산염기를 갖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이외에 65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몰% 이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한 기타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예를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또는 비페닐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형성된다. 이들 중에서, 이소프탈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형성하는 글리콜 성분의 95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8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거의 모두가 에틸렌 글리콜 성분 및 비스페놀 A 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로부터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틸렌 글리콜 성분 : 비스페놀 A 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로부터의 성분의 몰비는 40 ∼ 99 : 60 ∼ 1, 바람직하게는 60 ∼ 90 : 40 ∼ 10이다.
에틸렌 글리콜 성분 및 비스페놀 A 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로부터의 성분 이외의 글리콜 성분은 5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2 몰% 이하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한 기타의 글리콜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1,4-부탄디올 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부터 형성된다.
에틸렌 글리콜 성분 : 비스페놀 A 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로부터의 성분의 몰비가 40 : 60 미만인 경우, 바람직하지 않게도 코폴리에스테르 코우팅을 가진 필름은 내블로킹성의 감소를 나타낸다.
비스페놀 A 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은 예를들면 하기의 식으로 나타낸다.
[상기 식에서, k 및 m 은 각각 독립적으로 1 ∼ 9 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k + m 은 2 ∼ 10 이다]
k + m 이 너무 크면, 공중합체는 감소된 내블로킹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k + m 의 합은 작은것이 바람직하며, k + m = 2 인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코폴리에스테르는 35℃ 의 o-클로로페놀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가 0.2 ∼ 0.8 인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코폴리에스테르는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적하는 고유점도를 가진 코폴리에스테르는 2, 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 이소프탈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 및 5-술포네이트이소프탈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를 에틸렌 글리콜 및 비스페놀 A 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과 반응시켜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형성한 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진공하에 중축합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한 반응 및 상기한 중축합은 에스테르화 촉매 또는 에스테르 상호교환 촉매및 중축합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와 같은 여러가지 첨가제를 가할수 있다.
본 발명의 코폴리에스테르는 물에 분산가능하며, 쉽게 수성 분산체를 수득한다. 예를들면 수성 분산체는 하기와 같이 제조한다.
먼저, 20℃ 의 물 1 ℓ 중의 용해도가 20 g이상이며 비점이 100℃ 이하이고, 100℃ 이하에서 물과 공비하는 친수성 유기용매에 코폴리에스테르를 용해시킨다. 유기용매는 디옥산, 아세톤,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메틸 에틸케톤으로부터 선택한다. 소량의 계면활성제를 용액에 추가로 가할 수 있다.
이어서, 교반하에 유기 용매에 용해된 상기 코폴레에스테르 용액에, 바람직하게는 용액을 가열하에 고속으로 교반하면서 물을 가하여 청백색 또는 유백색의 분산체를 수득한다. 또는, 물을 교반하면서 물에 유기 용매에 용해된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용액을 가하여 청백색 또는 유백색의 분산체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한 분산체를 대기압하 또는 감압하에 증류시켜 친수성 유기용매를 증류제거함으로써 목적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수성 분산체를 수득할 수 있다. 코폴리에스테르가 물과 공비하는 친수성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경우, 유기용매가 증류제거될때 물은 공비하여 증류 제거된다. 따라서, (공비하여 증류 제거된) 물의 손실량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미리 다량의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증류후 고형분의 농도가 40 중량% 를 초과하면, 물에 분산된 코폴리에스테르의 미립자는 재응집이 일어나기 쉬우며, 수성 분산체의 안정성은 감소한다. 따라서, 고형분의 농도를 40 중량% 이하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형분 농도의 하한은 특별한 제한이 없다. 그러나, 고형분의 농도가 낮으면, 사용할 분산체를 건조시키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그러므로, 고형분 농도의 하한은 0.1 중량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형분 농도는 특히 1 ∼ 20 중량 % 인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코폴리에스테르의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지름은 일반적으로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이하이다.
이렇게 수득된 코폴리에스테르의 수성 분산체를 하기에 기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필름에 빠른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본 발명의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1 이상의 표면상에 형성된 코우팅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이 빠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건조 코우팅으로서, 상기한 코우팅은 두께가 5 ∼ 1000 ㎛ 인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시에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와 같은 적당량의 계면 활성제를 폴리에스테르 수성 분산체에 혼입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의 표면장력을 40dyne/cm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그의 습윤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러가지 계면활성제를 이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금속 비누, 알킬 술페이트,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 술포숙시네이트, 4 차 염화암모늄, 알킬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나트륨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가 있다.
