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716B1 - 사진인화장치 - Google Patents

사진인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716B1
KR0175716B1 KR1019960014468A KR19960014468A KR0175716B1 KR 0175716 B1 KR0175716 B1 KR 0175716B1 KR 1019960014468 A KR1019960014468 A KR 1019960014468A KR 19960014468 A KR19960014468 A KR 19960014468A KR 0175716 B1 KR0175716 B1 KR 0175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exposure
printing apparatus
photosensitive material
nega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2195A (ko
Inventor
기요다끼 요시히로
Original Assignee
니시모또칸이찌
노리쯔고오끼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5169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8618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4977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874624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또칸이찌, 노리쯔고오끼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또칸이찌
Publication of KR960042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2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72Controlling or varying light intensity, spectral composition, or exposure time in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Abstract

노광용 광원, 네가필름의 투과광을 적절배율로 감광재료에 투영하는 광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광용 광원과 상기 네가필름사이에는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를, 광학부재와 감광재료 사이에는 차광용 제2셔터를 가지는 사진인화장치에서, 노광제어용 제1셔터와 제2셔터의 개방완료동작 및 폐색개시동작을 동시에 실행하는 제어수단, 또는 차광용 제2셔터에 있어서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가 60초이상 계속적으로 폐색한 상태인때 폐색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사진인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진인화장치의 노광용 셔터장치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제2도는 사진인화장치의 프린트램프하우스의 차광성을 평가한 결과를 모은 도표.
제3도는 칼라페이퍼의 농도특성곡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표.
제4도는 본 발명의 사진인화장치의 노광용 셔터장치의 개폐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제5도는 종래 사진인화장치의 노광용 셔터장치의 개폐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제6도는 본 발명의 사진인화장치에 구비한 셔터장치의 개폐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제7도는 종래 사진인화장치에 구비한 셔터장치의 개폐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진인화장치의 개략 구성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진인화장치의 콘트롤러의 개략 블록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진인화장치의 노광부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진인화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차트.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진인화장치의 개략구성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진인화장치 콘트롤러의 개략 블럭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진인화장치의 노광부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정보기억부 2 : 노광조건연산부
3 : 노광제어부 4 : 황상정보변환부
5 : 표시화면기억부 6 : 표시용화상정보기억부
7 : 제어부 8 : 모니터
9 : 조작 테이블 10 : 콘트롤러
11 : 제1셔터 12 : 제2셔터
13 : 광원 14 : 미러터널
15 : 렌즈 16 : 반사유리
17 : 렌즈 18 : 회전칼라필터
19 : CCD 이미지센서 20 : 필터
21 : 네가필름 22 : 롤러
23 : 롤러 24 : 모터
25 : 페이퍼 26 : 롤러
27 : 모터 28 : 모터
29 : 페이퍼마스크 30 : 현상처리부
31 : 페이퍼매가진 32 : 노광대
33 : 노광램프 34 : 조광센서
35 : 렌즈코드센서 36 : 조광필터
37 : 컷트필터 38 : 센서
39 : 센서 40 : 센서
41 : 조광컷트필터 42 : 조광컷트필터
43 : 조광컷트필터 44 : 셋업필터
45 : 감광재료종류검지장치 46 : 환경측정장치
47 : 제2셔터폐색시간인정부
본 발명은 사진인화장치의 노광제어용 셔터 및 차광용 셔터를 구비하는 노광용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진인화장치의 셔터장치는 광로상에 설치되어, 폐색 시에는 차광성이 있고 노광시에는 개방되는 것인데 노광시 등 이외에는 완전히 폐색(閉塞)시켜 불필요한 감광을 방지, 정확한 개폐 동작에 의해 감광 재료의 노광시간을 제어하는 것이다. 종래의 사진인화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셔터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본실용공고 소37-17733호 공보 기재의 슬라이드필름 인화편집 장치에서는 노광시간이 광원의 점등과 소등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광원을 노광시간에만 점등 제어하는 전기 타이머의 동작과 감광재료의 화면이송동작을 상호 바꾸어 주는 로터리 스위치와, 인화 편집의 순서를 점등 상태로 나타내는 표시 램프를 구비하여 확실한 인화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감광재료를 충전, 차광하는 암상자에는 투영판으로서도 이용되는 차광용 셔터가 설치되고 있다. 여기에 나타난 일반적인 사진확대기에는 광원으로부터 광로상에 네가필름, 렌즈, 셔터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소48-71629호 공보 기재의 사진복사장치에는 광로를 차단하거나 또는 적당한 광강도를 확보하도록 양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한대의 조리개 날개에 전자석이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 타이머를 작동시키면 전자석 제어회로가 ON상태로 되고 필름투영광이 하프미러를 개재하여 광전변환기로 공급되어진다. 발생한 기전력을 이용해서 전자석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조리개 날개를 적정하고도 고속으로 개폐한다. 한대의 조리개 날개로 이루어지는 조리개를 셔터로서 작용시키기도 하고 다른 셔터를 설치하기도 한다. 본 예에서는, 광원으로부터 광로상에 조리개 셔터, 네가필름, 렌즈가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소52-126224호 공보 기재의 사진인화기에서는 복수의 각종 렌즈를 담지하는 복수의 렌즈 좌판이 광로상과 비광로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 렌즈조립체에 의해 인화 배율에 융통성을 부여해 주고 있다. 그리고 동일 괘도를 상호 독립하여 이동하고, 광로창을 폐쇄하는 한대의 셔터 부재를 구비해서 광로창을 차폐, 개방하는 것에 의해 고정밀도로 고속의 광원시간제어를 가능케 하고 있다. 본예에서는 광원으로부터 광로상에 네가필름, 렌즈, 셔터가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소57-167021호 공보에 기재된 사진확대기의 프린트농도보정장치에서는 광원, 셔터, 네가, 투영렌즈를 구비하는 헤드의 위치를 감광재료의 적재대로부터 광로와 평행하게 설치한 지주의 측면에 형성된 광학적 코드로서 판별하고, 광학적 코드를 수광 소자 등으로 판독하는 것에 의해 헤드위치를 검출하여 셔터를 동작시켜 노출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광원으로부터 광로상에는 피터, 셔터, 확산포커스, 네가, 투영렌즈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소50-62633호 공보 기재의 칼라사진 인화노광자동 제어장치에서는 광원램프부근에 컷트필터 등을 설치하여 구조의 안정을 도모함과 동시에 조광회로(調光回路)에 조도검출기의 네가농도를 보존하는 보지회로를 구비, 보지회로에 기록된 네가농도를 이용하여 컷트필터의 개입에 따른 영향을 받지않고 조도를 일정하게 보지하는 것이다. 본 예에서는 광원램프로부터 광로상에 제1셔터, 컷트필터, 산광포커스, 콘덴서렌즈, 네가필름, 대물렌즈, 제2셔터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셔터는 측광(測光)하기 위해 제2셔터를 폐색한 상태에서 개방된다. 제2셔터는 노광시간만 개방되고 인화지에 조사되는 광량을 정하는 메인 셔터이다. 제1셔터는 측광시나 노광시간을 제외하고는 적시에 폐색시켜두어 광원램프의 열로부터 컷트필터 등을 보호한다.
