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119B1 -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 Google Patents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119B1
KR0178119B1 KR1019960003780A KR19960003780A KR0178119B1 KR 0178119 B1 KR0178119 B1 KR 0178119B1 KR 1019960003780 A KR1019960003780 A KR 1019960003780A KR 19960003780 A KR19960003780 A KR 19960003780A KR 0178119 B1 KR0178119 B1 KR 0178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support
contact
slide body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741A (ko
Inventor
류헤이 니시다
Original Assignee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filed Critical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ublication of KR970005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1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2Stabilizers, e.g. anti-rattl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유리의 승강동작에 영향받지 않는 스태빌라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기 도어유리에 대향하는 도어부의 내부패널에 부착되고, 도어유리의 승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점차 돌출한 경사벽을 가지며, 상기 경사벽에 제1걸림부를 가지는 지지대와, 도어유리의 표면에 접촉하는 접촉체를 구비하고, 배면에 상기 지지대의 상기 경사면에 접합하고, 도어유리의 승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지지대에 슬라이드 자유롭도록 지지되며, 상기 제1걸림부에 의해 슬라이드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걸리는 제2걸림부를 가지는 슬라이드체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체의 걸림위치에 의해 도어유리와 상기 접촉체와의 접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를 나타낸9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지지대의 좌측면도.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슬라이드체의 배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지지대와 슬라이드체를 맞붙인 상태의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스태빌라이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8도는 지지대의 다른 실시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제9도는 조작구의 요부를 나타낸 정면도.
제10도는 종래의 스태빌라이저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유리 2 : 이너패널
2b : 래인포스(lane force) 10 : 지지대
11 : 기부 12 : 경사벽
13a, 13b : 가이드돌조 14a,14b : 가이드틀체
16a,16b : 탄성편 17a,17b : 걸림돌조
20 : 암부 21 : 홈구멍
22 : 현지편(懸止片) 23 : 수하편(垂下片)
24 : 걸림돌조 30 : 슬라이드체
31a : 접합면 32a,32b : 끼워맞춤둘레부
33a,33b : 가이드홈 34a,34b : 걸림홈
35 : 접촉체 36 : 돌출부
40 : 부착금구 50 : 멈춤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부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된 도어유리의 표면에 접촉체를 눌러 접촉시켜 도어유리의 진동을 억제하여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특히 새시레스(Sashless)형의 자동차에서는, 주행시나 도어 개폐시ml 진동방지를 위하여, 종래에는 도어부내에 도어유리의 표면에 접촉체를 눌러 접촉시키는 스태빌라이저를 설치한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 56-131419).
그러나 이러한 스태빌라이저는 도어유리에 대향한 도어내부 패널에 접촉체를 직접 고정시킨 것이기 때문에, 도어유리와의 접촉을 조정하기 어렵고, 접촉도가 너무 적으며 도어유리의 진동억제력이 충분하지 않게 되고, 너무 크면 도어유리의 승강동작이 무거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없애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평 4-4890을 제안하였다. 즉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평 4-4890의 스태빌라이저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유리(1)에 대향하는 도어부의 내부패널(2)에 문형상의 틀체(3)를 고정하고, 도어유리에 접촉시키기 위한 식모부(植毛部:4)를 구비한 접촉체(5)를 틀체(3)와 내부패널(2) 사이에 삽입하여 틀체(3)로 걸어멈추고, 또 도어유리(1) 쪽으로 상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쐐기부재(6)를 접촉체(5)와 내부패널(2) 사이에 상측에 끼워 넣는다. 쐐기부재(6)에는 래칫형의 걸림홈(6a)이 상하방향으로 복수로 병설되고 있고, 한편 접촉체(5)의 하단에는 이 걸림홈(6a)과 걸리는 걸림돌조(5a)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촉체(5)와 내부패널(2) 사이에 쐐기부재(6)를 밀어넣으면 어느 한 걸림홈(6a)에 걸림돌조(5a)가 끼워 넣어져 걸어멈춰지나, 쐐기부재(6)를 하측으로 밀어내림에 따라서 걸림돌조(5a)는 상측의 걸림홈(6a)에 걸어멈춰지고, 접촉체(5)는 차례로 도어유리(1)에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이 쐐기부재(6)를 밀어내리는 량에 따라서 도어유리(1)로의 식모부(4) 접촉을 조정할 수 있다.
