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390B1 - 관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관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390B1
KR0179390B1 KR1019940033987A KR19940033987A KR0179390B1 KR 0179390 B1 KR0179390 B1 KR 0179390B1 KR 1019940033987 A KR1019940033987 A KR 1019940033987A KR 19940033987 A KR19940033987 A KR 19940033987A KR 0179390 B1 KR0179390 B1 KR 0179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members
outer cylinder
pipe join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3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345A (ko
Inventor
다까히로 우에노
마사유기 이시와
야스히로 다나까
노리오 기시
Original Assignee
또모마쓰 겐고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34124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673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072086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5151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72087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45847B2/ja
Application filed by 또모마쓰 겐고,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또모마쓰 겐고
Publication of KR950019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3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the packing swelling under work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접속하는 관의 단부의 각 측 반주를 덮기 위한 2개의 반통부재를 포함하고, 반통부재는, 경질수지에 의해 성형되는 외통부, 외통부의 내주면에 끼여 장착되고, 상기 관과 외통부 사이에 개재하는 패킹층과, 2개의 반통부재를 그들의 맞춤면을 맞추어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갖는 관 이음장치. 본 발명의 관 이음장치의 반통부재는, 비 결합시에 있어서, 2개의 반통부재의 맞춤면에 있어서의 개구폭(S)이, 각 개구폭 중앙위치에 있어서의 깊이(D)의 2배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관 이음장치
제1도는 종래의 관 이음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반통부재(半筒部材)로부터 접속되는 관에 작용하는 조이는 힘의 분포상태를 나타내는 관 이음장치의 단면도(斷面圖).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단면도(斷面圖).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내는 반통부재(30)의 일단에서 본 단면 확대도.
제4도는 제2도에 나타내는 반통부재(30)의 타단에서 본 단면 확대도.
제5도는 제2도에 나타내는 반통부재(30)의 평면도.
제6도는 제2도에 나타내는 반통부재(30)의 측면도.
제7도는 제2도에 나타내는 반통부재(30)의 저면도.
제8도는 반통부재(30, 40)의 가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斷面圖).
제9도는 반통부재(30, 40)의 조립 완료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斷面圖).
제10도는 제1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조립 완료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1도는 제2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斷面圖).
제12도는 제2도의 B-B선에 따른 단면도(斷面圖).
제13도는 제2도의 B-B선에 따른 단면에 상당하는 부분에서의, 반통부재의 내주면에 형성하는 파형의 변형예(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斷面圖).
제14도는 제3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반통부재의 단면도(斷面圖).
제15도는 제4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반통부재의 평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A1-A1선에 따른 단면도(斷面圖).
제17도는 제15도의 B1-B1선에 따른 단면도(斷面圖).
제18도는 제3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반통부재의 단면도(斷面圖).
제19도는 제18도의 A3-A3선에 따른 단면도(斷面圖).
제20도는 제19도에 나타내는 외통부(101a;外筒部)의 평면도.
제21도는 제18도에 나타내는 반통부재 2개를 결합시켰을 때의 결합수단의 상세를 나타내는 확대도.
제22도는 제6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반통부재(110)의 평면도.
제23도는 제6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반통부재(110)의 측면도.
제24도는 제6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외통부(110a)의 평면도.
제25도는 제7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단면도(斷面圖).
제26도는 제7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조립 완료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斷面圖).
제27도는 제25도에 나타내는 반통부재(130, 140)의 각 저면도.
제28도는 제7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조립전의 분해평면도.
제29도는 제8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단면도(斷面圖).
제30도는 제29도에 나타내는 반통부재(150)의 저면도.
제31도는 제9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단면도(斷面圖).
제32도는 제9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조립 완료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斷面圖).
제33도는 제31도에 나타내는 반통부재(170, 180)의 각 저면도.
제34도는 제10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조립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斷面圖).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11B : 관 30 : 제 1 반통부재
31s, 41s : 맞춤면 40 : 제 2 반통부재
31a : 제 1 외통부 31b : 제 1 패킹층(내통부;內筒部)
41a : 제 2 외통부 41b : 제 2 패킹층(내통부)
36g, 36h : 제 1 걸림면 47g, 47h : 제 2 걸림면
36m, 36n : 만곡면 31s, 41s : 맞춤면
73e, 73f, 103e, 103f : 걸림수단 31e, 41e : 평탄한 면
H : 수지 주입공 S : 개구폭
D : 개구폭 중앙위치 깊이
본 발명은, 주로 파형관(波形管)끼리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두 개의 반통부재를 조합하여 관끼리 접속하는 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선, 케이블 등의 보호관이나 암거(暗渠) 배수관으로서, 가요성이 뛰어난 플라스틱제의 파형관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파형관에는, 골(또는 산)이 나선형을 이루는 형태의 것과, 골(또는 산)이 둘레 방향으로 평행하게 신장하도록 형성된 소위 아코디온 형상(이하, 독립주름형 파형관이라 한다)의 것이 있다. 그리고, 이들의 파형관의 접속에는, 종래, 원통형의 관 이음장치가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원통형의 관 이음장치에는, 이음장치를 이용한 파형관의 접속작업 및 이음장치로부터의 파형관의 해체 작업이 귀찮다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접속·해체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파형관 각각의 반쪽 둘레(半周)를 덮는 2개의 반통부재 끼리를 조합시키도록 한 관 이음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관 이음장치는, 제1도에 그 기본적인 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되는 관(11)을 반주(半周)씩 덮는 2개의 반통부재(13)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반통부재(13)는 경질수지성 형체인 외통부(15)와, 그 내면에 에라스토마로 이루어지는 패킹층(17)을 구비하고 있다. 외통부(15)는, 또한, 반통부(19)와, 이 반통부(19)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되고,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 신장하는 연장부(21)를 가지며, 2개의 반통부재(13)의 각 연장부(21)를, 대응하는 상대측의 연장부(21)에 겹쳐맞춰서 결합한다.
상술한 종래의 관 이음장치는, 반통부(19)의 내주면이 관(11)의 외주면과 같은 곡률(曲率)의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2개의 반통부재(13)로 관(11)을 끼고 도면 중 화살표(A)의 체결력으로 플렌지부(21)를 조이면, 그 조이는 힘(A)은 관(11)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작용하고, 중심으로 향하는 분력(分力)의 분포는 화살표(B)로 나타나게 된다. 이 분포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화살표(A)의 조이는 힘과 같은 방향에는 관(11)에 대하여 큰 분력의 조이는 힘이 발생하지만, 화살표(A)의 조이는 힘과 수직인 방향에는 거의 조이는 힘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종래의 관 이음장치에서는, 2개의 반통부재(13)의 이음매 부근에 있어서의 수밀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누수가 발생하기 쉽다는 결점이 있다.
종래의 관 이음장치의 다른 양태에서는, 시트형의 패킹을 접속하는 관의 단부에 둘러감고, 그 둘레에 2개의 반통부재를 겹쳐맞추는 방법으로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쪽의 반통부재의 내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지수(止水)용 시트형 패킹을 넓혀서 그 위에 깐다. 다음에 넓힌 패킹시트의 위에 접속하는 2개의 관을, 각각의 관끝을 맞붙친 상태에서 일직선상으로 얹어 놓는다. 그리고, 이와 같이 얹어놓은 관에 남는 길이 부분을 겹쳐맞추어서 패킹시트를 둘러감고, 중복된 시트의 단부를 접착 테이프로 고정한다. 그후, 내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다른쪽의 반통부재를 겹쳐맞추고, 상술한 한쪽의 반통부재와 결합 일체화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관 이음장치에서는, 각각 제조된 패킹과 반통부재를 접착제로 접착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반복하여 받는 열(heat cycle)의 영향이나, 관이 받는 축 방향의 인발력 등의 응력을 패킹이 흡수함으로써, 패킹이 반통부재로부터 벗겨지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반통부재의 단 부근방에서 패킹이 벗겨지기 쉽고, 이 부분이 벗겨지면 이 부분에 이어서 축 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자꾸 패킹이 벗겨져 나가고, 끝내는 수밀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접속작업이 난잡하게 행해지면 상술한 수밀성의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으며, 신중한 접속작업이 요청됨과 동시에, 인발강도에 우수한 관 이음장치가 요청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형관이 나선형이든지 독립주름형이든지 관계없이 파형관끼리를 접속하기 위하여, 2개의 반통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반통부재끼리의 맞춤면 부근에 있어서의 수밀성을 향상시킨 관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킹층이 반통부재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간단한 접속작업으로 확실하게 관 끼리를 접속할 수 있으며, 누수가 없는 관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개의 반통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이 반통부재끼리를 간단하면서 안전확실하게 결합할 수 있는 관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하는 관의 단부의 일측 반주를 덮기 위한 제 1 반통부재와, 상기 관단부의 타측반주를 덮기 위한 제 2 반통부재를 구비하고, 제 1 반통부재는, 경질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외통부와, 제 1 외통부의 내주면에 끼워붙여져서, 상기 관과 제 1 외통부 사이에 개재하는 제 1 패킹층과, 제 1 및 제 2 반통부재를 그들의 맞춤면을 맞춰서 결합시키는 제 1 결합수단을 가지며, 제 2 반통부재는, 경질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외통부와, 제 2 외통부의 내부면에 끼워붙여져서, 상기 관과 제 2 외통부 사이에 개재하는 제 2 패킹층과, 제 1 결합수단과 결합하고, 제 1 및 제 2 반통부재를 결합시키는 제 2 결합수단을 갖는 관 이음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관 이음장치의 제 1 및 제 2 반통부재는, 비결합시에 있어서, 각각의 맞춤면에 있어서의 개구폭(S)이, 각 개구폭 중앙위치에 있어서의 깊이(D)의 2배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반통부재의 각 내주면은, 제 1 및 제 2 반통부재의 비결합시에 있어서, 둘레방향 양측의 각 맞춤면 근방에 있어서의 각각의 곡률반경이 접속하는 관의 외주면의 곡률반경과 거의 동일하며, 둘레방향 중앙위치에 있어서의 각각의 곡률반경이 접속하는 관의 외주면의 곡률반경 보다 작은 반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외통부는, 제 1 및 제 2 반통부재의 결합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반통부재의 각 내주면이 상기 반타원형 단면으로부터 반원형 단면으로 변화하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관 이음장치는, 2개의 반통부재의 맞춤면에 있어서, 맞춤면과 평행하는 방향의 내경이, 접속하는 관의 외경 보다 작기 때문에, 관의 접속시에 2개의 반통부재 사이에 관을 끼워서 조이면, 반통부재의 내측으로 관이 밀어넣어지고, 반통부재가 그 맞춤면에 있어서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 눌러넓혀지도록(반통부재의 내주면이 반타원형 단면으로부터 반원형 단면으로 변화하도록) 탄성변형된다. 