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6726B1 - 도포된 보강 열가소성 제품의 물성의 개선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 - Google Patents

도포된 보강 열가소성 제품의 물성의 개선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6726B1
KR0176726B1 KR1019930702571A KR930702571A KR0176726B1 KR 0176726 B1 KR0176726 B1 KR 0176726B1 KR 1019930702571 A KR1019930702571 A KR 1019930702571A KR 930702571 A KR930702571 A KR 930702571A KR 0176726 B1 KR0176726 B1 KR 0176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er
substrate
primer composition
rigid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2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3485A (ko
Inventor
청 유안 산
Original Assignee
미리암 디. 메코나헤이
이. 아이. 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리암 디. 메코나헤이, 이. 아이. 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미리암 디. 메코나헤이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91/001104 external-priority patent/WO1992015729A1/en
Publication of KR930703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3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6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67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3/00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B05D7/57Three layers or more the last layer being a clear coat
    • B05D7/577Three layers or more the last layer being a clear coat some layers being coated "wet-on-wet", the others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5/00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3/00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C25D13/20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1/00Polymeric substrate or laminate
    • B05D2201/02Polymeric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451/00Type of carrier, type of coating (Multi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2/00Acryl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3/00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8/00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3Silicic or refractory material containing [e.g., tungsten oxide, glass, cement, etc.]
    • Y10T428/2996Glass particles or sphe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온으로 가열한후 냉각시켰을때 불규칙한 표면을 형성하는 도포된 보강 열가소성 기재의 물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강성 하도제 조성물을 먼저 적용한후, 연성 하도제 조성물을 적용하고, 복합 하도제 도막을 경화시키고, 이어서 상도막을 적용시킴을 포함하여, 기재를 웨트-온-웨트(wet-on-wet) 방식으로 하도제 도료 조성물로 도포함을 포함한다. 도포된 개재는 개선된 물성, 특히 개선된 상 식별성(distinctness of image, DOI)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도포된 보강 열가소성 제품의 물성의 개선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개선된 시각적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을 갖는 도포된 기재를 제공하기 위해 보강된 열가소성 기재를 다수의 도료로 도포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의 간단한 설명]
자동차의 생산시 플라스틱 부품들을 금속 부품과 결합시켜 사용하는 것은 보편적인 일이다. 섬유, 플레이크(flake) 및 미립물질과 같은 보강물질과 수지의 혼합물은 성형에 의해 각종 조형품을 형성하는 벌크 성형 화합물 또는 시이트 성형 화합물, BMC 및 SMC 로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고급 도장 표면을 필요로하는 적용분야에는, 고도로 충진된 열경화성 SMC 들을 사용하여 왔다.
근년에 들어, 승온 처리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를 개발하여 왔다. 이들 물질은 이들의 열가소성 특성으로 인해 트리밍(trimming) 부품 및 절단 가공 부품들을 재이용하여 추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특히 매력적인 물질이다. 그러나, 도포된 열가소성 기재를 SMC 기재와 같이 고도로 충진하지 않거나 입자들이 소직경 및 낮은 종횡비를 갖지 않는 한, 보강 섬유 및 미립자들의 존재로 인해 도포된 제품의 외관에 역효과를 미칠 것이다.
보강된 열가소성 기재를 승온에서 도포 및 베이킹할 때, 도포된 기재의 표면이 평활한 것처럼 보이지만, 냉각되자마자, 허용 불가능한 상식별성(DOI)을 제공하는 불규칙한 표면이 형성된다. 불규칙한 표면의 성장은 열가소성 수지와 보강 성분들 사이의 팽창 계수의 차이에 관계하는 것으로 보인다. 불규칙도는 도포된 보강 열가소성 기재를 다성분 조립체에 사용할 때 두드러진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특히 자동차 차체에서 보강 열가소성 판넬을 금속판넬에 인접하여 조립하는 기술분야에서 나타난다. 자동차 공업에서, 플라스틱 부품과 인접 금속 부품상의 도막 외관 품질에 있어서 차이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부품들상의 도막표면의 품질은 시판되고 있는 상 식별(DOI) 계량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광 검출기로부터 반사된 광도를 산란각의 함수로서 측정한다. 산란 기능이 짧고 폭이 넓으면, 표면의 DOI 는 낮다고 말할 수 있다. 산란을 제한시키면 표면의 식별성은 높아진다. DOI 계량기는 반사각에서 약간 떨어져 있는 영역에서의 반사광을 검출한다. 검출된 광이 적으면, 식별성은 높아진다. DOI 는 0 에서 100 까지의 눈금으로 측정하는데, 100 은 가장 높은 평활도 수준을 나타낸다.
