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378B1 - 스팀발생기 필터의 재생이 가능한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스팀발생기 필터의 재생이 가능한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378B1
KR101285378B1 KR1020060064302A KR20060064302A KR101285378B1 KR 101285378 B1 KR101285378 B1 KR 101285378B1 KR 1020060064302 A KR1020060064302 A KR 1020060064302A KR 20060064302 A KR20060064302 A KR 20060064302A KR 101285378 B1 KR101285378 B1 KR 101285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generation
steam generator
regeneration materia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676A (ko
Inventor
배상훈
문정욱
최철진
김동현
손영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4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378B1/ko
Priority to EP07768675.6A priority patent/EP2041355B1/en
Priority to PCT/KR2007/003338 priority patent/WO2008007888A2/en
Priority to US12/309,189 priority patent/US8566990B2/en
Publication of KR20080005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7Arrangements of water soften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06F2103/22Content of detergent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6Recirculation of washing liquids, e.g. by pumps or divert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 또는 건조기와 같은 세탁물과 관련된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팀발생기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급수유로에 설치된 정화필터의 재생이 가능한 세탁장치 및 그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세탁장치는 정화필터의 재생을 위한 재생물질을 공급하는 재생물질 공급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팀발생기, 세탁장치, 정화필터, 이온교환수지, 재생

Description

스팀발생기 필터의 재생이 가능한 세탁장치{LAUNDRY MACHINE WITH MEANS FOR REGENERATING FILTER OF STEAM GENERATOR}
도1 및 도2는 종래의 세탁장치를 나타낸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5 및 도6은 교반기를 포함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300 : 스팀발생기 310 : 워터 콘테이너
510 : 급수유로 540 : 밸브
560 : 정화필터 570 : 농도감지부
580 : 재생물질 공급기 581 : 믹싱부
582 : 재생물질 저장부 583 : 재생물질통
584 : 모터 585 : 이송스크류
586 : 소금 587 : 교반기
588 : 재생물질 590 : 펌프
본 발명은 세탁기 또는 건조기와 같은 세탁물과 관련된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팀발생기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급수유로에 설치된 정화필터의 재생이 가능한 세탁장치 및 그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모터의 구동력을 통해 회전조 및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세탁행정, 헹굼 행정, 탈수행정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회전조 내부에 세탁수와 세탁물을 함께 투입한 후 이들을 교반 시킴으로써 세탁물과 세탁수 및 회전조의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방식에 따라 펄세이터식, 교반식, 드럼식 등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세탁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세탁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한 장치로서, 세탁물의 손상이 적고, 세탁물이 잘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 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세탁이 완료된 젖은 상태의 건조대상물(예컨대 의류)을 자동으로 건조시켜 주도록 하는 기계장치이다.
위와 같은 세탁장치 중 최근에는 스팀발생기가 구비된 세탁장치가 있다. 일례로 도1 및 도2는 스팀발생기를 갖는 종래의 세탁기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상기 종래의 세탁기는 크게 본체(110)와, 터브(120)와, 드럼(130)과, 구동모터(171)와, 스팀발생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드럼세탁기이다.
상기 본체(110)는 드럼 세탁기의 외관을 이루고, 상기 터브(120)는 상기 본체(110) 내에 지지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30)은 상기 터브(12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110)의 투입구(111)를 향하여 개구된 측이 위치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본체(110)의 투입구(111)가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40)가 장착되며, 상기 투입구(111)의 내측 둘레면으로는 상기 도어(140)와 상기 투입구(111) 간의 밀폐를 위한 림부(15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71)는 상기 드럼(130)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되는 모터로써 상기 드럼(130)을 직접 회전시키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기(200)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으로 만든 후 상기 드럼(130) 내부로 제공한다.
상기 스팀발생기(200)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으로 만들기 위한 히터(210)가 구비된다. 스팀발생기(200)에서 만들어진 스팀은 밸브(221)를 갖는 스팀 공급관(220)을 흘러 분사 노즐(230)을 통해 드럼(130)으로 공급된다.
상기 스팀발생기는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물을 가열하게 되는데 이때 침전물이 생성되어 스팀발생기 내부에 쌓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경도가 센 센물의 경우 그 침전물의 양이 많아지며, 유럽 등과 같이 물의 질이 좋지 않은 곳에서는 그 문제가 더욱 크다.