이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평 4-4890의 스태빌라이저에 의하면 쐐기부재(6)를 밀어넣는 조작에 의하여 자유롭게 도어유리(1)로 접촉체(5)의 접촉을 조정할 수 있지만, 충분한 접촉도로 식모부(4)가 도어유리(1)에 접촉한 상태에서, 도어유리(1)를 반복하여 승강도악시키면, 접촉체(5)가 도어유리(1)의 상승에 따라서 점차 상승한 걸림돌조(5a)가 더욱 상측의 걸림구멍(6a)에 끼워지고, 접촉체(5)는 한층 더 도어유리(1)에 근접하여 접촉도가 높아지며, 접촉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더욱 접촉체(5)가 도어유리(1)의 상승에 따라가게 되고 점차로 도어유리(1)의 승강동작이 무거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접촉체의 도어유리로의 접촉조정이 용이하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유리의 승강동작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스태빌라이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서는, 자동차의 도어부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된 도어유리의 표면에 접촉체가 누름접촉하여 도어유리를 지지하는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에 있어서,
상기 도어유리에 대향하는 도어부의 내부패널에 부착되고, 도어유리의 승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차례로 돌출한 경사벽을 가지며, 상기 경사벽에 걸림돌조를 가지는 지지대와,
도어유리의 표면에 접촉하는 접촉체를 구비하고, 배면으로 상기 지지대의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고, 도어유리의 승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지지대에 슬라이드가 자유롭도록 지지되며, 상기 걸림돌조에 의하여 슬라이드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걸리는 걸림홈을 가지는 슬라이드체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체의 걸림위치에 따라서 도어유리와 상기 접촉체와의 접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슬라이드체가 도어유리의 승강동작에 따라가지 않도록 하며, 도어유리의 승강동작의 반복에 의해서도 접촉도가 변화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서는,
상기 지지대의 경사면에 상기 슬라이드체를 도어유리의 승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도록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틀체를 구비했기 때문에, 가이드틀체에 의해서 슬라이드체의 도어유리 승강방햐으로의 움직임이 완전하게 규제되어, 접촉도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서는,
상기 지지대에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윗면에 홈구멍을 가지는 암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사이 슬라이드체가 측부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구멍의 조작구의 선단을 끼워 조작구에서 상기 슬라이드체의 상기 돌출부를 눌러 슬라이드체를 슬라이드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슬라이드체의 슬라이드량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서는,상기 지지대의 측방향에서 상기 경사면의 이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조작부를 상기 공간(12a)부에서 삽입하여 상기 걸림돌조를 후퇴시킴에 따라 슬라이드체의 걸림홈과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하여, 접촉의 조정조작에 있어서 접촉도가 너무 커진 경우에 슬라이드체를 되돌려 접촉도를 작은쪽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근거로 본 발명의 실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제7도는 발명의 일실시의 자동차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를 나타낸 것으로 지지대(10)와, 슬라이드체(30)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대(10)는 제1도~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가 긴 장방형 판형상의 기부(11)의 중간부에 있어서, 수평방향의 일단측에서, 수평방향(도어유리 승강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V자형으로 차례로 돌출한 경사벽(12)이 형성되고, 이 경사벽(12)의 외면에는 슬라이드체(30)의 가이드홈(33a),(33b)에 끼워맞추어 슬라이드체(30)를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평방향의 가이드돌조(13a),(13b)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기부(11)에는, 이 경사벽(12)의 상측 및 하측에 있어서, 슬라이드체(30)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경사벽(12)과 평행한 'L'자형상의 가이드틀체(14a),(14b)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틀체(14a),(14b)에 의해서 슬라이드체(30)의 상하단이 지지되기 때문에, 도어유리(1)의 승강에 따라 슬라이드체(3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한층 확실하게 저지된다.
가이드돌조(13a)의 상측 및 가이드돌조(13b)의 하측에 있어서, 'ㄷ'자형상의 슬릿(15a),(15b)으로 둘러싸인 수평방향으로 탄성편(16a),(16b)이 형성되고, 탄성편(16a),(16b)의 선단에는 각각 슬라이드체(30)의 래칫식의 걸림홈(34a),(34b)에는 걸림돌조(17a),(17b)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벽(12)으로부터 절취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된 탄성편(16a),(16b)에는 걸림돌조(17a),(17b)가 돌출형성되고, 경사벽(12)보다 내측으로 굴곡된 연설부(延設部 : 18a,18b)를 형성하면, 조작구(E)의 선단을 경사벽(12)의 내측에 삽입하여 연설부(18a),(18b)를 내측으로 눌러 탄성편(16a),(16b)을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슬라이드체(30)의 걸림홈(34a),(34b)과 걸림돌조(17a),(17b)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 조작구(E)로서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연설부(18a),(18b)를 동시에 조작할 수 있도록 2개의 삽입편(E1),(E2)을 구비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유익하다.
