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209B1 - 슬릿을 이용한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슬릿을 이용한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209B1
KR0177209B1 KR1019950062958A KR19950062958A KR0177209B1 KR 0177209 B1 KR0177209 B1 KR 0177209B1 KR 1019950062958 A KR1019950062958 A KR 1019950062958A KR 19950062958 A KR19950062958 A KR 19950062958A KR 0177209 B1 KR0177209 B1 KR 0177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plate
pitch
lift
s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2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4668A (ko
Inventor
박기원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62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209B1/ko
Publication of KR970054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4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05Devices for making primary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전지(Li/MnO2Battery)를 안치시키는 메거진(20)을 승하강시키도록 하는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기틀(3)의 상판에 스프로켓(13)을 브라켓(12)으로 하향축착시켜 스프로켓(13)에 의해 작동되는 체인(14)의 일측단을 리프트(5)와 일체로 연설된 승하강판(6)을 고정시키고 타단에는 균형추(15)를 고정시키되 상기 승하강판(6)과 균형추(15)는 상판(4)과 기판(2)사이에 입설된 가이드봉(10)(17)을 따라 슬라이딩되어지도록 된것과, 스크류너트(9)가 스크류봉(8)에 결합된 승하강판(6)이 구동모터(7)의 정역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봉(7)에 의해 승하강되어지도록 된것과, 승하강판(6)의 후단양측에 센서(Sem1)(Sem2)가 슬릿(18)(19)을 따라 승하강되어지도록 하되 상기 슬릿(18)에는 상하한피치홈(18-1)(18-2)을 형성하고 슬릿(19)에 파치홈(19-1)을 당간격으로 조밀하게 형성하여서된 것인바, 한쌍의 센서가 슬릿의 피치홈을 센싱하게 되므로 일반적인 구동모터의 작동을 엄격하게 단속할 수 있어 정확한 피치씩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고가인 서보(Servo)모터나 엔코더를 사용하지 않고도 정밀하게 작동되는 로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릿을 이용한 로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로딩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로딩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로딩장치 요부부분확대도.
제4도 (a)(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로딩장치에 구비되는 슬릿의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로딩장치에 슬릿이 고정되는 상태의 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로딩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인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딩장치 2 : 기판
3 : 기틀 4 : 상판
5 : 리프트 6 : 승하강판
7 : 구동모터 7-1 : 브레이크
8 : 스크류봉 9 : 스크류너트
10 : 가이드봉 11 : 부쉬
12 : 브라켓 13 : 스프로켓
14 : 체인 15 : 균형추
16 : 부쉬 17 : 가이드봉
18,19 : 슬릿 20 : 메거진
21 : 모드선택 22 : 카운터
본 발명은 리튬전지(Li/MnO2Battery)를 안치시키는 메거진(20)을 승하강시키도록 하는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슬릿을 사용하여 승하강되어지는 핏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보모터나 엔코더를 사용하지 않고도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리프트를 고정시키고 타편에는 균형추를 구비하여 상기 스프로켓의 정역회전에 의해 리프트가 승하강되어지도록 하되 리프트와 일체로된 승하강판에 복수개의 센서를 구비하여 일측의 센서는 상,하한피치홈이 구비된 슬릿에서 슬라이딩되어지도록 하고 다른 센서는 조밀하게 피치홈이 형성된 슬릿에서 슬라이딩되면서 모드(Mode)의 선택에 따라 한핏치 또는 두핏치씩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로딩(Loading)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리튬전지(Li/MnO2Battery)를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자동화생산라인이 제공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복수개씩의 리튬전지를 자동으로 배열시키고 배열된 리튬전지를 트레이에 자동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된 장치도 없었으며, 다만 벨트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리튬전지를 인위적인 수단 즉 손수파지하여 트레이에 적재시켰었다.