보강 플라스틱 기재에 마감재를 적용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시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 737, 403 호에는 특별히 제형화된 하도제로 기재를 도포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DOI 데이타로부터, 특정 하도제는 아쉴랜드 케미칼 캄파니(Ashland Chemical Company)제의 SMC PHASE ALPHA와 바람직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고도로 충진된 SMC 는 비교적 낮은 충진제 함량을 갖는 보강 열가소성 물질을 도포할시에 직면하게 되는 것과 동일한 문제점들을 나타내지 않는다.
전착조(electrocoating bath)에 다성분 물질의 공작물을 침지시킴으로써 플라스틱 부품이 금속 부품들과 동시에 전착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 기재를 고전도성으로 만드는 방법이 미합중국 특허 제 4,745,012 호에 개시되어 있다. 플라스틱 기재에 적용된 하도제가 전착조내에서 기재를 피복가능하게 만든다고 기술되어 있다. 플라스틱 기재를 전착 하도제로 도포할시, 일반적으로 인식되어 있는 금속 부품의 부식 보호 목적으로 하도제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다. 최종 도포된 표면의 품질은 상기 특허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실제로, 낮은 보강 충진제 함량을 갖는 열가소성 기재는 연속적으로 하도제를 적용하고 각 하도제를 경화시킨후에 상도제를 적용하여 허용가능한 DOI 를 갖는 품질의 도막을 제공하는 것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하도된 표면을 약간 사포질하면 도막의 품질이 개선된다. 각 하도제를 경화시키려면, 장시간동안 도포된 기재를 승온으로 가열해야 하는데, 이는 시간 및 비용의 관점에서 볼 때 비용이 많이 든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인 비용으로 보강된 열가소성 기재를 도포하기 위한 방법 및 개선된 물성을 갖는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 따라서, 도포된 보강 열가소성 기재의 외관(DOI) 및 기타 다른 물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약 0.2 내지 5 밀의 두께를 갖는 강성 하도제 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 1 도료 조성물 및 약 1 내지 5 밀의 두께를 갖는 가요성 하도제 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 2 도료 조성물을 웨트-온-웨트(wet-on-wet) 방식으로 보강 열가소성 기재에 적용시키는 단계, 복합 하도제 도료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도용 조성물을 하도된 표면에 적용시켜 연속적인 상도막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도막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된 보강 열가소성 기재는 도포하고 승온으로 가열하여 도료를 경화한후 냉각하였을때 표면 불규칙도를 나타내는 기재이다. 이러한 표면 결함은 보강 충진제로서 사용된 입자, 플레이크 및 섬유가 5 미크로 이상의 평균 직경 및 5:1 이상의 평균 종횡비를 가질때 나타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도포시, 도포된 기재의 표면은 높은 DOI 를 나타낸다. 연속적인 강성 및 가요성 하도제 도료들은 개선된 외관 이외에도 보완적으로 기재 및 서로에 대한 양호한 접착력 및 양호한 내충격성을 제공한다. 가요성 하도제 도료는 상부 도막 및 강성 하도제를 완충시키고 상부 도막으로부터의 필름 균열의 생장을 방지하는 에너지 흡수체로서 작용한다.
다성분 열가소성 부품과 금속 부품의 도포시, 하도 및 경화된 열가소성 기재를 금속 부품과 조립하고, 그 조립체를 전착조내에 침지시키는 방법등으로 전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도된 보강 열가소성 부품들은 전착 조성물을 그들의 표면에 도금시켜 단지 금속 부품들만을 전착시키기에 충분한 전도성을 갖고 있지 않다. 이어서, 다성분 조립체를 오븐에 통과시켜 전착된 하도제를 약 400℉ 이하의 온도에서 경화시킨다.
