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850B1 -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850B1
KR0175850B1 KR1019940037484A KR19940037484A KR0175850B1 KR 0175850 B1 KR0175850 B1 KR 0175850B1 KR 1019940037484 A KR1019940037484 A KR 1019940037484A KR 19940037484 A KR19940037484 A KR 19940037484A KR 0175850 B1 KR0175850 B1 KR 0175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exchange
regeneration
water
regeneration solution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7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427A (ko
Inventor
이옥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37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850B1/ko
Publication of KR960023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되는 세탁수를 연수화시키는 이온교환수지가 장착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한 세탁수의 경도를 감지하여 이온교환수지를 자동으로 재생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급수되는 세탁수를 연수화시키는 이온교환 수단과, 상기 이온교환수단에 의해 연수화된 세탁수를 세탁조내에 급수하도록 연수급수 밸브를 구동제어하는 연수급수밸브 구동수단과, 상기 연수급수 밸브를 통해 급수되는 세탁수의 경도를 감지하는 경도감지 수단과, 상기 경도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세탁수의 경도에 따라 상기 이온교환 수단의 재생시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한 상기 이온교환 수단의 재생시기에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키도록 재생액을 저장하는 재생액 저장수단과,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에 저장된 재생액의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감지 수단과, 상기 농도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재생액의 농도에 따라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에 소금을 투입하도록 소금보충 시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종래에 의한 세탁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주요구성 부분의 상세한 구조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제어장치의 제어블록도.
제5a도 및 제5b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제어동작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2 : 급수밸브 46 : 이온교환수단
48 : 재생액저장수단 50 : 농도감지수단
54 : 연수급수밸브 56 : 재생액배수밸브
62 : 재생액조절밸브 68 : 재생액급수밸브
100 : 직류전원수단 110 : 운전조작수단
120 : 제어수단 130 : 포량감지수단
140 : 급수밸브구동수단 150 : 수위감지수단
160 : 연수급수밸브구동수단 170 : 경도감지수단
180 : 재생액조절밸브구동수단 190 : 재생액급수밸브구동수단
200 : 재생액배수밸브구동수단 210 : 모터구동수단
220 : 배수밸브구동수단 230 : 표시수단
본 발명은 급수되는 세탁수를 연수화시키는 이온교환 수지가 장착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특히 상기 이온교환 수지를 통과한 세탁수의 경도(물 100cc중에 녹아있는 칼슘, 마그네슘 등의 광물질의 양을 밀리그램으로 나타낸 값)를 감지하여 이온교환 수지를 자동으로 재생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의한 세탁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용자가 탈수조(4)내에 세탁물을 투입한 다음 도시되지 않은 운전스위치를 온시키면, 수도전(6)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급수밸브(7)의 개방에 따라 급수호스(6a)를 통해 세탁조(5)내에 급수된다.
이때, 상기 급수밸브(7)를 통해 급수되는 세탁수는 이온교환수지가 내장된 이온교환 수단(8)을 통과하면서 연수로 변화되어 상기 세탁조(5)내에 급수되고, 상기 세탁조(5)내에 급수된 세탁수가 투입된 세탁물에 적합한 양만큼 급수완료되면, 급수된 세탁수위에 적합한 양의 세제가 상기 세탁조(5)내에 투입된다.
이와같이, 상기 세탁조(5)내에 투입된 세탁물에 적합한 양의 세탁수와 세제가 투입완료되면, 모터(15)의 구동에 따라 펄세니터(16)가 좌 ·우방향으로 반전되면서 세탁수에 수류를 형성시켜 세탁 및 헹굼행정을 수행한다.
세탁 및 헹굼질이 완료되면, 상기 세탁조(5)의 배면부에 장착된 배수밸브(14)가 개방되어 상기 세탁조(5)내의 오염된 물을 배수호스(14a)를 통해 외부로 배수하는 일련의 동작을 반복하면서 전체세탁 행정을 완료한다.