예컨데, 테이블위에 리튬전지를 적재시킬 수 있도록 된 트레이를 올려놓고 벨트콘베이어의 가이드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리튬전지를 손수파지하여 상기 트레이에 이재시켰으며, 리튬전지가 완전히 채워진 트레이는 다른 이송콘베이어에 의해 차기공정으로 이송시키거나 핸드카바에 적재시켜 이송시켰으며, 빈 테이블에는 새로운 트레이를 올려놓은 후 상기 과정을 반복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인위적인 적재방법은 리튬전지의 생산라인을 자동화시키는데 큰 문제가 있었고, 적재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며 작업의 단순성으로 인하여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전후공정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주지 못하여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된 로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일반모터를 사용하여 리프트를 정밀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로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상하이동되면서 슬릿의 핏치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정밀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된 로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작동되는 리프트가 균형추에 의해 요동없이 작동되고 정지시에는 관성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된 로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기틀(3)의 상판에 스프로켓(13)을 브라켓(12)으로 하향축착시켜 스프로켓(13)에 의해 작동되는 체인(14)의 일측단을 리프트(5)와 일체로 연설된 승하강판(6)을 고정시키고 타단에는 균형추(15)를 고정시키되 상기 승하강판(6)과 균형추(15)는 상판(4)과 기판(2)사이에 입설된 가이드봉(10)(17)을 따라 슬라이딩되어지도록 된 것과, 스크류너트(9)가 스크류봉(8)에 결합된 승하강판(6)이 구동모터(7)의 정역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봉(7)에 의해 승하강되어지도록 된 것과, 승하강판(6)의 후단양측에 센서(Sem1)(Sem2)가 슬릿(18)(19)을 따라 승하강되어지도록 하되 상기 슬릿(18)에는 상하한피치홈(18-1)(18-2)을 형성하고 슬릿(19)에 파치홈(19-1)을 등간격으로 조밀하게 형성하여서 된 로딩장치(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과 특징 및 효과는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달성된다.
제1도와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로딩장치(1)의 일예시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기판(2)의 일측편에 기틀(3)이 입설고정되고 그 기틀(3)에는 상판(4)이 기판(2)과 대향되게 고정된다.
상판(4)의 저면 중간부에 스프로켓(13)에는 체인(14)이 걸려져서 작동되며 상기 체인(14)의 일단은 승하강판(6)에 고정되고 타측판은 균형추(15)가 고정되어지는데, 상기 승하강판(6)은 그의 스크류너트(9)가 구동모터(7)에 의해 상판(4)과 기판(2)에 축착되는 스크류봉(8)과 치합되어 있어 스크류봉(8)의 정역회전에 의해 승하강되어질 수 있도록 역시 상판(4)과 기판(2)사이에 나란하게 입설된 가이드봉(10)에 그의 부쉬(11)가 삽입시켰다.
또한 상기 균형추(15)에는 부쉬(16)를 고정시켜서 상판(4)과 기판(2)사이에 입설된 가이드봉(17)에 삽입시켜서 직상하방으로 작동되도록 하였고, 승하강판(6)의 관성력 즉 상기 승하강판(6)의 선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리프트(5)의 상하작동관 안치되는 메거진(20)과 함께 작동될 때 관성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승하강판(6)의 배면 양단에 센서(Sem1)(Sem2)를 각각 구비하되 기틀(2)에 입설된 슬릿(18)(19)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하였다.
상기 슬릿(18)에는 제4도의 (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승하강판(6)의 상하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한피치홈(18-1)과 하한피치홈(18-2)을 형성하여 상기 센서(Sem1)가 이를 감지하였을 때 리프트(5)가 더 이상 상하작동되지 않고 정지하도록 구동모터(7)를 단속하게 된다.
또한 슬릿(19)에는 제4도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치홈(19-1)에는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구동모터(7)가 단속적으로 작동되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슬릿(18)(19)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18-3)(19-3)이 통공되어 있어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리프트(5)에 메거진(20)을 차례로 적충적재시키기 위하여 리프트(5)와 일체로된 승하강판(6)을 상하이동시킨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선첵(21)에 이동 핏치를 선택한다.
즉 승하강판(6)이 일핏치만 이동되어지도록 하거나 이핏치 또는 삼핏치가 이동되어지도록 하는 모드를 선택한 후 작동시키며 일련의 공정이 자동으로 작동된다. 예컨데 한핏치씩 이동하도록 모드를 선택하였다면, 센서(Sem1)가 슬릿(18)의 하한피치홈(18-2)에 위치하면 센서(Sem2)는 슬릿(19)에 형성된 그 높이의 피치홈(19-1)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구동모터(7)가 작동되면 스크류봉(8)이 서서히 회전하므로 스크류너트(9)가 나사결합된 리프트(5)를 포함한 승하강판(6)이 서서히 상승하고 센서(Sem1)(Sem2)도 함께 상승된다.
