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728B1 - 자동 취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취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728B1
KR100516728B1 KR10-2003-0073603A KR20030073603A KR100516728B1 KR 100516728 B1 KR100516728 B1 KR 100516728B1 KR 20030073603 A KR20030073603 A KR 20030073603A KR 100516728 B1 KR100516728 B1 KR 100516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er
water
grain
cook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330A (ko
Inventor
오상만
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3-0073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728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취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자동 취사 장치는 자동 취사 기능의 선택을 위한 입력부와, 일측에 마련된 배수구가 배수로에 연결되어진 밥솥과, 밥솥의 내부로 투입되는 물과 곡류의 량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밥솥의 설거지와 밥솥에 공급된 곡류의 세척 및 취사를 위한 각종 구동 데이터가 저장되는 구동 데이터 저장부와,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자동 취사 명령과 감지부에 의한 감지량 및 구동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구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설거지와 곡류 세척 및 취사를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급수 제어신호에 따라 밥솥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를 통해 밥솥으로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는 급수 조절부와, 제어부의 곡류 공급 제어신호에 따라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기 위한 곡류 공급로를 통해 밥솥으로 공급되는 곡류의 량을 조절하는 곡류 공급 조절부와, 제어부의 배수 제어신호에 따라 밥솥 내부의 물을 배수로를 통해 배출하는 배수 조절부와, 제어부의 온도 제어신호에 따라 밥솥을 곡류 세척을 위한 불림 온도로 가열 및 취사를 위한 취사 온도로 가열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며, 종래 기술에서 사용자가 취사 사전 준비를 직접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시간 소비의 문제점이 해소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취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AUTOMATIC RICE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 취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취사 모드에서 밥솥내 잔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 후에 설거지를 수행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류의 량을 조절하여 물을 이용한 세척 후에 취사 및 보온을 순차적으로 자동 수행하도록 한 자동 취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전기 밥솥 등과 같은 취사 장치를 이용하여 밥을 취사하기 위해서는 쌀통으로부터 적당량의 곡류를 인출하여 밥솥 또는 소정의 용기에 담은 상태에서 물로 세척 후 취사를 위한 적정량의 물과 함께 밥솥에 투입하여 밥솥의 취사 기능을 선택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 밥솥 장치는 세척된 곡류를 적정량의 물과 함께 투입하면 취사와 그 이후의 보온 기능을 수행하는 편리성을 제공하나, 여전히 설거지와 곡류 세척 과정 등과 같은 취사 사전 준비는 지원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취사 사전 준비를 직접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하여야 하였으며, 이로 인해 적잖은 시간을 소비하여야만 하였다.
이에 따라, 취사 사전 준비 과정을 한가한 시간에 미리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예약 취사 기능이 부여된 다양한 종류의 전기 밥솥 등이 출시되고 있으나 이를 통한 편리성의 증대는 한계가 있으며, 여전히 사용자가 취사 사전 준비를 직접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시간 소비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자동 취사 모드에서 밥솥내 잔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 후에 설거지를 수행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류의 량을 조절하여 물을 이용한 세척 후에 취사 및 보온을 순차적으로 자동 수행하도록 한 자동 취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설거지와 곡류 세척 과정 등과 같은 취사 사전 준비 과정에서부터 취사 및 보온까지 전체 취사 공정을 자동화시켜 사용자가 취사 사전 준비를 직접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시간 소비의 문제점이 해소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견지로서 자동 취사 장치는, 자동 취사 기능의 선택을 위한 입력부와, 일측에 마련된 배수구가 배수로에 연결되어진 밥솥과, 상기 밥솥의 내부로 투입되는 물과 곡류의 량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밥솥의 설거지와 상기 밥솥에 공급된 곡류의 세척 및 취사를 위한 각종 구동 데이터가 저장되는 구동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자동 취사 명령과 상기 감지부에 의한 감지량 및 상기 