폴리에스테르의 수성 분산체는 필요에 따라, 대전방지제, 충진제, 자외선 흡수제, 윤활제 및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재필름으로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2, 6- 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상기한 동종 중합체 및 그외의 코모노머로부터 수득된 공중합체로 형성된 필름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미연신 필름, 1 축 연신필름 및 2 축 연신 필름일 수 있다. 연신된 필름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의 수성 분산체는 필요에 따라 임의의 단계에서 폴리에스테르에 도포할 수 있다. 예를들면, 폴리에스테르의 수성 분산체를 미연신 또는 1 축 연신 필름에 도포하고 가열하에 건조시킨후, 필름을 더 연신시키는 방법, 또는 2 축 연신된 필름에 도포한 후 건조시킨다. 폴리에스테르의 수성 분산체는 1 축 연신 필름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의 수성분산체는 키스-로울 코우팅법, 리버어스-로울 코우팅법, 그라비에 코우팅법 또는 다이 코우팅법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폴리에스테르에 도포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의 수성 분산체로부터 형성된 코우팅의 최종(건조)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 ∼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2 ㎛,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 0.3 ㎛ 이다.
이렇게 수득된 접착이 빠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접착 강도가 높고 내열성, 내수성 및 내블로킹성이 우수하다. 그러므로, 자기 카드,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인쇄 재료, 그래픽 재료 및 감광재료에 적당하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하기에 상세히 기술하겠으며, 여기서 부는 중량부 이다. 실시예에 나타낸 특성치는 하기와 같이 측정한다.
(1) 접착성
하기의 자기 코우팅 조성물을 소정의 조건하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프라이머 코우팅에 도포하고, 나비가 19.4 mm 이고, 길이가 8 cm 인 스카치 테이프 No. 600 (3-M Co. 제조) 를 공기 기포가 포함되지 않도록 접착시킨다. 표면을 JIS C2701 (1975) 에 기재된 바와같은 동일한 수동식 하중 로울러로 평평하게 하고, 5 cm 길이의 적층 부분에 헤드 속도가 300 mm/분인 텐실론 (Tensilon) UM-11 (Toyo Baldwin 제조) 을 사용하여 박리시험을 행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한다. 측정치를 테이프 나비로 나누어 접착성 (g/cm) 을 구한다. T-박리시험에서는, 처어크 간격을 5 cm 으로 하여 적층을 테이프의 아래쪽으로 놓고 샘플을 연신한다.
[평가용 자기 코우팅 조성물의 제조]
니트로셀룰로오스 RIS/2 (25 % 이소프로판올을 함유하는 플레이크 ;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을 코우팅 조성물용으로 사용되는 락커 희석제에 용해시켜 40 중량% 의 용액을 제조한다. 43.9 부의 이 용액을 볼밑에 넣은후, 32.5 부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데스모펜 (Desmophen) #1700, Bayer AG 제조), 26.0 부의 이산화크롬 자기 분말, 분산제-습윤제로서 1 부의 대두유 지방산 (레시온 (Lecion) P, Riken Vitamin K.K. 제조), 0.5 부의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카티온 (Cation) AB, Nippon Oils and Fats Co., Ltd. 제조) 및 분산제-습윤제로서 0.8 부의 스쿠알렌 (상어의 간유)을 볼-밀에 넣는다. 또한 282 부의 메틸 에틸 케톤/시클로헥사논/톨루엔 (= 3/4/3 (중량비), 혼합 용액을 가한다. 혼합물을 완전히 미세하게 분말화하여 모액 코우팅 조성물 (고형분 함량 45 중량%) 을 제조한다. 이 모액 50 부,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의 부가반응 생성물 (코로네이트 (Coronate)L, Nippon Polyurethane Kogyo K.K. 제조) 48 부 및 부틸 아세테이트 6.25 부를 혼합하여 고형분 함량이 42.7 중량 % 인 자기 코우팅 조성물을 수득한다.
(2) 내블로킹성
한 필름의 처리면을 다른 필름의 비처리면에 놓아 두 필름을 적층하고 60℃ 및 상대습도 60 % 의 대기압 하에서 17 시간동안 겹쳐진 필름에 6 kg/㎠ 의 압력을 가한다. 이어서, 두 필름을 서로 박리시킨다. 내블로킹성은 박리강도(g/5 cm) 를 기준으로 하여 평가한다.