그 반작용으로서 외통부는 탄성복원력을 발생하고, 2개의 반통부재의 맞춤면 부근의 패킹층을 관의 외주면으로 밀어부친다. 그 결과, 2개의 반통부재의 맞춤면 부근에 있어서의 수밀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관 이음장치의 제 1 및 제 2 패킹층은, 외통부의 내주면에 사출형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료로서는, 열가소성 에라스토마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패킹층은, 일본공업규격 JIS K 6301에 규정되는 경도시험(A형)으로 측정하여, 경도 JIS A 5이상, JIS A 5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패킹층을 사출형성하는 데는, 제 1 및 제 2 외통부의 각 길이방향 단부 근방에 수지주입공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외통부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맞춤면 근방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한 걸림수단을 형성시키고, 이 걸림수단에 패킹층을 걸리도록 하면, 반통부재를 관에 장착할 때에 패킹층 관에 강하게 미끌리면서 접하게되어 패킹층이 안으로 끌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패킹층이 벗겨져서 수밀성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반통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내주면 중앙부에, 내주면의 다른 부분 보다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오목해지는 홈을 형성하도록 하고, 이 홈 부분에서 관 접속시에 관이 다른 부분 보다 약하게 접하게 하거나 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대적으로 상기 다른 부분에서 강하게 압접하게 되어, 수밀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결합수단은 각각, 제 1 및 제 2 반통부재의 결합상태시에, 서로 걸리는 제 1 및 제 2 걸림면을 가지며, 제 1 결합수단은, 또한 제 1 걸림면에 관하여 상기 맞춤면과 반대측에, 제 1 걸림면에 가까워질수록 제 1 반통부재의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만곡하는 만곡면을 가지고, 제 2 결합수단은 또한 제 2 걸림면에 관하여 상기 맞춤면측에 제 2 걸림면에 가까워질수록 제 2 반통부재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만곡하는 제 2 만곡면을 갖도록 한것이 좋으며, 또한, 제 1 및 제 2 반통부재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제 1 및 제 2 반통부재의 결합전의, 제 1 만곡면과 제 2 만곡면을 서로 맞닿게한 상태로, 다른쪽의 반통부재를 유지하는 임시고정수단을 갖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접속작업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며, 또, 조립작업 실수를 없애어 수밀성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반통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그 외주면의 둘레방향 중앙부에 평탄한 면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작업시에, 반통부재가 지면이나 작업대 위에서 구르는 일 없이 안정된 상태에서 설치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반통부재의 결합시에 안심하고 밀어부치는 힘을 크게 가할 수가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반통부재의 내주면에 결합 전에 미리 윤활유를 도포하여 두면, 반통부재를 관에 장착하였을 때, 패킹층의 주변 가장자리가 내측에 끌어당겨지도록 하여도, 관의 표면이 미끄러워 그와 같은 상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결과, 2개의 반통부재를 조합하였을 때, 패킹층의 주변가장자리는 서로 밀착하고, 틈새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그러므로, 관 이음장치의 맞춤면에 있어서 수밀성이 양호한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윤활제의 도포를, 맞춤면에 있어서의 반통부재의 개구폭 (S)을 깊이 (D)의 2배 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과 병행하면, 수밀성 향상의 효과가 상승(相乘)적으로 얻어져서, 뛰어난 수밀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관 이음장치는, 반통부재의 내주면의 형상을, 직관(直管)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형성하면 직관용의 이음장치에, 같은 방법으로 나선파형관, 독립파형관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형성하면 각각 나선파형관의 이음장치, 독립파형관의 이음장치에 각각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관 이음장치는, 파형관끼리의 접속뿐만 아니라, 파형관과 직관과의 접속, 파형관과 박스와의 접속등, 파형관과 파형관 이외의 것과의 접속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실시예 1]
이하, 제2도 내지 제1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나선파형관용 이음장치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는, 2개의 나선파형관(11A, 11B)의 접속에 사용되는 것으로, 파형관(11A, 11B)의 접속 측단부의 일측 반주 예를 들면 상측 반주를 덮기 위한 제1 반통부재(30)와, 파형관 단부의 타측 반주 예를 들면 하측 반주를 덮기 위한 제 2 반통부재(40)을 구비하고 있다. 2개의 반통부재(30, 40)는, 동일 칫수, 형상으로 성형되고, 양단의 방향을 반대로하여 조합된다. 그리고, 이들 부재 (30, 40)는 바람직하게는 양부재에 공통의 금형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 좋다.
제 1 및 제 2 반통부재(30, 40)는,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본체(31, 41)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제 1 반통부재(30)의 본체(31)는, 외통부(경질 수지성형체)(31a)와, 이에 끼워붙여지고 내면에 파형이 형성된 패킹층(내통부)(31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관 이음장치에 있어서의 외통부의 경질 수지성형체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 - 부타디엔 - 스틸렌(ABS)계 수지, 폴리염화비닐(PVC)계 수지 등, 통상, 관 이음장치에 이용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 이음장치에 있어서의 패킹층으로서는, 천연고부, 합성고무 등의 가황고무, 열가소성 에라스토마 등의 에라스토마를 사용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특히, 수첨(水添)스틸렌 - 이소프렌계 열가소성 에라스토마(SIS 또는 SEPS), 스틸렌 - 부틸렌계 열가소성 에라스토마(SEBS), 스틸렌 - 부타디엔계 열가소성 에라스토마(SBS) 등의 폴리스틸렌계, 혹은 1, 2 - 폴리부타디엔(1, 2PB)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염소화폴리에틸렌계, 폴리플루오르카본계, 폴리염화비닐계, 불소계 등의 열가소성 에라스토마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층의 재료로서는 열가소성 에라스트마를 사용하면, 사출형성법에 의해 경질수지성형체의 내면에 직접패킹층을 적층하는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반통부재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 이와같이 패킹층을 형성하면, 경질수지성형체와 패킹층을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접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경질수지성형체의 내면에 밀착시킨 패킹층이 저절로 형성되기 때문에, 패킹층이 들뜨는 일이 없다. 이 결과, 이 관 이음장치는 관에 적정하게 밀착하여, 양호한 수밀성을 발휘한다.
패킹층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에라스토마의 경도는, 일본공업규격 JIS K 6301(1975년 4월 19일 발행)에 규정되는 스프링식 경도시험(A형)에 의해 측정하여 JIS A 5~50의 경도가 바람직하며, 10~40의 경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JIS A 50 이하의 경도이면, 접속하는 관의 표면에 요철이 있어도 패킹층이 확실하게 따라가 지수(止水)할 수 있다. 또, JIS A 5 이상의 경도이면, 외부로부터의 수압에 의해 패밍층이 변화하여 수밀성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열가소성 에라스토마 100중량부에 대해서, 수분을 흡수하면 팽윤하는 전분계, 셀룰로스계, 폴리아크릴계, 폴리비닐알콜계, 폴리옥시에틸렌계 등의 수팽윤성재료, 예를 들면 아크릴산·비닐알콜 공중합체를 20~60 중량부 정도 첨가한 것은, 패킹층의 재료로서 보다 바람직하다. 팽윤성 재료가 상기 범위 내에서 첨가되어 있으면, 수팽윤성 재료가 수분과 접촉한 경우에, 그 수팽윤성 재료가 수분을 흡수하여 팽윤하기 때문에, 패킹층과 관과의 밀착성이 향상하고, 보다 높은 수밀성을 얻을 수 있다.
경질수질형성체에 패킹층을 사출성형할 때에, 경질수지성형체와 패킹층과의 밀착성을 보다 강고히 하기 위해서는, 경질수지성형체의 재료로서 폴리올레핀계수지, ABS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패킹층의 재료로 SEPS, SEBS, SBS 등의 열가소성 에라스토마를, 또 경질수지성형체의 재료로서 PVC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패킹층의 재료로 PVC계 열가소성 에라스토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관 이음장치에 있어서, 경질수지성형체의 내면측에 열가소성 에라스토마를 사출성형하는 경우에는, 경질수지성형체에 주입공을 형성하여 두면 좋다. 이 주입공의 위치는 경질수지성형체의 단면으로부터 3c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1.5cm 이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내이면, 사출성형했을 때에 경질수지성형체의 단부 부근과 패킹층과의 밀착성이 보다 강고하게 되며, 벗겨지려는 힘이 가해지기 쉬운 단부 부근에 있어서의 경질수지성형체와 패킹층의 박리방지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의 관 이음장치가 제 1 실시예와 같이 반통부재의 내주면에, 파형관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파형이 형성된 파형관 이음장치인 경우에는, 상기 주입공은, 두께가 얇은 주름의 골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주입공을 형성하는 위치는 경질수지성형체의 단면으로부터 파형의 피치로 2 피치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1 피치 이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 있으며, 사출성형한 때에 경질수지성형체의 단부 부근과 패킹층과의 밀착성이 보다 강고하게 되고, 단부 부근에 있어서의 경질수지성형체와 패킹층의 박리방지 효과가 보다 현저해진다.