한편, 상기 급수호스(6a)를 통해 급수되는 세탁수를 연수로 변화시키는 이온교환수단(8)은 그 내부에 장착된 이온교환 수지에서 지정된 용량만큼에 해당하는 물을 처리(연수화)하면, 연수생성능력을 잃게 되므로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일정농도의 소금물로 재생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세탁기에 있어서는,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지정된 용량만큼에 해당하는 물을 처리하여 연수생성 능력을 잃게 되면, 상기 이온교환 수단을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이온교환 수지를 재생시킨 다음 분체내에 다시 장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불편할뿐만 아니라, 상기 이온교환 수지의 적절한 재생시기를 사용자가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최적의 세탁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이온교환 수지에서 처리하는 물의 양을 계산하여 처리된 물의 양이 이온교환 수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최대의 적정수량 이상이면, 상기 이온교환 수지에 소금물을 투입하여 이온교환 수지를 자동으로 재생시키는 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자동재생 방식에 있어서는, 이온교환 수지를 통과하는 세탁수의 경도가 지역별, 계절별 또는 급수되는 원수의 종류에 따라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온교환 수지에서 처리한 물의 양만을 고려하여 재생시기를 결정함으로써 정확한 재생시기를 판단할 수 없을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최적의 세탁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기 위해 투입되는 소금물의 소금농도가 적거나 소금이 없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재생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이온교환 수지를 통과한 세탁수의 경도를 감지하여 이온교환수지의 정확한 재생시기를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역별, 계절별 또는 급수되는 원수의 종류에 관계없이 항상 연수화된 물을 공급함으로서 세탁효울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그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온교환 수지를 재생하는 소금물의 농도를 감지하여 이온교환 수지를 항상 일정농도 이상의 소금물로 재생시킴으로써 재생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소금보충시기를 알려줌으로써 사용하기가 편리한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제어장치는 급수되는 세탁수를 연수화시키는 이온교한 수단과, 상기 이온교환 수단에 의해 연수화된 세탁수를 세탁조내에 급수하도록 연수급수 밸브를 구동제어하는 연수급수밸브 구동수단과, 상기 연수급수 밸브를 통해 급수되는 세탁수의 경도를 감지하는 경도감지 수단과, 상기 경도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세탁수의 경도에 따라 상기 이온교환 수단의 재생시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한 상기 이온교환수단의 재생시기에 이온교환 수지를 재생시키도록 재생액을 저장하는 재생액 저장수단과,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에 저장된 재생액의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감지 수단과, 상기 농도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재생액의 농도에 따라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에 소금을 투입하도록 소금보충시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급수되는 세탁수를 이온교환수단에 의해 연수로 변화시키는 연수생성 스텝과, 상기 연수생성 스텝에 의해 연수화된 세탁수의 경도를 감지하는 경도감지 스텝과, 상기 경도감지 스텝에 의해 감지된 세탁수의 경도가 제어수단에 기설정된 기준경도 이상이면 급수동작을 차단하면서 재생액의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감지 스텝과, 상기 농도감지 스텝에 의해 감지된 재생액의 농도가 상기 제어수단에 기설절된 기준농도 이상이면 상기 이온교환 수단을 재생시키는 재생스텝과, 상기 재생스텝에서 이온교환 수단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이온교환 수단에 잔류하는 재생액을 세척하는 세척스텝과, 상기 세척스텝에서 상기 이온교환수단에 잔류하는 재생액이 세척되면 상기 이온교환수단에 의해 연수화된 세탁수를 세탁조내에 급수하면서 전체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세탁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체(20)의 상단에는 일측이 힌지결합된 도어(22)가 개폐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20)내에는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 및 탈수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스핀터브(24; 이하, 탈수조라 한다)가 회전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탈수조(24)의 외측둘레에는 탈수저(24)와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탈수조(24)를 지지하는 원통형상의 아웃터브(26; 이하, 세탁조라 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일측하단에는 상기 세탁조(26)내의 세탁수를 배수호스(28a)를 통해 외부로 배수하도록 배수밸브(2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탁조(26)의 외측저면에는 상기 탈수조(24)내의 세탁물을 세탁 및 탈수하도록 정역회전하는 모터(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30)의 일측하단에는 모터(30)의 회전력을 감속기(32)에 전달하는 벨트(34)가 상기 모터(30) 및 감속기(32)의 축에 배설된 풀리(30a,32a)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탈수조(24)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30)의 구동력을 벨트(34) 및 감속기(32)를 