(3) 표면상태
실시예에 나타낸 조건하에서 수득된 2 축 연신 프라이머-코우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코우팅된 표면에 금속을 증착시키고, 금속 부착 표면을 10,000 배로 확대한 주사 전자 현미경 (S-2150, Hitachi Ltd. 제조) 을 사용하여 표면 형태를 관찰한다. 연속적인 금속 표면층이 형성된 표면을 양호한 것으로 한다.
[실시예 1]
[코폴리에스테르의 제조]
디메틸 2, 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100 부, 5-나트륨 술포이소프탈레이트 2.5 부, 에틸렌 글리콜 44 부 및 비스페놀 A 와 2 몰의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부가물 43 부를 에스테르 교환 반응기에 넣고, 0.05 부의 테트라부톡시티타늄을 가한다. 질소 대기하에서 온도를 230℃ 로 조절하고 형성된 메탄올을 증류하면서, 혼합물을 가열함으로써 에스테르 상호교환 반응을 행한다.
이어서, 0.6 부의 이르가녹스 (Irganox) 1010 (Ciba Geigy 제조) 를 상기한 반응계에 가한다. 반응계 중의 온도를 서서히 255℃ 까지 상승시키고, 반응계의 압력을 1 mmHg 로 감소시켜 중축합 반응을 행함으로써 고유 점도가 0.50 인 코폴리에스테르를 수득한다. 표 1 은 이렇게 수득한 코폴리에스테르의 조성물을 나타낸다.
[폴리에스테르의 수성 분산체의 제조]
20 부의 상기에서 수득한 코폴리에스테르를 80 부의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에 10,000 회전/분의 고속 교반하에 180 부의 물을 가하여 청색빛의 유백색 분산체를 수득한다. 분산체를 20 mmHg 의 감압하에 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증류제거한다. 그 결과, 고형분 함량이 10 중량% 인 폴리에스테르 수성 분산체를 수득한다.
또한, 2 부의 비이온계 계면활성계 :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HLB=12.8) 를 상기한 폴리에스테르 수성 분산체에 가하고, 618 부의 물을 추가로 가하여 코우팅액을 수득한다.
[접착이 빠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35℃ 의 o-클로로페놀에서 측정한 고유점도가 35℃ 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용융-압출하여 두께가 158 ㎛ 인 미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미연신 필름을 기계방향으로 3.5 배 연신한후, 상기한 코우팅을 1 축 연신된 필름의 한 표면에 도포한다. 필름을 105℃ 에서 횡방향으로 3.9 배 연신하고 200℃ 에서 4.2 초동안 열경화시켜 평균 코우팅 중량이 20 mg/㎡ 이고 두께가 12.2 ㎛ 인 2 축 연신된 프라이머-코우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된 필름을 처리된 표면상에서의 접착성, 내블로킹성 및 표면상태에 대해 평가한다.
표 1 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 4]
코폴리에스테르용 성분과 그의 양을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1 에 나타낸 조성을 가진 코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한다. 이어서, 코폴리에스테르를 상기에서 수득한 코폴리에스테르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의 수성 분산체 및 코우팅액을 제조한다.
이어서, 코우팅액을 상기에서 제조한 코우팅액으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2 축 연신된 프라이머-코우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된 필름을 처리된 표면상에서의 접착성, 내블로킹성 및 표면상태에 대해 평가한다. 표 1 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1]
5-나트륨 술포이소프탈산 및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의 양을 각각 8 몰% 및 32 몰% 로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2축 연신된 프라이머 코우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된 필름은 불량한 내블로킹성을 나타내었으며 실용되기에 부적당하였다.
[비교예 2]
디메틸 2, 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를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변화시키고, 비스페놀 A 와 2 몰의 프로필렌 옥사이드와의 부가물을 비스페놀 A 와 4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의 부가물로 변화시키고 5-나트륨 술포이소프탈산의 양을 12.5 몰% 로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동일한 방법으로 2축 연신된 프라이머-코우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된 필름은 저하된 내블로킹성을 나타내었으며 필름 표면은 줄무늬의 균열이 생겼다. 그러므로 실용에 적당하지 않다.
