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186B1 -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186B1
KR0174186B1 KR1019960055106A KR19960055106A KR0174186B1 KR 0174186 B1 KR0174186 B1 KR 0174186B1 KR 1019960055106 A KR1019960055106 A KR 1019960055106A KR 19960055106 A KR19960055106 A KR 19960055106A KR 0174186 B1 KR0174186 B1 KR 0174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injection
injection port
closing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536A (ko
Inventor
박병균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55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186B1/ko
Publication of KR19980036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1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며, 차량 바디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내측부에 고정배치되는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와 연결되어 연료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연료 주입구와, 상기 연료주입구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돌출되어 연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연료 주입구 이송수단과, 상기 연료 주입구의 일측에 형성되어 연료 주입구의 폐쇄도어를 개폐하는 연료 주입구 폐쇄도어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적용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자동차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도.
제4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5 : 연료탱크
9 : 연료 주입구 14 : 전원
15 : 모터 17 : 구동 피니언
19,21 : 래크부 23 : 피니언
25 : 연료 주입구 폐쇄도어 27 : 연료 주입구 폐쇄도어 개폐부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며 연료 주입시 차량 바디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가솔린 또는 디젤 그리고 엘피지 등의 연료를 엔진의 실린더 내부에서 연소시킴으로서 차량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가솔린 또는 디젤의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에 관계하며, 종래의 연료주입구조는, 제4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차체(101)와, 상기 차체(101)의 일측에 설치되는 연료 주입구 어셈블리(103)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연료주입구 어셈블리(103)은 연료탱크(도시생략)와 연결되어 있는 연료주입구(105)와, 연료주입후 연료 주입구(105)를 폐쇄하는 연료 캡(107)과, 차체(101)에 힌지결합되어 연료주입구 어셈블리(103)를 가림으로서 외관상 미려함을 도모하는 연료 주입구 폐쇄도어(109)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연료 주입구(103)는 연료탱크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는, 자동차에 연료를 주입하기 위하여는 연료 주입구 폐쇄도어(109)를 오픈시키고, 연료캡(107)을 역시 오픈 시킨 후에 주유건 등을 연료 주입구(105)에 삽입하여 연료를 주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연료의 주입이 완료되면 주유건을 제거한다.
그리고 연료캡(107)을 클로우즈시키고 연료 주입구 폐쇄도어(109)를 닫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는, 주유 후에 주유건을 이탈하게 되는데 이때 잔류 연료가 차량의 바디에 떨어져 차량의 바디가 오염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유건을 현소한 공간내에 배치되는 연료 주입구에 삽입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며, 차량 바디의 오염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내측부에 고정배치되는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와 연결되어 연료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연료주입구와, 상기 연료주입구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돌출되어 연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연료 주입구 이송수단과, 상기 연료 주입구의 일측에 형성되어 연료 주입구의 폐쇄도어를 개폐하는 연료 주입구 폐쇄도어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를 제공한다.
[작용]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는, 연료를 연료탱크에 주입하기 위하여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모터가 회전하여 구동피니언을 회전시키고 구동 피너인이 회전함에 따라 연료 주입구가 차체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적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차체(1)와, 연료 주입구 폐쇄도어(3)를 도시하고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A-A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차체(1)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연료탱크(5)와, 상기 연료탱크(5)와 연료 인입 파이프(7)로 연결되는 연료 주입구(9)와, 상기 연료 주입구(9)의 하단에 설치되어 연료 주입구(9)를 차체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연료 주입구 이송수단과, 연료 주입구(9)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료 주입구(9)의 이송시에 연료 주입구 폐쇄되어(11)를 오픈시키기 위한 연료 주입구 폐쇄도어 개폐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연료탱크(5)와 연료 주입구(9)를 연결하는 연료 인입 파이프(7)의 중간부에는 길이 가변 관로(13)가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길이 가변 관로(13)는 통상의 벨로우즈 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료 인입 파이프(7)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가능한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료 주입구(9)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료 주입구 이송수단은 차체(1)의 내측 일측에 설치되며 전원(14)과 연결되어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모터(15)와, 상기 모터(15)의 구동축의 선단부에는 구동 피니언(17)이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피니언(17)과 치합되며 연료 주입구(9)의 저면에 고정배치되는 래크부(19)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15)는 작동스위치(21)의 조작에 의하여 정,역회전이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료 주입구 폐쇄되어 개폐수단은, 제3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연료 주입구(9)의 측면에 또다른 래크부(21)가 고정되고 이 래크부(21)와 치합되며 중심축이 차체에 결합되는 또다른 피니언(23)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23)의 중심축상에 결합되며 연료 주입구 폐쇄도어(25)와 또한 고정결합되는 연료 주입구 개폐부재(27)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피니언(23)과 연료 주입구 개폐부재(27)는 서로 대칭인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상기한 모터(15)를 구동하기 위하여 전원(14)과 모터(15) 사이에는 작동 스위치(21)가 개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스위치(21)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위하여 운전석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는, 차량에 연료를 주입하고자 하면 운전자는 운전석에 배치되는 작동스위치(21)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모터(15)에 전원(14)이 인가되어 회전하고 따라서 구동피니언(17) 역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동피니언(17)의 회전으로 인하여 래크부(19)가 이동하고 이 래크부(19)와 고정되어 있는 연료 주입구(9)가 차체(1)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연료 주입구(9)가 이동하면서 이 연료 주입구(9)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또다른 래크부(21)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래크부(21)의 이동으로 인하여 또다른 피니언(23)이 회전하여 연료 주입구 폐쇄되어(25)를 오픈하게 된다.