물 속에 칼슘이온이나 마그네슘이온이 많은 경우에는 그 침전물의 양도 많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생성된 침전물은 스팀발생기 내부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며, 더욱 중요하게는 스팀발생기의 히터 표면에 달라붙어 그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낳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팀 생성을 위한 물이 스팀발생기 내로 유입되기 전에 필터링함으로서 스팀발생기 내부의 침전물 생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와 같은 필터링을 위해 설치된 필터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탁장치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급수유로와; 상기 물을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필터와; 상기 정화필터의 재생을 위한 재생물질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재생물질 공급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수유로는 물 공급원으로부터 스팀발생기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정화필터는 상기와 같이 스팀발생기로 공급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재생물질 공급기는 상기 정화필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물질을 공급한다. 공급된 재생물질로 인해 상기 정화필터는 재생되게 된다.
상기 정화필터는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교환수지로 인해 필터링 과정에서 물에 포함되어 있던 칼슘이온이나 마그네슘이온 등등은 걸러지게 되며, 센물은 그 정도가 약화되거나 단물화 된다.
이때, 상기 재생물질은 염화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소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필터는 상기 스팀발생기와 상기 재생물질 공급기 사이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생물질 공급기는 상기 정화필터와 상기 스팀발생기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겠지만, 그럴 경우 재생물질이 스팀발생기로 보다 용이하게 또는 보다 많이 유입될 수 있어 문제가 될 수 있다. 스팀발생기 내부로는 상기 재생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소금물이 스팀발생기 내부로 유입되면 스팀발생기 내부를 부식시켜 문제가 된다. 특히, 히터가 부식되면 히터의 열효율이 저하된다.
상기 정화필터와 상기 스팀발생기 사이에는 펌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는 급수유로 상에서 물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흐르도록 도와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펌프는 정방향은 물론 역방향으로도 펌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스팀발생기에 스팀생성을 위한 물을 공급할 때에는 정방향으로 펌핑하여 급수를 도와주고, 재생작업 시에는 역방향으로도 펌핑되도록 하여 재생작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와준다.
예컨대, 재생작업 시에 상기 펌프는 정방향 구동과 역방향 구동을 교대로 하여 정화필터를 정방향으로 통과한 물이 다시 역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재생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펌프의 정역방향 구동을 통해 적은 양의 재생물질로도 재생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스팀발생기로 상기 재생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기로 재생물질이 유입된 경우 상기 펌프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상기 재생물질을 스팀발생기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다.
한편, 재생물질이 스팀발생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급수유로에 밸브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래서, 재생작업 시에는 상기 밸브를 닫는다.
위와 같은 펌프는 기어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어펌프는 공기도 펌핑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정역방향 펌핑을 위한 구동 제어가 용이하다.
상기 재생물질 공급기는 물과 상기 재생물질을 믹싱되도록 하기 위한 믹싱부와 상기 믹싱부에 상기 재생물질을 공급하는 재생물질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세탁장치는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도록 물을 저장하는 워터 콘테이너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워터 콘테이너는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을 필요로 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워터 콘테이너가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건조기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물을 필요로 하는 장치가 아니기 때문에 별도로 워터 콘테이터를 구비할 수도 있는 것이 다.
통상 세탁기는 수돗물을 물 공급원으로 한다. 상기 수돗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급수밸브가 수도꼭지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급수밸브가 열림에 따라 수돗물이 세탁기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급수구조를 스팀발생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수돗물이 스팀발생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급수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유로 상에 급수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가 열림에 따라 스팀 발생에 필요한 물이 수도꼭지로부터 급수유로를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세탁기에서는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의 공급을 위해 워터 콘테이너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워터 콘테이너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재생물질 공급기는 상기 워터 콘테이너로 상기 재생물질을 공급하는 재생물질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터 콘테이너로 공급된 재생물질은 워터 콘테이너에 있는 물과 함께 믹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워터 콘테이너는 상기의 믹싱부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재생물질 저장부는 고체상태의 재생물질을 저장할 수도 있고, 액체상태의 재생물질을 저장할 수도 있다.
재생물질이 고체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재생물질 저장부는 재생물질을 저장하는 재생물질통과 상기 재생물질통에 설치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재생물질을 상기 재생물질통 밖으로 인출시키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송스크류가 회전되면 재생물질통에 있는 재생물질이 밖으로 나오면서 상기 워터 콘테이너로 낙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재생물질과 물이 혼합된 용액에 대해 재생물질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농도감지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재생물질 공급기의 작동을 정지시켜 재생물질이 지나치게 많이 공급되어 낭비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농도감지부는 염화나트륨이 함유된 액체의 염도를 감지하기 위한 염도감지부일 수 있다.