사진인화장치에는 고감도의 감광재료를 처리하거나 처리능력을 향상시켜셔 장치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다. 탑재하는 셔터장치로서 차광성이 우수하며 개폐동작이 고속, 고정밀하면서도 구조가 간소한 것이 개발되어 있다. 그중에서도 노광제어용 셔터와 차광용 셔터를 조합시킨 셔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본특허공개 평3-172832호 공보에 기재된 사진인화장치의 노광용 셔터장치에서는 광원으로부터 제1셔터, 네가, 광학부재, 제2셔터, 인화지 순으로 광로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셔터는 노광시간만 개방되고, 인화지에 조사되는 광량을 정하는 메인 셔터로서 광원부근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동작이 고속이고 안정되어 있다. 제2셔터는 노광시간 이외는 적시 폐색시켜 인화지를 광원이나 외부로부터의 미광에 의한 흐려짐으로부터 방지한다. 제2셔터는 늦어도 제1셔터의 개방까지는 개방시켜두고, 제1셔터가 폐색하는 것을 기다려 폐색한다.
일본특허공개 평3-172832호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셔터장치는 고객 내지 필름단위의 하나의 오더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노광하기 때문에 차광용 제2셔터에는 하나의 오더 마다 폐쇄동작제어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사진인화장치는 일본실용공고 소37-17733호 공보 기재의 슬리이드필름 인화편집장치에 있는 바와 같이 광량을 안정화하기 위해서 광원램프의 점등으로 노광시간을 제어하는 것도 있으나 노광정밀도가 개선됨에 따라, 일본특허공개 소57-167021호 공보 기재의 사진확대기 프린트농도보정장치 등에 제시되는 것과 같은 셔터장치에 의해 노광시간을 제어하고 있다.
감광재료의 감도가 향상하면, 일본특허공개 소48-71629호 공보 기재의 사진복사장치나 일본특허공개 소52-126224호 공보 기재의 사진인화기에서와 같이 노광제어용 셔터의 배치나 개폐동작속도를 개선하기도하고, 일본특허공개 소50-62633호 공보 기재의 칼라사진인화 노광 자동제어장치에서와 같이 간소한 구조로 차광하기 위한 차광용셔터를 병용하기도 한다.
고감도의 감광재료가 취급되어지고 처리능력의 향상이나 장치코스트의 절감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노광제어용 셔터와 차광용 셔터의 조합시키는 것이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셔터장치로 차광성, 개폐동작속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적당한 형태증 하나라고 생각되어진다.
일본특허공개 소50-62633호 공보 기재의 칼라사진인화 자동제어장치에서는 감광재료 부근에 구비된 셔텨에 의해 노광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감광재료전면을 덮을 필요가 있고, 광원부근에 구비된 셔터에 비해서 대형이기 때문에 개폐동작이 늦다. 대형의 셔터는 개폐동작속도가 크게 되면 폐색 차광하는 동작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일본특허공개 평3-172832호 공보에 기재된 사진인화장치의 차광용셔터장치에서는 메인 셔터가 되는 제1셔터를 광원부근에 구비시켜 노광시간을 제어하고, 감광재료부근에 구비된 차광용 제2셔터에 대해서는 단순히 차광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동작제어를 행하여 노광시간을 침식하지 않도록 고안되어 있다. 광원부근에 있는 노광제어용 셔터는 장치가 안정되어 있고 소형으로도 차광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개폐동작과 동작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고감도의 감광재료에 인화하는 경우에는 엄밀한 차광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능한한 제2셔터를 폐색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광제어용 제1셔터의 개폐마다 제2셔터를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서도 광원부근에 배치된 노광제어용 제1셔터에 비해서 인화지 부근에 배치된 제2셔터가 대형이기 때문에 개방·폐색동작의 시동으로부터 완료까지의 동작에 시간이 걸린다. 한편 노광처리능력의 관점에서 보면, 차광용 제2셔터는 사진인화장치의 가동시에 상시 개방시켜두는 쪽이 바람직하나, 미광 등에 의한 인화지의 흐려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차광성과 노광효율 양자를 고려하여 제1셔터의 동작에 일치시킨 엄밀한 개폐동작제어를 행하고, 하나의 오더마다에는 차광용 제2셔터을 폐색하고 있으나 노광시간의 침식은 면할 수 없었다.
다시말하면 제2셔터의 개폐작동을 완료한 후에 제1셔터를 개방작동하고, 제1셔터의 폐색작동을 완료후에 제2셔터의 폐색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제2셔터의 폐색작동과 개방작동의 간격이 길어져 노광처리사이클을 침식할 우려가 있다. 최근에는 사진값을 낮추는 것이 추진되고 있고, 사진의 소비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대량의 사진을 연속처리하는 것이 많아 처리능력의 향상이 중요한 과제중 하나가 되고 있다.
