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141B1 - 자동 취사기의 쾌속건조식 세미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취사기의 쾌속건조식 세미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141B1
KR0174141B1 KR1019960028151A KR19960028151A KR0174141B1 KR 0174141 B1 KR0174141 B1 KR 0174141B1 KR 1019960028151 A KR1019960028151 A KR 1019960028151A KR 19960028151 A KR19960028151 A KR 19960028151A KR 0174141 B1 KR0174141 B1 KR 0174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rice
cup
plate assembly
tur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135A (ko
Inventor
이원익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28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141B1/ko
Publication of KR980008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취사기에 위한 취사가 끝난 후 자동 취사기의 세미장치를 보관하기 전에 세미장치 내부의 물기를 신속하게 건조시킴으로써 자동 취사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취사기의 쾌속 건조식 세미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판 조립체(9), 메인 프레임(15), 원통형 가이드 배럴(17), 세미컵(23), 프라스크(27), 바닥 배럴(33)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인 프레임(15)은 쌀 투입 구멍(A')과 대향하여 개구된 송풍구(37)를 형성하고 있으며, 턴 테이블(5)은 중간에 계량컵(6)과 인접하여 취출 통로(39)를 형성하고 있고, 메인 프레임(15) 상에는 송풍구(37)와 정렬된 상태로 모터(11)와 인접하여 팬히터(41)가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 취사기의 쾌속 건조식 세미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자동 취사기의 쾌속 건조식 세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미장치의 내부에 고온의 열풍을 취출하는 시스템을 장착하여 세미 과정에서 세미컵에 묻어 잔류하는 수분을 단시간 내에 건조 제거함으로써 자동 취사기를 청결하게 유지 관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세미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회가 보다 복잡하게 다변화해감에 따라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늘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예전과 같이 여성들이 주부로서의 역할에만 만족하지 못하고 가사와 직업을 병행하고자 하는 경향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또한,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첨단 과학이 발전을 거듭함에 따라 이에 상응하여 가사 노동을 줄이고자 하는 일반적인 여성들의 욕구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가사 노동을 경감시켜 주는 가사 도구들이 속속 개발되었으며, 더 나아가서 이러한 가전 제품들의 자동화, 소형화, 통합화를 통하여 가사 노동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가사 노동의 편리성 확보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개발된 가전 제품의 하나로 자동 취사기를 들 수 있다.
이 자동 취사기(101)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 기능 조작부(103), 세미 장치부(105) 및 전기 밥솥부(107)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외에도 단수 여부 및 수압 저하 등을 체크해주는 수압 센서, 쌀의 세척 및 밥량수에 따라 밥솥(113)에 물을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구성 부분들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는 자동 취사기에 내장된 자동 취사기의 심장부로서 시간 출력, 시간 교정 및 예약 등 모든 관련 정보를 보관, 관리, 처리하며 자동 취사기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여 쌀을 설정된 밥량에 맞추어 세척 및 보관한다.
또한, 기능 조작부(103)는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09)와 램프(111)에 의하여 밥짓는 시간, 밥량, 밥맛 등의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항상 자동 취사기(101)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이를 통해 언제라도 설정값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세미 장치부(107)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미 장치(115)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미 장치(115)의 내부에 장착된 계량컵(117)에 의해 설정된 밥량에 맞추어 정확한 인수분의 쌀을 계량하여 쌀통(119)으로부터 토출시키고, 계량된 쌀을 세미컵(121) 쪽으로 토출시켜 세미컵(121) 내에 장착된 노즐(123)로 물을 분사하여 수압에 의한 와류 방식으로 쌀을 세척하며, 세척 후 밥솥(113)으로 쌀을 토출하고 밥의 물량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양의 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세미 장치(115)는 제2도에서 알 수 있듯이, 외체를 형성하고 있는 메인 프레임(125), 가이드 배럴(127) 및 바닥 배럴(129)과, 내부에서 쌀을 계량, 운반, 세척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부분은 다시 회전하면서 쌀을 계량 및 운반하는 회전판 조립체(131)와 쌀을 세척하는데 사용하는 세미컵(121)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회전판 조립체(131)는 제3도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메인 프레임(125)의 중앙에 설치된 구동 모터(133)와 일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135), 이 회전축(135)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회전축(135)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턴 테이블(137) 그리고 회전축 하단에 부착되어 턴 테이블(137)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하부판(139)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턴 테이블(137)의 중간에는 계량컵(111)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조립체(131)는 또한 제2도에서 알 수 있듯이, 턴 테이블(137)이 상부 패킹(140)을 사이에 두고 메인 프레임(125) 하부면에 밀착되어 있으며, 하부판(139)은 바닥 배럴(129) 하부에 고정된 프라스크(142)와 하부 패킹(144)을 사이에 두고 밀착되어 있다.