구동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구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설거지와 곡류 세척 및 취사를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급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밥솥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를 통해 상기 밥솥으로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는 급수 조절부와, 상기 제어부의 곡류 공급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기 위한 곡류 공급로를 통해 상기 밥솥으로 공급되는 곡류의 량을 조절하는 곡류 공급 조절부와, 상기 제어부의 배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밥솥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로를 통해 배출하는 배수 조절부와, 상기 제어부의 온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밥솥을 상기 곡류 세척을 위한 불림 온도로 가열 및 상기 취사를 위한 취사 온도로 가열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자동 취사 장치의 제어방법은, 자동 취사 모드에서 밥솥내 잔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 후에 설거지를 수행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류의 량을 조절하여 물을 이용한 세척 후에 취사를 자동 수행하는 자동 취사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자동 취사 모드에서 밥솥의 하중에 의거하여 산출한 중량과 기 설정된 자체 중량을 비교하여 잔반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밥솥내의 잔반량이 설거지 공정의 수행을 위한 취사 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밥솥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를 개방하여 소정 량의 물을 상기 밥솥으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물이 투입된 밥솥을 기 설정된 불림 온도로 소정 시간동안 가열하여 상기 밥솥에 붙어있는 밥티가 떨어지게 하는 단계와, 상기 밥솥의 배수구에 연결된 배수로를 완전 개방하여 상기 밥티가 섞인 물을 상기 밥솥의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기 위한 곡류 공급로를 개방하여 소정 량의 곡류를 상기 밥솥으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급수로를 개방하여 상기 밥솥으로 공급되는 물을 노즐을 통해 소정 압력으로 분사하여 상기 곡류를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배수로를 부분 개방하여 상기 세척을 위해 사용한 물은 상기 배수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되 상기 세척된 곡류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필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급수로를 개방하여 소정 량의 물을 상기 밥솥으로 투입한 후에 상기 밥솥을 취사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밥솥 내의 곡류를 취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를 위한 밥솥 본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를 위한 밥솥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취사 장치는, 내부에 안치된 밥솥(170)을 보호하는 하부 본체(110)와, 힌지(131)를 회전축으로 가진 회전 연결부재(130)를 통해 하부 본체(1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회전 연결부재(130)의 회전각에 따라 밥솥(170)을 개폐하는 상부 본체(120)와, 힌지(141)를 고정축으로 하여 하부 본체(110) 또는 상부 본체(12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부 본체(110)에 의한 밥솥(170)의 폐쇄 상태에서 불요의 개방을 방지하도록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의 상호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40)를 포함한다.
상부 본체(120)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곡류를 밥솥(170)으로 각각 투입하기 위한 급수로(150)와 곡류 공급로(160)가 마련되며, 급수로(150)와 곡류 공급로(160)를 개폐하는 급수 밸브(153)와 곡류 공급 밸브(163)가 설치된다. 급수로(150)의 밥솥(17)을 향하는 선단에는 물을 소정 압력으로 골고루 분사하기 위한 노즐(151)이 설치되며, 급수로(150)와 곡류 공급로(160)의 상부 본체(120) 외부를 향하는 선단에는 외부의 물 공급장치(도시 생략됨)와 곡류 공급장치(도시 생략됨)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부재(152)(162)가 각각 설치된다.
밥솥(170)의 하부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구(171)가 마련되며, 배수구(171)는 배수로(250)를 통해 하부 본체(110)의 외부로 연장되고, 배수로(250)의 하부 본체(110) 외부를 향하는 선단에는 배수 파이프 등과 같은 배수 장치(도시 생략됨)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부재(251)가 설치된다.
밥솥(170) 하부의 하부 본체(110) 내에는 밥솥(170)을 지지하는 선반(220)이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반(220)에는 배수로(250)를 통해 곡류는 빠져나가지 못하게 필터링하고 물은 배수하는 필터(191)를 배수로(250)상에 설치 및 제거하는 필터 밸브(190)와 함께 배수로(250)를 개폐하는 배수 밸브(200)가 설치되고, 밥솥(170)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210)가 선반(220)에 내장되며, 선반(220)과 밥솥(170)의 접촉면에는 하중을 감지하는 중량 센서(180)가 설치된다.