하도제 도료들은 도포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쉽게 제형화하여 강성 및 가요성 하도제 도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하도제 도료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전도성 안료를 함유할 수도 있다. 전도성 안료가 존재하면 정전기적 분무에 의한 상부 도포를 향상시킨다. 착색 도료(단일 도료) 또는 기본 도료/투명한 상부 도료를 하도된 기재에 적용할 수도 있다. 시판되고 있는 상도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도포된 보강 열가소성 기재는 승온에서 피복하고 경화시킨후 냉각시켰을 때 불규칙한 표면을 나타내는 것들이다. 바람직한 재료는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 4,753,980 호, 제 4,486,564 호, 제 4,548,978 호 및 제 4,172,859 호에 개시되고, 이.아이.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에서 상표명 벡슬로이(Bexloy)로서 제조판매되는 폴리에스테르계이다. 상기 특허 문헌들의 개시 내용은 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재료와 유사한 성질을 나타내는 다른 열가소성 재료, 예를들어 개질된 에폭시,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아크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아크릴로니트릴 및 각종 폴리하이드로카본(예를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기재를 제조할 수도 있다.
보강재는 유리, 탄소 또는 아라미드 섬유, 유리 플레이크 또는 비이드, 운모 및 평균 직경이 5 μ 이상이고, 평균 종횡비가 5:1 이상인 유사 입자들일 수 있다. 유리가 바람직한 재료이다. 보강 조성물들은 일반적으로 보강재 약 1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 중량% 를 함유할 것이다. 약 10 내지 30 중량% 의 유리 플레이크 및 섬유를 함유하는, 미합중국 특허 제 4,753,980 호에 개시된 유형의 열가소성 조성물이 바람직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하도제 도료 조성물은 공지된 강성 및 가요성 조성물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들중에서, 강성 하도제 도료 조성물은 멜라민 수지와 가교결합되는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및 하이드록실-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가교결합가능한 수지상 조성물을 기본으로 하는 것들이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총 수지 고형물의 약 50 내지 80 중량% 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 성분들중에서, 멜라민 수지는 총 수지 고형물의 50 내지 20 중량% 가 바람직하다. 적합한 강성 하도제로는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 4,591,533 호에 개시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하도제가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강성 하도제는 68℉ 에서 10 내지 25%, -20℉ 에서 3 내지 10% 의 신도를 갖는다.
가요성 하도제 도료 조성물들로는 멜라민 수지와 가교결합되는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및 분지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을 포함하는 가교결합가능한 수지 조성물을 기본으로 하는 것들이 있다.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총 수지 고형물의 약 50 내지 80 중량% 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 성분들중에서, 멜라민 수지는 총 수지 고형물의 50 내지 20 중량% 가 바람직하다.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계 하도제가 미합중국 특허 제 4,614,683 호 및 제 4,410,668 호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 4,680,346 호에 개시된 유형의 페놀계 수지, 폴리올, 폴리에폭사이드 및 보호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가교 결합제로부터 제조된 가요성 하도제 조성물들을 또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가요성 하도제는 68℉ 에서 40 내지 70%, -20℉ 에서 20 내지 40% 의 신도를 갖는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된 강성 및 가요성 하도제의 신도는 상기 하도제를 나일론 또는 기타 기재상에 1.5 밀의 두께로 분무하여 측정한다. 기재는 도료가 경화후에 접착되지 않는 재료중에서 선택한다. 경화된 도료를 기재로부터 제거하고 인스트롱(Instron) 모델1122 시험기를 사용하여 상기 유리된 막상에서 신도를 측정한다.
사용된 멜라민 수지는 알킬화된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가교결합 수지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수지는 탄소수 1 내지 8 의 알킬그룹을 갖는다. 시멜(Cymel) 380 과 같은 메틸화된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시멜 325 와 같은, 메톡시메틸 이미노 그룹을 함유하는 메틸화된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가 고급 하도제를 제조하는데 바람직하다. 벤조구안아민-포름알데히드 및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를 또한 사용할 수도 있다.