게다가, 제2셔터의 개폐작동은 제1셔터의 스위치에 의해 제1셔터의 개방작동전과 폐색작동후에 제어되고 있다. 제2셔터의 개폐작동은 제1셔터에 종속되고, 제2셔터를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비(maintenance)시에 불편이 생기는 등의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사진인화장치에서 노광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하고 차광성과 정비성이 개선된 노광제어용 셔터와 차광용 셔터를 구비하는 노광용 셔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진인화장치의 노광용 셔터장치에 있어서, 광원과 네가필름 사이의 광로사에 노광제어용 제1셔터를 설치하고, 네가필름의 투과광을 감광재료에 적당한 배율로 투영하는 광학부재와 감광재료 사이의 광로상에 차광용 제2셔터를 설치하여, 노광제어용 제1셔터와 제2셔터의 개방완료동작 및 폐색개시동작을 동시에 실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노광용 광원, 네가필름의 투과광을 적당한 배율로 감광재료에 투영하는 광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광용 광원과 상기 네가필름 사이에는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를, 광학부재와 감광재료사이에는 차광용 제2셔터를 가지고 있는 사진인화장치에 있어서, 차광용 제2셔터에 대해서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가 소정시간이상 계속적으로 폐색한 상태인때 폐색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은 사진인화장치의 노광용 셔터장치의 제1셔터 및 제2셔터의 개방완료동작 및 폐색개시동작을 동시에 실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진인화장치의 노광용 셔터장치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타이밍차트의 전반(前半)은 제1셔터와 제2셔터의 개방동작을 동시에 완료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차광용 제2셔터에 대해서 개방요구 펄스가 일어나면 제2셔터가 개방동작을 개시한다. 제2셔터는 개방동작의 개시부터 개방동작의 완료까지 도시하는 만큼의 시간을 요한다. 제2셔터가 개방동작을 계속하는 도중에 뒤이어 제1셔터의 개방요구펄스가 일어나면은 제1셔터가 개방동작을 개시하고, 노광시간 개시시에 제1셔터와 제2셔터가 동시에 개방동작을 완료한다.
제1셔터와 제2셔터의 개방동작을 동시에 완료하는 데에는 제1셔터와 제2셔터의 개방동작속도가 같아질때 개방작동을 동시에 제어하면 족하나, 통상 감광재료 부근에 있는 제2셔터는 광원부근에 있는 제1셔터에 비해 대형이고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폐동작속도가 늦기 때문에 제2셔터의 개방동작속도를 고려해서 제1셔터와 제2셔터의 개방작동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타이밍 차트의 후반은 제1셔터와 제2셔터의 폐색동작을 동시에 개시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차광용 제2셔터에 대해서 폐색요구펄스가 일어나는 때와 동시에 노광제어용 제1셔터에 대해서도 폐색요구펄스가 일어나 제1셔터와 제2셔터가 함께 폐색동작을 개시한다. 폐색동작이 빠른 제1셔터가 우선 폐색동작을 완료하고 그후에 제2셔터가 폐색동작을 완료한다. 제1셔터의 폐색동작이 완료하고 감광재료의 이송펄스가 일어나면 노광필의 감광재료의 반송모터가 시동되어 노광대기 상태가 되는 한편 제2셔터가 폐색동작을 행한다.
제1셔터와 제2셔터의 폐색동작을 동시에 실행하는 데에는 제1셔터와 제2셔터의 폐색작동을 동시에 제어하면 족하다. 또한 감광재료의 반송은 제1셔터의 폐색완료에 의해 제어해도 된다.
타이밍차트에 나타나는 셔터는 예를들어 고전압이 필요한 광원의 전압출력특성에 맞추어 전압출력의 상승이나 하강의 시간에 제2셔터만이 개방하는 시간을 충당해도 좋다. 이상, 타이밍차트에 나타난 이외에 제1셔터와 제2셔터의 개방동작 및 폐색동작을 동시에 실행하면 노광처리가 향상한다. 또한 이와같은 제1셔터와 제2셔터의 동작을 동시에 실행하는 복수의 형태를 선택하거나, 교대로 실행해도 처리능력의 효율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 사진인화장치의 노광용 셔터장치의 차광용 제2셔터의 폐색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의 동작시기와 개방한계시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감광재료는 통상의 노광영역에서는 노광량=광강도×노광시간에 따라서 거의 비례적으로 노광량이 증가하면 농도가 증가하고, 계조(gradation)를 얻을 수 있도록 유제(乳劑)가 조합되어 있느나, 저노광 영역에서는 감광하지 않고 고노광 영역에서는 농도변화가 둔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셔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노광처리시간을 침식함이 없이 충분한 차광성을 확보하는 데에는 감광재료가 감광하지 않는 저노광영역을 한계로하여 차광용 제2셔터의 폐색동작을 실행하면 된다.
감광재료가 감광되지 않는 저노광영역의 한계는 감광재료의 감도에 의해 달라지고, 감광재료가 희미해 지게 하는 원이이 되는 광량은 각 사진인화장치의 구조나 설치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그래서 상기의 노광량=광강도×노광시간의 관계식으로부터 감광재료에 의해 달라지는 저노광영역의 한계와 감광재료의 흐려짐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광량에 근거하여 구하여지는 노광시간이 차광용 제2셔터의 개방한계가 된다. 이 노광시간을 소정시간으로 하여 제1셔터가 소정시간 이상 계속적으로 폐색하고, 즉 노광처리가 중단하고 있는 사이에는, 차광용 제2셔터의 폐색동작을 행하여 불필요한 흐려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발명의 사진인화장치에 이용가능한 줌렌즈 [시작(試作)]를 구비하여 부착한 프린트램프하우스의 차광성에 대해서 행한 평가와 그 결과에 대해서 나타낸다.
차광성의 평가방법은 통상 차광성이 요구되는 장치와 부품의 전면부에 일정시간 프라드리프램프(フラッドレフランプ)(300~500W)를 이용해서 일정조도의 빛을 균일하게 조사하는 가운데, V=0.2~0.3의 그레이 노광을 행하여 방치하는 것이다. 광조사 조건은 가동상태로서 15,000룩스×2분간, 비가동상태로서 5,000룩스×12시간하고 있다.
그리고 프린트램프하우스의 차광성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방법에 준하여, 프린트램프하우스를 일정위치에 두고 5,000룩스의 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줌렌즈의 조리개를 개방한 경우와 3·3/4조리개를 설치한 경우, 광원측에 설치한 줌렌즈의 앞 커버를 개방한 경우와 폐색한 경우, 광의 조사시간이 다른 경우에 대해서 차광성을 비교한다.