본 실시예의 외통부(31a)는 기계적 강도가 높은 경질재료,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지며 패킹층(31b)은 고무탄성을 갖는 연질재료, 예를 들면 JIS K 6301에서 규정되어 있는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한 경도가 JIS A 20의 폴리염화비닐계 열가소성 에라스토마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반통부재(30)의 외통부(31a) 및 패킹(31b)은, 순차적으로 사출성형되고, 패킹층(31b)을 구성하는 성행재료는, 외통부(31a)를 관통하는 주입공(제 3도중, 기호 H로 나타냄.)을 통하여 공급되고, 이에 의해 외통부(31a)와 패킹층(31b)은 일체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통부재(3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외통부(31a)를 통상의 사출성형기로 성형해 둔다. 다음에 금형온도 30℃ 정도로 가열한 다른 금형내에, 성형한 외통부(31a)를 삽입한다. 이어서, 190℃에서 가소화 용융된 폴리염화비닐계 열가소성 에라스토마를 금형의 게이트, 외통부(31a)의 주입공(H)을 통하여 외통부(31a)의 내면측으로 사출하고, 충전한다. 그리고, 30초 정도 폴리염화비닐계 열가소성 에라스토마를 냉각고화(冷却固化)하여, 외통부(31a)의 내면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패킹층(31b)을 얻는다.
본 발명의 관 이음장치는, 이하 설명하는 구성의 결합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결합수단에 의해 2개의 반통부재(30, 40)를 결합시킨다.
제3도 내지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통부재(31)의 양 주변가장자리에 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연장부(34, 35)에는, 돌기(36a, 36b)를 각각 갖는 피결합부(36c, 36d)가 중심 횡단면(P31)에 관하여 일단(S31) 측에 형성되고, 또 돌기(37a, 37b)를 각각 갖는 결합부(37c, 37d)가 타단(T31) 측에 형성되어 있다. 반통부재(3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피결합부(36c, 36d)와 결합부(37c, 37d)는 중심 횡단면(P31)에 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반통부재(30)의 피결합부(36c, 36d)는, 부재(30)의 횡단면 방향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연장부(34, 35)의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반통부재 본체(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연장부(34, 35)와 각각 직교하게 신장하고, 또,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재(3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내통부(31b)의 단면의 근방으로부터 부재(30)의 전길이의 약 3분의 1의 길이에 걸쳐서 내방으로 신장하고 있다. 또, 돌기(36a, 36b)는, 피결합부(36c, 36d)의 안쪽 측면의 높이방향 중간에 형성되고, 맞춤면(31s)측에, 후술하는 반통부재(40)의 돌기(37a, 37b)의 걸림면(47g, 47h)과 서로 걸리는 걸림면(36g, 36h)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돌기(36a, 36b)의 맞춤면(31s)과 반대측의 면은, 걸림면(36g, 36h)에 가까워 질수록 피결합부(36c, 36d)로부터 본체(31)의 중앙측(제3도에 나타낸 종단면(P3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크게 돌출해 있다. 즉, 돌기(36a, 36b)의 맞춤면과 반대측의 면(만곡면)(36m, 36n)은 만곡되어 있다. 또, 돌기(36a, 36b)는, 걸림면(36g, 36h) 등이 함께 작용하여 홈(36e, 36f)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피결합부(36c, 36d)의 단면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돌기(36a, 36b)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한, 각각 2개의 임시고정용 각(角;36j, 36k)이 형성되어 있다(제5도 참조).
제 1 반통부재(30)의 결합부(37c, 37d)는 제 1 및 제 2 연장부(34, 35)에 의해 각각 구성되고, 결합부(37c, 37d)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기(37a, 37b)는, 제 2 반통부재(40)(제2도, 제8도 및 제9도)의 피결합부의 홈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37a, 37b)에는, 제 2 반통부재(40)의 돌기(37a, 37b)의 걸림면에 서로 걸리도록 하는 걸림면(37g, 37h)이 형성되어 있다(제4도 참조). 또, 돌기(37a, 37b)의 맞춤면측의 면은, 걸림면(37g, 37h)에 가까워 질수록 본체(31)의 중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제3도에 나타내는 종단면(P3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크게 돌출해 있다. 즉, 돌기(37a, 37b)의 맞춤면측의 면(만곡면)은 만곡되어 있다.
제 1 반통부재(39)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파형(33)은, 이 부재(30)의 길이방향 축선상에 있어서 중심 횡단면(P31)으로부터 일단(S31)까지의 파형형상과 중심 횡단면(P31)으로부터 타단(T31)까지의 파형형상이 산, 골이 역의 순서로 늘어서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길이방향 축선상에서 보아, 중심 횡단면(P31)으로부터 일단(S31)으로 향하여 골(31b), 산(33a), 골(33b), 산(33a) ···의 순서로 형성되는 한편, 중심 횡단면(P31)으로부터 타단(T31)으로 향하여 산(33a), 골(33b), 산(33a), 골(33b) ···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통부(경질 수지성형체)(31a)의 내면에는, 나선파형관(11A, 11B)의 외주면의 골부와 동일한 피치로 산(33c)이 형성되고, 이에 삽입 장착되는 패킹층(31b)은, 이 산(33c)과 정합되도록 상술한 파형(33)이 형성된다. 반통부재의 내주면의 파형을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반통부재(30, 40)를, 같은 금형을 사용하여 동일 칫수, 형상으로 성형한 경우에도, 양단의 방향을 반대로하여 조합함으로써 나선파형관용의 이음장치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관 이음장치의 제 1 특징은,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통부재(30, 40)의 맞춤면에 있어서의 개구폭(S)을, 이 개구폭(S)의 중앙에 있어서의 깊이(D)의 2배 보다 작게 설정한 것이다.
여기에서, 반통부재(30, 40)의 내면이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개구폭(S) 및 깊이(D)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반통부재(30, 40)의 내주면의 각각의 점은, 내주면의 파형에 관련하는 기준위치를 갖고 있다. 이 기준위치는, 부재(30, 40)의 내주면에 형성된 파형(33)의 특정의 개소, 예를 들면 골바닥의 위치, 혹은 산정(山頂)의 위치가 선정된다.
그리고, 개구폭(S)은, 반통부재의 비결합시에 있어서, 2개의 반통부재의 맞춤면에 있어서의 둘레방향 양측의 기준위치간 거리(반통부재의 직경방향의 거리)로 정의되고, 예를 들면, 부재(30, 40)의 내주면에 형성된 파형(33)의 골바닥 사이 또는 산정 사이에 있어서의 투영폭(제2도에서는 골바닥 사이의 투영폭으로 나타내고 있다)으로 정의하여도 좋다. 한편, 깊이(D)는, 개구폭 중앙위치에 있어서, 이 중앙위치로부터 맞춤면에 대해서 직각으로 내린 선상에 있는 기준위치와 상기 중앙위치간 거리로 정의되고, 예를 들면, 개구폭(S)의 중앙에 있어서의 파형의 골바닥 또는 산정까지의 거리(제2도에서는 골바닥 까지의 거리로 나타내고 있다)로 정의하여도 좋다.
반통부재(30, 40)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파형(33)의 골바닥의 투영 가상선은, 본래 깊이(D)를 반경으로 하는 반원을 그리지만, 본 발명의 반통부재(30, 40)의 맞춤면에 있어서의 개구폭(S)은, 의도적으로 깊이(D)의 2배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다. 바꿔말하면, 반통부재(30, 40)이 내주면의 상기 맞춤면 근방부분(P)의 곡률반경(曲律半徑)이 파형관(11A, 11B)의 외주면의 곡률반경과 거의 동일하며, 맞춤면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부위 근방(Q)의 곡률반경이 접속하는 관의 외주면의 곡률반경 보다 보다 작은, 반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및 제 2 반통부재(30, 40)의 맞춤면에 있어서의 개구폭(S)은, 나선파형관(11A, 11B)의 파형의 산정 사이(골바닥 사이)의 거리(외경)(T)보다 작다. 구체적으로는, 접속하는 나선파형관의 크기에도 의하지만, 개구폭(S)은, 깊이(D)보다 3~8mm 작게 설정하면 좋다. 또는, 개구부(S)는 외경(T)보다 3~8mm 작게 설정하면 좋다.
본 발명의 이음장치의 제 2 특징은, 반통부재(30, 40)의, 기계적 강도를 떠맡는 경질수지성형체인 각 외통부(31a, 41a)의, 전술한 맞춤면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중앙부분에 있어서의 두께(V)(제2도 및 제11도 참조)가, 맞춤면 근방의 두께(W)(제2도 및 제12도 참조)보다 얇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외통부의 두께를 설정하면, 반통부재(30, 40)의 내주면이 단면 타원형으로부터 반원형 단면에 가까워지도록 탄성변형하는 데에 좋은 상태로 된다. 두께(V)는, 경질수지성형체인 외통(31a, 41a)의 탄성계수(kgf/mm2)를 M으로 하면, 60M/V30의 범위로 선정하면 좋다.
