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666B1 -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666B1
KR0174666B1 KR1019960018013A KR19960018013A KR0174666B1 KR 0174666 B1 KR0174666 B1 KR 0174666B1 KR 1019960018013 A KR1019960018013 A KR 1019960018013A KR 19960018013 A KR19960018013 A KR 19960018013A KR 0174666 B1 KR0174666 B1 KR 0174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 paper
developing voltage
adjusting
developing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6123A (ko
Inventor
고창경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18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666B1/ko
Priority to JP9134908A priority patent/JPH1055096A/ja
Priority to US08/864,272 priority patent/US5845171A/en
Publication of KR970076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6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6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potential of the developing electro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38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thickness or rigid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evelop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현상성이 용지의 두께에 따라 저하되고, 전사성이 전사환경에 따라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사용자가 두꺼운 용지를 선택하면, 이에 따라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세트하고,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검색하여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가 세트되었으면, 상기 두꺼운 용지 상에 화상형성시 적절한 토너량에 대응하는 현상전압으로, 현상전압을 조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두꺼운 용지를 선택하면, 이에 따라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세트하고,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검색하여 세트되었으면, 전사환경을 검색하여 전사전압을 검색하고, 상기 전사전압에 대응한 현상전압으로, 현상전압을 조정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
제1도는 통상적인 전자사진 현상방식의 현상과정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메카니즘 구조도이다.
제2도는 통상적인 전자사진 현상방식의 전사과정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메카니즘 구조도이다.
제3도는 통상적인 레이저 빔 프린터의 블럭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의 흐름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의 흐름도이다.
제6도는 현상전압과 전사전압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광드럼 12 : 슬리브
14 : 자기롤러 16 : 전원
18 : 전사기 20 : 비디오 콘트롤러
22 : 컴퓨터 인터페이스 24 : 비디오 제어부
26 : 엔진 인터페이스 28 : OPE
30 : 프린트 엔진부 32 : 비디오 인터페이스
34 : 엔진 제어부 36 : I/O 인터페이스
38 : 센서회로 40 : 기구구동부
42 : 전자시진 현상부
본 발명은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특히 현상전압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빔 프린터 복사기 일반용지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에서 채용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의 프로세스는 통상적으로 대전⇒노광⇒현상⇒전사⇒정착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1도는 이러한 과정들 중 현상과정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메카니즘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현상은 노광에 의해 감광드럼(10)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에 의해서 가시상으로 바꾸는 과정이다. 제1도에서는 자기롤러(14)와 슬리브(12)로 구성된 부분이 현상기이다. 상기 자기롤러(14)와 슬리브(1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고속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토너는 슬리브(12)상에 마찰 대전됨으로서 (-)극성을 띠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현상기에 제공되는 전원(16)의 전압을 현상전압이라 한다. 이때 상기 전원(16)은 가변전원이다. 상기 현상전압과 감광드럼(10)상의 전압차에 의해서 토너가 감광드럼(10)상의 정전잠상의 노광영역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현상전압에 의해서 감광드럼(10)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이 결정되며, 그에 따라 인쇄화상의 농도가 결정된다.
상기와 같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용지를 기준으로 상기 현상전압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일반용지가 아닌 두꺼운 용지나 봉투 등에 인쇄를 수행할 때는 화질이 저하된다. 또는 화상의 농도가 저하되거나, 고스트(ghost) 이미지가 발생하였었다.
한편 저온저습시에는 전사롤러의 저항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전사성이 현저히 떨어짐으로써 고스트 이미지가 더욱 심하게 나타났다. 상기 고스트 이미지를 없애기 위하여 종래에는 전사전압을 상승시켜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전사전압을 상승시키는 데에도 한계가 있으므로 전사성의 저하를 완전히 방지하기 곤란하였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두꺼운 용지를 현상할 때 현상성이 떨어지고, 저온저습시에는 전사성도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전압을 용지의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는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온저습시에도 토너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첫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두꺼운 용지를 선택하면, 이에 따라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세트하고,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검색하여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가 세트되었으면, 상기 두꺼운 용지 상에 화상형성시 현상전압을 적절한 토너량에 대응하는 현상 전압으로 조정한다.