턴 테이블(137)과 하부판(139) 사이에는 가이드 배럴(127)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있는 브래킷(141)에 의해 고정된 세미컵(121)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세미컵(121)은 외주면에 종방향의 틈새(143)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틈새(143)는 세미컵(121)의 내주면 상부에 구비된 노즐(123)에서 분사되는 쌀 세척수를 방류하기 위한 것이므로 쌀 알갱이의 크기보다 작은 간극을 가지고 있다.
바닥 배럴(129)의 저면에는 프라스크(142)로부터 돌출 형성된 호퍼(145)가 프라스크 패킹(147)에 의해 밀봉된 상태로 관통되어 있으며, 호퍼(145) 대향측에 배수구(149)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자동 취사기(101)에 있어서, 세미 장치(115)에 의한 쌀 계량 및 세척 과정을 제3도에 의해 설명하면, 제3도(a)는 세미 장치(115) 동작 전의 초기 상태이다. 이 위치에서 회전판 조립체(131)가 화살표((a)) 방향으로 180°만큼 회전하면 제3도(b)의 상태가 된다.
제3도(b)의 상태에서 하부판(139)의 구멍 C와 세미컵(121) 그리고 프라스크(142)의 호퍼(145) 구멍 D가 일치하면 노즐(123)을 통해 밥 짓기에 사용되는 물이 공급된다. 일인분의 밥을 짓기 위한 물의 공급이 끝나면 회전판 조립체(131)는 화살표(b) 방향으로 90°만큼 회전하여 제3도(c)의 상태가 된다.
제3도(c)에 도시된 위치에서 쌀통(119)으로부터 메인 프레임(125)의 구멍 A를 통해 적정량 예컨대, 일인분 150g으로 설정되어 있는 계량컵(117)에 쌀이 투입된다. 그리고 나서, 화살표 (c) 방향으로 180°만큼 회전판 조립체(131)가 회전하면 제3도d의 상태로 된다.
제3도d에서 계량컵(117)이 가이드 배럴(127)의 바닥면에 관통 설치된 구멍 B와 일치되므로 계량컵(117)에 충진되어 있던 쌀이 세미컵(121)으로 투입되며 투입이 끝나면 회전판 조립체(131)는 제3도e의 위치에 오도록 화살표 (d) 방향으로 90°만큼 역회전된다.
제3도e의 위치에서 노즐(123)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어 세미컵(121) 안의 쌀을 세척한다. 세척이 끝나고 세척수가 틈새(143)를 통해 모두 방류되면 회전판 조립체(131)는 다시 화살표(e) 방향으로 180°만큼 회전하여 제3도f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제3도f의 위치에서 하부판(139)의 구멍 C가 세미컵(121) 및 프라스크(142)의 호퍼(145) 구멍 D와 일치하므로 세척이 끝난 쌀이 밥솥(113)으로 최종 투입된다. 이 때, 일인분 이상의 밥을 짓게 되는 경우에는 회전판 조립체(131)가 화살표(f) 방향으로 90°만큼 회전하여 제3도(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다음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설정인분의 쌀 투입이 끝나면, 다음 취사시까지 취사기(101)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초기 상태로 보관하기 위해 세미 장치(115) 내부를 청소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미컵(121) 청소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제3도f와 동일한 제4도(a)의 위치에서 쌀 투입이 끝난 후 회전판 조립체(131)가 화살표(a) 방향으로 180°만큼 회전하면 제4도(b)의 위치로 된다.