본 실시예의 제 2 반통부재(40)는, 상술한 제 1 반통부재(30)와 동일칫수,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반통부재(30, 40)는 맞춤면(31s, 41s)에서 서로 맞닿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음장치의 제 3 특징으로서, 부재(30, 40)의 맞춤면(31s, 41s)에, 위치 결정용 핀과 구멍을 형성한 것이다. 제4도중, 참조번호(39a, 39b)는, 제 1 반통부재(30)의 맞춤면(31s)에 형성된 위치결정 핀을 나타내고, 부호 39c, 39d는 같이 맞춤면(31s)에 형성된 위치결정 구멍을 나타낸다. 위치결정 핀(39a, 39b)과 위치결정 구멍(39c, 39d)은 부재(30)의 중심 횡단면(P31)에 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부호(39e)는 부재(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위치결정 마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음장치의 제 4특징은, 반통부재(30) 내주면의 중앙부분(제11도에서 부호(Z)로 나타낸 부분)에 평면에서 보면 직사각형의 오목부(3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5도중, 오목부(38) 내의 2 점쇄선은, 실제로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파형(33)을 나타내는 가상 연장선이다. 오목부(38)의 저면은, 파형(33)의 골(33b)과 거의 같든지 약간 큰 내경의 원호면으로 되어 있다. 중앙부분(Z)은, 수밀성에도 나선파형관(11A, 11B)의 인발 강도에도 관여하지 않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와 같이 파형(33)의 산(33a)을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또, 중앙부분(Z)의 산(33a)을 생략하면, 그만큼 재료비가 싸게 든다. 또한, 중앙부분(Z)의 산부(33a)를 생략하면, 수밀성에 관여하는 반통부재(30)의 내면과 나선파형관(11A, 11B)이 밀착하는 압착력이 증가하고, 수밀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관 이음장치에는, 제2도 및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통부(31a, 41a)의 외주면 중앙부에, 전술한 부재(30, 40)의 맞춤면과 평행하게 직사각형의 평평한 면(31e, 41e)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반통부재(30, 40)의 내주면은, 미리 실리콘유 등의 윤활유가 도포되어 있다. 윤활유를도포하여 두면, 관(11A, 11B)에 반통부재(30, 40)를 끼워맞출 때, 내통부(패킹층)(31b, 41b)의 측면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끌려가려 하여도, 측면 가장자리가 관(11A, 11B)의 외면에 대해 미끄러져서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반통부재(30, 40)의 내통부(31b, 41b)의 측면 가장자리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관 이음장치에 의해 나선파형관(11A, 11B)을 접속하는 데에는, 우선, 동일 축선상에 배치된 2개의 파형관의 접속측 단부의, 예를 들면 하측 반주면에 제 2 반통부재(40)를 끼워맞춘다. 부재(40)의 내주면에 도시하지 않은 오목부(부재(30)의 오목부(38)에 대응)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이 오목부에 파형관(11A, 11B)의 단부를 끼워넣음으로써, 이 관(11A, 11B)으로의 부재의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 반통부재(30)를 파형관의 윗쪽에서 제 2 반통부재(40)와 정합되도록 배치한다. 이 때, 제 1 반통부재(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위치결정 마크(39e)를 제 2 반통부재(40)의 동일한 마크(도시생략)에 합치시킴으로써, 양 반통부재(30, 40)의 정합배치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파형관으로의 부재(30)의 끼워맞춤은, 부재(30)의 내주면에 오목부(38)가 형성되어 있어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관을 세트한 상태에서의 반통부재(30, 40)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제 1 반통부재(30)를 제 2 반통부재(40) 측으로 밀어누를면,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재(30)의 피결합부의 돌기(36a, 36b)의 만곡외면(36m, 36n)이 부재(40)의 결합부의 돌기(47a, 47b)(부재(30)의 돌기(37a, 37b)에 대응)의 만곡외면에 맞닿도록 함과 함께, 부재(30)의 결합부 돌기(37a, 37b)의 외면(37q, 37p)이 부재(40)가 도시되지 않은 피결합부 돌기(부재(30)의 돌기(36a, 36b)에 대응)의 외면에 맞닿기에 이른다. 이 때, 제 2 반통부재(40)가 제 1 반통부재(30)의 피결합부(36c, 36d)에 형서된 임시고정각(36j, 36k)에 끼워지고, 피결합부(36c, 36d)의 탄력에 의해 유지됨과 동시에, 동일하게 제 1 반통부재(30)가 제 2 반통부재(40)의 피결합부의 탄력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부재(30), 부재(40)가 서로 임시고정되게 된다. 이 경우, 양 부재(30, 40)는 서로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며, 필요하다면, 양자의 상대위치를 미세조정한다.
그후, 제 1 반통부재(30)를 바람직하게는 공구(도시생략)를 사용하여 제 2 반통부재(40) 측으로 더 밀어누르면, 부재(30)의 피결합부(36c, 36d)가, 부재(30)의 돌기(36b, 36a)의 만곡면에 맞닿은 부재(40)의 결합부 돌기(47a, 47b)에 의해 서서히 넓혀진다. 이때, 돌기(47a, 47b)의 맞닿음면이 원활하게 닿고, 또 돌기(36a, 36b)의 맞닿음면이 만곡되어 있어서, 부재(30)의 피결합부(36c, 36d)는 용이하게 넓혀진다. 마찬가지로, 부재(40)의 피결합부(도시 생략)가 부재(30)의 결합부 돌기(37a, 37b)에 의해 서서히 넓혀진다.
이 결과, 제 2 반통부재(40)의 결합부 돌기(47a, 47b)가 제 1 반통부재(30)의 피결합부의 홈(37f, 36e)에 끼고, 또, 제 1 반통부재(30)의 결합부 돌기(47a, 47b)가 제 2 반통부재(40)의 피결합부의 홈(도시 생략)에 끼워지기에 이른다. 그리고, 대응하는 걸림면(47h, 47g)과 걸림면(36g, 36h)이 맞닿고, 걸림면(37h, 37g)이 제 2 반통부재(40)의 피결합부의 걸림면과 맞닿는다. 이에 의해 양 부재(30, 40)가 서로 결합되고, 양 부재(30, 40)의 내주면의 파형이 파형관 외주면의 파형에 맞물린 상태에서 파형관끼리가 이음장치(30, 40)에 의해 견고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부재(30)의 피결합부의 돌기(36a, 36b)가 부재(40)의 결합부의 돌기(47a, 47b)에, 부재(30)의 결합부 돌기(37a, 47b)가 부재(40)의 피결합부 돌기에 각각,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에서 완전히 끼워맞추지 않았을 때, 만곡외면 끼리가 서로 반발하는 방향(끼워맞추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피결합부의 돌기와 결합부의 돌기의 결합이 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관 이음장치의 조립이 완전한지 불완전한지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 이음장치는 조립의 작업실수로 수밀성을 잃는 위험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2개의 반통부재(30, 40)가 완전히 끼워맞춰진 때 이외는 2개의 반통부재가 떨어져서 끼우기가 불완전한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돌기(36a, 36b, 47a, 47b) 근처에 만곡면을 형성하면, 반통부재(30, 40)를 끼워맞출 때에 만곡면에서 미끄러져서 반통부재(30, 40)가 틀어져버리고, 끼워맞춤작업을 하기 어렵게 된다. 그래서, 이 실시예에서는, 결합부(36c, 36d)에 임시고정각(36j, 36k)을 형성하고, 만곡면에서의 미끄러지는 것이 이 임시고정각(36j, 36k)에서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예의 이음장치는, 반통부재(30, 40)의 끼워맞춤 불량의 방지와 끼워맞춤 작업의 용이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 1 및 제 2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2개의 반통부재(30, 40)를 나선파형관(11A, 11B)을 끼워서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이면, 반통부재(30, 40)에 나선파형관(11A, 11B)를 눌러 넣기 위해 반통부재(30, 40)가 이들의 맞춤면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눌러넓혀질 수 있도록, 즉, 반통부재(30, 40)의 내주면이 반타원형 단면으로부터 반원형 단면에 가까워지도록 탄성변형한다. 그 반작용으로서 외통부(31a, 41a)는, 탄성복원력을 발생시켜, 2개의 반통부재(30, 40)의 맞춤면 부근의 패킹층(내통부)(31b, 41b)을 파형관(11A, 11B)의 외주면으로 밀어부친다. 이 때문에, 2개의 반통부재(30, 40)의 맞춤면 부근에 있어서의 수밀성이 향상한다.
또, 반통부재 본체(31, 41)의 고무탄성을 갖는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내통부(31b, 41b)는 파형관 외주면에 잘 밀착되고, 따라서, 이음장치(30, 40)는 실(seal) 성이 뛰어나다. 또, 반통부재 본체의 외통부(31a, 41a)가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이음장치(30, 40)의 기계적 강도는 크다.
또한, 제 1 및 제 2 반통부재(30, 40)를 서로 맞닿게 하였을 때, 부재(30)의 위치결정핀(39a, 39b)이 부재(40)의 도시하지 않은 위치결정 구멍(부재(30)의 구멍(39c, 39d)에 대응)에 끼워 넣어짐과 함께, 부재(40)의 동일한 위치결정 핀(도시 생략)이 부재(30)의 위치결정 구멍(39c, 39d)으로 끼워 넣어진다. 바꿔말하면, 본 발명의 제 3 특징인 부재(30)의 위치결정 핀(39a, 39b)이 부재(40)의 위치결정 구멍으로, 부재(40)의 위치결정 핀이 부재(30)의 위치결정 구멍(39c, 39d)에 각각 끼워 맞도록 2개의 반통부재(30, 40)를 조합하면, 적정한 접속상태가 얻어지고, 양부재(30, 40)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이로써, 2개의 반통부재(30, 40)의 내주면이 파형의 산과 골이 바르게 연속하도록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관 이음장치는, 2개의 반통부재(30, 40)를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합할 때에, 비교적 큰 누르는 힘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상술한 공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2개의 반통부재(30, 40)의 외통부(31a, 41a)의 외주면 중앙부를 직사각형의, 전술한 맞춤면에 평행하는 평탄한면(31e, 41e)(제7도 및 제9도 참조)에 형성해 있기 때문에, 면(31e) 또는 (41e)을 아래로하여 작업대나 바닥면으로 구르지 않는 안정된 상태에서 얹어 놓을 수 있으며,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체중을 걸면서 발로 밟거나, 손으로 누르거나 하여 눌러서 붙이는 힘을 가하기 쉽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제1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나선파형관용 이음장치를 설명한다. 제13도는, 제2도에 B-B선으로 나타낸 부분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며, 반통부재(30, 40)에 대응하는 반통부재(50, 60)의 내주면의 파형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실시예에 의한 관 이음장치는, 이 파형이 제1 실시예와 다른 것뿐이며, 나머지는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을 가지며, 상술한 제1 실시에의 여러 가지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제 1 및 제 2 반통부재(50, 60)는 같은 칫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반통부재(50)는, 제1 실시예의 본체(31)에 대응하는 본체(51)를 포함하고, 이 본체(51)는, 경질수지성형체인 외통부(51a)와, 이에 끼여 장착되는, 패킹층인 내통부(51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반통부재(5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파형(53)은, 길이방향 양 단부의 관 인발 방지부와, 중앙의 중앙부와, 중앙부와 관 인발 방지부와의 사이의 지수부로서 각각 다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외통부(51a)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파형의, 인발 방지부에 있어서의 산(531c)은, 지수부 및 중앙부에 있어서의 산(532c, 533c)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수부에 있어서의 패킹층의 두께(내통부(51b)의 두께는, 인발 방지부에 있어서의 그것 보다 두껍게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발 방지부 및 지수부의 산(532a, 533a)은, 접속하는 파형관의 골의 단면형상에 대해서 약간 큰 단면형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패킹층의 중앙부는 수밀성에 관여하지 않으므로, 이 부분의 산(533a)은 높을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패킹층이 없어도 상관없다.