상술한 두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두꺼운 용지를 선택하면, 이에 따라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세트하고,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검색하여 세트되었으면, 전사환경을 검색하여 전사전압을 검색하고, 상기 전사전압에 대응한 현상전압으로, 현상전압을 조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하나인 레이저 빔 프린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상기 레이저 빔 프린터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 제3도이다. 상기 레이저 빔 프린터는 크게 비디오 콘트롤러(20)와 프린트 엔진부(30)와, OPE(28)로 구성된다. 비디오 콘트롤러(20)는 컴퓨터 인터페이스(22)와, 비디오 제어부(24)와, 엔진 인터페이스(26)로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22)는 호스트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와 비디오 제어부(24)사이에 연결되어 호스트 컴퓨터와 비디오 제어부(24)간의 송수신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비디오 제어부(24)는 제어 프로그램을 구비한 롬(ROM)과 각종 데이타를 임시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또한 비디오 제어부(24)는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수신되는 인쇄데이타를 프린트 엔진부(30)가 처리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타로 변환하여 프린트 엔진부(30)로 전송한다. 엔진 인터페이스(26)는 상기 비디오 제어부(24)와 프린트 엔진부(34)간의 입출력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한편 OPE(Operating Panel Equipment)(28)는 비디오 제어부(24)에 의해 제어되며,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과, 레이저 빔 프린터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OPE(28)는 두꺼운 용지의 인쇄를 설정하기 위한 키를 구비한다. 또한 프린트 엔진부(30)는 비디오 인터페이스(32)와 엔진 제어부(34)와 I/O(Input/Output)인터페이스(36)와 센서회로(38)와 기구구동부(40)와 전자사진 현상부(42)로 구성되며 비디오 콘트롤러(20)에 연결된다. 비디오 인터페이스(32)는 비디오 콘트롤러(20)와 엔진 제어부(34)간 입, 출력 신호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엔진 제어부(34)는 비디오 콘트롤러(20)의 제어에 따라 기 구구동부(40)와 전자사진 현상부(42)를 제어하며 비디오 콘트롤러(2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데이타에 따른 화상을 용지에 인쇄한다. 또한 엔진 제어부(34)는 센서회로(38)를 통해 프린트 엔진부(30)의 각 부분의 동작상태를 감지한다. I/O인터페이스(36)는 엔진 제어부(34)와 센서회로(38), 기구구동부(40), 전자사진 현상부(42)사이에 연결되어 엔진 제어부(34)의 입출력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센서회로(38)는 프린트 엔진부(30)의 각부분의 동작상태, 용지의 급지 및 이송상태, 현상제량 등을 감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들을 구동하며 각 센서들의 감지신호를 엔진 제어부(34)에 제공한다. 기구구동부(40)는 엔진 제어부(34)의 제어에 따라 용지의 급지 및 이송과 인쇄를 위한 각종 기구를 구동하고, 전자사진 현상부(42)는 엔진 제어부(34)의 제어하에 이미지데이타에 따른 화상을 전자사진 현상방식에 의해 용지에 인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레이저 빔 프린터에 있어서 현상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의 흐름도를 제4도에 도시하였다. 레이저 빔 프린터의 전원이 인가되면 비디오 제어부(24)는 초기화를 수행하고, 대기상태에 들어간다. 상기 대기상태에서 사용자는 인쇄를 두꺼운 용지에 인쇄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OPE(28)를 사용하여 두꺼운 용지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OPE(28)의 키를 키입력함으로서 사용자가 두꺼운 용지를 설정하면 상기 키입력에 따른 데이타는 비디오 제어부(24)로 전송된다. 이때 비디오 제어부(24)는 상기 키 입력에 따른 데이타를 입력받아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세트한다. 이때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전원 온 리세트시에 리세트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키를 한번 더 입력할 때, 상기 키입력에 따른 데이타를 비디오 제어부(24)가 수신하여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리세트한다.