[비교예 3]
비스페놀 A 와 2 몰의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부가물 (BPA-P) 대신에 비스페놀 A 와 4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의 부가물 (BPA-E)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0.60 의 고유 점도를 갖는 코폴리에스테르를 수득한다. 이 코폴리에스테르를 60 ℃, 60 % R.H. 하에서 내블로킹성을 측정한 결과 16 g/5 cm 이었으며, 따라서 저하된 내블로킹성을 나타내었다.

Claims (10)

  1. (A)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95 몰% 이상이 30 ∼ 99.5 몰 % 의 2,6 -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0.005 몰% 이상 5 몰 % 미만의 술폰산염 기를 갖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함유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B) 글리콜 성분의 95 몰% 이상이 에틸렌 글리콜 성분 및 비스페놀 A 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로부터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에틸렌 글리콜 성분 : 비스페놀 A 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 성분의 몰비가 40 ∼ 99 : 60 ∼ 1 인,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글리콜 성분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2. 제1항에 있어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98 몰% 이상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구성된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3. 제1항에 있어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35 ∼ 99 몰% 의 2,6 -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함유하는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4. 제1항에 있어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65 몰% 이하의 기타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함유하는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5. 제1항에 있어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이소프탈레이트 성분인 기타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함유하는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6. 제1항에 있어서, 글리콜 성분의 95 몰% 이상이 에틸렌 글리콜 성분 및 비스페놀 A 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로부터의 성분으로 구성된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7.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 글리콜 성분 : 비스페놀 A 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로부터의 성분의 몰비가 60 ∼ 90 : 40 ∼ 10 인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8. 수성 매질에 제1항의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미립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수성 분산체.
  9.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제1항의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1 이상의 표면 상에 형성된 코우팅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이 빠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코우팅의 두께가 5 ∼ 1000 nm 인 접착이 빠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9940006833A 1994-03-31 1994-03-31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그의 수성 분산체 및 이것으로 코우팅된 접착이 빠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KR0179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833A KR0179392B1 (ko) 1994-03-31 1994-03-31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그의 수성 분산체 및 이것으로 코우팅된 접착이 빠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833A KR0179392B1 (ko) 1994-03-31 1994-03-31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그의 수성 분산체 및 이것으로 코우팅된 접착이 빠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900A KR950026900A (ko) 1995-10-16
KR0179392B1 true KR0179392B1 (ko) 1999-05-15

Family

ID=1938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833A KR0179392B1 (ko) 1994-03-31 1994-03-31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그의 수성 분산체 및 이것으로 코우팅된 접착이 빠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9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847B1 (ko) * 1995-12-29 2003-03-26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수분산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KR970042660A (ko) * 1995-12-30 1997-07-24 김준웅 도료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900A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0590A (en) Water-dispersible aromatic polyester, aqueous dispersion thereof and polyester film coated therewith which permits fast adhesion
JP3615324B2 (ja) ポリエステル水分散体及びこれを塗布した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46025B2 (ko)
JP2856993B2 (ja) ポリエステル水分散体及びこれを塗布した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605816B2 (ja) 蒸着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593188B2 (ja) 水分散体用ポリエステル、これを塗布した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法
US5811197A (en) Polyester film having low electrostatic and high adhesion properties
KR0179392B1 (ko) 수분산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그의 수성 분산체 및 이것으로 코우팅된 접착이 빠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JPH04332756A (ja) ポリエステル水分散体及びこれを塗布した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160203B2 (ja) ポリエステル水分散体及びこれを塗布した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EP0669359B1 (en) Water-dispersible aromatic polyester, aqueous dispersion thereof and polyester film coated therewith which permits fast adhesion
JPH07268189A (ja) ポリエステル水分散体及び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428027B2 (ko)
JP3040532B2 (ja) ポリエステル水分散体及びこれを塗布した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169707B2 (ja) 易接着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681714B2 (ja) 被覆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EP0835752A2 (en) Laminated polyester film and ink jet printing sheet
JP3935625B2 (ja) ポリエステル積層フィルム
JPH0316728A (ja) 蒸着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605817B2 (ja) 被覆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蒸着フィルム
JPH0428028B2 (ko)
JPH0473466B2 (ko)
JPH0367624B2 (ko)
JPH09316309A (ja) ポリエステル水分散体及びこれを塗布した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762211A (ja) ポリエステル水分散体及び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