제4도(b)의 위치에서 노즐(123)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어 쌀 투입 후 세미컵(121)안에 잔류하는 쌀겨나 쌀 부스러기 등의 찌꺼기를 씻어낸 다음 화살표(b) 방향으로 180°만큼 회전 조립체(131)가 회전하여 제4도(의 상태가 된다.
제4도의 상태에서 세미컵(121)과 하부판(139)의 구멍 C와 호퍼(145) 구멍 D가 일치하므로 세미컵 청소에 사용된 물이 배출된다. 그리고 나서 회전판 조립체(131)가 화살표(c) 방향으로 180°만큼 회전하면 제4도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이렇게 해서 쌀 계량 및 세척 과정의 한 사이클이 종료되면 약 10분 정도의 쌀 불림 시간이 경과된 후 취사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세미 장치(115)는 세미컵(121) 청소 후 남아 있는 물기를 달리 건조시킬 방법이 없고 세미컵(121)이 밀폐되어 있기 대문에 세미컵(121)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4 내지 5 시간에 이를 정도로 길었다.
따라서, 세미컵(121)이 젖어 있는 상태로 장시간 방치되면 닦이지 않고 남아있는 쌀부스러기 등과 물 그리고 밥솥(113)에 의한 온기 등으로 인해 세미 장치(115)의 내부는 미생물 등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게 되므로 위생적으로 자동 취사기(101)를 관리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자동 취사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회전축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회전축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턴 테이블과 턴 테이블 중간에 형성되어 있는 계량컵과 상기 회전축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하부판으로 이루어진 회전판 조립체, 상부면에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시키는 모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턴 테이블의 상단면과 상부 패킹을 사이에 두고 맞닿음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 바닥면에 턴 테이블의 하단면이 맞닿음되어 있고 위쪽 개구부에는 메인 프레임이 덮여 있어 턴 테이블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는 원통형 가이드 배럴, 가이드 배럴의 하단면에 돌출 형성된 브래킷에 의해 밀착 결합되어 있으며 내주면 위쪽에 물 분사 노즐이 관통 설치되어 있는 세미컵, 세미컵과 일렬로 정렬된 호퍼가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하부판과 하부 패킹을 사이에 두고 맞닿음되어 있는 프라스크, 세미컵을 둘러싸도록 외체를 형성하며 프라스크가 호퍼의 외주면에서 프라스크 패킹에 의해 밀봉되어 있으며 호퍼 대향측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 배럴로 구성된 자동 취사기의 세미 장치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은 쌀 투입 구멍과 대향하여 개구된 송풍구를 형성하고 있으며, 턴 테이블은 중간에 계량컵과 인접하여 취출 통로를 형성하고 있고, 메인 프레임 상에는 송풍구와 정렬된 상태로 모터와 인접하여 팬히터가 장착되어 있는 자동 취사기의 쾌속 건조식 세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쾌속 건조식 세미 장치에 의해서, 동작 전의 초기 상태의 세미 장치 회전판 조립체를 회전축으로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돌려 회전판 조립체의 하부판의 구멍이 세미컵 및 프라스크의 구멍과 일치하도록 하고 노즐을 통해 밥 짓기에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는 단계 ; 이 급수 단계에서 회전판 조립체를 반시계 방향으로 역회전시켜 쌀통으로부터 메인 프레임의 쌀 투입 구멍을 통애 일인분의 쌀을 담도록 설정되어 있는 계량컵에 쌀을 투입하는 단계 ; 이 쌀 투입 단계에서 계량컵이 가이드 배럴의 바닥면에 관통 설치된 구멍과 일치되도록 회전판 조립체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계량컵에 충진되어 있는 쌀을 세미컵으로 투입하는 단계 ; 쌀을 세미컵으로 투입하는 단계에서 회전판 조립체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노즐로부터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미컵 안에 투입된 쌀을 세척하는 단계 ; 이 쌀 세척 단계에서 하부판의 구멍이 세미컵 및 프라스크의 호퍼 구멍과 일치하도록 회전판 조립체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 세척이 끝난 쌀을 밥솥에 투입하는 단계 ; 쌀을 밥솥에 투입하는 단계에서 회전판 조립체의 턴 테이블 중간에 형성된 취출 통로가 메인 프레임의 송풍구 및 가이드 배럴의 구멍과 일치하도록 회전판 조립체를 반시계 방향으로 역회전시켜 메인 프레임 상에 송풍구와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팬히터로 취출 통로를 통해 세미컵을 건조시키는 단계 ; 이 세미컵 건조 단계에서 회전판 조립체를 반시계 방향으로 