하부 본체(110) 내부의 일측에는 회전력 생성수단으로서 모터(230)가 설치되며, 모터(230)와 선반(220)은 모터(230)의 회전축에 설치된 풀리(241)의 회전력을 선반(220)의 회전축에 설치된 풀리(243)로 전달하는 밸트(242)를 포함하는 동력전달계에 의해 연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취사량을 결정하는 인분 선택과 곡류의 종류를 결정하는 곡류 선택 및 자동 취사 기능의 선택 등의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260)와, 중량 센서(180)로부터 하중 감지값을 입력받아 중량을 산출하는 중량 감지부(185)와, 설거지와 곡류 세척 및 취사를 위한 급수량과 곡류 공급량 및 설거지 시간과 회수 그리고 취사 온도 및 시간 등과 같은 각종 구동 데이터가 저장되는 구동 데이터 저장부(280)와, 사용자 입력부(26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과 중량 감지부(185)로부터 입력되는 중량 산출값 및 구동 데이터 저장부(280)에 저장된 구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설거지와 곡류 세척과 취사 및 보온 등의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70)와, 제어부(270)의 외부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각종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표시부(290)와, 제어부(270)의 급수 제어신호에 따라 급수 밸브(153)를 구동하는 급수 조절부(300)와, 제어부(270)의 곡류 공급 제어신호에 따라 곡류 공급 밸브(163)를 구동하는 곡류 공급 조절부(310)와, 제어부(270)의 배수 제어신호에 따라 필터 밸브(190) 및 배수 밸브(200)를 구동하는 배수 조절부(320)와, 제어부(270)의 회전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230)를 구동하는 동력 발생부(330)와, 제어부(270)의 온도 제어신호에 따라 히터(210)를 구동하는 온도 조절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와 그 제어장치에 의한 설거지와 곡류 세척과 취사 및 보온 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외부의 물 공급장치(도시 생략됨)를 급수로(150)의 연결부재(152)를 통해 연결하고, 곡류 공급장치(도시 생략됨)를 곡류 공급로(160)의 연결부재(162)를 통해 연결하여 밥솥(170)으로 물과 곡류가 공급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필요에 따라서 배수 장치(도시 생략됨)를 배수로(250)의 연결부재(251)에 연결한다.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260)를 이용하여 요망하는 취사 인분의 선택, 곡류 선택 등을 통해 자동 취사 모드를 선택하면 이를 신호 받은 제어부(270)는 중량 감지부(185)에 의한 중량 산출값에 의거하여 설거지 공정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S401).
상술하면, 중량 센서(180)는 밥솥(170)에 의한 하중을 감지하여 중량 감지부(185)로 전달하며, 중량 감지부(185)는 입력되는 하중 감지값에 의거하여 밥솥(170)의 중량을 산출한 후에 이를 제어부(270)로 입력한다(S402). 그러면 제어부(270)는 밥솥(170)의 현재 중량과 구동 데이터 저장부(280)에 기 저장된 설거지 공정의 수행을 위한 기준 중량값을 비교하여 밥솥(170)내에 잔반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S403).
제어부(270)는 밥솥(170)의 자체 중량에 의거한 허용치보다 현재의 중량이 상위하면 밥솥(170)내에 잔반이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잔반 존재 상태를 외부로 나타내기 위한 외부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표시부(290)는 현재 밥솥(170)내에 잔반이 존재함을 문자 또는 기호 등을 통해 외부에 표시한다(S404).
밥솥(170)의 중량이 설거지 공정의 수행을 위한 취사 조건에 만족하면, 즉 잔반이 적어 바로 설거지를 수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급수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 신호를 전달받은 급수 조절부(300)는 급수 밸브(153)를 개방시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밥솥(170)에 투입한다. 이때 급수로(150)의 선단에 설치된 노즐(151)에 의해 물이 소정압으로 분사되는데, 바람직하게 노즐(151)의 분사구가 여러 방면으로 마련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밥솥(170)의 전체면에 걸쳐 골고루 분사되어 밥솥(170)에 붙어있을 밥티를 어느 정도 떼어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S405).
제어부(270)는 중량 감지부(185)로부터 입력되는 중량 산출값과 구동 데이터 저장부(280)에 기 저장된 설거지를 위한 급수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밥솥(170)내에 적정한 량의 물이 투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급수 제한을 위한 급수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 신호를 전달받은 급수 조절부(300)는 급수 밸브(153)를 폐쇄시켜 외부로부터 밥솥(170)으로 투입되던 물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후, 제어부(270)는 구동 데이터 저장부(280)에 기 저장된 설거지를 위한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값을 참조하여 온도 조절부(340)로 온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로서 온도 조절부(340)는 히터(210)를 작동시켜 밥솥(170)을 가열하는 불림 공정을 수행한다. 즉 밥솥(170)내 물의 온도를 상승시켜 설거지 효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S406).
기 설정된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에 만족하면 제어부(270)는 구동 데이터 저장부(280)에 기 저장된 설거지 시간 데이터를 참조하여 동력 발생부(330)로 회전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동력 발생부(330)는 모터(230)를 소정 시간간격으로 교번하여 정회전 및 역회전시킨다. 이러한 모터(230)의 회전력은 2개의 풀리(241, 243)와 밸트(242)로 이루어진 동력전달계에 의해 선반(220)으로 전달되며, 이로서 선반(220)의 정/역회전에 따라 밥솥(170)이 소정 시간간격으로 교번하여 정회전 및 역회전한다.