하도제 조성물중 하나 또는 둘다에 전도성 안료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기 조성물의 안료 함량은 대개 안료 대 결합제의 중량비로 나타낸다. 전도성 블랙 안료에 대하여, 그 비율은 일반적으로 0.02 내지 0.05:1 범위이내이며, 비-탄소 전도성 안료에 대하여는 0.2 내지 0.4:1 범위이다. 사용되는 전도성 안료의 유형과 양은 전착작업시에 열가소성 기재에 도막을 접착시키기에는 불충분하다.
하도제는 또한 흐름 조절제 및 기타 제형 첨가제와 같은 임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을 첨가할 경우, 이들은 보통 하도제 조성물 중량의 2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250℉ 내지 350℉ 온도에서 최적의 경화를 위하여, 하도제 조성물은 촉매를 함유하여야 한다. 유용한 촉매의 양은 전형적으로 수지 고형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 이다. 산 촉매는 경화시 조성물의 가교결합율을 증가시킨다. 인산, 설폰산, 또는 파라-톨루엔 설폰산, 도데실벤젠 설폰산 및 디-노닐나프탈렌 디설폰산과 같은 치환된 설폰산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산은 도데실벤젠 설폰산이다.
도료 조성물은 휘발성이고 도막이 경화될때 제거되는 유기용매를 포함한다. 저온에서 가열시켜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당한 용매의 예로는 알콜, 에스테르, 에테르 및 방향족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용매는 용매 및 수지 고형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5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한다. 최저 250℉ 에서 최고 400℉ 의 온도가 사용될 수 있다.
하도제 조성물을 제형화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서는 전도성 카본블랙 안료, 수지 및 일정량의 용매를 사용하여 분쇄수지를 제조한다. 이들 성분들을 페이스트 형태로 혼합하고, 본 분야의 전문가에게 공지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또는 강철 볼밀, 샌드밀, 페블밀 등에서 분쇄한다.
하도제 도료 조성물은 브러싱, 분무 또는 침지등의 기존 피복법에 따라 기재에 도포할 수 있다. 분무 피복법이 바람직하다. 압축공기 분무 또는 정전 분무등과 같은 공지 분무 기술을 수작업 또는 자동화된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분무법을 이용할 경우, 하도제 도료 조성물의 점도는 필요하다면 부가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15 내지 30 초의 No. 2 피셔 컵 점도(Fisher cup viscosity)를 제공하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하도제 조성물은 처짐 조절제(sag control agent)를 함유하여야 한다. 양호한 유동성 조절을 위해서, 실리카 및 디우레아 중합체를 사용하여 1 내지 5 밀의 가요성 하도제를 강성 하도제상에 웨트-온-웨트 방식으로 분무할 수 있다.
하도제를 열가소성 기재에 도포한후, 하도 표면에 상도제 또는 기본 도료/투명도료를 도포할 수 있다. 자동차용으로 사용되는 시판되고 있는 상도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는 바와같이, 강성 하도제를 보강 열가소성 기재에 먼저 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하도제를 기재에 분무하여 1 내지 약 2 밀 두께의 피막을 얻는다. 피막 두께는 한번이상 도료를 도포하여 달성할 수 있다(이때, 도막사이의 플래쉬 건조(에어 플래쉬) 시간은 1 분 이하이다). 에어 플래쉬한지 약 3 분후, 가요성 하도제를 피복된 기재위에 웨트-온-웨트 방식으로 분무시켜 두께 1 내지 5 밀의 가요성 하도막을 제공한다. 도막 두께는 다시 도막사이에 1 분 이하로 에어 플래쉬하면서 한번 이상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그 다음 약 2 내지 7 밀 두께의 복합 도막을 250℉ 내지 280℉ 의 온도에서 약 30 분간 베이킹한다. 이후 하도된 기재를 금속 부품과 조립한 다음 전착욕내에 침지시킨다. 하도된 기재/전착된 금속 조립체를 350℉ 내지 400℉ 의 온도에서 약 30 분간 베이킹한다. 그 다음 시판되고 있는 상도제를 조립체에 도포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경화시킨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을 예시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부 및 백분율은 별도 언급이 없는한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실시예 A]
