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096B1 - 테이프 없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수신메세지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테이프 없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수신메세지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096B1
KR0177096B1 KR1019950067795A KR19950067795A KR0177096B1 KR 0177096 B1 KR0177096 B1 KR 0177096B1 KR 1019950067795 A KR1019950067795 A KR 1019950067795A KR 19950067795 A KR19950067795 A KR 19950067795A KR 0177096 B1 KR0177096 B1 KR 0177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voice
recorded
address
storag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6608A (ko
Inventor
강동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6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096B1/ko
Publication of KR970056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0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1.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자동응답기전화기에서 수신되는 녹음된 메세지를 관리하는 방법.
2.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새로이 녹음된 메세지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되감기 또는 고속전진과 같은 검색과정을 거쳐 새로이 녹음된 메세지를 재생하여야 했다.
3.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 마지막으로 녹음된 메세지의 어드레스, 마지막으로 재생된 어드레스 및 검색으로 인한 지정 어드레스의 변화를 등록하여 재생요구 시 새로이 녹음된 메세지가 존재할 경우에는 새로이 녹음된 메세지부터 재생한다. 그리고 새로이 녹음된 메세지가 없을 경우에는 최초에 녹음된 메세지를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4.발명의 중요한 용도 : DSP기능을 가지는 자동응답전화기.

Description

테이프 없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수신메세지 관리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기에서 수신메세지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맵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어부 112 : 인터페이스부
114 : 통화로부 116 : 코텍
118 : 음성입력부 120 : 음성출력부
122 : DSP 124 : 음성저장메모리
126 : 링검출부 128 : 링거음발생부
130 : 메모리 132 : 키입력부
134 : 표시부
본 발명은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수신메세지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수신된 메세지를 검색하여 재생되지 않은 새로운 메세지가 있을 경우 우선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응답전화기라함은 테이프로 동작하는 자동응답기 또는 DSP를 사용하여 동작하는 자동응답기를 내장한 전화기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자동응답전화기는 사용자가 부재중시 수신되는 통화를 연결하여 안내메세지를 송출하고, 상기 안내메세지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음성메세지를 디지털신호처리하여 등록하거나 테이프에 녹음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DSP기능을 내장한 자동응답전화기의 일반적인 구성은 제1도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제1도에 도시된 DSP를 내장한 자동응답전화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부(110)는 자동응답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키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되는 메세지 재생키 또는 재생종료키에 따라 등록된 메세지를 검색하거나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인터페이스부(112)는 전화라인과 통화로부(114)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각종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통화로부(114)는 음성입력부(118), 음성출력부(120), 코덱(116) 및 인터페이스부(1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여 해당 파트로 상기 입력신호를 연결한다. 코덱(116)은 통화로부(114)를 통해 입력되는 전기적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코딩하여 DSP(122)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를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화로부(114)로 출력한다. 음성입력부(118)는 마이크 또는 송화기로 구성되어 가입자로부터 발생되는 가청음성신호를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화로부(114)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출력부(120)는 스피커 또는 수화기등으로 구성되어 통화로부(114)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음성신호를 가청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DSP(122)는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코덱(116)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를 디지털신호처리하여 음성저장메모리(124)에 등록하며, 음성저장메모리(124)에 등록된 메시지를 독출하여 디지털신호처리한 후 코덱(116)으로 출력한다. 음성저장메모리(124)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등록된 메세지에 각각의 등록주소를 부여하며, 상기 등록메세지의 재생이나 검색시에 등록주소를 사용하여 등록메세지를 재생 또는 검색한다. 링검출부(126)는 전화라인으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부(112)로 링신호가 입력될 시 이를 검출하여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링거음발생부(128)는 링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에게 링거음을 제공한다. 메모리(130)는 자동응답전화기의 동작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등록된 메세지를 재생 또는 검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 키입력부(132)는 사용자에 의해 전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며, 키입력이 되었을 경우에 키입력에 따른 키데이타를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표시부(13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자동응답전화기의 동작상태 또는 에러발생 여부등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종래에 수행하던 음성메세지 녹음 및 재생과정을 살펴보면, DSP(122)를 사용하는 경우 수신되는 음성메세지를 녹음할 시에는 마지막으로 녹음된 메세지에 연속하여 음성저장메모리(124)에 녹음을 실시한다. 그리고 메세지 재생시에는 음성저장메모리(124)에 최초로 녹음된 음성메세지부터 녹음된 순서에 따라 재생되며, 메세지 재생중 고속전진키가 키입력부(132)로부터 입력되면 현재 재생되고 있는 메세지의 다음 메세지를 검색하여 음성저장메모리(124)로부터 해당 음성메세지를 독출하여 DSP(122)와 코덱(116)을 통해 재생하였다.