통해 전달받아 좌 ·우반전되면서 세탁수에 수류를 형성시켜 상기 탈수조(24)내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펄세이터(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배면상부에는 수도전(38)으로부터 급수호스(40)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의 유로를 3방향으로 조절하는 3방향 급수밸브(42; 이하, 급수밸브라 한다)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수밸브(42)의 우측하단에는 상기 급수밸브(42)의 개방시에 제1급수관(44)을 통해 급수되는 세탁수를 연수로 변화시키도록 이온교환 수지가 내장된 이온교환 수단(4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온교환수단(46)의 상부에는 상기 이온교환수단(46)의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키도록 소금물(이하, 재생액이라 한다)을 저장하는 재생액 저장수단(4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48)의 상부에는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48)에 저장된 재생액의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감지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이온교환수단(46)의 좌측하단에는 상기 이온교환수단(46)을 통과하면서 연수화된 세탁수를 연수급수관(52)을 통해 상기 세탁조(26)내로 급수하도록 연수급수밸브(5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온교환수단(46)의 우측하단에는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킨 재생액과 상기 이온교환수지에 남아있는 재생액을 세척한 물(이하, 세척수라 한다)을 재생액 배수호스(58)를 통해 외부로 배수하는 재생액 배수밸브(5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수급수밸브(54)의 좌측인 상기 연수급수관(52)내에는 상기 연수급수밸브(54)를 통해 급수되는 세탁수의 경도(물 100cc중에 녹아있는 칼슘, 마그네슘 등의 광물질의 양을 밀리그램으로 나타낸 값)를 감지하는 경도감지 수단인 총용해도 측정미터(170, TDS METER ; Total Desolved Solution Mete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48)의 일측에는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48)에 저장되는 재생액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사이 급수밸브(42)의 개방시에 제2급수관(60)을 통해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48)으로 급수되는 세탁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재생액 조절밸브(6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48)의 타측에는 상기 이온교환수단(46)에 공급되는 재생액의 유속을 조절하여 이온교환 수지를 효율적으로 재생시키도록 재생액 급수통로(66)를 형성하는 칸막이부재(6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재생액 급수통로(66)의 하측에는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48)에 저장된 재생액이 상기 재생액 급수통로(66)를 통해 상기 이온교환수단(46)내로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급수관(44)을 통해 급수되는 세탁수가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48)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재생액 급수밸브(68)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농도감지수단(50)은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48)에 저장된 재생액의 농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비중계(51)와, 상기 비중계(51)의 상하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53)와, 상기 압력센서(53)에 의해 감지된 압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접점부(55)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70은 상기 급수밸브(42)의 개방시에 상기 수도전(38)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26)내에 곧바로 급수하는 제3급수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의 제어회로를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직류전원수단(100)은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상용교류 전원의 전원전압을 상기 세탁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운전조작수단(110)은 사용자가 원하는 세탁조건(세탁종류, 세탁시간, 급수선택 등)을 입력하도록 상기 도어(22)의 소정위치에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120)은 상기 직류전원수단(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세탁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상기 운전조작수단(110)에 의해 입력된 운전명령 신호에 따라 세제투입, 세탁행정 및 헹굼행정등 상기 세탁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써, 이 제어수단(120)은 상기 경도감지수단(170)에 의해 감지된 세탁수의 경도에 따라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를 판단함과 동시에 상기 소금농도 감지수단(50)에 의해 감지된 재생액의 농도에 따라 소금보충 시기를 판단한다.
또한, 포량감지수단(130)은 상기 탈수조(24)내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20)에 출력하고, 급수밸브 구동수단(140)은 상기 수도전(38)으로부터 급수호스(40)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가 상기 이온교환수단(46), 재생액 저장수단(48) 또는 세탁조(26)의 3방향으로 급수되도록 상기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급수밸브(42)를 구동제어한다.