하기 성분들을 강철 볼 밀에서 혼합하고 헤그만(Hegman) 번호 6.75 분쇄도로 분쇄함으로써 미합중국 특허 제 4,632,964 호의 실시예 1 에 기술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용액을 사용하여 안료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하기 성분들을 사용하고 미합중국 특허 제 4,591,533 호의 실시예 1 에 기술된 비수성 아크릴수지 분산액을 사용하여 강성의 아크릴계 전도성 하도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하기 성분들과 미합중국 특허 제 4,632,964 호의 실시예 1 의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용액을 혼합 사용하여 연성의 분지된 폴리에스테르 하도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하기 성분들과 함께 네오펜틸 글리콜 트리메틸을 프로판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사용하여 강성의 폴리에스테르 하도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및 3 의 각각의 강성 하도제 조성물을 18 중량% 의 유리 플레이크(평균 직경: 1/64 인치, 평균 종횡비: 대략 20:1) 및 2.5 중량% 의 유리 섬유(PPG industries, Inc. No. 3540, 10μ 의 직경 및 25-40:1 의 종횡비)를 함유하는 미합중국 특허 제 4,753,980 호에 기술된 유형의 유리 보강된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한 판넬(4×12 인치)상에 직접 분무하였다. 강성 하도제 도료를 도포하여 1 내지 1.5 밀의 두께를 얻었다. 주위 온도에서 약 1 내지 5 분동안 에어 플래쉬한 후, 각각의 판넬에 3 내지 3.5 밀의 두께를 제공하는 속도로 실시예 2 의 가요성 하도제 조성물을 웨트-온-웨트 방식으로 분무하였다. 약 10 분 동안 에어 플래쉬한 후, 하도된 기재를 250 내지 270℉ 의 온도에서 30 분동안 가열한 다음, 365℉ 에서 30 분동안 오버베이킹 시켰다. 경화된 하도제는 각각의 경우에 4 내지 5 밀의 두께를 갖는다.
이어서, 자동차용 고급 상도 조성물을 각각의 하도된 판넬에 직접 도포하였다. 상도 조성물은 유색-투명 도료 시스템이었으며, 1 차로 이.아이.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사에서 상품명 871 라인(은)으로 시판하는 유색 도료를 하도된 표면에 직접 분무 도포하였다. 기본 도료를 약 2 분동안 주위온도에서 에어 플래쉬하고, 이어서 이.아이.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로부터 RK-3840 으로 시판되는 투명 도료 조성물을 기본 도료에 분무 도포하였다. 이어서, 복합 도료를 265℉ 에서 30 분동안 가열하여 유착시켜 상도막을 경화시켰다. 도막의 광택, 상 식별성 및 내충격성이 하기 표 5 에 보고되어 있다. 비교 목적으로, 강철 및 보강 열가소성 판넬을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부 도포하였다. 도포된 기재의 성질이 또한 하기 표 5 에 보고되어 있다.
[실시예 4]
벡슬로이(Bexloy) K550(이.아이.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의 유리 보강 열가소성 수지의 상표명, 실시예 3 참조)으로부터 성형된 2 개의 자동차 펜더를 실시예 1 의 강성 하도제로 분무함으로써 하도칠하여 1.5 내지 1.8 밀의 두께를 갖는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2 의 가요성 하도제의 도막을 강성 하도제상에 웨트-온-웨트 방식으로 도포하여 3.0 밀 두께를 갖는 필름을 제조한 다음, 실시예 3 에 기술된 바와 같이 베이킹시켰다. 펜더를 차체에 부착시키고, 조립체를 하도제 전착욕에 침지시키는 조건을 모방하여 실험하였다. 강철 판넬을 전착용 하도제로 도포하고, 350℉ 에서 30 분동안 베이킹하였다. 이어서, 조립체를 실시예 3 에 기술된 872 라인 블랙 베이스 도료 및 RK-3840 투명 도료를 사용하여 분무 상부 도포시켜 각각 0.8 내지 1.2 및 1.6 내지 1.8 밀의 두께를 갖는 필름을 제조하고, 이어서 250℉ 에서 30 분동안 베이킹하였다. 펜더 및 강철 판넬상의 후처리된 도막을 가시적으로 검사하였다. 2 개의 상이한 기재상의 도막의 품질에 있어 전혀 차이가 없었다. 이어서 도포된 기재를 헌터 라보래토리 DOI 측정기를 사용하여 상 식별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는 표 6 에 나타나 있다.