인발 방지부 및 지수부에 있어서의 산의 수는 적어도 1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인발 방지부 및 지수부에 있어서의 산의 수의 합이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의 수를 이와 같이 설정하면, 반통부재(50, 60)의 보다 높은 인발 강도, 특지 부재(50)의 중심축에 대해서 경사방향에 걸리는 인발력에 대해서 보다 높은 인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통부(51a) 및 내통부(51b)의 파형을 형성하면, 관 인발 방지부의 높은 산이, 나선파형관을 반경방향 안쪽으로 조이고, 파형관의 인발에 대한 저항력을 높인다. 한편, 지수부에 있어서의 패킹층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접속하는 파형관의 외경에 칫수적인 불균형이 있어도 탄성력이 있는 피캥층으로 파형관의 외주면을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며, 관 이음장치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중앙부의 산(533a)이 다른 부분 보다 낮으며, 오목해져 있기 때문에, 다른 부분 보다 관에 약하게 접하든지 또는 접속하지 않도록 일어져 있다. 따라서, 반통부재(50, 60)를 끼워맞출 때에 이 부재(50, 60)에 거는 하주을 적게 할 수 있으며,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중앙부가 반통부재의 결합력을 받지 않는 것만큼 상대적으로 다른 부분과 관과의 밀착상태가 강해지고, 그 결과, 관 이음장치는 수밀성에 뛰어난 것으로 된다.
[실시예 3]
제1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나선파형관용 이음장치를 설명한다. 제14도는 제10에 C-C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에 대응하는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의 2개의 반통부재(70, 80)는, 제1 실시예의 반통부재(30, 40)에 대응하고, 동일 칫수, 형상으로 성형된다. 반통부재(7)는 제1 실시예의 본체(31)에 대응하는 본체(71)를 포함하고, 이 본체(71)는, 경질수지성형체인 외통부(71a)와 이에 끼워 장착되는, 패킹층인 내통부(71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외통부(71a)의 내주면의 둘레방향 양단의, 부재(70, 80)의 맞춤면 근방에, 패킹층(71b)으로 파고 드는 돌기(73e, 73f)를, 상기 파형관의 산 및 골에 형성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제1 특징을 포함하는 모든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돌기(73e, 73f)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이와 유사한 다른 양태의 것을 후술함으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반통부재(70, 80)의 맞춤면에 있어서의 개구폭(S)이 접속하는 파형관의 외경(T)보다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반통부재(70, 80)로 관을 끼워 조이면, 파형관이 반통부재(80, 90)를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밀어 넓히면서 부재(70, 80)내로 들어간다. 이 때, 외통부(71a)와 파형관은 상대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 끼인 패킹층인 내통부(71b)는, 양자로부터 자르는 힘을 받고, 자르는 힘을 받은 부분의 패킹층(71b)이 외통부(71a)로부터 박리될 우려가 있다. 상술한 돌기(73e, 73f)를 형성해 두면, 상기 맞춤면 부근의 패킹층(71b)이 돌기(73e, 73f)에 걸리기 때문에, 패킹층(71b)이 외통부(71a)로부터 박리되기 어렵게 된다.
[실시예 4]
제15도 내지 제17도는, 2개의 반통부재의 결합수단에 관하여, 제1 실시예의 것과 다른 양태의 반통부재(90)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반통부재(90)도 나선파형관을 접속하기 때문에, 같은 부재를 2개 1조로 사용하는 타입의 관 이음장치이다.
반통부재(90)도, 경질료,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경질수지성형체인 외통부(91a)와, 연질재료, 예를 들면 경도가 JIS A 20의 SEPS 열가소성 에라스토마로 이루어지는 패킹층인 내통부(91b)를 갖는 본체(91)를 구비하고 있다. 반통부재(90)의 내면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중심 횡단면(P1)을 경계로하여 좌우로 산(93a)과 골(93b)의 반복이 반대로 되는 파형(93)이 형성되어 있다.
반통부재(90)는, 그 본체(91)의 일측 주위가장자리를 따라서 신장하는 본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판형의 제 1 연장부(94)와 본체(91)의 타측 주위가장자리를 따라서 신장하는 본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판형의 제 2 연장부(95)를 갖고 있다. 중심 횡단면(P1)으로부터 반통부재(90)의 일단(S1)으로 제 1 및 제 2 소정거리만큼 이격된 제 1 및 제 2 길이 방향 위치에 있어서, 반통부재(90)의 제 1 연장부(94)의 반경방향 바깥쪽 끝에는, 갈고리형 돌기(보다 일반적으로는 결합부)(96c, 96d)가 이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형 돌기(96a~96d)는, 연장부(94, 95)에 대해서 직교하여 신장하고 있다. 또, 중심 횡단면(P1)으로부터 부재(90)의 타단(T1)으로 제 1 및 제 2 소정거리만큼 이격된 제 3 및 제 4 길이방향 위치에 있어서, 부재(90)의 제 1 연장부(94)에는 구멍(97a, 97b)이 뚤려있고, 부재(90)의 제 3 및 제 4 길이방향 위치에 있어서 제 2 연장부(95)에는 구멍(97c, 97d)이 뚤려있다. 갈고리형 돌기(96a, 96b)와 구멍(97a, 97b)은 부재(9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중심 횡단면(P1)에 관해서 각각 대칭으로 배치되고, 부재(90)의 반경반향에서 서로 정합하여 배치되어 있다. 갈고리형 돌기(96c, 96d)와 구멍(97c, 97d)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통부재 2개를 양단의 방향을 반대로하여 대응하는 연장부를 대향시켜서 겹쳐맞추었을 때, 갈고리형 돌기가 대응하는 구멍에 끼워맞춰져 2개의 반통부재를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내통부(91b)는, 그 내면에 형성되는 파형(93)의 둘레방향 양단의 각 끝 가장자리를 따라서, 제 1 및 제 2 연장부(94 및 95)에 밀착하여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각각 신장하고, 연장부(94, 95)의 대략 반을 덮는 패킹층의 날 밑부(이하 날밑부라 한다)(91c, 91d)를 갖고 있다. 이 날밑부(91c, 91d)는, 연장부(94, 95)를 덮고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반통부재(90)를 이들의 맞춤면(제 1 및 제 2 연장부(94 및 95)의 대향면)을 겹쳐맞추어서 결합시켰을 때, 이들의 맞춤면 사이에 생기는 약간의 틈새가 이 날밑부(91c, 91d)로 막아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반통부재(90)를 겹쳐맞춰서 결합시켰을 때, 날밑부(91c, 91d)가 연장부(94, 95)에 의해 끼어들어가 압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나선파형관이 받는 인발력이 패킹층(91b)에 작용하여 인발력을 흡수하도록 내통부(91b)가 변형되어도, 날밑부(91c, 91d)에 의해서 패킹층(91b)이 외통부(91a)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내통부(91b)의 내면에는, 띠형의 뱅크(91e)가 형성되어 있다. 이 뱅크(91e)는, 중심 횡단면(P1) 관해서 대칭적으로, 파형(93)의 산(93a)의 산정선(山頂線)을 따라서, 날밑부(91c)를 가르지르고, 날밑부(91c)의 외측가장자리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신장하고, 다시 날밑부(91c)를 가로질러, 산(93a)의 산정선에 따라서, 다른 쪽의 패킹층의 날밑부(91d)에 달하고 이어서 날밑부(91d)를 가로질러 날밑부(91d)의 외측 가장자리에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신장하고, 다시 날밑부(91d)를 가로질러 이후 산(93a)의 산정선에 따라서 연속한다. 이 뱅크(91e)는, 내통부(91b)의 사출성형시에 이와 일체로 성형된다. 산정선에 따라서, 뱅크(91e) 형성되는 산(93a)은, 반통부재(90)의 중앙부분을 피하고, 단면(S1, T1)으로부터 적어도 2산째의 산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띠형 돌기(91e)는, 2개의 반통부재(90)를 조합하였을 때, 나선파형관과 외통부(91a)에 끼여서 압축되어서 이들에 밀착하고, 돌기(91e)로 둘러싸이는 내부를 외부로부터 격리하고,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반통부재(90)의 날밑부(91d)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한 뱅크(91e)는 2개의 반통부재(90)를 서로 조합시켰을 때에 서로 상하로 압축하기 때문에, 밀착성이 증가하여 수밀성이 보다 향상한다.
그리고, 도면중 부호(H2)는, 외통부(91a)에 뚫려 있고, 내통부(91b)의 사출형성시에 열가소성 에라스토마를 사출하고 충전하기 위한 주입공이다.
[실시예 5]
제18도 내지 제21도는, 반통부재의 결합수단이 제1 실시예의 것과 다른, 제5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반통부재(100)를 나타낸다. 이 반통부재(100)도, 나선파형관을 접속하기 위하여, 같은 부재를 2개 1조로 사용하는 타입의 관 이음장치이다.