수위감지수단(150)은 상기 급수밸브 구동수단(140)에 의한 급수밸브(42)의 개방시에 상기 탈수조(24)내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에 적합한 양의 세탁수가 세탁조(26)내에 급수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20)에 출력하는 수위센서이고, 연수급수 밸브 구동수단(160)은 상기 이온교환수단(46)을 통과하면서 연수화된 세탁수가 세탁조(26)내에 급수되도록 상기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연수급수밸블(54)를 구동제어한다.
또, 경도감지수단(170)은 상기 연수급수밸브 구동수단(160)에 의한 연수급수밸브(54)의 개방시에 상기 이온교환수단(46)을 통과하면서 연수화된 세탁수의 경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20)에 출력하고, 재생액 조절밸브 구동수단(180)은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48)에 저장되는 재생액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재생액 조절밸브(62)를 구동제어한다.
재생액 급수밸브 구동수단(190)은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48)에 저장된 재생액을 상기 이온교환수단(46)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급수밸브(42)를 통해 이온교환수단(46)으로 급수되는 세탁수가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48)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상기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재생액 급수밸브(68)를 구동제어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재생액 배수밸브구동수단(200)은 상기 이온교환수단(46)의 이온교환 수지를 재생시킨 재생액과 상기 이온교환수단(46)의 이온교환 수지를 재생시킨 재생애과 상기 이온교환수지에 남아있는 재생액을 세척한 세척수를 재생액 배수호스(58)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재생액 배수밸브(56)를 구동제어하고, 모터구동수단(210)은 상기 제어수단(12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세탁물을 세탁 및 탈수하도록 모터(30)를 구동제어한다.
배수밸브 구동수단(220)은 상기 세탁조(26)내의 세탁수를 배수호스(28a)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배수밸브(28)를 구동제어하고, 농도감지수단(50)은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48)에 저장된 재생액의 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20)에 출력한다.
그리고, 표시수단(230)은 상기 농도감지수단(50)에 의해 감지된 재생액의 농도가 소정농도 이하이면, 상기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소금보충 시기를 표시함은 물론, 상기 운전조작수단(110)에 의해 입력되는 세탁조건을 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제어동작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제5a도 및 제5b도에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먼저, 세탁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직류 전원수단(100)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상용교류 전원의 전원전압을 상기 세탁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동수단 및 제어수단(120)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S1에서는 상기 직류전원수단(100)으로 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제어수단(120)에서 입력받아 세탁기를 초기화시킨다.
이어서, 스텝S2에서는 사용자가 탈수조(24)내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운전조작수단(110)에 의해 원하는 세탁조건(세탁종류, 세탁시간, 급수선택등)을 입력한 다음 도시되지 않은 전원스위치를 온시키면, 상기 탈수조(24)내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을 포량감지수단(130)에서 감지하여 그 감지된 포량데이터를 상기 제어수단(12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20)에서는 포량감지수단(130)에 의해 감지된 포량데이터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세탁물량에 따른 세탁수위를 결정한다.
이어서, 스텝S3에서는 상기 제어수단(120)에서 결정된 세탁수위에 따라 세탁조(26)내에 세탁수를 급수하도록 급수밸브 구동수단(140)과 연수급수 밸브 구동수단(16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밸브 구동수단(140)에서는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급수밸브(42)를 이온교환수단(46)쪽으로 개방시키고, 상기 연수급수밸브 구동수단(160)에서는 제어수단(120)의 제어에따라 연수급수밸브(54)를 개방시킨다.
상기 급수밸브(42)와 연수급수밸브(54)가 개방되면, 수도전(38)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는 제1급수관(44)을 통해 이온교환수단(46)을 통과하면서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이온이 제거되어 연수로 변화된다.
상기 이온교환수단(46)을 통과하면서 연수화된 세탁수는 연수급수관(52)을 통해 세탁조(26)내에 급수되기 시작한다.