한편 상기 대기상태에서 호스트컴퓨터로부터 인쇄명령이 전송되면 비디오 제어부(24)는 (44)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4)단계에서 비디오 제어부(24)는 인쇄명령을 수신하고, 인쇄데이타를 이미지 데이타로 변화한다. 상기 데이타의 변환이 종료되면 비디오 제어부(24)는 (46)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6)단계에서 비디오 제어부(24)는 용지가 카세트로부터 급지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비디오 제어부(24)는 상기 카세트로부터 용지가 급지되면 (48)단계를 수행하고, 카세트로부터 급지되지 않으면 (50)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카세트로부터 용지가 급지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급지센서를 사용한다. 이때 상술하였듯이 카세트급지를 검색하는 것은 이미 통상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50)단계에서 비디오 제어부(24)는 두꺼운 용지설정이 되었는지를 검색한다. 이때의 두꺼운 용지설정의 검색은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의 검색으로 수행함으로서 가능하다. 즉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가 세트되었으면 비디오 제어부(24)는 (52)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았을 경우에는 (48)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2)단계에서 비디오 제어부(24)는 현상전압을 V2로 설정한다. 상기 V2는 미리 설정된 두꺼운 용지에 적절한 현상전압이다. 이때 상기 현상전압의 설정은 제1도에 보인 가변전원인 전원(16)을 크기를 가변함으로서 가능하다. 상기 현상전압의 설정이 종료되면 비디오 제어부(24)는 (54)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4)단계에서 비디오 제어부(24)는 엔진 제어부(34)에 상기 이미지 데이타를 전송한다. 상기 이미지 데이타의 전송이 종료되면 엔진 제어부(34)는 상기 이미지데이타에 따른 화상을 인쇄한다.
한편 상기 상기 (48)단계에서 비디오 제어부(24)는 현상전압을 V1로 설정한다. 이때 V1은 보통의 인쇄용 용지에 적절한 현상전압이다. 상기 현상전압의 설정이 종료되면 비디오 제어부(24)는 상기 (54)단계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두꺼운 용지의 인쇄를 설정하면 현상전압을 두꺼운 용지에 적절한 전압으로 조정하므로 현상성을 높여 화질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레이저 빔 프린터에 있어서 현상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의 흐름도를 제5도에 도시하였다.
레이저 빔 프린터의 전원이 인가되면 비디오 제어부(24)는 초기화를 수행하고, 대기상태에 들어간다. 상기 대기상태에서 사용자는 인쇄를 두꺼운 용지에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OPE(28)를 사용하여 두꺼운 용지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두꺼운 용지를 설정하기 위하여 키입력을 수행하면 상기 키입력에 따른 데이타는 비디오 제어부(24)는 전송된다. 이때 비디오 제어부(24)는 상기 데이타를 수신하여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세트한다. 한편 상기 두꺼운 용지플레그는 전원 온 리세트시에 리세트되고, 사용자가 상기 키를 한번 더 키 입력할 때 리세트된다.
상기 대기상태에서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인쇄명령이 전송되면 비디오 제어부(24)는 (56)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6)단계에서 비디오 제어부(24)는 인쇄명령을 수신하고, 인쇄데이타를 이미지 데이타로 변화한다. 상기 데이타의 변환이 종료되면 비디오 제어부(24)는 (58)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8)단계에서 비디오 제어부(24)는 용지가 카세트로부터 급지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비디오 제어부(24)는 상기 카세트로부터 용지가 급지되면 (60)단계를 수행하고 카세트로부터 급지되지 않으면 (6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62)단계에서 비디오 제어부(24)는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검색한다. 이때 두꺼운 용지 플레그가 세트되었으면 비디오 제어부(24)는 (64)단계를 수행하고, 두꺼운 용지 플레그가 리세트되었을 경우에는 (6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64)단계에서 비디오 제어부(24)는 전사환경을 검색한다. 상기 전사환경의 검색은 온도와 습도에 따른 전사롤러의 저항치를 검색함으로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저온저습에 따라 상기 저항치가 커지고, 고온다습에 따라 저항치가 줄어든다.
이때 상기 전사환경의 검색은 이미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사환경의 검색이 종료되면 비디오 제어부(24)는 (66)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66)단계에서 비디오 제어부(24)는 현상전압을 Vt로 설정한다. 상기 Vt는 상기 전사환경 검색시에 검색된 전사롤러의 저항치에 따른 전사전압과 현상전압과의 관계로서 정해진다. 이때 상기 전사전압에 대응하는 현상전압은 미리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에 따라 비디오 제어부(24)는 상기 전사전압을 검색한 후에 상기 전사전압에 대응하는 현상전압을 리드한다. 상기 리드한 현상전압으로 현상 전압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전사전압과 Vt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 제6도이다. 상기 제6도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전사전압과 현상전압은 비례한다.