프린트램프하우스를 테스트기종에 설치하여 V=0.2~0.3의 그레이 노광을 행하고, 종료후 그대로 페이퍼를 방치시킨 상태에서 프린트 램프를 소거하고, 셔터를 전개시킨후에 프라드리프램프를 점등시키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프라드리프램프는 소등하여 페이퍼를 현상처리하고, 페이퍼를 눈으로 확인해서 흐려짐 유무를 조사한다. 더구나, 줌렌즈와 셔터의 사이는 에프터시라(エプトシ-ラ-)로 차광하고, 케미컬에는 FA, 페이퍼에는 QA-5(코니카제 상품명)를 사용했다.
제2도 사진인화장치의 프린트램프하우스의 차광성을 평가한 결과를 정리한 도표를 나타낸다. 줌렌즈 조리개를 개방치(지령치 0)로 하면, 렌즈 앞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광을 2시간 조사한 경우뿐만 아니라, 렌즈 앞 커버를 폐색하고 광을 1분간 조사하기만 해도 흐려짐이 발생한다.
줌렌즈의 조리개를 3·3/4(지령치 15)로 하면, 렌즈 앞 커버를 닫은 상태에서 광을 1시간, 10분, 5분 조사한 경우는 모두 흐려짐이 발생했으나 광을 1분간 조사한 경우에 있어서 렌즈 앞 커버를 닫으면 흐려짐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 확인된다.
이 테스트에 사용되는 줌렌즈는 시작품이기 때문에 세밀한 차광대책이 강구되어 있지 않은 조건에서 차광성 평가가 행하여지고 있다. 간단한 구조상, 냉각용 슬리트와 램프하우스 간격 등으로부터 상당한 빛의 침입이 있다. 그래도 조리개 3·3/4이면 1분간은 흐려짐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노광처리가 60초이상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에 차광대책을 강구하면 충분하다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사진인화장치에 있어서는 차광용 제2셔터의 폐색동작이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의 60초이상 계속적인 폐색상태에 기초하여 행해지도록 하여도 된다.
제3도는 칼라페이퍼의 농도특성곡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표로서 횡축에 노광량(로그), 종축에는 농도(D)를 취한 것이다. 제3도는 칼라페이퍼로서 후지칼라페이퍼 SUPER FA7(상품명)을 사용하고, 3000K 색보정필터를 사용해서 노광한 것을 CP-43FA2(상품명)를 사용해서 처리한 것이다.
감광재료는 일반적으로는 노광량의 변화가 적당하게 형태재현으로 반영되는 범위, 즉 제3도 중에서 특성곡선이 일정 구배를 보이는 장소를 이용해서 화상을 형성한다. 노광량이 과잉인 부분에서는 노광량이 변화가 농도에 반영되지 않고 일정 노광량을 밑도는 노광량이 과소한 범위에서는 빛에 대한 감수성이 극히 낮아 화상이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진인화장치에 있어서, 노광시간 제어용 제1셔터가 60초미만 계속적으로 폐색한 상태에서는 노광량이 일정 노광량을 밑돌아서 흐려짐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생각되어 진다.
구체적으로, 사진인화장치의 감광재료를 판별하여 감도를 검지(檢知)하는 수단으로서 페이퍼 매가진 본체의 외측, 혹은 감광재료 그 자체에 감광재료의 감광특성 등을 요철이나 농도 등으로 기록해두고 그 기록을 기계적, 광학적 혹은 자기적으로 판독하여 감광재료를 판별하는 장치를 사용해도 좋다. 감광재료에 흐려짐을 생기게하는 원인이 되는 광량에 대해서는 사진인화장치의 설치환경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조도계 등을 구비하여 측정하면 된다. 이런 것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시간을 결정하는 수단을 탑재하고, 차광용의 제2셔터에 대해서는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가 소정시간 이상 계속적으로 폐색한 상태인때 폐색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컨트롤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사진인화장치의 노광용 셔터장치는 광원 부근에 구비된 제어용 제1셔터와 감광재료부근에 구비한 제2셔터의 개방완료동작, 폐색개시동작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다. 차광용 제2셔터가 완전히 폐색상태에 있기 때문에 흐려짐을 엄격히 방지하고 동시에 노광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전압을 요하는 광원램프를 구비한 사진인화장치에서는 광원의 출력특성에 부합하여 노광제어용 제1셔터, 차광용 제2셔터의 개방완료동작 내지 폐색개시동작 어느 쪽의 한편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에 의해 노광처리시간의 단축을 기대할 수 있다. 감광재료가 확실하게 차광되는 것으로 부터 특히 초고감도 감광재료의 흐려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 차광용 제2셔터를 가지고 있는 사진인화장치에서, 차광용 제2셔터에 대해서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가 60초내지 소정시간이상 계속적으로 폐색한 상태인때 폐색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감광재료의 감도나 장치의 설치환경에 부합하여 제2셔터의 폐색동작의 제어조건이 되는 소정시간을 결정하고, 제1셔터에 비해 동작속도가 느린 제2셔터에 대해서 이와 같은 폐색동작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차광성을 계속보지하고 노광처리능력의 보지,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연속해서 대량으로 인화를 행하는 사진인화장치의 처리능력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인화장치는 상기 2개의 제어수단을 쌍방 탑재하고 필요에 따라 교체하며, 감광재료나 목적에 부합해서 적절히 이용하는 것에 의해 노광처리시간의 단축과 엄격한 차광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사진인화장치는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 차광용 제2셔터를 가지고 있는 기존의 사진인화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낮은 코스트로 노광처리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한 비한정적인 실시예의 방법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사진인화장치의 노광용 셔터장치의 개폐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제5도는 비교예로서 일본특허공개 평3-172832호의 사진인화장치를 들어, 그 노광용 셔터장치의 개폐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비교예는 본 발명과 같이 광원 부근에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 감광재료부근에 차광용 제2셔터를 구비하고, 제1셔터는 제2셔터에 비해 고속동작이 가능한 것이다.