또한 테이프를 사용하여 수신되는 음성메세지를 녹음하는 경우에는 통상 처음부터 일정 부분을 응답메세지 백업용으로 할당하며, 메세지 녹음시에는 마지막으로 수신된 메세지에 연속하여 녹음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메세지 재생시에는 자동으로 되감기를 실시하여 최초에 녹음된 메세지부터 재생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DSP를 가지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는 새로운 메세지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되감기 또는 고속전진등과 같은 검색키를 사용하여 부수적인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테이프를 사용하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는 재생시 자동으로 최초의 음성메세지까지 되감기를 실시한 후 음성메세지를 재생함으로 인해 새로 녹음된 메세지가 있을 경우에는 고속전진키를 사용하여 음성메세지를 검색하여 재생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응답전화기에서 녹음메세지의 재생시 새롭게 녹음된 메세지부터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응답전화기에서 녹음메세지의 재생시 이전에 재생되지 않은 메세지부터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상기 음성저장메모리에 녹음된 메세지의 재생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녹음된 음성메세지의 재생요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성저장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메세지들중에서 재생되지 않은 음성메세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음성저장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메세지들중에서 재생되지 않은 음성메세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저장된 음성메세지들중에서 재생되지 않은 메세지부터 먼저 재생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자동응답전화기의 구성은 제1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참조부호도 동일하게 사용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기에서 수신메세지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흐름도로서, 재생키가 입력되면 새로 등록된 음성메세지를 재생하는 과정과, 새로 등록된 음성메세지가 없는 상태에서 재생키가 입력되면 처음 등록된 음성메세지를 재생하는 과정과, 녹음요청시 입력되는 음성메세지를 녹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3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메모리 맵 구조도로서, 다음과 같다.
제3도의 (a)는 제어부(110) 내부에 구비된 램(110a)의 맵 구조도로 DSP(122)가 찾아가야 하는 음성저장메모리(124)의 시작 어드레스를 관리하기 위해 메세지 버퍼 영역이며, 상기 메세지 버퍼영역은 램(110a)의 FF00부터 FF3F까지의 영역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3도의 (b)는 수신메세지를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관리데이타가 기록되는 램(110a)의 메모리 맵 구조도이다. 상기 관리데이타는 등록된 음성메세지를 카운트한 값에 해당하는 메시지넘버(Message Number, 이하 Msg No라함)와, 음성저장메모리(124)에 등록된 음성메세지의 메모리 어드레스(Memory Address, 이하 M.A라함)가 등록된 버퍼의 개수를 카운트한 값에 해당하는 입력 어드레스(In Address, 이하 I.A라함)와, 재생된 음성메세지의 M.A가 등록된 버퍼의 개수를 카운트한 값에 해당하는 출력 어드레스(Out Address, 이하 O.A라함)와, 고속전진키(FF Key) 또는 되감기키(REW Key)가 입력되어 이동되는 버퍼의 개수를 카운트한 값에 해당하는 오프 세트(Off Set, 이하 O.S라함)와, 메세지버퍼의 첫 번째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홈 어드레스(Home Address, 이하 H.A라함)로 구성된다.
제3도의 (c)는 등록된 음성메세지와, 상기 등록된 음성메세지를 관리하기 위한 M.A에 대응하여 등록된 음성메세지가 등록된 음성저장메모리(124)의 맵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210단계와 228단계에서 음성저장메모리(124)에 녹음된 메세지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키 또는 외부로부터 녹음 요청이 있는가를 감지한다.
먼저, 자동응답전화기에서 녹음 요청이 감지되어 음성메세지가 녹음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제어부(110)는 230단계에서 새로운 음성메세지를 녹음할 음성저장메모리(124)의 영역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음성메세지를 녹음할 수 있는 메모리영역이 64개라 가정하면, I.A의 값이 64보다 작은가를 판단함으로 영역의 존재 여부를 결정한다. 230단계에서 I.A가 작을 경우에는 녹음할 음성저장메모리(124)의 영역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음성저장메모리(124)에 녹음할 영역이 존재할 경우 제어부(110)는 232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되는 음성메세지를 음성저장메모리(124)에 녹음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234단계에서 녹음정지키가 키입력부(132)로부터 입력되거나 새로운 메세지의 녹음이 종료되는가를 판단한다. 그래서 녹음정지키나, 녹음종료가 감지될 경우에는 236단계로 진행하여 음성메세지의 녹음을 중단하고, 238단계에서 상기 I.A에 기록된 값을 하나 증가시키고 240단계에서 대기모드로 전환한다.