역회전시켜 세미 장치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 ; 로 일인분의 쌀 투입이 종료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 취사기의 세미 장치에 의한 쾌속 건조식 세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아울러, 쌀을 밥솥에 투입하는 단계에서 회전판 조립체를 반시계 방향으로 역회전시켜 세미 장치를 쌀 투입 단계로 복귀시켜 쌀을 세미컵으로 투입하는 단계, 쌀 세척 단계, 및 쌀을 밥솥에 투입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 후 세미컵 건조 단계와 초기 설정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로 일인분씩 다수 인분의 쌀 투입이 종료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 취사기의 세미 장치에 의한 쾌속 건조식 세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 취사기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자동 취사기의 세미장치 부분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세미장치의 회전판 조립체의 연속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세미장치의 회전판 조립체의 건조 종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기의 세미장치 부분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세미장치의 회전판 조립체의 작동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미장치 3 : 회전축
5 : 턴 테이블 6 : 계량컵
7 : 하부판 9 : 회전판 조립체
11 : 모터 13 : 상부 패킹
15 : 메인 프레임 17 : 가이드 배럴
19 : 브래킷 20 : 하부 패킹
21 : 노즐 22 : 틈새
23 : 세미컵 25 : 호퍼
27 : 프라스크 29 : 프라스크 패킹
31 : 배수구 33 : 바닥 배럴
35 : 쌀 투입구멍 37 : 송풍구
39 : 취출 통로 41 : 팬히터
43 : 쌀통 45 : 밥솥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기의 쾌속 건조식 세미 장치와 세미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쾌속 건조식 세미 장치(1)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자동 취사기(101)에 그대로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이므로 세미 장치(1)가 적용되어 사용되는 자동 취사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미 장치를 제5도에 따라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세미 장치(1)는 크게 외체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15), 가이드 배럴(17) 및 바닥 배럴(33)과, 내부에서 쌀을 계량, 운반, 세척하는 회전판 조립체(9), 세미컵(23) 및 프라스크(2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회전판 조립체(9)는 외체의 중심축 선상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3)과 이 회전축(3) 상단에 회전축(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턴 테이블(5)과 회전축(3)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하부판(7)으로 이루어져 있다.
턴 테이블(5)은 아래위로 정렬된 2개의 원판으로 이루어지며 원판 사이에 원통형의 계량컵(6)이 개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계량컵(6)에 인접하여 종방향으로 원통형의 취출 통로(39)가 형성되어 있다. 턴 테이블(5) 위쪽에는 상부 패킹(13)을 사이에 두고 맞닿음된 메인 프레임(15)이 덮여있다.
메인 프레임(15)에는 쌀통(43)의 쌀 투입 구멍(A')과 이 구멍(A')에 반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송풍구(37)가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쌀 투입 구멍(A')과 송풍구(37)는 회전 조립체(9)의 회전 각도에 따라 턴 테이블(5)의 계량컵(6)과 취출 통로(39)와 각각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5) 상에는 중심 부분에 회전판 조립체(9)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11)와, 송풍구(37)와 정렬된 상태로 위치하는 팬히터(41)가 정착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15)을 아래쪽으로 지지하고 있는 원통형의 가이드 배럴(17)은 바닥면에 하단면이 맞닿음되어 있는 턴 테이블(5)을 둘러싸고 있으며, 하단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브래킷(19)에 의해 아래쪽에 세미컵(23)이 밀착 결합되어 있으며, 세미컵(23)이 결합된 위치에는 턴 테이블(5)의 회전 각도에 따라 취출 통로와 세미컵(23)이 연통될 수 있도록 해주는 구멍(B')이 개구되어 있다.