비교예에서는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와 차광용 제2셔터의 개폐작동이 연동제어된다. 연속해서 노광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예를들어 측광시에 개방된 제1셔터의 폐색이 완료되는 타이밍에서 제2셔터의 개방작동이 제어되고, 제2셔터의 개방이 완료되는 타이밍에서 제1셔터의 개방작동이 제어되며, 제2셔터 보다 늦게 제1셔터의 개방이 완료된다. 노광시간을 경과하면은 제1셔터의 폐색작동이 제어되고 제1셔터의 폐색이 완료하는 타이밍에서 제2셔터의 폐색이 작동되고 제1셔터 보다 늦게 제2셔터의 폐색이 완료한다. 1회의 노광처리에 요하는 시간은 제2셔터의 개방개시부터 폐색완료까지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광시,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와 차광용 제2셔터의 개방완료와 페색개시를 일치시켜, 제1셔터와 제2셔터가 개방하고 있는 시간을 맞추고 있다. 제2셔터의 개방작동이 제어되고, 노광개시 직전에는 제1셔터의 개방작동이 제어되며 제2셔터의 개방완료시에는 제1셔터가 동시에 개방을 완료한다. 노광시간을 경과하면 제1셔터와 제2셔터의 폐색작동이 제어되고, 동작속도가 빠른 제1셔터가 우선 폐색을 완료하고 계속해서 제2셔터가 폐색을 완료한다. 비교예와의 대비에서 알 수 있듯이, A 및 B만큼의 시간동안 노광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노광처리속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와 차광용 제2셔터는 개방완료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2개의 셔터 개방동작 속도를 고려한 엄밀한 개방작동제어가 필요하게 되나, 폐색개시를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폐색작동제어를 동기(同期)시키면 된다. 본 발명에서 사진인화장치의 노광용 셔터장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와 차광용 제2셔터는 개방완료 내지 폐색개시 어느쪽을 일치시켜도 된다.
본 발명의 사진인화장치에 구비된 셔터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사진인화장치에 구비되는 셔터장치의 개폐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한편, 비교예로서 제7도에는 종래 사진인화장치에 구비된 셔터장치의 개폐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챠트가 제시된다.
제7도에 나타나 있듯이, 종래는 고객 내지 필름단위의 1오더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노광하고, 차광용 제2셔터에는 1오더 마다 폐색동작제어가 행하여지고 있다. 차광용 제2셔터는 페이퍼전면을 차폐하는 대형 셔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폐색을 완료한 직후, 곧 개방작동제어를 시동하는 경우에 일정시간을 소비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진인화장치에 구비된 셔터장치는 복수의 오더를 통해서 차광용 제2셔터가 개방한 상태가 되고, 노광처리가 60초 이상 중단시, 즉 인화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가 60초이상 폐색상태인 경우를 검출하여 노광용 제2셔터를 닫는다. 60초이상 폐색상태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60초간의 폐색상태인 시점에서 개방요구의 유무를 확인하면 된다.
노광처리가 계속되고 페이퍼공급이 계속적으로 행하여지고 있으면 어느 정도의 장시간에 걸쳐서 노광용 제2셔터가 개방하고 있어도 흐려짐의 위험은 없다. 또한 차광용 제2셔터는 폐색을 완료한 직후 곧 개방작동제어를 시용하는 경우의 타이밍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진인화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롤상의 페이퍼(25)는 페이퍼매가진(31)에 충전되어있다. 페이퍼(25)는 모터(27)에 의해서 구동되는 롤러(26)에 의해 반송되고 페이퍼마스는 모터(27)에 의해서 구동되는 롤러(26)에 의해 반송되고 페이퍼마스크(29)로 보지되는 노광영역에서 셋트되고 노광이 종료하면 현상처리부(30)로 보내진다. 광원부는 광원(13)의 부근에 조광필터와 컷트필터 등의 필터(20)가 있고, 필터(20)와 미러터널(14) 사이에 노광제어용 제1셔터(11)가 구비되어 있다. 필터(20)와 제1셔터(11)는 콘트롤러(1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광로영역과 비광로영역간을 이동한다.
네가필름(21)은 모터(24)로 구동되는 롤러(22)와 롤러(23)에 의해 반송되어 촬영화면이 광로영역에서 셋트되며, 노광이 종료하면 적절한 화면이 이송된다. 제1셔터(11)와 네가필름(21) 사이 광로에는 미러터널(14)이 있고, 네가필름(21)이 통과하는 광로상에는 반사미러(16)와 조합된 렌즈(15)가 구비되어 있다. 측광시에는 렌즈(15)가 광로로부터 물러나고, 반사미러(16)가 광로상으로 이동한다. 반사미러(16)는 네가필름(21)의 투과광을 렌즈(17), 회전 칼라 필터(18)를 개재하여 CCD 이미지센서(19)로 보낸다. CCD 이미지센서(19)는 수광에 의해 얻은 영상신호 등을 콘트롤러(10)로 제공한다. 회전칼라필터(18)는 분광필터를 구비, 모터(28)에 의해 회전하여 순차 분광필터를 셋트한다. 렌즈(15)와 페이퍼간의 광로상에는 차광용 제2셔터(12)를 구비하고 있고 모터(27)와 제1셔터(11) 등과 똑같이 콘트롤러(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작동한다. 콘트롤러(10)는 또한 노광처리상황과 측광정보, 사진인화장치의 동작상황을 표시하는 모니터(8)를 제어하고 있다. 콘트롤러(10)는 사진인화장치 셔터와 렌즈(15) 및 반사미러(16)로 이루어지는 광학부재, 모터(27), CCD 이미지센서(19) 등의 제어수단을 구비, 조작테이블(9)로부터의 입력이나 제어하에 있는 각 부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이고, 동작을 감시하고, 작동제어를 행하고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진인화장치의 콘트롤러의 개략블록도이다. 콘트롤러(10)는 화상정보기억부(1), 노광조건연산부(2), 화상정보변환부(4), 노광제어부(3), 표시화면기억부(5), 표시용 화상정보기억부(6), 제어부(7)가 주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광에 CCD 이미지센서(19)를 사용하고 있고, 네가필름의 화상신호가 측광데이터로서 화상정보기억부(1)로 보내어진다. 노광조건연산부(2)에서는 화상신호로부터 농도나 색농도 등을 계산해서 노광조건을 산출한다. 얻어진 노광조건은 노광제어부(3), 표시화면기억부(5), 화상정보변환부(4)로 보내어진다. 노광제어부(3)는 노광조건에 맞추어 제1셔터(11), 제2셔터(12)의 개폐작동, 조광필터(36)와 컷트필터(37)의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노광제어부(3)는 제어부(7)와 신호를 주고받는 것외에 화상정보기억부(1), 노광조건연산부(2), 화상정보변환부(4)에도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화상정보교환부(4)는 화상정보기억부(1), 노광조건연산부(2), 제어부(7), 노광제어부(3)로부터 보내어져오는 화상신호를 표시화면으로 출력하는 표시용화상정보로 변환하여 표시용 화상정보기억부(6)로 보낸다. 표시화면기억부(5)는 노광조건연산부(2), 제어부(7)로부터 보내어져 온 정보와 표시용 화상정보기억부(6)로부터 보내어져온 화상정보를 합이터는 모니터(8)로 보내어져 표시화면출력을 얻는다. 제어부(7)는 조작테이블(9)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이고, 각 부에 지령신호를 보내는 것은 물론 페이퍼와 네가필름, 회전칼라필터를 구동하는 모터(24), 모터(27), 모터(28)를 제어하고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진인화장치의 노광부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광원부는 노광 램프(33) 부근의 광로상에 컷트 필터로서 엘로우조광컷트필터(41), 마젠타조광컷트필터(42), 시안조광컷트필터(43)가 설치되고, 조광필터로서는 셋업필터(44)가 설치되어 있다. 조광컷트필터에는 각각의 센서(38), 센서(39), 센서(40)가 구비되어 있다.