210단계에서 재생키가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212단계에서 새로이 녹음된 음성메세지가 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새로운 음성메세지가 녹음된 것은 음성저장메모리(124)에 새로운 음성메세지가 입력될 경우 녹음을 시작할 음성메모리의 어드레스 포인트인 I.A와, 녹음된 메세지 중에 가장 마지막으로 재생된 어드레스 포인트인 O.A가 동일한가로서 판단한다. 상기 녹음을 시작할 음성메세지의 어드레스 포인트와 상기 녹음된 메세지 중에 가장 마지막으로 재생된 어드레스 포인트가 동일할 경우에는 새로은 음성메세지가 없음을 나타낸다. 반면, 상기 녹음을 시작할 음성메세지의 어드레스 포인트와 가장 마지막으로 재생된 어드레스 포인트가 동일하지 않으면 재생되지 않은 어드레스가 존재하므로 새롭게 녹음된 메세지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상기 212단계에서 새롭게 녹음된 음성 메세지가 존재할 경우 제어부(110)는 21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I.A가 O.A보다 큰가를 판단하여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았는가를 감지한다. 214단계에서 오동작이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24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모드로 전환한다. 하지만 오동작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216단계에서 O.S를 제로(Zero)로 세팅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212단계에서 상기 I.A와 O.A가 동일할 경우 21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세지 어드레스 변화량인 O.S에 상기 I.A 또는 O.A의 반전 값을 설정한다. 그 후 216단계 또는 218단계에서 세팅된 O.S값에 따라 제어부(110)는 220단계에서 음성저장메모리(124)의 어드레스중 재생하고자 어드레스(M.A)가 등록된 메모리(130)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P.A를 설정한다. 상기 메모리(130)의 맵 형태는 제3도의 (a)와 같다. 상기 P.A는 상기 메모리(130) 맵의 첫 번째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H.A, 상기 O.A 및 O.S를 합한 결과치로서 설정된다. 상기 220단계에서 P.A가 결정되면, 제어부(110)는 222단계에서 메모리(130)로부터 P.A가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저장된 어드레스인 M.A를 독출한다. 제어부(110)는 224단계에서 DSP(122)를 제어하여 음성저장메모리(124)로부터 상기 M.A에 해당하는 음성메세지를 독출하여 재생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226단계에서 선택된 메세지 재생이 마지막 등록된 음성메세지까지 재생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며, 재생완료 시 228단계로 진행하여 대기모드로 전환한다.
224단계에서 수행되는 재생모드를 제2도의 (2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10)는 224-1단계에서 상기 222단계에서 독출된 M.A에 등록된 음성메세지를 DSP(122)를 제어하여 상기 음성저장메모리(124)로부터 재생한다. 제어부(110)는 상기 224-1단계에서 음성메세지가 재생되는 동안 224-2단계와 224-3단계에서 키입력부(132)로부터 REW키 또는 FF키의 입력을 감지한다. 224-2단계에서 REW키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224-8단계로 진행하여 O.S가 제로(Zero)로 세팅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224-8단계에서 상기 O.S가 제로(Zero)로 세팅되어 있지 않다면, 제어부(110)는 224-9단계에서 O.S를 하나 감소시킨 후 226단계로 리턴한다. 하지만, 224-8단계에서 새로운 메세지의 녹음으로 인하여 O.S가 제로(Zero)로 세팅되었다면, 제어부(110)는 224-10단계로 진행하여 O.A를 하나 감소시킨 후 226단계로 리턴한다. 그렇지 않고 224-3단계에서 FF키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224-5단계로 진행하여 O.S가 제로(Zero)로 세팅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224-5단계에서 상기 O.S가 제로(Zero)로 세팅되어 있지 않다면, 제어부(110)는 224-7단계에서 O.S를 하나 증가시킨 후 226단계로 리턴한다. 하지만, 224-5단계에서 새로운 메세지의 녹음으로 인하여 O.S가 제로(Zero)로 세팅되었다면, 제어부(110)는 224-6단계로 진행하여 O.A를 하나 증가시킨 후 226단계로 리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224-4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음성메세지의 재생이 종료될 때까지 키입력부(132)로부터 키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224-5단계로 진행하여 O.A 또는 O.S값을 조정한다.