반통부재(100)도, 경질재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경질수지성형체인 외통부(101a)와, 연질재료, 예를 들면 경도가 JIS A 40의 SEBS 열가소성 에라스토마로 이루어지는 패킹층인 내통부를 갖는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반통부재(100) 내면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중심 횡단면(P2)을 경계로하여 좌우로 산(103a)과 골(103b)의 반복이 반대로 되도록 파형(103)이 형성되어 있다.
반통부재(100)의 본체(101)에도, 반통부재(9)와 동일하게 제1 및 제2 연장부(104, 105)를 갖고 있다. 제1 연장부(104)에는, 그 바깥 가장자리를 따라서 부재(100)의 대략 중심 횡단면(P2)의 위치로부터 부재(100)의 일단(S2)까지 신장하는 갈고리형 돌조(106a)가 동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갈고리형 돌조(106a)의 선단부에는 홈이 피결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연장부(104)의, 중심 횡단면(P2)에 관해서 갈고리형 돌조(106a)와 반대측의 바깥가장자리는, 걸림부로서의 평형돌조(107a)로 형성되고, 이 평형돌조(107a)는, 거의 중심 횡단면(P2)의 위치로부터 부재(100)의 타단(T2)까지 신장하고 있다. 그리고, 부재(100)의 제 2 연장부(105)의, 중심 횡단면(P2)에 관해서 타단(T2) 측에는 갈고리형 돌조(106a)와 동일한 갈고리형 돌조(106)가 형성되고, 일단(S2)에는 평형돌조(107a)와 동일한 평형돌조(107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2개의 반통부재(100)에 의해 2개의 파형관을 접속하는 경우, 양 파형관의 접속측 단부를 2개의 반통부재에 의해 상하로부터 끼워맞추면, 상측에 배치된 부재(100)의 파형(103)이 양 파형관의 상측 외주면의 파형에 맞물림과 동시에 하측에 배치된 부재(100)의 파형이 양 파형관의 하측 외주면의 파형에 맞물리고, 또, 제2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부재(100)의 평형돌조(107b, 107a)가 다른쪽의 부재(100)의 갈고리형 돌조(106b, 106a)의 각 홈에 각각 삽입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부재(100)의 평형돌조(107b, 107a)가 다른쪽의 부재(100)의 갈고리형 돌조(106b, 106a)의 각 홈에 각각 끼워넣고, 2개의 반통부재가 서로 결합되고, 2개의 파형관이 서로 접속된다.
그리고, 반통부재(100)의 갈고리형 돌조(106b)는, 타단(T2) 측의 제 2 연장부에 설치하였지만, 갈고리형 돌조(106a)와 동일하게 일단(S2) 측의 제 2 연장부(105)에 형성하여도 좋으며, 그 경우에는 평형돌조(106a)는 타단(T2) 측의 제 2 연장부(105)에 설치되게 된다.
반통부재(100)의 제1 및 제2 연장부(104, 105) 및 패킹층인 내통부에(101b)에는, 제1 실시예와는 다른 구성의,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우선, 외통부(101a)의 제1 및 제2 연장부(104, 105)에는, 각 갈고리형 돌조(106a, 106b)를 따라서, 그 반경방향 안쪽의 바로 근방에, 각 갈고리형 돌조(106a, 106b)와 대략 같은 길이의 홈(101c, 101d)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의 길이방향의 연장선상에, 평형돌조(107a, 107b)를 따라서, 홈(101c, 101d)과 대략 같은 길이로 이 홈(101c, 101d)에 끼워맞춤 가능한 두께의 돌조(101e, 101f)가 외통부(101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내통부(101b)는, 그 내면에 형성되는 파형(103)의 둘레방향 단면의 각 끝가장자리를 따라서, 제1 및 제2 연장부(104 및 105)에 밀착하여 반경방향 바깥으로 각각 신장하는 패킹층의 날밑부(이하 날밑부라 한다)(101g)(101h)를 가지고 있다. 날밑부층(101g)의 상술한 갈고리형 돌조(101a)를 따라 신장하여 돌출한 가장자리는, 홈(101c)을 덮음과 동시에, 이 홈(101c)으로 들어가 홈을 메우고, 돌조(101f)를 따라 신장하여 돌출한 가장자리는, 이 돌조(101f)에 대략 접하는 위치까지 신장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날밑부(101h)의, 상술한 갈고리형 돌조(101b)를 따라 신장하여 돌출한 가장자리는, 홈(101d)을 덮음과 동시에, 이 홈(101d)에 들어가 홈을 메우고, 돌조(101e)를 따라 신장하여 돌출한 가장자리는, 이 돌조(101e)에 대략 접하는 위치까지 신장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에서는, 2개의 반통부재(100)를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시킬 때에, 제2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반통부재(100)의 홈(101c, 101d)에 충전되어 있는 패킹층(101g, 101h)을 다른쪽의 반통부재(100)의 돌조(101e, 101f)에 의해서 압축하기 때문에, 나선파형관이 받는 인발력이 내통부로 작용하여 이것이 인발력을 흡수하도록 변형하여도, 돌조(101e, 101f)의 압축력에 의해 외통부(101a)의 측부로부터 내통부(101b)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통부재(100)의 외통부재(101a)의 내면에는, 상술한 제3 실시예의 돌조(72f)와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패킹층 박리방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제20도는, 외통부(101a)의 내면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나 홈, 걸림구멍을 나타내고 있다. 외통부(101a)의 내면에는 나선 파형관의 외면의 파형에 정합하여, 제1 실시예와 유사한, 산(103c) 및 골(103d)이 반복되는 파형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되는 2개의 반통부재(100)의 맞춤면 근방의 각 산(103c)의 산정면 및 각 골(103d)의 골바닥면에, 패킹층인 내통부(101b)에 죄어드는 쐐기형의 돌기(103e, 103f)가 각각 외통부(101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산(103c)이나 골(103d)의 박리가 생기기 쉬운 위치에, 쐐기형의 돌기(103g), 둥근구멍(103h), 홈형의 요함부(凹陷部)(긴 구멍)(103j)를 형성하고 있다. 둥근 구멍(103h)이나 긴구멍(103j)은, 외통부(101a)를 관통하는구멍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쐐기형의 돌기(103e~103g)나 구멍(103h, 103j)를 형성한 내통부(101a)의 내주면에 패킹층인 내통부(101b)가 사출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반통부재를 관 이음장치로서 사용하면, 나선파형관이 받는 인발력이 패킹층인 내통부(101b)에 작용하여 이것이 변형하려고 하여도, 돌기(103e~103g)나 구멍(103h, 103j)이 내통부(101b)를 걸리게하여 내통부(101b)가 외통부(101a)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반통부재(100)의 맞춤면 근방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돌기(103e, 103f)는, 내통부(101b)의 길이방향 단부를 걸리도록 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생기기 쉬운 벗겨짐을 방지한다. 또, 외통부 내주면에 형성된 여러 가지의 돌기(103e~103g)나 구멍(103h, 103j)은, 반통부재(100)를 파형관에 장착할 때, 관 외주면과 내통부(101b)가 강하게 미끌리면서 접하여도, 내통부(101b)가 벗겨져서 안으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 중 부호(H3)는, 내통부(101b)를 사출성형하기 위한 주입공이다.
[실시예 6]
제22도 내지 제24도에 나타낸 반통부재(110)도, 나선파형관을 접속하기 위하여, 같은 부재를 2개 1조로 사용하는 타입의 관 이음장치이다. 이 반통부재(110)는, 제18도 내지 제21도를 따라서 나타낸 반통부재와 다른점은, 이하와 같으며, 그 이외의 반통부재(100)와 같거나, 혹은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제1의 다른 점은, 패킹층인 내통부(111b)의 재료로서, SBS계 열가소성 에라스토마 100 부에 대해서 수분과 그 수분을 흡수하여 팽윤하는 수팽윤성 재료 100 부를 첨가하는 것이 이용되는 것이다. 이 반통부재(110)에는 수팽윤성 재료로서, 스미카겔(상표명:스미또모화학사제(社製)아크릴산·비닐알콜 공중합체)이 이용되고 있다.
제2의 다른점은, 반통부재(110)의 갈고리형 돌조(106a, 106b)에 각각 다수의 슬릿(116a, 116b)을 형성하고, 갈고리형 돌조(106a, 106b)를 4개의 피스로 나눈 것이다.
이 반통부재(110)는, 내통부(111b)의 패킹층에 수팽윤성 재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내통부(111b)를 수분에 접촉하면, 이 수팽윤성재료가 수분을 흡수하여 내통부(111b)가 팽창하여, 내통부(111b)와 파형관의 밀착성이 증가하여 수밀성이 향상된다.
이 때, 내통부(111b) 기 과잉 팽창하면, 팽창 압력에 의해 2개의 반통부재의 결합이 떨어질 염려가 있다. 그래서, 반통부재(110)에는 갈고리형 돌조(106a, 106b)에 각각 다수의 슬릿(116a, 116b)을 형성함으로써, 내통부(111b)가 과잉 팽창하여도 슬릿(116a, 116b)으로부터 과잉 팽창분의 일부를 밀어낼 수 있다. 이로써, 내통부(111b)가 과잉하게 팽창하여도 반통부재(110)의 결합이 벗겨질 염려가 없다.