그러므로 연료 주입구 페쇄도어(25)가 오픈되어 연료 주입구가 차체(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때 연료 인입 파이프(7)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는 길이 가변 관로(13)가 인장됨으로서 상기와 같은 작동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차체(1)의 외측부로 돌출된 연료 인입구(9)를 통하여 주유건등을 사용하여 연료의 주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료의 주입이 완료되면 작동스위치(21)를 재작동하게 되면 모터(15)의 역회전이 이루어지고 상술한 역순으로 연료 주유구(9)가 차체(1)로 인입되고 오일주입구 폐쇄도어(25)가 닫히게 된다.
[발명의 효과]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는, 운전석에 배치되는 스위치의 조작으로 연료주유구가 차체에서 돌출되어 연료의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주유가 끝나면 차체로 폐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차량의 바디에 연료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차량의 내측부에 고정배치되는 연료탱크(5)와, 상기 연료탱크(5)와 연결되어 연료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연료 주입구(9)와, 상기 연료 주입구(9)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돌출되어 연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연료 주입구 이송수단과, 상기 연료 주입구(9)의 일측에 형성되어 연료 주입구 폐쇄도어(25)를 개폐하는 연료 주입구 폐쇄도어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연료 주입구 이송수단은 차체(1)의 일측에 고정되며 전원(14)과 연결되어 연료 주입구(9)를 이송하기 위한 구동원인 모터(15)와, 상기 모터(15)의 축상에 배치되는 구동 피니언(17)과, 상기 구동 피니언(17)과 치합되며 연료 주입구(9)의 저면에 고정 배치되는 래크부(19)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연료 주입구 폐쇄도어 개폐수단은 연료 주입구(9)의 측면에 고정 배치되는 또다른 래크부(21)와, 상기 래크부(21)와 치합되어 배치되고 차체(1)에 중심축이 고정되는 피니언(23)과, 상기 피니언(23)의 축상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연료 주입구 폐쇄도어(25)와 고정되는 연료 주입구 폐쇄도어 개폐부재(27)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
KR1019960055106A 1996-11-19 1996-11-19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 KR0174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106A KR0174186B1 (ko) 1996-11-19 1996-11-19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106A KR0174186B1 (ko) 1996-11-19 1996-11-19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536A KR19980036536A (ko) 1998-08-05
KR0174186B1 true KR0174186B1 (ko) 1999-02-18

Family

ID=19482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106A KR0174186B1 (ko) 1996-11-19 1996-11-19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670B1 (ko) * 1997-08-29 2004-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주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536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151177A (ja) 自動車の電気モータアシストステアリング装置
EP1495898A1 (de) Verriegel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Verriegelungseinrichtung
KR102633962B1 (ko) 차량의 연료주입구 자동 개폐 장치
KR0174186B1 (ko)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구조
DE102020127321A1 (de) Mulden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wagen
KR0131657Y1 (ko)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의 힌지 구조
KR200178447Y1 (ko) 자동차 연료캡 자동 개폐장치
CN220298294U (zh) 用于车辆的加油口盖组件和车辆
KR200216770Y1 (ko) 화물차량 연료 도난 방지장치
KR200145639Y1 (ko) 자동차의 시동 전동기
KR100219090B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관 개폐기구
KR100412547B1 (ko) 주유캡이 일체로 형성된 필러도어의 작동구조
KR100392011B1 (ko) 자동차의 릴리즈 레버 조립체
KR19980037837A (ko) 연료주입구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200145545Y1 (ko)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도어
KR200151109Y1 (ko) 자동차의 퓨얼필러도어 개폐장치
KR0121878B1 (ko) 연료 캡 자동 작동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KR100224208B1 (ko) 차량 도난 방지용 연료차단장치
KR970035705A (ko) 자동차용 연료 필러 리드 어셈블리
KR19990015290U (ko)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
KR100193660B1 (ko) 자동차용 시동정지장치
KR970044703A (ko) 자동차 엔진의 드로틀밸브
KR19990027240A (ko) 자동차의 연료필러캡 구조
KR19980049052A (ko) 자동차의 연료 필터 도어 어셈블리
JPH05295949A (ja) 片開ウインド用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