상기 믹싱부 또는 워터 콘테이너 내부에는 물과 재생물질이 잘 섞이도록 교반하는 교반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교반기는 간단하게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필터는 상기 워터 콘테이너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터 콘테이너에 물과 재생물질을 공급하여 적당한 시간 동안 방치하면 정화필터는 재생될 것이다.
이때, 상기 교반기가 있는 경우 상기 워터 콘테이너 내부에서의 상기 정화필터의 재생작업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재생작업을 위한 상술한 바와 같은 펌프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워터 콘테이너로 재생물질을 공급하는 재생물질 저장부에 저장된 재생물질은 액체 상태일 수 있다. 고농도의 재생물질 원액이 재생물질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액체 상태의 재생물질은 물과 빠르게 혼합되기 때문에 재생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재생물질을 공급하면서 바로 농도감지부로 농도를 감지하여 재생물질 공급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요구되는 재생물질의 공급량을 보다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만약, 고체상태의 재생물질을 사용하면, 물에 녹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 있기 때문에 그만큼 재생작업이 오래 걸리게 되고, 또한 재생물질의 공급량을 정확하게 조절하기 힘들다.
상기 액체상태의 재생물질을 공급하도록 저장하는 재생물질 저장부에는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 유량조절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재생필터가 상기 워터 콘테이너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재생물질 저장부는 상기 재생물질을 상기 재생필터로 직접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재생물질이 재생필터로 직접 공급되면 재생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재생물질이나 사용되는 물의 양을 절감할 수도 있다.
펌프와 스팀발생기 사이에서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재생물질 차단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펌프와 상기 재생물질 차단밸브 사이의 급수유로와 상기 워터 콘테이너를 연통시키는 연통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워터 콘테이너와 상기 워터 콘테이너와 연결된 급수유로와 상기 연통유로에 의해 순환유로가 형성된다. 펌프를 구동시키면, 상기 순환유로에서 물이 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순환유로에서 물이 순환되면서 그 물에 함유된 재생물질에 의해 정화필터의 재생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재생작업 완료 후에 재생물질과 물이 혼합된 액체의 배출은 상기 워터 콘테이너를 비움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워터 콘테이너가 없는 경우에는 배출을 위한 배출유로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콘트롤러는 재생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디스플레이창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배출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워터 콘테이너에 새로운 물이 주입되고, 상기 펌프가 구동되어 급수유로에 있을 수 있는 재생물질을 희석시켜 다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을 따르는 세탁장치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을 따르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3과 도4에서는 본 발명의 세탁장치에 있어서 그 특징적인 부분만을 도시하고 있으며, 그 외의 다른 구성장치는 종래의 세탁장치와 다르지 않다. 따라서, 여기서는 도3과 도4를 참조하여 그 특징적인 부분만을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구성장치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3의 실시예는 스팀발생기로 물을 제공하기 위한 공급원으로서 워터 콘테이너가 구비되고 있다. 상기 워터 콘테이너는 세탁장치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사 용자는 상기 워터 콘테이너를 인출하여 물을 채운 후 다시 세탁장치의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서 워터 콘테이너에 물을 보충한다.
워터 콘테이너의 물은 급수유로를 통해 스팀발생기로 공급되며, 상기 급수유로에는 기어펌프가 설치되어 있다. 펌프가 정방향으로 구동됨에 따라 워터 콘테이너의 물이 스팀발생기로 원활하고 신속하게 유입된다.
상기 워터 콘테이너에는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는 정화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화필터를 통해 워터 콘테이너의 물은 필터링되어 스팀발생기로 공급된다.
그리고, 워터 콘테이너 위에는 소금이 저장된 소금통이 구비된다. 모터에 의해 이송스크류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소금은 소금통 밖으로 인출되어 워터 콘테이너 안으로 낙하된다.
정화필터의 재생 작업 시 소금이 위와 같이 워터 콘테이너에 공급되어 워터 콘테이너 내부의 물에 녹아 소금물이 된다. 그리고, 상기 소금물은 정화필터를 재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기어펌프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급수유로 내에 있던 잔수 또는 공기가 정화필터를 거쳐 워터 콘테이너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은 펌프의 작동으로 워터 콘테이너 내부의 물은 교란되어 소금이 보다 빨리 녹게 된다.