[실시예 7]
제25도 내지 제28도는, 작업성 향상을 위한 평면을 구비하는 타입의 관 이음장치를 나타낸다. 이 관 이음장치는, 같은 형상, 칫수의 2개의 반통부재(130, 140)로 이루어지며, 제1 실시예의 것과 기본적으로는 구성, 작용효과가 동일하다. 제1 실시예의 반통부재(30, 40)와 비교하면, 주로 결합수단의 구성이 다르지만, 그 외는 세세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유사하다. 한편, 반통부재(130, 140)의 결합수단에 대해서는, 제5 실시예(제18도 내지 제21도)의 반통부재(100)의 결합수단과, 갈고리형 돌조와 평형돌조의 설치위치가 다를뿐 기본적으로는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반통부재(130, 140)의, 반통부재(100)의 요소와 대응하는 요소에는, 대응하는 참조부호에 의해 나타내고(예를 들면, 반통부재(100)의 요소 갈고리형 돌조(106a)에 대응하는 반통부재(130)와 같은 요소에 대해서 참조 번호(136a)을 붙여서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통부재(130, 140)의 외주면에는, 외통부(131a, 141a)의 외주면 중앙부에, 부재(130, 140) 끼리의 맞춤면에 평행하는 직사각형의 평평한 면(131e, 141e)이 형성되어 있다. 이 평면(131e, 141e)은, 제1 실시예의 평면(31e, 41e)와 같은 기능을 가지며, 반통부재(130, 140)를 평면(131e, 141e)을 아래로하여 지면이나 작업대에 얹어놓은 경우, 이들이 구르지 않는 안정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안전하게 관 이음장치의 조립작업을 할 수 있다.
이 평면(131e, 141e)에는, 미끄러짐 방지용의 요철을 형성해 두면, 반통부재를 밀어부쳤을 때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이 더욱 향상된다. 미끄럼 방지용의 요철패턴은, 예를 들면, 제2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상의 홈(또는 돌기)으로 구성되는 패턴(PT1) 망상의 홈(또는 돌기)로 구성되는 패턴(PT2), 혹은 샌드블라스트 등에 의해 형성되는 배 표피 형상의 세밀한 요철패턴(PT3) 등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8]
제29도 및 제30도는, 작업성 향상을 위한 평면을 구비하고, 제7 실시예(제25도)의 관 이음장치와 유사한 관 이음장치를 나타낸다. 이관 이음장치는, 같은 형상, 칫수의 2개의 반통부재(150, 160)로 이루어지며, 작업성 향상을 위한 평면의 구조가 다른 이외는 제7 실시예의 반통부재(130, 140)와 기본적으로 구성, 작용효과가 동일하다. 따라서, 반통부재(150, 160)의, 반통부재(130, 140)의 요소에 대응하는 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반통부재(150, 160)는, 외통부(151a, 161a)의 외주면 중앙부에, 이 중앙부를 사방으로 둘러싸는 리브(151f, 161f)를 외통부(151a, 161a)와 일체로 형성하고, 이 리브(151f, 161f)의 단면(151g, 161g)에 의해서 작업성 향상을 위한 평면(151e, 161e)을 구성시키는 것이다. 제1 실시예의 평면(31e, 41e)이나, 제7 실시예의 평면(131e, 141e)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 외통부(151a, 161a)의 성형에 사용하는 수지량을 적게 할 수 있으며, 재료 코스트의 저감 및 경량화가 도모된다.
[실시예 9]
제31도 내지 제33도는, 제9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를 나타내며, 외통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리브구조와, 결합수단의 구성이 다른 이외는, 제8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구성, 작용효과가 동일하다. 그리고, 결합수단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4 실시예의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임으로, 제8 및 제4 실시예에 대응하는 요소에 이들과 같은 부호를 붙여서 이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9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는, 같은 형상, 칫수의 2개의 반통부재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외통부(171a, 181a)의 외주면 중앙부에, 이 중앙부의 사방을 둘러싸는 리브(171f, 181f)를, 외통부(171a, 181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171f, 181f)는, 제8 실시예의 반통부재(150, 160)에 형성된 리브(151f, 161f)보다도 세밀하고, 이 때문에, 보강 리브(171g, 171h, 181g, 181h)가 각각 격자형으로 설치되고, 이들의 리브의 단면에 의해서 작업성 향상을 위한 평면(171e, 181e)을 구성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관 이음장치의 결합수단은, 이상에 설명한 여러 가지의 실시예의 어느 것이라고 좋으며, 또한 이들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2개의 반통부재를 서로 밀어붙이면 걸림부와 피걸림부가 서로 걸려서 결합되는 것이면 된다.
[실시예 10]
제3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관 이음장치의 결합수단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를 나타내며, 제10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는, 상부 반통부재(190)와 하부 반통부재(2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부재(190, 200)는, 외통부(191a, 201a)와 내통부(191b, 201b)로 구성되는 본체(191, 201)를 포함하고, 이 본체(191, 201)은, 제1~9 실시예와 기본적으로는 같은 구성과 작용효과를 갖고 있다.
제10 실시예의 상부 반통부재190)는, 외통부(191a)의 외주면의 양측 둘레를 따라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갈고리형 걸림단부(196a, 196b)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하부 반통부재(200)는, 외통부(201a)의 외주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부재(190)와 부재(200)의 맞춤면에 거의 수직으로 신장하고, 부재(190)의 대응하는 갈고리형 걸림단부(196a, 196b)와 결합하는 갈고리형 돌조(206a, 206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하부 반통부재(200)에는 외통부(201a)의 외주 중앙부에 부재(200)의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치는 직사각형의 평면(201b)이 구성되어 있다.
제10 실시예의 경우,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평면(201e)은, 하부 반통부재(200)에만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하부 반통부재(200)를 접속하는 파형관의 하측에 사용하면 좋다. 이와 같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평면은, 2개의 반통부재의 중 한쪽에만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부 및 하부 반통부재(190, 200)의 내부면에는 실리콘유가 도포되어 있다. 이 관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파형관을 접속할 때는, 하부 반통부재(200)를 평면(201e)을 밑으로하여 작업대상에 얹어놓고, 접속하는 관의 양면을 맞춘 상태에서 부재(200)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부 반통부재(200)를 밑으로하여 관외주에 덮는다. 그리고, 상부 반통부재(190)의 외주면 중앙을 밀어눌러서, 제34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재(190)의 갈고리형 걸림단부(196a, 196b)를 부재(200)의 갈고리형 돌조(206a, 206b)에 걸어맞춰서 2개의 부재(190, 200)를 결합시켜, 2개의 파형관을 접속시킨다.

Claims (13)

  1. 접속하는 관(11A, 11B)의 단부의 일측 반주(半周)를 덮기 위한 제 1 반통부재(半筒部材;30)와, 상기 관 단부의 타측 반주를 덮기 위한 제 2 반통부재(40)를 구비하고, 제 1 반통부재(30)는, 경질수지에 의해 성형되는 제 1 외통부(31a)와, 제 1 외통부(31a)의 내주면에 끼워 붙여져서 상기 관(11A, 11B)과 제 1 외통부(31a) 사이에 개재(介在)하는 제 1 패킹층(31b)과, 제 1 및 제 2 반통부재(30, 40)를 그들의 맞춤면(31s, 41s)을 맞춰서 결합시키는 제 1 결합수단을 가지며, 제 2 반통부재(40)는, 경질수지에 의해 성형되는 제 2 외통부(41a)와, 제 2 외통부(41a)의 내주면에 끼워 붙여져서 상기 관(11A, 11B)과 제 2 외통부(40) 사이에 개재하는 제 2 패킹층(41b)과, 제 1 결합수단과 걸어맞춰져서 제 1 및 제 2 반통부재(30, 40)를 결합시키는 제 2 결합수단을 가지며,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반통부재(30, 40)는, 비 결합시에, 각각의 맞춤면(31s, 41s)에서의 개구폭(S)이 각 개구폭 중앙위치에서의 깊이(D)의 2배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반통부재(30, 40)의 각 내주면은, 제1 및 제2 반통부재(30, 40)의 비 결합시에, 둘레방향 양측의 각 맞춤면(31s, 41s) 근방에서의 각각의 곡률반경이 상기 접속하는 관(11A, 11B)의 외주면의 곡률반경과 거의 같고, 둘레방향 중앙위치에서의 각각의 곡률반경이 상기 접속하는 관(11A, 11B)의 외주면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반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외통부(31a, 41a)는, 제1 및 제2 반통부재(30, 40)의 결합시에, 상기 제1 및 제2 반통부재(30, 40)의 각 내주면이 상기 반타원형 단면으로부터 반원형 단면으로 변화하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관 이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킹층(31b, 41b)은, 상기 외통부(31a, 41a)의 내주면에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열가소성 에라스토마로 이루어지는, 관 이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킹층(31b, 41b)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에라스토마의 경도는, 일본공업규격 JIS K 6301에 규정되는 경도시험(A형)에 따라 측정하여, 경도 JIS A 5 이상, JIS A 50 이하인 관 이음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통부(31a, 41a)의 각 길이방향 단부 근방에, 상기 사출성형을 행하기 위한 수지 주입공(H)을 구비하고 있는 관 이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외통부(31a, 41a)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맞춤면(31s, 41s) 근방의 내주면에, 당해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패킹층을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수단(73e, 73f, 103e, 103f)을 구비하는 관 이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통부재(30, 40)의 적어도 한쪽은, 그 내주면 중앙부에, 내주면의 다른 부분 보다 반경방향 바깥쪽에 오목한 홈(38)을 갖는 관 이음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수단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반통부재(30, 40)의 결합상태시에, 서로 걸리는 제1(36g, 36h) 및 제2 걸림면(47g, 47h)을 가지며, 상기 제1 결합수단은, 또한 상기 제1 걸림면(36g, 36h)에 관해서 상기 맞춤면(31s)과 반대측에, 상기 제1 걸림면(36g, 36h)에 가까워질수록 제1 반통부재(30)의 중앙측으로 위치하도록 만곡하는 제1 만곡면(36m, 36n)df 갖고, 상기 제2 결합수단은, 또한 제2 걸림면(47g, 47h)에 관해서 상기 맞춤면(41s) 측에, 상기 제2 걸림면(47g, 47h)에 가까워질수록 제2 반통부재(40)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만곡하는 제2 만곡면을 갖는 관 이음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통부재(30, 40)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제1 및 제2 반통부재(30, 40)의 결합전의, 상기 제1 만곡면(36m, 36n)과 제2 만곡면을 서로 맞닿게한 상태로, 다른쪽의 반통부재를 유지하는 임시고정수단(36j, 36k)을 갖는 관 이음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통부재(30, 40)는,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같은 칫수로 형성되는 관 이음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통부재(30, 40)는, 각 내주면에 결합전에 미리 도포된 윤활유층을 갖는, 관 이음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통부재(30, 40)의 적어도 한쪽은, 그 외주면의 둘레방향 중앙붕 평탄한 면(31e, 41e)을 갖는 관 이음장치.