세미컵(23)의 벽면에는 사용되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21)이 관통 설치되어 있으며, 쌀 세척시 분사된 물을 방류하기 위한 틈새(22)가 종방향으로 각설되어 있다.
가이드 배럴(17)을 지지하도록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형의 바닥 패널(33)은 회전축(3)을 중심으로 회전판 조립체(9)의 턴 테이블(5)과 하부판(7) 사이에 위치하는 세미컵(23)을 둘러싸고 있다.
바닥 패널(33)의 바닥면에는 하부판(7)과 하부 패킹(20)을 사이에 두고 맞닿음되어 있는 프라스크(27)가 부착되어 있으며, 프라스크(27)에는 세미컵(23)과 일렬로 정렬된 호퍼(25)가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호퍼(25)에는 호퍼 구멍(D')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판 조립체(9)의 회전 각도에 따라 하부판(7)의 구멍(C')을 통해 세미컵(23)과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호퍼(25)의 외주면은 프라스크 패킹(29)에 의해 바닥 배럴(33)에 밀봉되어 있으므로 세미컵(23)의 틈새(22)로부터 방류된 물을 호퍼(25) 대향측에 형성된 배수구(31)를 통해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기의 세미 장치(1)에 의한 세미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6도(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세미 장치(1)는 동작 전의 초기 상태에 있다. 이 위치에서 회전판 조립체(9)가 회전축(3)을 중심으로 화살표(a') 방향으로 180°만큼 회전하며 제6도(b)의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판 조립체(9)의 하부판(7) 구멍(C')은 세미컵(23) 및 프라스크(27)의 구멍(D')과 일치하여 노즐(21)을 통해 밥 짓기에 사용되는 물이 밥솥(45)으로 공급된다(S1).
물공급 단계(S1)가 종료되면 회전판 조립체(9)가 화살표(b') 방향으로 270°만큼 역회전하여 제6도(의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쌀통(43)으로부터 메인 프레임(15)의 쌀 투입 구멍(A')을 통해 적정량 예컨대, 일인분 150g의 쌀을 담도록 설정되어 있는 계량컵(6)에 쌀이 투입된다(S2).
쌀 투입 단계(S2)가 종료되면 화살표((') 방향으로 180°만큼 회전판 조립체(9)가 회전하면 제6도d의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계량컵(6)이 가이드 배럴(17)의 바닥면에 관통 설치된 구멍(B')과 일치되므로 계량컵(6)에 충진되어 있던 쌀은 세미컵(23) 안으로 투입된다(S3).
세미컵(23)으로의 쌀 투입 단계(S3)가 끝나면 회전판 조립체(9)를 화살표(d') 방향으로 90°만큼 역회전시켜 제6도(e)의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노즐(21)로부터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미컵(23) 안에 투입된 쌀을 세척한 후 세척에 사용된 물을 세미컵(23)의 종방향 틈새(22)를 통해 방류한다(S4).
쌀 세척 단계(S4)가 끝나면 회전판 조립체(9)를 다시 화살표(e') 방향으로 180°만큼 회전시켜 제6도(f)의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하부판(7)의 구멍(C')이 세미컵(23) 및 프라스크(27)의 호퍼(25) 구멍(D')과 일치되어 세척이 끝난 일인분의 쌀을 밥솥(45)에 투입하게 된다(S5).
밥솥(45)으로의 쌀 투입 단계(S5)가 종료되면 회전판 조립체(9)를 화살표(f') 방향으로 135°만큼 역회전시켜 제6도(g)의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 조립체(9)의 턴 테이블(5) 중간에 형성된 취출 통로(39)가 메인 프레임(15)의 송풍구(37) 및 가이드 배럴(17)의 구멍(B')과 일치되면 메인 프레임(15) 상에 송풍구(37)와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팬히터(41)로부터 열풍을 취출하여 턴 테이블(5)에 구비된 취출 통로(39)를 통해 세미컵(23)의 잔류 수분을 건조시킨다(S6).