상기 설명된 재생모드 동작의 수행이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226단계에서 새로이 지정된 O.A와 O.S의 합이 I.A와 같은가를 판단한다. 이는 새로이 녹음된 메세지나, 종래의 메세지 재생이 마지막 녹음된 어드레스까지 재생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226단계에서 마지막 메세지까지의 재생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240단계에서 재생모드를 대기모드로 전환한다. 그렇지만 226단계에서 재생된 음성메세지가 마지막 음성메세지가 아니라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220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이 재생할 어드레스인 P.A를 설정한다.
이하 녹음된 음성메세지의 개수를 나타내는 Msg No는 3, I.A가 3, O.A가 1, O.S가 0 그리고 H.A가 FF00이라 가정하고 제2도를 참조하여 실시 예를 들면, 먼저 메세지 재생키가 입력되면 3의 값을 가지는 I.A와 1의 값을 가지는 O.A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과정에서 2개의 새로 녹음된 음성메세지가 있음을 알 수 있으므로, O.S를 제로(Zero)로 세팅한다. 그리고 상기 H.A, O.A 및 O.S에 저장된 값인 FF00, 1 및 0을 합하여 FF01 값을 가지는 P.A를 결정한다. 상기 결정된 P.A에 저장된 00A8값의 M.A를 독출하여 음성저장메모리(124)의 00A8에 등록된 음성메세지를 재생한다. 상기 00A8에 녹음된 음성메세지를 재생하는 동안에 REW키가 입력되면 현재 재생되고 있는 M.A의 앞 어드레스를 선택하여 재생한다. 또한 상기 00A8에 녹음된 음성메세지를 재생하는 동안에 FF키가 입력되면 현재 재생되고 있는 M.A의 다음 어드레스를 선택하여 재생한다. 상기 과정을 거져 0130번지에 등록된 음성메세지까지 재생이 완료되면 재생모드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새로운 메세지가 녹음되면 새롭게 녹음된 메세지부터 먼저 재생하여 메세지를 효율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새로운 메세지가 없거나 재생이 마지막 메세지까지 재생이 완료되면, 녹음된 메세지를 처음부터 재생하므로 메세지 검색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수신된 음성메세지를 녹음하기 위한 음성저장메모리를 구비한 자동응답전화기에서 녹음된 메세지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저장메모리에 녹음된 음성메세지의 재생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녹음된 음성메세지의 재생요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성저장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메세지들중에서 재생되지 않은 음성메세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음성저장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메세지들중에서 재생되지 않은 음성메세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저장된 음성메세지들중에서 재생되지 않은 메세지부터 먼저 재생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세지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음성저장메모리에 마지막으로 녹음된 메세지의 어드레스와 이전에 마지막으로 재생된 메세지의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같지 않으면, 새로이 녹음된 음성메세지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재생되지 않은 메세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세지 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음성저장메모리에 마지막으로 녹음된 메세지의 어드레스가 이전에 마지막으로 재생된 메세지의 어드레스와 같으면, 새로이 녹음된 음성메세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최초 녹음된 음성메세지부터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세지 관리방법.
KR1019950067795A 1995-12-30 1995-12-30 테이프 없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수신메세지 관리방법 KR0177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795A KR0177096B1 (ko) 1995-12-30 1995-12-30 테이프 없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수신메세지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795A KR0177096B1 (ko) 1995-12-30 1995-12-30 테이프 없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수신메세지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608A KR970056608A (ko) 1997-07-31
KR0177096B1 true KR0177096B1 (ko) 1999-05-15

Family

ID=1944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7795A KR0177096B1 (ko) 1995-12-30 1995-12-30 테이프 없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수신메세지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0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608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7096B1 (ko) 테이프 없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수신메세지 관리방법
US5442685A (en)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apparatus including conversion recording mode
US4813069A (en) Computer system having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function
KR100211327B1 (ko) 가정자동화기기에서 화상과 음성 동시 처리방법
JP2653548B2 (ja) 留守番電話機
JP2507142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2760055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2727835B2 (ja) 留守番電話装置
KR100238704B1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특정 음성 메시지 보존 방법
JP2822505B2 (ja) 音声蓄積装置
JP3688793B2 (ja) ボタン電話装置
JPH05327828A (ja) 着信音発生装置
JPH03186045A (ja) 留守番電話装置
KR100215449B1 (ko) 디지탈비데오카메라의 음성자동출력장치
JPH0487446A (ja) 留守番電話装置
KR100189252B1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사서함 녹음방법
KR0158617B1 (ko) 디지탈 신호처리기를 이용한 다기능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JPH0516218B2 (ko)
JPH10145488A (ja) 留守番電話機
JPH1168929A (ja) 留守番電話機
JPH02305258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10161698A (ja) 留守番電話機およびその音声記録方法
JPS6020670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2233047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2281860A (ja) 音声蓄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