기부(11)의 일단측에서는, 경사벽(12)에 접한 슬라이드체(30)의 슬라이드범위를 크게 하기 위하여 연설편(19a),(19b)이 상하위치에 있어서 각각 측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기부(11)의 하단부(11a) 및 상기 하측의 연설편(19b)에서 일체적으로가로로긴 장방체형상의 암부(20)가 기부(11)와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암부(20)의 윗면에서 앞면에 걸쳐 홈구멍(21)이 복수개의 암부(20)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의 조작공구의 선단을 어느 한 홈구멍(21)에 끼워넣고 그 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슬라이드체(30)의 돌출부(36)에 조작구(E)의 중간부를 눌러 부착함으로써, 슬라이드체(30)를 보다 쉽게 힘을 가감하여 가로방향으로 미미한 거리분만큼씩 밀어넣을 수 있다.
기부(11)의 상단부(11b)로부터는, 기부(11)의 이면측에 'L'자형상의 현지편(22)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현지편(22)의 상단근방에서부 현지편(22)과 기부(11)의 중간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수하편(23)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수하편(23)의 하단중앙에는, 현지편(22)측으로 돌출한 걸림돌조(24)가 형성되어 있다(제2도). 또 수하편(23)의 중간부와 기부(11)가 연결부(25)에서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또 수하편(23)과 현지편(22)의 수평방향의 양단간이 부분적으로 연결부(25)에서 연결되어 있다.
또, 기부(11)의 이면측 하부에는 도어부의 내부패널의 구멍둘레부에 걸어멈춰지기 위한 걸림편(27)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28, 29는 보강용 리브이다.
슬라이드체(30)는 제1도,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31)의 이면의 접합면(31a)이, 수평방향(도어유리의 승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또한 상기 지지대(10)의 경사벽(12)과는 역방향으로 점차로 두께가 커지도록 기울어져 있다. 이 접합면(31a)의 상하단에는, 상기 지지대(10)의 상하의 가이드틀체(14a),(14b)에 슬라이드가 자유롭도록 끼워맞춰진 끼워맞춤둘레부(32a),(32b)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접합면(31a)에는 지지대(10)의 경사벽(12)에서 돌출하여 형성된 상하 가이드돌조(13a),(13b)가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수평방향의 가이드홈(33a),(33b)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접합면(31a)에는 가이드홈(33a)의 상측, 가이드홈(33b)의 하측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의 상하 각 걸림돌조(17a),(17b)에 각각 걸리는 래칫식의 걸림홈(34a),(3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체(31)의 앞면측에는, 도어유리에 눌러 접촉되는 식모(植毛)에서 이루어지는 접촉체(35)가 부착되어 있다.
또 본체(31)의 두께가 큰쪽의 측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대(10)의 암부(20)의 홈구멍(21)에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의 조작공구의 선단을 끼워넣어 슬라이드체(30)를 누르기 쉽도록 예를 들면 원호형상의 돌출부(36)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우선 슬라이드체(30)의 접합면(31a)의 상하 끼워맞춤둘레부(32a),(32b)를 지지대(10)의 상하 가이드틀체(14a),(14b)내에 끼워맞추고, 또 지지대(10)의 상하 가이드돌조(13a),(13b)를 슬라이드체(30)의 접합면(31a)의 상하 가이드홈(33a),(33b)에 끼워맞추어, 수평방향으로 어느정도 밀어넣고, 슬라이드체(30)의 접합면(31a)의 걸림홈(34a),(34b)에 지지대(10)의 탄성편(16a),(16b)의 걸림돌조(17a),(17b)를 걸어멈춘다(제5도).
다음은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대(10)의 배면의 현지편(22)과 수하편(23) 사이에 「」 형상의 부착금구(40)를 선단이 맞닿을 때까지 끼워넣으면, 부착금구(40)의 걸림구멍(41)에 수하편(23) 하단의 걸림돌조(24)가 끼워넣어져서 걸리게 된다. 부착금구(40)는 수평방향 양단의 연결부(26) 등에 의해 끼워져 크랙(crack)을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 도어부의 내부패널, 즉 접합된 이너패널(2a)과 래인포스(laneforce:2b)의 상단부를 지지대(10)의 기부(11)의 배면과 수하편(23)과의 사이에 끼워넣으면서, 지지대(10)의 기부(11)를 도어유리(1)와 래인포스(2b)와의 사이에 끼우고, 기부(11)의 배면에 걸림편(27)을 래인포스(2b)의 구멍(2b)에 끼워넣어 걸어멈춘다.