상기 현상전압의 설정이 종료되면 비디오 제어부(24)는 (68)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68)단계에서 비디오 제어부(24)는 엔진 제어부(34)에 인쇄명령을 전송한다. 이때 상기 엔진 제어부(34)는 상기 인쇄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데이타에 따른 화상을 인쇄한다.
한편 상기 상기 (60)단계에서 비디오 제어부(24)는 현상전압을 V1로 설정한다. 이때 V1은 보통의 인쇄용 용지에 적절한 현상전압이다. 상기 현상전압의 설정이 종료되면 비디오 제어부(24)는 상기 (68)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은 전사환경에 따른 전사전압에 대응하여 현상전압을 조정하므로, 저온다습으로 전사전압이 강하되면 현상전압을 강하하여 토너량을 줄임으로서 전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꺼운 용지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설정하면, 상기 설정에 대응하여 현상전압을 가변하여 현상하여 현상성을 높여 화상의 질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저온저습시에 토너량을 적절히 조정하여, 저온저습으로 전사성이 떨어져도 화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두꺼운 용지를 선택함으로서 발생되는 키입력에 따라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세트하는 두꺼운 용지플레그 세트단계와,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검색하는 두꺼운 용지플레그 검색단계와,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가 세트되었으면, 상기 두꺼운 용지상에 화상형성시 적절한 토너량에 대응하는 현상전압으로, 현상전압을 조정하는 두꺼운 용지 현상전압 조정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 장치의 현상전압 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이,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가 세트되지 않았으면, 보통의 용지상에 화상형성시 적절한 토너량에 대응하는 현상전압으로, 현상전압을 조정하는 보통용지 현상전압 조정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 장치의 현상전압 조정 방법.
  3.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두꺼운 용지를 선택함으로서 발생되는 키입력에 따라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세트하는 두꺼운 용지플레그 세트단계와, 용지가 자동급지되는지, 수동급지되는지를 검색하는 급지검색단계와,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검색하는 두꺼운 용지플레그 검색단계와,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가 세트되었고, 용지가 수동급지되면, 상기 두꺼운 용지상에 화상형성시 적절한 토너량에 대응하는 현상전압으로, 현상전압을 조정하는 두꺼운 용지 현상전압 조정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이,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가 세트되지 않았고, 용지가 자동급지되면, 보통의 용지상에 화상형성시 적절한 토너량에 대응하는 현상전압으로, 현상전압을 조정하는 보통용지 현상전압 조정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
  5.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 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두꺼운 용지를 선택함으로서 발생되는 키입력에 따라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세트하는 두꺼운 용지플레그 세트단계와,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검색하는 두꺼운 용지플레그 검색단계와,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가 세트되었으면, 전사환경을 검색하여 전사전압을 검색하는 전사전압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된 전사전압에 대응한 현상전압으로, 현상전압을 조정하는 현상전압 조정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이, 상기 두꺼운 용지플레그 검색단계에서 두꺼운 용지 플레그가 세트되지 않았을 경우에, 보통의 용지 상에 화상형성시 적절한 토너량에 대응하는 현상전압으로, 현상전압을 조정하는 보통용지 현상전압 조정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 방법.
  7.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두꺼운 용지를 선택함으로서 발생되는 키입력에 따라 두꺼운 용지 폰레그를 세트하는 두꺼운 용지플레그 세트단계와, 용지가 자동급지되는지, 수동급지되는지를 검색하는 급지검색단계와,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를 검색하는 두꺼운 용지플레그 검색단계와, 상기 두꺼운 용지 플레그가 세트되었고, 용지가 수동급지되면, 전사 환경을 검색하여 전사전압을 검색하는 전사전압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된 전사전압에 대응한 현상전압으로, 현상전압을 조정하는 현상전압 조정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이, 상기 두꺼운 용지플레그 검색단계에서 두꺼운 용지 플레그가 세트되지 않았을 경우에, 용지가 자동급지될 경우에, 보통의 용지상에 화상형성시 적절한 토너량에 대응하는 현상전압으로, 현상전압을 조정하는 보통용지 현상전압 조정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 방법.