게다가, 광로에는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11) 미러터널(14)이 구비되어 있고, 미러터널(14) 부근에는 조광센서(34) 가 비광로상으로 물러나 있다. 제1셔터(11)가 개방시, 미러터널(14)을 통과한 광원광은 네가필름(21)을 투과하고, 측광시에는 반사미러에 의해 측광센서로 나아가고, 노광시는 제2셔터(12)도 개방되어, 페이퍼(25)로 투영된다. 네가필름(21)의 투과광은 렌즈코드센서(35)를 구비한 렌즈(15)에 의해 노광대(32)에 탑재된 페이퍼(25)를 인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컷트필터, 제1셔터에는 펄스모터, 조광필터, 제2셔터에도 펄스모터를 사용하여 구동하고 있으나, 구동정도와 속도에 적당한 구동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진인화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차트이다. 여기에서는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와 차광용 제2셔터를 개방완료를 일치하도록 동작시키고, 차광용 제2셔터를 개방상태로 보지하는 것인데, 동시프린트등, 네가필름의 촬영화면을 연속노광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연속노광에 즈음해서, 인화하는 네가필름의 촬영화면을 네가마스크에서 셋트하고 적어도 차광용 제2셔터가 폐색한 상태에서 페이퍼를 반송하고 노광대에 올려 놓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속노광시에는 제2셔터를 닫은 채 네가필름반송과 페이퍼반송이 동작하는 시간을 이용, 제1셔터 차트의 선두에 있는 것과 같이 제1셔터를 단시간 개방하고 정기적으로 램프끊김을 조사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사진인화장치는 적시에 조광컷트필터를 광로로부터 물러나게 하여 홈에 수납해 두기때문에 홈내에 있는 조광컷트 필터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조광컷트필터홈센서의 차트에 나타나는 것같이, 노광을 행하기전에 홈에 있는 조광컷트필터를 데드히트위치로 이동시키면, 센서가 OFF 상태로 된다. 센서가 조광컷트필터를 검출하지 않게되면 이와동시에 조광컷트필터의 차트에 있는 것과 같이 3색의 조광컷트필터가 데드히트위치로 이동하고 게다가 노광시에는 광로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의 네가필름이송은 화면이송속도가 156ms이기 때문에 조광컷트필터를 홈 또는 광로로부터 데드히트위치로 이동하는 시간도 화면이송시간 내로 하여 동작시간의 낭비를 생략하여 효율화를 도모한다.
페이퍼이송과 동시에 네가필름이송이 정지하면 제2셔터의 개방이 개시된다. 네가필름이송의 정지때부터 타이밍을 측정해서 네가필름누름이 동작하여 제2셔터의 개방동작중에 네가필름누름의 동작개시로부터 타이밍을 두면 제1셔터의 개방이 개시된다.
제1셔터는 개방동작을 개시한 때부터 20ms만에 개방이 완료하고 노광시간 200ms 개방상태를 보지한다. 제1셔터가 개방중에는 조광컷트필터가 순차적으로 광로로 이동하고 노광시간종료와 동시에 제1셔터의 폐색동작이 개시한다.
제1셔터의 폐색동작이 완료하면 타이밍을 두고 3색의 조광컷트필터가 데드히트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페이퍼반송의 동작과 네가필름 누름의 제하(除荷)가 행하여지고 다시 타이밍을 두고 네가필름이송이 동작한다.
이상과 같은 동작을 반복해서 연속노광이 행하여지거나 페이퍼이송의 차트후반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페이퍼에 컷트마크편치를 행하는 경우에는 페이퍼이송을 일시정지하고 일정 타이밍을 두고 이송정지중의 페이퍼에 컷트마크펀치를 행하며, 다시 타이밍을 두어 페이퍼이송을 재개한다.
네가필름의 촬영화면을 임의로 지정해서 노광하는 경우와 연속 노광시에는 제2셔터를 폐색하고 차광해서 페이퍼를 보호하고, 램프의 점검을 행한다. 도면 중에 화살표로 표시한 셔터의 개폐, 네가필름의 점검을 행한다. 도면 중에 화살표로 표시한 셔터의 개폐, 네가필름의 반송 및 누름, 페이퍼반송, 조광컷트필터와 이동 등의 각 부 동작간의 순간적인 타이밍을 정확히 제어하면 원활하고 신속한 인화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진인화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롤상의 페이퍼(25)는 페이퍼매가진(31)에 충전되어 있다. 페이퍼(25)는 모터(27)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26)에 의해 반송되고, 페이퍼마스크(29)로 보지되는 노광영역에서 셋트되어 노광이 완료하면 현상처리부(30)로 보내진다. 광원부는 광원(13)부근에 조광필터와 컷트필터등의 필터(20)가 있고, 필터(20)와 미러터널(14) 사이에는 노광제어용 제1셔터(11)가 구비되어 있다. 필터(20)와 제1셔터(11)의 콘트롤러(10)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 광로영역과 비광로영역간을 이동한다.