다음은 부착금구(40)의 부착구멍(42)과 이너패널(2a)의 부착구멍(2a')을 일치시켜서, 멈춤구(50)으로 끼워 결합시킨다. 멈춤구(50)는 확장개방이 가능한 걸림통체(51)와 삽입체(52)로 이루어진 것으로, 걸림통체(51)내에 삽입체(52)를 밀어넣고 걸림통체(51)를 확장개방시킴으로써 고정된다.
다음은 상측에서 손가락으로 슬라이드체(30)을 횡방향으로 밀어넣던가, 또는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의 조작공구의 선단부를 제5도와 같이 지지대(10)의 암부(20)중 어느 한 홈구멍(21)에 끼워넣고, 조작공구의 선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횡방향으로 조작구(E)의 중간부를 밀어쓰러뜨리는 식으로 슬라이드체(30)의 돌출부(36)를 누름으로써, 슬라이드체(30)를 횡방향으로 밀어넣는다.
이에 따라서, 슬라이드체(30)는 지지대(10)의 가이드돌조(13a),(13b) 및 가이드틀체(14a),(14b)에 따라서 가이드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칫식의 걸림홈(34a),(34b)과 걸림돌조(17a),(17b)로 걸어멈춰진다. 지지대(10)의 경사벽(12)이 도어유리(1)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으므로, 이 슬라이드체(30)의 수평방향의 이동량에 따라서, 슬라이드체(30)의 접촉체(35)와 도어유리(1)와의 거리가 변화하므로, 이동량의 조정에 도어유리(1)에 대한 접촉체(35)의 접촉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이동량이 너무 커서 접합도가 너무 커진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9도에 나타낸 것처럼 조작구(E)를 지지대(10)의 V자형의 간격에 끼워넣어 경사벽(12)의 이면에서 탄성편(16a),(16b)의 연설편(19a),(19b)을 삽입편(E1),(E2)으로 누르고, 걸림홈(34a),(34b)과 걸림돌조(17a),(17b)의 걸림을 해제하여 슬라이드체(30)를 눌러 되돌리면 된다.
또 슬라이드체(30)를 지지대(10)에 맞붙인 상태로 슬라이드체(30)를 너무 눌러넣음으로써 슬라이드체(30)가 지지대(10)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드체(30)의 끼워맞춤둘레부(32a), 지지대(10)의 가이드틀체(14a)에 각각 서로 걸어맞춰지도록 걸어맞춤수단을 형성하고, 슬라이드체(30)를 소정거리만큼 밀어넣으면 그 이상 밀어넣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에서는, 슬라이드체(30)가 수평방향 즉 도어유리(1)의 승강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도어(1)와 접촉체(35)와의 접촉도가 매우 큰 경우에도 도어유리(1)의 승강동작에 따라서 슬라이드체(30)가 이동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접촉도가 도어유리(1)의 승강에 따라 변화하는 일이 없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스태빌라이저에서는, 도어유리에 대향하는 도어부의 내부패널에 부착되어, 도어유리의 승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점차 돌출한 경사벽을 가지고, 상기 경사벽에 걸림돌조를 가지는 지지대와, 도어유리의 표면에 접촉하는 접촉체를 구비하고, 배면에 상기 지지대의 상기 경사면에 접합하고, 도어유리의 승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지지대에 슬라이드 자유롭도록 지지되고, 상기 걸림돌조에 의해 슬라이드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걸리는 걸림홈을 가지는 슬라이드체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체의 걸림위치에 따라서 도어유리와 상기 접촉체와의 접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슬라이드체가 도어유리의 승강동작에 따라가지 않고, 도어유리의 승강동작의 반복에 의해서도 접촉도가 변화하지 않는다.
또 특허청구범위 제2항의 스태빌라이저에서는, 상기 지지대의 경사면에 상기 슬라이드체를 도어유리의 승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도록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틀체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가이드틀체에 의하여 슬라이드체의 도어유리 승강방향으로의 움직임이 한층 더 안전하게 규제된다.