Claims (11)

  1. (a) 강성 하도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 1 도료 및 가요성 하도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 2 도료를 웨트-온-웨트(wet-on-wet) 방식으로 보강 열가소성 기재에 적용시키는 단계, (b) 복합 하도제 도막을 경화시키는 단계, (c) 경화된 하도막에 상도제를 적용시키는 단계, 및 (d) 상도막을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승온으로 가열한 후 냉각시켰을 경우, 불규칙한 표면을 형성하는 도포된 보강 열가소성 기재의 물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열가소성 기재가 유리로 보강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가 유리 섬유 및 유리 플레이크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1 내지 40 중량% 의 유리를 함유하고, 상기 강성 하도제가 68℉ 에서 10 내지 25%, -20℉ 에서 3 내지 10% 의 신도를 가지며, 상기 가요성 하도제가 68℉ 에서 40 내지 70%, -20℉ 에서 20 내지 40% 의 신도를 갖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막이 베이스 도막 및 투명 도막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제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이 전도성 안료를 함유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하도제 조성물이 아크릴계 하도제 조성물이고, 상기 가요성 하도제 조성물이 폴리에스테르계 하도제 조성물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하도제 조성물이 실리카 및 디우레아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처짐 조절제(sag control agent)를 함유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되고 경화된 보강 열가소성 기재를 전도성 금속 부품과 조립하고, 상기 조립체를 금속 부품의 도포를 위해 하도제 전착욕에 침지시키고, 이어서 상도제를 조립체에 적용시키는 방법.
  10. 제1항의 방법에 의해 도포된 제품.
  11. 제9항의 방법에 의해 도포된 제품.
KR1019930702571A 1991-02-27 1991-02-27 도포된 보강 열가소성 제품의 물성의 개선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 KR0176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1/001104 WO1992015729A1 (en) 1990-02-09 1991-02-27 Method of improving the properties of coated reinforced thermoplastic articles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3485A KR930703485A (ko) 1993-11-30
KR0176726B1 true KR0176726B1 (ko) 1999-02-18

Family

ID=6686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2571A KR0176726B1 (ko) 1991-02-27 1991-02-27 도포된 보강 열가소성 제품의 물성의 개선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67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3485A (ko) 199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4609B2 (ja) 塗装した強化熱可塑性物品の性質の改善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製品
CA2094778C (en) Process for making wrinkle-free coating using solventborne clearcoat composition over water-borne basecoat composition
CA3062463A1 (en) Primer coating for fiber filled plastic substrate
US6132864A (en) Films provided with several coating layers and the use thereof in automobile manufacturing
KR0176726B1 (ko) 도포된 보강 열가소성 제품의 물성의 개선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
US20090311496A1 (en) Intermediate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4731262A (en) Method of painting article formed of synthetic resin
JP2005524530A (ja) 色を与えおよび/または効果を与えるマルチコートを上塗りする方法
JPH11106686A (ja) メタリック仕上げ法
CN1212897C (zh) 汽车车体的喷漆方法
JP4754056B2 (ja) 光輝性塗膜形成方法
JPH11148047A (ja) 塗料組成物
JPS6174682A (ja) 自動車車体の塗装方法
EP3757173B1 (en) Primer coating for fiber filled plastic substrate
JP2001046952A (ja) 塗膜形成法
JP2529975B2 (ja) アルミホイ―ルの塗装方法
JPS62149765A (ja) アクリル/メラミン樹脂塗料
JP4323015B2 (ja) 塗膜形成法
US6403192B1 (en) Films provided with several coating layers and the use thereof in automobile manufacturing
JPH05209140A (ja) 耐候性塗膜及びそれを形成したアルミニウム部材
JP2000070850A (ja) 複層塗膜形成法
JPH11226486A (ja) 複層塗膜形成法
Baghdachi 24a. 1 Introduction
JPH01115481A (ja) 自動車用車体における積層塗膜構造
JPH11104553A (ja) 複層塗膜形成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