이때, 스텝S4에서는 상기 연수급수관(52)을 통해 세탁조(26)내에 급수되는 세탁수의 경도(Hw)를 경도감지수단(170)에서 감지하여 제어수단(120)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S5에서는 상기 경도감지수단(170)에 의해 감지된 세탁수의 경도(Hw)가 제어수단(12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경도(Hs; 세탁수가 연수 또는 경수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경도) 이하인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5에서의 판별결과, 세탁수의 경도(Hw)가 기준경도(Hs)이하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연수급수관(52)을 통해 급수되는 세탁수가 경수라고 판단하여 이온교환수단(46)의 이온교환수지가 연수생성 능력을 잃은 상태이므로 이온교환 수지의 재생시기라고 결정하면서 스텝S6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20)은 상기 연수급수관(52)을 통해 급수되는 세탁수를 차단하도록 연수급수밸브 구동수단(16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수급수밸브 구동수단(160)에서는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연수급수밸브(54)를 차단시켜 연수급수관(52)을 통해 세탁조(26)내에 급수되는 세탁수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어서, 스텝S7에서는 상기 이온교환 수지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액의 농도(Dw)를 농도감지수단(50)에서 감지하여 제어수단(120)에 출력한다.
상기 농도감지수단(50)에서 재생액의 농도를 감지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재생액 저장수단(48)에 저장된 재생액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비중계(51)가 재생액 표면으로 떠오르면서 압력센서(53)를 밀어올려 상기 압력센서(53)의 접점이 접점부(55)에 붙게 된다.
반면,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48)에 저장된 재생액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비중계(51)가 내려가면서 압력센서(53)의 접점이 접점부(55)로부터 떨어진다.
즉, 상기 농도감지수단(50)은 압력센서(53)의 접점이 접점부(55)에 붙거나 떨어지는 상태에 따라 재생액의 농도를 감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스텝S8에서는 상기 농도감지수단(50)에 의해 감지된 재생액의 농도(Dw)가 제어수단(12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농도(Ds ;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에 필요한 재생액의 소금농도)이상인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8에서의 판별결과, 재생액의 농도(Dw)가 기준농도(Ds)이상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9로 나아가서 상기 제어수단(120)에서는 재생액 저장수단(48)에 저장되는 재생액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급수밸브 구동수단(140)과 재생액 조절밸브 구동수단(18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밸브 구동수단(140)에서는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급수밸브(42)를 재생액 저장수단(48)쪽으로 개방시키고, 재생액 조절밸브 구동수단(180)에서는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재생액 조절밸브(62)를 개방시킨다.
상기 급수밸브(42)와 재생액 조절밸브(62)가 개방되면, 수도전(38)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는 제2급수관(60)을 통해 재생액 저장수단(48)으로 급수되기 시작한다.
이때, 스텝S10에서 상기 제어수단(120)은 이온교환수단(46)의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도록 재생액 급수밸브 구동수단(190)과 재생액 배수밸브 구동수단(2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재생액 급수밸브 구동수단(190)에서는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재생액 급수밸브(68)를 개방시키고, 재생액 배수밸브 구동수단(200)에서는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재생액 배수밸브(56)를 개방시킨다.
상기 재생액 급수밸브(68)가 개방되면,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48)에 저장된 재생액이 재생액 급수통로(66)를 통해 이온교환수단(46)으로 흘러 들어가 연수생성 능력을 잃은 이온교환 수지를 재생시킨다.