또 특허청구범위 제3항의 스태빌라이저에서는, 지지대에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윗면에 홈구멍을 가지는 암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체가 측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홈구멍의 조작구의 선단을 끼워넣고 조작구로 상기 슬라이드체의 상기 돌출부를 누름으로써 슬라이드체를 슬라이드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미량의 힘으로 슬라이드체가 이동가능하므로 슬라이드체의 슬라이드량의 조정이 한층 더 용이하게 되어, 접촉도의 미세한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특허청구범위 제4항의 스태빌라이저에서는, 지지대의 측방향에서 상기 경사면의 이면에 공간부(12a)를 형성하고, 조작부를 상기 공간부에서 삽입하여 상기 걸림돌조를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드체의 걸림홈과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고, 접촉의 조정조작에 있어서, 접촉도가 너무 커진 경우에는 슬라이드체를 되돌려 접촉도를 작은 쪽으로 조정할 수 있다.

Claims (4)

  1. 자동차의 도어부에 승강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도어유리의 표면에 접촉체가 누름접촉하여 도어유리를 지지하는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에 있어서, 상기 도어유리에 대향하는 도어부의 내부패널에 부착되며, 도어유리의 승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점차 돌출한 경사벽을 가지며, 상기 경사벽에 걸림돌조를 가지는 지지대와; 도어유리의 표면에 접촉하는 접촉체를 구비하며, 배면에 상기 지지대의 상기 경사면에 접합하고, 도어유리의 승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지지대에 슬라이드가 자유롭도록 지지되며, 상기 걸림돌조에 의하여 슬라이드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걸리는 걸림홈을 가지는 슬라이드체;를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드체의 걸림위치에 따라 도어유리와 상기 접촉체와의 접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경사면에 상기 슬라이드체를 도어유리의 승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도록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틀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하단으로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면에 홈구멍을 가지는 암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체의 측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홈구멍에 조작구의 선단을 끼운 조작구로 상기 슬라이드체의 상기 돌출부를 눌러서 슬라이드체를 슬라이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측방향에서 상기 경사면의 이면으로 공간부를 형성하고, 조작부를 상기 공간부에서 입삽하여 상기 걸림돌조를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드체의 걸림홈과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KR1019960003780A 1995-07-21 1996-02-15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KR0178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07592 1995-07-21
JP7207592A JPH0930250A (ja) 1995-07-21 1995-07-21 ドアガラス用スタビライ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741A KR970005741A (ko) 1997-02-19
KR0178119B1 true KR0178119B1 (ko) 1999-04-01

Family

ID=1654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780A KR0178119B1 (ko) 1995-07-21 1996-02-15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930250A (ko)
KR (1) KR0178119B1 (ko)
DE (1) DE19629264A1 (ko)
GB (1) GB23036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9722B1 (fr) 1999-02-12 2001-04-20 Allibert Ind Doublure interieure, et portiere ainsi equipee, comprenant un moyen pour limiter le deplacement d'une vitre au moins dans une direc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6494Y2 (ko) * 1975-07-29 1982-08-12
JPS61200024A (ja) * 1985-03-01 1986-09-04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ドアのウインドウパネル昇降装置
US4835908A (en) * 1988-08-04 1989-06-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Frameless glass system for vehicle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03663B (en) 1998-11-11
GB9615157D0 (en) 1996-09-04
DE19629264A1 (de) 1997-01-23
JPH0930250A (ja) 1997-02-04
KR970005741A (ko) 1997-02-19
GB2303663A (en) 1997-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6495B2 (ja) 車両用外装部材の取付構造
US7458185B2 (en) Belt molding structure for motor vehicles
US20110156377A1 (en) Two stage high retention fastener
US20050166459A1 (en) Run channel structure
KR20060111378A (ko) 차량용 장척 트림재와 그 장착방법
US10293670B2 (en) Vehicle molding
JPH07217604A (ja) リザーブタンクの取付構造
US6125588A (en) Glass attachment system for window regulator systems
KR0178119B1 (ko)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EP2489887A1 (en) Attachment structure and attachment tool
KR20040108544A (ko) 파스너
JP3827505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の取付構造
KR0156294B1 (ko) 차량용 도어의 유리 가이드 취부구조
JP2002331838A (ja) ウエザー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JP3557536B2 (ja) 部品の取付構造
JP2002129831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移動体位置規制構造
ITUD980025A1 (it) Cerniera per mobili
KR100325834B1 (ko) 자동차용 선루프
CN109555762B (zh) 夹具安装座
US5815985A (en) Stabilizer for automobile door glass
JPS6135444Y2 (ko)
JP3765938B2 (ja) 自動車用ドアガラスの案内装置
JP3947311B2 (ja) 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JP2001039266A (ja) ショルダアンカ高さ調節装置
KR200144514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플랩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