  13. 접속하는 관(11A, 11B)의 단부의 일측 반주를 덮기위한 제1 반통부재(30)와, 상기 관 단부의 타측를 덮기 위한 제2 반통부재(40)를 구비하고, 제1 반통부재(30)는, 경질수지에 의해 성형되는 제1 외통부(31a)와, 제1 외통부(31a)의 내주면에 끼워붙여지고, 상기 관과 제1 외통부(31a) 사이에 개재하는 제1 패킹층(31b)과, 제1 및 제2 반통부재(30, 40)를 그들의 맞춤면(31s, 41s)을 맞추어서 결합시키는 제1 결합수단을 가지며, 제2 반통부재(40)는, 경질수지에 의해 성형되는 제2 외통부(41a)와, 제2 외통부(41a)의 내주면에 끼워붙여지고, 상기 관(11A, 11B)과 제2 외통부(41a) 사이에 개재하는 제2 패킹층(41b)과, 제1 결합수단과 걸어맞춰져서 제1 및 제2 반통부재(30, 40)를 결합시키는 제2 결합수단을 가지며,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반통부재(30, 40)는, 각 내주면에 결합전에 미리 도포된 윤활유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장치.
KR1019940033987A 1993-12-13 1994-12-13 관 이음장치 KR0179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341241A JPH07167362A (ja) 1993-12-13 1993-12-13 管継手
JP93-341241 1993-12-13
JP07208694A JP3515163B2 (ja) 1994-04-11 1994-04-11 管継手
JP07208794A JP3345847B2 (ja) 1994-04-11 1994-04-11 波付管継手
JP94-72086 1994-04-11
JP94-72087 1994-04-11
JP25421394 1994-09-26
JP94-254213 1994-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345A KR950019345A (ko) 1995-07-22
KR0179390B1 true KR0179390B1 (ko) 1999-02-18

Family

ID=27465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3987A KR0179390B1 (ko) 1993-12-13 1994-12-13 관 이음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0179390B1 (ko)
CN (1) CN1043812C (ko)
MY (1) MY116626A (ko)
TW (1) TW25134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4918A1 (en) * 2002-03-04 2003-09-12 Aba Of Sweden Ab Coupling device constitute two halves
KR20220168123A (ko) * 2021-06-15 2022-12-22 하헌식 파형관 연결용 커플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3012B2 (ja) * 2006-09-28 2009-04-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接続具
KR100713243B1 (ko) * 2007-01-26 2007-05-02 (주)건일엠이씨 공동주택용 전선보호관 이음장치
CN102544971B (zh) * 2012-02-28 2014-07-16 洛阳栾川钼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缆接头的热硫化修复法及其修复用模具
CN104723579B (zh) * 2015-04-13 2017-03-22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全复合材料波纹夹层圆柱壳的组合模具
CN105003787A (zh) * 2015-07-03 2015-10-28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竹节状预应力塑料管带排气管的圆管密封接头
CN105020523A (zh) * 2015-07-03 2015-11-04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竹节状预应力塑料管的密封接头
CN105042257A (zh) * 2015-07-03 2015-11-11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竹节状预应力塑料管带卡槽锁紧的密封接头
CN105042253A (zh) * 2015-07-03 2015-11-11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竹节状预应力扁口塑料管的密封接头
CN105020526A (zh) * 2015-07-03 2015-11-04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竹节状预应力塑料管带卡槽固定的变径接头
CN105042255A (zh) * 2015-07-03 2015-11-11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连接竹节状预应力塑料管带密封垫排气管的圆管密封接头
CN105003785A (zh) * 2015-07-03 2015-10-28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连接竹节状预应力扁口塑料管带螺栓和排气管的密封接头
CN105003764A (zh) * 2015-07-03 2015-10-28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竹节状预应力扁口塑料管带密封垫的密封接头
CN105020521A (zh) * 2015-07-03 2015-11-04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竹节状预应力扁口塑料管带锁扣锁紧的密封接头
CN105020522A (zh) * 2015-07-03 2015-11-04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连接竹节状预应力扁口塑料管带插板和排气管的密封接头
CN105042252A (zh) * 2015-07-03 2015-11-11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连接竹节状预应力扁口塑料管带密封垫排气管的密封接头
CN105020502A (zh) * 2015-07-03 2015-11-04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连接竹节状预应力扁口塑料管带锁扣和排气管的密封接头
CN105020528A (zh) * 2015-07-03 2015-11-04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竹节状预应力扁口塑料管带插板的密封接头
CN105042251A (zh) * 2015-07-03 2015-11-11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连接竹节状预应力扁口塑料管带卡槽和排气管的密封接头
CN105020524A (zh) * 2015-07-03 2015-11-04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连接竹节状预应力塑料管带锁扣锁紧和排气管的密封接头
CN105020525A (zh) * 2015-07-03 2015-11-04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连接竹节状预应力塑料管带卡槽锁紧和排气管的密封接头
CN105042228A (zh) * 2015-07-03 2015-11-11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竹节状预应力塑料管带插板的密封接头
CN105042249A (zh) * 2015-07-03 2015-11-11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竹节状预应力塑料管的变径接头
CN105020529A (zh) * 2015-07-03 2015-11-04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竹节状预应力塑料管带螺栓锁紧的密封接头
CN105020527A (zh) * 2015-07-03 2015-11-04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竹节状预应力塑料管带锁扣锁紧的密封接头
CN105003786A (zh) * 2015-07-03 2015-10-28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竹节状预应力扁口塑料管带卡槽锁紧的密封接头
CN105042254A (zh) * 2015-07-03 2015-11-11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连接竹节状预应力塑料管带螺栓锁紧和排气管的密封接头
CN105042250A (zh) * 2015-07-03 2015-11-11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竹节状预应力塑料管带插板和排气管的密封接头
CN105042256A (zh) * 2015-07-03 2015-11-11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竹节状预应力扁口塑料管带排气管的密封接头
CN105042227A (zh) * 2015-07-03 2015-11-11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竹节状预应力扁口塑料管带螺栓锁紧的密封接头
CN108150835A (zh) * 2017-12-27 2018-06-12 天津市裕民燃气表具有限公司 一种天然气取样管道装置
CN113732091A (zh) * 2021-08-31 2021-12-03 江西南塑科技有限公司 一种防脱落、抗拉拔管材用模具结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60063A (en) * 1975-07-03 1979-08-07 Thomas A. Kutnyak Snap-in swivel end fitting
US4174858A (en) * 1976-12-06 1979-11-20 National Union Electric Corporation Connection for securing a helically convoluted hose to a hose fitting
FR2580222B1 (fr) * 1985-04-12 1987-05-22 Caoutchouc Manuf Plastique Dispositif d'ancrage d'un systeme tubulaire souple sur un epaulement rigide grace a une armature fragmentee
FR2581927B1 (fr) * 1985-05-17 1987-06-26 Caoutchouc Manuf Plastique Dispositif d'ancrage d'un systeme tubulaire souple sur un epaulement rigide grace a une armature a secteurs lies
JPS6286490A (ja) * 1985-10-12 1987-04-20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
DE3808383A1 (de) * 1988-03-12 1989-09-28 Witzenmann Metallschlauchfab Leitungsverbindung
JPH02129490A (ja) * 1988-11-09 1990-05-17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スパイラル管の継手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4918A1 (en) * 2002-03-04 2003-09-12 Aba Of Sweden Ab Coupling device constitute two halves
CN100343570C (zh) * 2002-03-04 2007-10-17 瑞典Aba公司 由两个半部构成的连接装置
KR20220168123A (ko) * 2021-06-15 2022-12-22 하헌식 파형관 연결용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812C (zh) 1999-06-23
MY116626A (en) 2004-03-31
CN1110774A (zh) 1995-10-25
KR950019345A (ko) 1995-07-22
TW251342B (en) 1995-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9390B1 (ko) 관 이음장치
CN102563248B (zh) 管道连接结构
EP0564990A1 (en) A connection and/or T-joint for flexible tubes
RU2426027C2 (ru) Узел из шланга и фитинга из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выполненный как одно цело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узла
CA1318336C (en) Flexible pipe saddle
CA1339344E (en) Soil pipe coupling
US9388927B2 (en) Polymer pipe connection assembly
US5791696A (en) Hose with a protector
JP2005523406A (ja) バーブクランプ
US20060225803A1 (en) Dual wall co-extruded corrugated tubing
EP2128510B1 (en) Pipe fitting
MXPA01000160A (es) Empaque coextruido para tubos de dureza durometrica.
JP3434379B2 (ja) 管継手
EP0661490B1 (en) Hose with protector
WO2020027122A1 (ja) 止血器具
WO1991012460A1 (en) Method of water stopping in pipeline, construction of connecting portion of pipeline and water stop material
JP2726449B2 (ja) 分岐管部の補修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ライニング材
JP2013082095A (ja) 既設管更生部材
CZ288712B6 (cs) Těsnicí součást a pouzdro pro její přichycení k podélnému členu
WO2020040843A2 (en) Gaskets with a non-compressible core and one or more compressible layers
JP3515163B2 (ja) 管継手
JP3345847B2 (ja) 波付管継手
KR0140708Y1 (ko) 파형관용 관연결구
JP5758785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止水装置
JP2890023B2 (ja) パイプ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