상기 기어펌프가 정역방향으로 교대로 구동됨에 따라 위와 같은 교란은 더욱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펌프가 정역방향으로 교대로 구동되면 소금물이 정화필터를 정역방향으로 통과하게 되어 재생작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소금물이 정화필터를 정역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재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되는 적은 양의 소금물로 재생작업을 할 수 있다.
워터 콘테이너에는 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염도센서가 구비되고 있다. 상기 측정된 염도가 기준치 이상이 되면 콘트롤러는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켜 소금의 공급을 중단한다.
급수유로에 설치되어 있는 재생물질 차단밸브는 재생작업 시에 닫힌 상태로 있게 되며, 이로써 재생물질이 스팀발생기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위와 같은 재생작업은 콘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화필터의 재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콘트롤러는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소금을 워터 콘테이너 내부로 공급한다. 아울러, 콘트롤러는 펌프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워터 콘테이너 내부에서 소금이 빨리 녹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염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염도가 기준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콘트롤러는 상기 모터를 정지시켜 소금의 공급을 중단한다.
또한, 콘트롤러는 일정시간 동안 상기 펌프를 정역방향으로 교대로 구동시켜 재생작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재생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콘트롤러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디스플레이창에 이를 표시하거나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워터 콘테이너를 인출하여 그 안에 있는 소금물을 버린다.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워터 콘테이너에 새로운 물을 넣을 수 있으며, 콘트롤러는 펌프를 구동시켜 급수유로나 또는 정화필터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소금물을 희석시켜 제거한다.
도4에는 워터 콘테이너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물 공급원은 수도꼭지로부터 나오는 수돗물이 될 수 있다. 즉, 급수유로가 수도꼭지에 연결된다.
상기 급수유로에는 믹싱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믹싱부에서 재생물질과 물은 섞여 혼합된다. 재생물질 저장부는 도3의 예와 같이 소금통과 이송스크류와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재생작업 시 콘트롤러는 밸브와 펌프와 염도센서와 재생물질 저장부를 제어하여 재생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그 구체적인 방법은 상기 도3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재생작업을 완료한 후 급수유로 또는 믹싱부에 있는 소금물을 제거하기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배출유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배출유로는 예컨대, 믹싱부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급수유로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믹싱부는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어 배출시에 사용자가 상기 믹싱부를 인출하여 그 내부의 소금물을 버림으로서 소금물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외에 또 다른 방법으로 소금물을 배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5 및 도6에는 워터 콘테이너가 구비된 경우 재생물질을 공급하고 물과 혼합하는 것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예에서는 교반기로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이 구비되고 있다.
재생물질이 워터 콘테이너로 공급되면, 상기 교반기가 작동하여 물과 재생물질이 잘 섞이도록 도와준다.
여기서, 재생물질 저장부는 워터 콘테이너가 설치된 상태에서 그 위로 배치되도록 세탁장치의 본체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교반기는 재생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5와 같은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교반기는 재생작업 시에는 상기 본체로부터 신장되어 나와 도6과 같이 워터 콘테이너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래서, 재생물질 저장부로부터 재생물질이 공급되면 상기 교반기가 작동되어 물과 재생물질이 빠르게 혼합된다.
상기 교반기는 워터 콘테이너 내부에서 물을 유동시키기 때문에 재생작업을 도와주는 역할도 한다. 물의 유동에 의해 재생물질과 정화필터의 접촉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도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예는 워터 콘테이너를 포함하며, 재생필터가 워터 콘테이터에 설치되고 있다.
재생물질 저장부에는 소금이 원액으로 있으며, 유량조절밸브가 구비되어 있어 소금원액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지만, 콘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재생물질이 정화필터에 직접 공급된다.
그리고, 펌프와 스팀발생기 사이의 급수유로는 연통유로를 통해 워터 콘테이너와 통하게 되어 있다.
펌프가 작동되면, 상기 연통유로를 통해 소금물이 순환하게 된다. 즉, 펌프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 소금물은 급수유로와 연통유로를 흘러 다시 워터 콘테이너로 유입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팀 생성을 위한 물이 스팀발생기 내로 유입되기 전에 필터링함으로서 스팀발생기 내부의 침전물 생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이와 같은 필터링을 위해 설치된 정화필터의 재생이 가능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급수유로와;
    상기 물을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필터와;
    상기 정화필터의 재생을 위한 재생물질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재생물질 공급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재생물질 공급기는
    물과 상기 재생물질이 믹싱되도록 하기 위한 믹싱부와;
    상기 믹싱부에 상기 재생물질을 공급하는 재생물질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필터는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물질은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필터는 상기 스팀발생기와 상기 재생물질 공급기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필터와 상기 스팀발생기 사이에 구비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탁장치.