이때, 상기 이온교환 수지를 재생시킨 재생액은 재생액 배수밸브(56)의 개방에 따라 재생액 배수호스(5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어서, 스텝S11에서는 재생액이 상기 이온교환수단(46)에 내장된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기 시작하여 소정시간(이온교환 수지를 재생하는데 필요한 재생액 투여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10으로 복귀하여 스텝S10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11에서의 판별결과,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YES일 경우)에는 상기 이온교환 수지가 완전히 재생된 상태이므로 스텝S12에서 상기 제어수단(120)은 제2급수관(60)을 통해 급수되는 세탁수가 재생액 저장수단(48)으로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재생액 조절밸브구동수단(18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재생액 조절밸브 구동수단(180)에서는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재생액 조절밸브(62)를 차단시켜 제2급수관(60)을 통해 재생액 저장수단(48)으로 급수되는 세탁수의 공정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20)에서는 재생액 저장수단(48)에 저장된 재생액이 재생액 급수통로(66)를 통해 이온교환수단(46)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재생액 급수밸브 구동수단(19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재생액 급수밸브 구동수단(190)에서는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재생액 급수밸브(68)를 차단시켜 재생액 급수통로(66)를 통해 재생액이 이온교환수단(46)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어서, 스텝S13에서 상기 제어수단(120)은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에 상기 이온교환 수지에 남아있는 재생액을 씻어내야 가역반응을 방지하여 재생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급수밸브 구동수단(14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밸브 구동수단(140)에서는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급수밸브(42)를 이온교환수단(46)쪽으로 개방시켜 수도전(38)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제1급수돤(44)을 통해 이온교환수단(46)을 통과하면서 이온교환수지에 남아있는 재생액을 세척한다.
이때, 재생액 배수밸브(56)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세척한 세척수는 재생액 배수호스(5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이온교환수지에 남아있는 재생액이 완전히 제거되면, 스텝S14에서 제어수단(120)은 상기 급수밸브(42)를 통해 급수되는 세탁수가 재생액 배수호스(5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재생액 배수밸브 구동수단(2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재생액 배수밸브 구동수단(200)에서는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재생액 배수밸브(56)를 차단시킨다.
그리고, 스텝S15에서 상기 제어수단(120)은 수도전(38)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세탁조(26)내에 급수되도록 연수급수 밸브구동수단(16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수급수밸브 구동수단(160)에서는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연수급수밸브(54)를 개방시킨다.
상기 연수급수밸브(54)가 개방되면, 수도전(38)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는 제1급수관(44)을 통해 이온교환수단(46)을 통과하면서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이온이 제거되어 연수로 변화된다.
상기 이온교환수단(46)을 통과하면서 연수화된 세탁수는 연수급수관(52)을 통해 세탁조(26)내에 급수되기 시작한다.
이때, 스텝S16에서는 상기 연수급수관(52)을 통해 세탁조(26)내에 급수되는 세탁수의 경도(Hw)를 경도감지수단(170)에서 감지하여 제어수단(120)에 출력하고, 스텝S17에서는 상기 경도감지수단(170)에 의해 감지된 세탁수의 경도(Hw)가 제어수단(12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경도(Hs; 세탁수가 연수 또는 경수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경도)이하인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17에서의 판별결과, 세탁수의 경도(Hw)가 기준경도(Hs)이하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이온교환수단(46)의 이온교환수지가 완전히 재생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서 상기 스텝S6으로 복귀하여 스텝S6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17에서의 판별결과, 세탁수의 경도(Hw)가 기준경도(Hs)이하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상기 연수급수관(52)을 통해 급수되는 세탁수가 연수라고 판단하여 스텝S18로 나아가서 상기 연수급수관(52)을 통해 세탁조(26)내에 급수되는 세탁수의 양을 수위감지수단(150)에서 감지하여 제어수단(12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20)에서는 수위감지수단(150)에 의해 감지된 세탁수위가 결정된 세탁수위에 도달할때까지 급수밸브(42)를 이온교환수단(46)쪽으로 개방하여 급수를 계속한다.
상기 세탁조(26)내에 급수된 세탁수위가 결정된 세탁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연수급수 밸브구동수단(160)에서는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연수급수밸브(54)를 차단시켜 급수동작을 중지한다.
이때, 스텝S19에서 상기 제어수단(120)은 세탁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우회전 또는 좌회전 제어신호를 모터 구동수단(21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구동수단(210)에서는 제어수단(12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모터(30)를 우회전 또는 좌회전 구동시킨다.
상기 모터(30)의 우회전 또는 좌회전 구동에 따라 펄세이터(36)가 좌 ·우반전을 행하면서 세탁수에 수류를 형성시켜 세탁행정을 시작한다.