건조 단계(S6)가 종료되면 회전판 조립체(9)를 화살표 방향(g')으로 45°만큼 역회전시켜 세미 장치(1)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다(S7).
이렇게 해서 일인분의 쌀물을 공급하고, 쌀을 투입하여, 세척하고, 밥솥으로 옮겨, 건조가 완료됨으로써 한 사이클의 세미 과정이 끝나게 된다.
이 때, 일인분 이상의 밥을 짓게 되는 경우에는 밥솥으로의 쌀 투입 단계(S5)에서 회전판 조립체(9)를 화살표 방향(h')으로 270°만큼 역회전시켜 세미 장치(1)를 쌀 투입 단계(S2)로 복귀시켜 세미컵(23)으로의 쌀 투입 단계(S3), 쌀 세척 단계(S4), 밥솥(45)으로의 쌀 투입 단계(S5)를 인분수에 맞게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된다.
그리고 나서 건조 단계(S6)와 복귀 단계(S7)를 일회 실행한 다음 세미 장치(1)의 작동을 종료시켜 보관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쾌속 건조식 세미 장치에 의하면, 세미컵에 수분이 잔류하지 못하도록 세미컵을 팬히터의 열풍으로 신속하게 건조시키므로 세미 장치를 매우 청결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히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자동 취사기의 세미장치를 취사가 끝난 후 보관하기 전에 신속하게 건조시킴으로써 자동 취사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Claims (3)

  1. 회전축 (3)과 상기 회전축 (3)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턴 테이블 (5)과 상기 턴 테이블 (5) 중간에 형성되어 있는 계량컵 (6)과 상기 회전축 (3)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하부판(7)으로 이루어진 회전판 조립체 (9), 상기 턴 테이블 (5)의 상단면과 상부 패킹(13)을 사이에 두고 맞닿음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 (15), 상기 턴 테이블 (5)를 둘러싸도록 되어 있는 원통형 가이드 배럴 (17), 상기 가이드 배럴 (17)의 하단면에 돌출 형성된 브래킷 (19)에 의해 밀착 결합되어 있는 세미컵 (23),상기 세미컵 (23)과 일렬로 정렬된 호퍼 (25)가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프라스크 (27), 상기 세미컵 (23)을 둘러싸도록 외체를 형성하고 있는 바닥 배럴(33)로 구성된 자동 취사기의 세미 장치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15)은 쌀 투입 구멍(A')과 대향하여 개구된 송풍구 (37)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턴 테이블 (5)은 중간에 상기 계량컵 (6)과 인접하여 취출 통로 (39)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메인 프레임 (15) 상에는 상기 송풍구 (37)와 정렬된 상태로 상기 모터 (11)와 인접하여 팬히터(41)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기의 세미 장치
  2. 동작 전의 초기 상태의 세미 장치 (1) 회전판 조립체 (9)를 회전축 (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a')으로 돌려 상기 회전판 조립체 (9)의 하부판 (7)의 구멍 ((')이 세미컵 ( 23) 및 프라스크 ( 27)의 구멍 (D')과 일치하도록 하고 노즐 (21)을 통해 밥 짓기에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는 단계(S1) ; 상기 단계 (S1)에서 상기 회전판 조립체 (9)를 반시계 방향 (b')으로 역회전시켜 쌀통 (43)으로부터 메인 프레임 (15)의 쌀 투입 구멍 (A')을 통해 일인분의 쌀을 담도록 설정되어 있는 계량컵 (6)에 쌀을 투입하는 단계 (S2) ; 상기 단계 (S2)에서 상기 계량컵 (6)이 가이드 배럴 (17)의 바닥면에 관통 설치된 구멍 (B')과 일치되도록 상기 회전판 조립체 (9)를 시계 방향 (c')으로 회전시켜 상기 계량컵 (6)에 충진되어 있는 쌀을 상기 세미컵 (23)으로 투입하는 단계 (S3) ; 상기 단계 (S3)에서 상기 회전판 조립체 (9)를 반시계 방향 (d')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노즐 (21)로부터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세미컵 (23) 안에 투입된 쌀을 세척하는 단계 (S4) ; 상기 단계(S4)에서 상기 하부판 (7)의 구멍 (C')이 상기 세미컵 (23) 및 상기 프라스크 (27)의 호퍼 (25) 구멍 (D')과 일치하도록 상기 회전판 조립체 (9)를 시계 방향 (e')으로 돌려 세척이 끝난 쌀을 밥솥 (45)에 투입하는 단계 (S5) ; 상기 단계 (S5)에서 상기 회전판 조립체 (9)의 턴 테이블 (5) 중간에 형성된 취출 통로 (39)가 상기 메인 프레임 (15)의 송풍구 (37) 및 상기 가이드 배럴 (17)의 구멍 (B')과 일치하도록 상기 회전판 조립체 (9)를 반시계 방향 (f')으로 역회전시켜 상기 메인 프레임 (15) 상에 상기 송풍구 (37)와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팬히터 (41)로 상기 취출 통로 (39)를 통해 상기 세미컵 (23)을 건조시키는 단계 (S6) ; 상기 단계 (S6)에서 상기 회전판 조립체 (9)를 반시계 방향 (g')으로 역회전시켜 상기 세미 장치 (1)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 (S7) ; 로 일인분의 쌀 투입이 종료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기의 세미 장치에 의한 쾌속 건조식 세미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단계 (S5)에서 상기 회전판 조립체 (9)를 반시계 방향 (h') 으로 역회전시켜 상기 세미 장치 (1)를 단계 (S2)로 복귀시켜 단계 (S3, S4, S5)를 반복적으로 수행한 후 단계 (S6, S7)로 일인분씩 다수 인분의 쌀 투입이 종료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기의 세미 장치에 의한 쾌속 건조식 세미 방법.
KR1019960028151A 1996-07-12 1996-07-12 자동 취사기의 쾌속건조식 세미장치 및 그 방법 KR0174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151A KR0174141B1 (ko) 1996-07-12 1996-07-12 자동 취사기의 쾌속건조식 세미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151A KR0174141B1 (ko) 1996-07-12 1996-07-12 자동 취사기의 쾌속건조식 세미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35A KR980008135A (ko) 1998-04-30
KR0174141B1 true KR0174141B1 (ko) 1999-02-18

Family

ID=1946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151A KR0174141B1 (ko) 1996-07-12 1996-07-12 자동 취사기의 쾌속건조식 세미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4027A (zh) * 2020-02-18 2020-04-10 湖南唐米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炒菜机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35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12593A (en) Spray means for clothes conditioner
KR101466521B1 (ko) 자동 계량공급 시스템을 구비한 물 사용 가전 기기 및 자동 계량공급 방법
KR20190054341A (ko)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KR100540145B1 (ko) 드럼 세탁기의 급수 방법
KR0174141B1 (ko) 자동 취사기의 쾌속건조식 세미장치 및 그 방법
KR100917827B1 (ko) 스팀 세탁장치
JP2003506125A (ja) 機能的な扉を備える家庭用として好適な食器洗浄機
JPH0458932A (ja) 食器洗浄機
KR100192055B1 (ko) 열풍 건조식 세미장치를 구비한 자동 취사기
KR100516728B1 (ko) 자동 취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4065400A (ja) 無洗米用炊飯装置
KR0161096B1 (ko) 전자동 취반 장치
JPH04240410A (ja) 自動炊飯器
KR200309747Y1 (ko) 세미부의 기능이 향상된 자동취사기
JPS5841048B2 (ja) 調理装置
KR19980058719U (ko) 자동 밥 제조기
JP2001000322A (ja) 洗米処理装置
JP2017026214A (ja) 加熱調理器
KR200318997Y1 (ko) 자동 취사기
JP3528245B2 (ja) 洗米炊飯方法
JPH03163695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原料撹拌装置内排気装置
KR20210039807A (ko) 라면 조리 방법
KR0122459Y1 (ko) 커피자동판매기의 원료굳음 방지장치
KR200409843Y1 (ko) 팝콘자동판매기용 소금 공급장치
JPS621156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