  5. 삭제
  6.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급수유로와;
    상기 물을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필터와;
    상기 정화필터의 재생을 위한 재생물질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재생물질 공급기와;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도록 물을 저장하고,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워터 콘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물질 공급기는 상기 워터 콘테이너로 상기 재생물질을 공급하는 재생물질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물질 저장부는:
    고체상태의 재생물질을 저장하는 재생물질통과;
    상기 재생물질통에 설치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재생물질을 상기 재생물질통 밖으로 인출시키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탁장치.
  9.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급수유로와;
    상기 물을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필터와;
    상기 정화필터의 재생을 위한 재생물질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재생물질 공급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정화필터는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물질은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며,
    상기 염화나트륨이 함유된 액체의 염도를 감지하기 위한 염도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탁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콘테이너 내부에서 상기 재생물질과 물이 잘 섞이도록 교반하는 교반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세탁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필터는 상기 워터 콘테이너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물질 저장부는 액체 상태의 재생물질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물질 저장부에는 상기 재생물질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량조절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필터는 상기 워터 콘테이너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재생물질 저장부는 상기 재생물질을 상기 정화필터로 직접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로에 설치된 펌프와;
    상기 펌프와 상기 스팀발생기 사이에서 상기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재생물질 차단밸브와;
    상기 펌프와 상기 재생물질 차단밸브 사이의 급수유로와 상기 워터 콘테이너를 연통시키는 연통유로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탁장치.
KR1020060064302A 2006-07-10 2006-07-10 스팀발생기 필터의 재생이 가능한 세탁장치 KR101285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302A KR101285378B1 (ko) 2006-07-10 2006-07-10 스팀발생기 필터의 재생이 가능한 세탁장치
EP07768675.6A EP2041355B1 (en) 2006-07-10 2007-07-10 Laundry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CT/KR2007/003338 WO2008007888A2 (en) 2006-07-10 2007-07-10 Laundry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2/309,189 US8566990B2 (en) 2006-07-10 2007-07-10 Laundry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302A KR101285378B1 (ko) 2006-07-10 2006-07-10 스팀발생기 필터의 재생이 가능한 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676A KR20080005676A (ko) 2008-01-15
KR101285378B1 true KR101285378B1 (ko) 2013-07-10

Family

ID=3921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302A KR101285378B1 (ko) 2006-07-10 2006-07-10 스팀발생기 필터의 재생이 가능한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3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7592A (ja) * 1999-09-20 2001-04-03 Hitachi Ltd ドラム式洗濯機
US6823878B1 (en) 1999-04-22 2004-11-30 Eltek S.P.A. Household appliance using water, namely a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device for softening the water
KR20060036750A (ko) * 2004-10-26 200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장치가 구비된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3878B1 (en) 1999-04-22 2004-11-30 Eltek S.P.A. Household appliance using water, namely a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device for softening the water
JP2001087592A (ja) * 1999-09-20 2001-04-03 Hitachi Ltd ドラム式洗濯機
KR20060036750A (ko) * 2004-10-26 200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장치가 구비된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676A (ko) 200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1355B1 (en) Laundry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844324B2 (en) Washing machine
JP2004321262A5 (ko)
KR101328918B1 (ko) 세탁장치 및 그 운전방법
MY140183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10494751B2 (en)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water softe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washing machine
WO2021085162A1 (ja) 洗濯機
KR101457163B1 (ko)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EA022523B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зона в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е при низкой температуре, а также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100567486B1 (ko) 세탁기
RU2596938C2 (ru) Способ полоскания белья с кондиционирующим средством в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е и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JP4869058B2 (ja) 電気洗濯機
KR20130018175A (ko) 자화수 공급용 세탁기
KR101285378B1 (ko) 스팀발생기 필터의 재생이 가능한 세탁장치
KR0175850B1 (ko)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11152252A (ja) 洗濯機
KR101294779B1 (ko) 스팀발생기 필터의 재생이 가능한 세탁장치 및 그 운전방법
JP3246507B2 (ja) イオン除去手段及びイオン除去方法
WO2024022338A1 (zh) 滚筒洗衣机
WO2024008035A1 (zh) 洗衣机
JP2003236287A (ja) 洗濯機
WO2024008034A1 (zh) 洗衣机
KR19990011193U (ko) 세탁기의 급수장치
TW202309367A (zh) 洗衣機
KR0175852B1 (ko) 세탁기의 연수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