상기 제어수단(120)에서 결정된 세탁시간동안 세탁행정이 완료되면, 제어수단(120)에서는 상기 세탁조(26)내의 오염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배수밸브 구동수단(22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배수밸브 구동수단(220)에서는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배수밸브(28)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세탁조(26)내의 오염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수행정이 완료되면, 스텝S20에서는 상기 제어수단(120)에서 헹굼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26)내에 급수하도록 연수급수 밸브구동수단(16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연수급수 밸브구동수단(160)에서는 제어수단(12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연수급수밸브(54)를 개방시킴으로써 수도전(38)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이온교환수단(46)을 통과하면서 연수로 변화되어 세탁조(26)내에 급수된다.
상기 세탁조(26)내에 급수동작이 완료되면,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연수급수밸브(54)를 차단시켜 급수동작을 중시키면서 모터(30)를 우회전 또는 좌회전으로 구동하여 헹굼행정을 수행한다.
소정시간이 경과하여 헹굼행정이 완료되면, 스텝S21에서 상기 모터구동수단(210)은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모터(30)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펄세이터(36)와 탈수조(24)가 고속으로 회전한다.
상기 펄세이터(36)와 탈수조(24)의 고속회전에 따라 세탁물에 흡수되어 있던 세탁수가 탈수조(24)외부로 배출되어 고속탈수가 이루어진다.
고속탈수후에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모터(30)가 정지하면서 전체세탁 행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위해 설정된 횟수만큼 도시되지 않은 부저를 울리면서 전체세탁 행정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스텝S5에서의 판별결과, 세탁수의 경도(Hw)가 기준경도(Hs)이하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연수급수관(52)을 통해 급수되는 세탁수가 연수라고 판단하여 상기 스텝S18로 나아가서 스텝S18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텝S8에서의 판별결과, 재생액의 농도가 기준농도 이상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S30으로 나아가서 상기 제어수단(120)은 재생액 저장수단(48)에 소금을 투입하도록 표시수단(230)을 통해 소금보충 시기를 표시하면서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한 세탁수의 경도를 감지하여 이온교환 수지의 정확한 재생시기를 판단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지역별, 계절별 또는 급수되는 원수의 종류에 관계없이 항상 연수화된 물을 공급함으로써 세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가가 있으며, 상기 이온교환 수지를 재생하는 소금물의 농도를 감지하여 이온교환 수지를 항상 일정농도 이상의 소금물로 재생시킴으로써 재생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소금보충시기를 알려줌으로써 사용하기가 편리하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급수되는 세탁수를 연수화시키는 이온교환수단과, 상기 이온교환수단에 의해 연수화된 세탁수를 세탁조내에 급수하도록 연수급수 밸브를 구동제어하는 연수급수 밸브 구동수단과, 상기 연수급수 밸브를 통해 급수되는 세탁수의 경도를 감지하는 경도감지 수단과, 상기 경도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세탁수의 경도에 따라 상기 이온교환 수단의 재생시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한 상기 이온교환 수단의 재생시기에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키도록 재생액을 저장하는 재생액 저장수단과,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에 저장된 재생액의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감지 수단과, 상기 농도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재생액의 농도에 따라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에 소금을 투입하도록 소금보충시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에는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에 급수되는 세탁수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재생액 조절밸브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에는 상기 이온교환 수단으로 공급되는 재생액의 유속을 조절하도록 칸막이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에는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에 저장된 재생액을 상기 이온교환 수단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이온교환 수단으로 급수되는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재생액 급수밸브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5. 