KR1019960018013A 1996-05-27 1996-05-27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 KR0174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8013A KR0174666B1 (ko) 1996-05-27 1996-05-27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
JP9134908A JPH1055096A (ja) 1996-05-27 1997-05-26 電子写真現像方式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の現像電圧調整方法
US08/864,272 US5845171A (en) 1996-05-27 1997-05-27 Technique for controlling developing voltage of image form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8013A KR0174666B1 (ko) 1996-05-27 1996-05-27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6123A KR970076123A (ko) 1997-12-10
KR0174666B1 true KR0174666B1 (ko) 1999-04-01

Family

ID=1945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8013A KR0174666B1 (ko) 1996-05-27 1996-05-27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45171A (ko)
JP (1) JPH1055096A (ko)
KR (1) KR01746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3188A (ja) * 1997-11-14 1999-05-2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1228756A (ja) * 2000-02-18 2001-08-2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7369269B2 (en) * 2000-11-29 2008-05-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toner density mode/print media default link
JP2007163771A (ja) * 2005-12-13 2007-06-28 Kyocera Mita Corp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6519A (en) * 1974-06-03 1975-12-16 Xerox Corp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machine
JPS5559481A (en) * 1978-10-27 1980-05-02 Sharp Corp Fixing temperature control unit
JPS6019177A (ja) * 1983-07-13 1985-01-31 Toshiba Corp 画像濃度調整装置
US5053814A (en) * 1986-12-24 1991-10-01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5034772A (en) * 1987-09-25 1991-07-23 Canon Kabushiki Kaisha Humidity measure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H0199075A (ja) * 1987-10-12 1989-04-17 Tokyo Electric Co Ltd 乾式電子写真装置
JPH01179172A (ja) * 1988-01-11 1989-07-17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方法
US5276483A (en) * 1988-11-08 1994-01-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an attraction charger controlled by one or more ambient conditions
JP2890487B2 (ja) * 1989-06-23 1999-05-17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制御装置
JPH0387859A (ja) * 1989-08-31 1991-04-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898661B2 (ja) * 1989-08-31 1999-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434563A (ja) * 1990-05-31 1992-02-05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442186A (ja) * 1990-06-08 1992-02-12 Toshiba Corp 定着装置
JPH0466970A (ja) * 1990-07-05 1992-03-03 Ricoh Co Ltd カラープリンタ
JP3005812B2 (ja) * 1990-11-23 2000-02-07 コニカ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5142879A (ja) * 1991-11-21 1993-06-11 Oki Electric Ind Co Ltd 電子写真記録装置
US5465135A (en) * 1993-03-15 1995-11-07 Konica Corporation Charger control in a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apparatus
US5512992A (en) * 1993-05-31 1996-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sing temperature
JPH0736233A (ja) * 1993-07-16 1995-02-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772689A (ja) * 1993-09-01 1995-03-17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3082566B2 (ja) * 1994-03-26 2000-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623330A (en) * 1995-04-14 1997-04-2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45171A (en) 1998-12-01
JPH1055096A (ja) 1998-02-24
KR970076123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5581B1 (ko) 수동급지시 자동 모드변경에 의한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세팅방법
KR100193815B1 (ko) 급지에러 보정방법
KR100353711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온도 제어방법
KR0174666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조정방법
JP378258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記憶媒体
KR100193807B1 (ko) 용지감지에 따른 전사전압 자동변경장치 및 그 방법
US6192204B1 (en) Control method and circuit for transfer current, and printer having the control circuit
US6304734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pying stored image data
KR100222695B1 (ko) 수동급지시의 전사환경 검색방법
JP200022768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1025430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90457A (ja) 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印刷装置
KR20050038760A (ko) 화상 형성 장치의 설정 용지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2001356967A (ja) 不揮発性メモリの書込制御方法
US5083142A (en) Sequence controller
KR0169455B1 (ko) 화상농도 보상방법
KR100233664B1 (ko) 전사전압 제어방법
KR19980053311A (ko) 전사환경 검색방법
JP3862568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039352A (ja) 画像形成装置
JP3693296B2 (ja) デジタル複写機
JP3693295B2 (ja) デジタル複写機
JP3853824B2 (ja) デジタル複写機
KR19980028466A (ko)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환경 검색장치와 방법
JP200210816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