센서(Sem2)가 바로위의 피치홈(19-1)을 센싱하면 구동모터(7)의 브레이크(7-1)가 즉시 작동하여 구동모터(7)와 스크류봉(8)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하여 리프트(5)가 상승될 때 균형추(15)는 반대로 하향되어지는데 균형추(15)가 서서히 하강하므로 리프트(5)와 메거진(20)의 하중을 어느정도 상쇄시키게 되며 따라서 리프트(5)는 관성력이 거의 무시된 상태에서 서서히 상승되어 정지되므로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가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실시되면서 리프트(5)는 상향되어지며, 센서(Sem1)가 상한파치홈(18-1)을 감지하면 상승작동은 정지되고 반대로 하향작동된다.
구동모터(7)와 스크류봉(8)이 역으로 작동되고 또 균형추(15)와 메거진(20)이 안치되는 리프트(5)도 반대로 작동되어지는데 리프트(5)가 하향될 때에도 균형추(15)가 무게의 균형을 맞춰주므로 승하강판(6)은 정위치 즉 피치씩 정확하게 이동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로딩장치는 상기와 같이 작동되어 리프트를 승하강시키면서 메거진을 안치시키게 되는 것으로 한쌍의 센서가 슬릿의 피치홈을 센싱하게 되므로 일반적인 구동모터의 작동을 엄격하게 단속할 수 있어 정확한 피치씩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고가인 서보(Servo)모터나 엔코더를 사용하지 않고도 정밀하게 작동되는 로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모드선택(21)에 따라 이동피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리프트에 적재되는 물품에 따라 그 작동되는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더욱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1)

  1. 기틀(3)의 상판에 스프로켓(13)을 브라켓(12)으로 하향축착시켜 스프로켓(13)에 의해 작동되는 체인(14)의 일측단을 리프트(5)와 일체로 연설된 승하강판(6)을 고정시키고 타단에는 균형추(15)를 고정시키되 상기 승하강판(6)과 균형추(15)는 상판(4)과 기판(2)사이에 입설된 가이드봉(10)(17)을 따라 슬라이딩되어지도록 된 것과, 스크류너트(9)가 스크류봉(8)에 결합된 승하강판(6)이 구동모터(7)의 정역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봉(8)에 의해 승하강되어지도록 된 것과, 승하강판(6)의 후단양측에 센서(Sem1)(Sem2)가 슬릿(18)(19)을 따라 승하강되어지도록 하되 상기 슬릿(18)에는 상하한피치홈(18-1)(18-2)을 형성하고 슬릿(19)에 파치홈(19-1)을 당간격으로 조밀하게 형성하여서 된 슬릿을 이용한 로딩(Loading)장치.
KR1019950062958A 1995-12-29 1995-12-29 슬릿을 이용한 로딩장치 KR0177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958A KR0177209B1 (ko) 1995-12-29 1995-12-29 슬릿을 이용한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958A KR0177209B1 (ko) 1995-12-29 1995-12-29 슬릿을 이용한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668A KR970054668A (ko) 1997-07-31
KR0177209B1 true KR0177209B1 (ko) 1999-05-15

Family

ID=1944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2958A KR0177209B1 (ko) 1995-12-29 1995-12-29 슬릿을 이용한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2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668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2301A (en) Workpiece feeder
CN209853188U (zh) 带拐角的双层循环线系统
JP2513875B2 (ja) パレツト供給装置
CN109607155B (zh) 一种垫片涂胶设备
KR850000992B1 (ko) 피가공물 급송장치(workpiece feeder)
CN112109468A (zh) 一种薄纸刮胶机
CN213568408U (zh) 一种书壳上料输送装置
KR0177209B1 (ko) 슬릿을 이용한 로딩장치
CN112278889A (zh) 一种grc板加工用吊装装置
CN219097195U (zh) 全自动垫块供给设备
CN108861625A (zh) 用于载料托盘堆垛装置的控制方法
CN211003585U (zh) 自动拆码垛机
CN220618424U (zh) 一种气动升降式灌装机秤台
CN110683365A (zh) 自动拆码垛机
CN218537354U (zh) 一种裹包机的放纸平台
JPH01303212A (ja) 昇降装置
CN215973384U (zh) 一种自动堆料系统
CN111908367B (zh) 一种大板提升机
JPH058258Y2 (ko)
CN113421843B (zh) 一种硅片存储装置及其位置控制、自动测量间距控制方法
CN217201527U (zh) 伺服往复升降机
CN210147394U (zh) 一种料框内物料自动升降装置及一种料框
CN215755264U (zh) 料盘升降转移机构
CN213536426U (zh) 一种上料机构
CN214358792U (zh) 一种电路板印刷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