네가필름(21)은 모터(24)로 구동되는 롤러(22)와 롤러(23)에 의해 반송된다. 제1셔터(11)과 네가필름(21) 사이의 광로에는 미러터널(14)이 있고 네가필름(21)을 통과한 광로상에는 반사미러(16)와 조합한 렌즈(15)를 구비하고 있다. 측광시에는 렌즈(15)가 광로로부터 물러나고, 반사미러(16)가 광로상으로 이동한다. 반사미러(16)는 네가필름(21)의 투과광을 렌즈(17), 회전컷트필터(18)를 개재하여 CCD 이미지센서(19)로 보낸다. CCD 이미지센서(19)는 수광에 의해 얻은 화상신호 등을 콘트롤러(10)에 제공한다. 회전컷트필터(18)는 분광필터를 구비, 모터(28)에 의해 회전되어 순차 분광필터를 셋트한다.
렌즈(15)와 페이퍼간의 광로상에는 차광용 제2셔터(12)를 구비하고 있고, 모터(27)과 제1셔터(11) 등과 동일한 양태로 콘트롤러(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작동한다. 콘트롤러(10)는 또한 노광처리상황과 측광정보, 사진인화장치의 작동상황을 표시하는 모니터(8)를 제어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사진인화장치에서는 콘트롤러(10)가 제1셔터(11)의 동작을 감시하고, 소정시간 이상 계속적으로 폐색상태에 있는 때에는 제2셔터(12)에 폐색작동제어를 행한다. 페이퍼매가진(31)의 내부 또는 외측에는 감광재료종류검지장치(45)가 구비되어 있고, 사진인화장치에는 예를들어 조도계등의 환경측정장치(46)가 구비되어 있다. 소정시간은 60초로 고정해도 되나, 감광재료종류검지장치(45)와 환경측정장치(46)에서 얻은 정보는 콘트롤러(10)로 보내어져 제2셔터(12)의 폐색작동 제어를 행하는 시기를 예측하는 소정시간을 결정하여, 감광재료의 특성과 장치의 설치환경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트롤러(10)는 그외 사진인화장치의 셔터와 렌즈(15) 및 반사미러(16)로 구성되는 광학부재, 모터(27), CCD 이미지센서(19)등의 제어수단을 구비, 조작테이블(9)로부터의 입력과 제어하에 있는 각부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이고, 동작을 감시하고, 작동제어를 행한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진인화장치의 콘트롤러의 개략블록도이다. 콘트롤러(10)는 화상정보기억부(1), 노광조건연산부(2), 화상정보변환부(4), 노광제어부(3), 표시화면기억부(5), 표시용화상정보기억부(6), 제어부(7) 등의 실시예 1과 공통 블록에 제2셔터폐색(19)를 사용하고 있고, 네가필름의 화상신호가 측광데이터로서 화상정보기억부(1)로 보내어진다. 노광조건연산부(2)에서는 화상신호로부터 농도와 색농도등을 계산해서 노광조건을 산출한다.
얻어진 노광조건은 노광제어부(3), 표시화면기억부(5), 화상정보변환부(4)로 보내지고, 노광제어부(3)는 노광조건에 따라 제1셔터(11), 제2셔터(12)의 개폐작동, 조광필터(36)과 컷트필터(37)의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노광제어부(3)는 제1셔터(11)가 60초이상 계속적으로 폐색상태에 있는 때에는 제2셔터(12)를 폐색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외에 제어부(7)와 신호를 주고받거나, 화상정보기억부(1), 노광조건연산부(2), 화상정보변환부(4)에도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2셔터폐색시간인정부(47)는 감광재료종류검지장치(45), 환경측정장치(46)로부터 보내어져온 정보에 기초하여, 제2셔터의 폐색제어 동작조건을 결정해서 노광제어부(3)로 보내고 있다. 감도와 장치설치환경으로부터 감광되지 않는 한계의 노광시간을 구해 차광용 제2셔터의 개방한계가 되는 소정시간으로 한다. 제1셔터가 소정시간이상 계속적으로 폐색하고, 즉, 노광처리가 중단되고 있는 사이에는 노광제어부(3)가 차광용 제2셔터의 폐색동작을 행하여 무용한 흐려짐을 방지한다.
화상정보변환부(4)는 화상정보기억부(1), 노광조건연산부(2), 제어부(7), 노광제어부(3)로부터 보내어져오는 화상신호를 표시화면에 출력하는 표시용 화상정보로 변환해서 표시용 화상정보기억부(6)로 보낸다. 표시화면기억부(5)는 노광조건연산부(2), 제어부(7)로부터 보내온 정보와, 표시용화상정보기억부(6)로부터 보내온 화상정보를 합하여 표시화면 데이터로서 보지한다. 표시화면기억부(5)의 표시화면 데이터는 모니터(8)로 보내져 표시화면을 얻는다. 제어부(7)는 조작테이블(8)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이고, 각 부에 지령신호를 보내는 것은 물론 페이퍼가 네가필름, 회전컬러필터를 구동하는 모터(24), 모터(27), 모터(28)를 제어하고 있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진인화장치의 노광부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광원부는 노광램프(33) 부근의 광로상에 컷트필터로서 엘로우조광컷트필터(41), 마젠타조광컷트필터(42), 시안조광컷트필터(43)가 설치되고, 조광필터로서 셋업필터(44)가 설치되어 있다. 조광컷트필터에는 여러가지 센서(38), 센서(39), 센서(40)가 구비되어 있다.