급수되는 세탁수를 이온교환수단에 의해 연수로 변화시키는 연수생성 스텝과, 상기 연수생성 스텝에 의해 연수화된 세탁수의 경도를 감지하는 경도감지 스텝과, 상기 경도감지 스텝에 의해 감지된 세탁수의 경도가 제어수단에 기설정된 기준경도 이상이면 급수동작을 차단하면서 재생액의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감지 스텝과, 상기 농도감지 스텝에 의해 감지된 재생액의 농도가 상기 제어수단에 기설정된 기준농도 이상이면 상기 이온교환 수단을 재생시키는 재생스텝과, 상기 이온교환 수단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이온교환 수단에 잔류하는 재생액을 세척하는 세척스텝과, 상기 이온교환 수단에 잔류하는 재생액이 세척되면 상기 이온교환 수단에 의해 연수화된 세탁수를 세탁조내에 급수하면서 전체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세탁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도감지 스텝에 의해 감지된 세탁수의 경도(Hw)가 기준경도(HS)이하이면 세탁조내에 급수되는 세탁수가 연수라고 판단하여 상기 이온교환 수단에 의해 연수화된 세탁수를 세탁조내에 급수하면서 전체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감지 스텝에 의해 감지된 재생액의 농도(Dw)가 기준농도(Ds) 이하이면, 상기 재생액 저장수단에 소금을 투입하도록 표시수단을 통해 소금보충시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9940037484A 1994-12-27 1994-12-27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75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7484A KR0175850B1 (ko) 1994-12-27 1994-12-27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7484A KR0175850B1 (ko) 1994-12-27 1994-12-27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427A KR960023427A (ko) 1996-07-20
KR0175850B1 true KR0175850B1 (ko) 1999-05-15

Family

ID=1940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7484A KR0175850B1 (ko) 1994-12-27 1994-12-27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8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192B1 (ko) * 1998-03-31 2002-03-16 가나이 쓰토무 세탁기
KR100688192B1 (ko) * 2004-11-11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88191B1 (ko) * 2004-11-11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07108645A1 (en) * 2006-03-21 2007-09-27 Nine Tech Co., Ltd. Automatically regeneratable soft water washing apparatus
KR101276009B1 (ko) * 2006-08-04 2013-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2496B2 (ja) * 1998-06-01 2000-05-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洗濯機の制御方法
KR20000037004A (ko) * 2000-04-04 2000-07-05 이창수 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연수 변환장치가 구비된 세탁기
KR20040013506A (ko) * 2002-08-07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살균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08016283A1 (en) * 2006-08-04 2008-02-07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E102021104076B3 (de) * 2021-02-22 2022-06-30 Mühlbauer Technology Gmbh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gedruckten 3D-Objekt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192B1 (ko) * 1998-03-31 2002-03-16 가나이 쓰토무 세탁기
KR100688192B1 (ko) * 2004-11-11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88191B1 (ko) * 2004-11-11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07108645A1 (en) * 2006-03-21 2007-09-27 Nine Tech Co., Ltd. Automatically regeneratable soft water washing apparatus
KR101276009B1 (ko) * 2006-08-04 2013-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427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5850B1 (ko)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457163B1 (ko)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JP2006297059A (ja) すすぎ剤投入装置を有する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WO2006004269A1 (en) Soft-water washer capable of automatically regenerating ion exchange resin
JP2004344594A (ja) 洗濯機
KR0175852B1 (ko) 세탁기의 연수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27664Y1 (ko) 세탁기의 제어장치
JP2778462B2 (ja) 軟水器の再生制御方法
JP3246507B2 (ja) イオン除去手段及びイオン除去方法
KR0175853B1 (ko) 세탁기의 연수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28192B1 (ko) 세탁기
KR0175854B1 (ko) 세탁기의 연수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82957A (ko)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JP2011110503A (ja) 軟水器
JPS61159999A (ja) 洗濯機の制御方法
KR0129480B1 (ko) 자동 쌀세척기
KR200305723Y1 (ko) 재생기능을 갖는 연수기
KR100525334B1 (ko) 세탁기용 양이온 제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KR0116570Y1 (ko)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
KR100242494B1 (ko) 최적 헹굼이 가능한 전자동 세탁기
KR0139286Y1 (ko) 전자동세탁기의 연수제조장치
KR101294779B1 (ko) 스팀발생기 필터의 재생이 가능한 세탁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20100060703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85378B1 (ko) 스팀발생기 필터의 재생이 가능한 세탁장치
KR0164949B1 (ko) 세탁기의 헹굼행정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