게다가, 광로에는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11), 미러터널(14)이 구비되고, 미러터널(14) 부근에는 조광센서(34)가 비광로상으로 물러나 있다. 제1셔터(11)의 개방시, 미러터널(14)을 통과한 광원광은 네가필름(21)을 투과하고 측광시에는 반사미러에 의해 조광센서(34)로 나아가고, 노광시는 제2셔터(12)도 개방되어, 페이퍼(25)로 투영된다. 네가필름(21)의 투과광은 렌즈코드센서(35)를 구비한 렌즈(15)에 의해 노광대(32)에 올려진 페이퍼(25)에 인화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컷트필터, 제1셔터에는 펄스모터, 조광필터, 제2셔터에도 펄스모터를 사용하여 구동하고 있으나 구동정도와 속도에 적합한 구동수단을 사용한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사진인화장치는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와 차광용 제2셔터의 개방폐색작동제어가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제2셔터는 적시에 개방, 폐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광용 제2셔터에 대해서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가 60초 내지 소정시간이상 계속적으로 폐색한 상태인 때에 폐색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에만 한하지 않고,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제어수단과 적절히 바꾸거나 혹은 고감도의 페이퍼를 사용하는 경우등에서는 제어수단을 변경하여 제1셔터와 제2셔터의 개방완료와 폐색시간을 일치시켜 엄격하게 차광해도 된다.

Claims (10)

  1. 노광용광원, 네가필름의 투과광을 적절한 배율로 감광재료에 투영하는 광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광용광원과 상기 네가필름 사이에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를, 광학부재와 감광재료 사이에 차광용 제2셔터를 가지고 있는 사진인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셔터와 제2셔터의 개방완료동작 및 폐색개시동작을 동시에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
  2. 노광용광원, 네가필름의 투과광을 적절배율로 감광재료에 투영하는 광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광용광원과 상기 네가필름 사이에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를, 광학부재와 감광재료 사이에 차광용 제2셔터를 가지는 사진인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셔터는 상기 제1셔터가 소정시간 이상 계속적으로 폐색한 상태인 때에 폐색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셔터는 상기 제1셔터가 소정시간으로서 60초이상 계속적으로 폐색한 상태인 때에 폐색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
  4. 노광용광원, 네가필름의 투과광을 적절배율로 감광재료에 투영하는 광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광용광원과 상기 네가필름 사이에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를, 광학부재와 감광재료 사이에 차광용 제2셔터를 가지는 사진인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셔터와 상기 제2셔터의 개방완료동작 및 폐색개시동작을 동시에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셔터는 상기 제1셔터가 소정시간 이상 계속적으로 폐색한 상태인 때에 폐색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셔터는 상기 제1셔터가 소정시간으로서 60초 이상 계속적으로 폐색한 상태인때에 폐색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
  6. 노광용광원, 네가필름의 투과광을 적절한 배율로 감광재료에 투영하는 광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광용광원과 상기 네가필름 사이에는 노광시간제어용 제1셔터를, 광학부재와 감광재료 사이에는 차광용 제2셔터를 가지는 사진인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셔터는 상기 제1셔터가 소정시간 이상 계속적으로 폐색된 상태인 때에 폐색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소정시간을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이 사진인화장치의 설치환경측정수단, 해당 측정수단에 의해 얻어진 측정치로부터 상기 소정시간을 결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이 조도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이 상기 감광재료의 종류를 검지하는 수단과 당해 검지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감광재료의 종별로부터 상기 소정시간을 결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이 사진인화장치의 설치환경측정수단, 상기 감광재료의 종류를 검지하는 수단, 당해 측정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측정치 및 해당 검지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감광재료의 종별로부터 상기 소정시간을 결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
KR1019960014468A 1995-05-22 1996-05-03 사진인화장치 KR0175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516995A JP2861865B2 (ja) 1995-05-22 1995-05-22 写真焼付装置
JP7-145169 1995-05-22
JP34977295A JP2874624B2 (ja) 1995-12-21 1995-12-21 写真焼付装置
JP7-349772 1995-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195A KR960042195A (ko) 1996-12-21
KR0175716B1 true KR0175716B1 (ko) 1999-05-15

Family

ID=2647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468A KR0175716B1 (ko) 1995-05-22 1996-05-03 사진인화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67951A (ko)
KR (1) KR0175716B1 (ko)
CN (1) CN1086032C (ko)
DE (1) DE196206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42114U (en) * 1997-08-01 1998-10-01 Mustek Systems Inc A multiple resolution optic system (2)
CN116297378B (zh) * 2023-05-24 2023-09-15 科美诊断技术股份有限公司 光检测测量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0523A (en) * 1993-03-12 1995-07-04 Noritsu Koki Co., Ltd. Image printer
DE69430880T2 (de) * 1993-03-18 2003-02-27 Noritsu Koki Co Ltd Bilddruc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67951A (en) 1998-06-16
CN1086032C (zh) 2002-06-05
KR960042195A (ko) 1996-12-21
DE19620678A1 (de) 1996-11-28
CN1165319A (zh) 1997-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1459A2 (en) Sheet supplying device having control unit for sheet supplying operation
KR950008343B1 (ko) 카메라 노출범위 이탈 표시를 필름상에 자성적으로 기록하는 장치
KR0175716B1 (ko) 사진인화장치
JP2861865B2 (ja) 写真焼付装置
JP2874624B2 (ja) 写真焼付装置
JP2885110B2 (ja) 写真露光装置
US4360579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ogging of intermediate film in microfiche recording systems
US5126784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4109754U (ja) リニアイメージセンサ用光源ユニツト
JP2870631B2 (ja) 写真焼付装置
JP2579160Y2 (ja) カラー写真焼付機におけるスキャナー測光装置
JPS6188247A (ja) 写真焼付装置
JPS61174539A (ja) 写真焼付装置
JPH0789192B2 (ja) カメラ
JPS62203144A (ja) デ−タ写し込みカメラ
JPS6239834A (ja) 情報記録装置
JPH0572572B2 (ko)
JPH01235951A (ja) 画像形成装置
JPH01191129A (ja) 画像形成装置
JPS62118334A (ja) 情報記録装置
JPH04340948A (ja) 画像形成装置
JPH04199140A (ja) インスタント写真式複写装置
JPH046532A (ja) データ写し込み機能付カメラ
JPH01243043A (ja) 結像形密着形兼用の複写装置における結像レンズの位置決め機構
JPH049833A (ja) カメラデータ写し込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