그러면, 밥솥(170)내에서는 물의 와류 현상이 발생되며, 이러한 물의 작용으로 밥솥(170)에 붙어있는 밥티가 떨어져 나온다(S407).
기 설정된 설거지 시간에 만족하면 제어부(270)는 배수 조절부(320)로 설거지 배수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배수 조절부(320)는 필터 밸브(190) 및 배수 밸브(200)를 구동시켜 배수로(250)를 개방함으로써 밥솥(170)내의 밥티가 섞인 물을 배수구(171) 및 배수로(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S408).
상기와 같은 S405의 급수 단계 내지 S408의 배수 단계는 구동 데이터 저장부(280)에 기 저장된 소정의 설거지 회수만큼 반복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로서 밥솥(170)은 취사를 위해 깨끗이 세정된 상태에 놓인다.
다음으로, 제어부(270)는 필터 밸브(190) 및 배수 밸브(200)를 제어하여 배수로(250)를 폐쇄시킨 후에 사용자가 선택한 취사 인분 설정값과 곡류 종류 선택값 등을 기준으로 하여 구동 데이터 저장부(280)에 기 저장된 곡류 공급량 데이터를 읽어들이며, 이에 따라 곡류 공급 조절부(310)로 곡류 공급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를 전달받은 공류 공급 조절부(310)는 곡류 공급 밸브(163)를 개방시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류를 밥솥(170)에 투입한다.
제어부(270)는 중량 감지부(185)로부터 입력되는 중량 산출값과 구동 데이터 저장부(280)에 기 저장된 설거지를 위한 곡류 공급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밥솥(170)내에 적정한 량의 곡류가 투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곡류 공급 제한을 위한 곡류 공급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 신호를 전달받은 곡류 공급 조절부(310)는 곡류 공급 밸브(163)를 폐쇄시켜 외부로부터 밥솥(170)으로 투입되던 곡류의 공급을 차단한다(S409).
밥솥(170)의 중량이 사용자가 선택한 취사 인분값에 의거한 취사 중량을 만족하면 제어부(270)는 급수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 신호를 전달받은 급수 조절부(300)는 급수 밸브(153)를 개방시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밥솥(170)에 투입한다. 이때 급수로(150)의 선단에 설치된 노즐(151)에 의해 물이 소정압으로 분사되는데, 바람직하게 노즐(151)의 분사구가 여러 방면으로 마련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밥솥(170)의 전체면에 걸쳐 골고루 분사되어 밥솥(170)에 투입된 곡류를 어느 정도 세척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S411∼S412).
제어부(270)는 중량 감지부(185)로부터 입력되는 중량 산출값과 구동 데이터 저장부(280)에 기 저장된 곡류 세척을 위한 급수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밥솥(170)내에 적정한 량의 물이 투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급수 제한을 위한 급수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 신호를 전달받은 급수 조절부(300)는 급수 밸브(153)를 폐쇄시켜 외부로부터 밥솥(170)으로 투입되던 물의 공급을 차단한다(S413∼S414).
이후, 제어부(270)는 구동 데이터 저장부(280)에 기 저장된 곡류 세척 시간 데이터를 참조하여 동력 발생부(330)로 회전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동력 발생부(330)는 모터(230)를 소정 시간간격으로 교번하여 정회전 및 역회전시킨다. 이러한 모터(230)의 회전력은 2개의 풀리(241, 243)와 밸트(242)로 이루어진 동력전달계에 의해 선반(220)으로 전달되며, 이로서 선반(220)의 정/역회전에 따라 밥솥(170)이 소정 시간간격으로 교번하여 정회전 및 역회전한다.
그러면, 밥솥(170)내에서는 물의 와류 현상이 발생되며, 이러한 물의 작용으로 밥솥(170)에 투입된 곡류가 세척되는 것이다(S415).
기 설정된 곡류 세척 시간에 만족하면 제어부(270)는 배수 조절부(320)로 곡류 세척 배수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배수 조절부(320)는 배수 밸브(200)만을 개방상태로 구동시킨다. 즉 필터 밸브(190)의 필터(191)는 배수로(250)상에 그대로 남겨지며, 배수 밸브(200)의 개방에 따라 밥솥(170)내의 물이 배수구(171) 및 배수로(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세척된 곡류는 필터(191)에 의해 필터링되어 배수로(250)를 통해 배출되지 않는다(S416).
상기와 같은 S412의 급수 단계 내지 S416의 배수 단계는 구동 데이터 저장부(280)에 기 저장된 소정의 곡류 세척 회수만큼 반복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로서 밥솥(170)내의 곡류는 취사를 위해 깨끗이 세정된 상태에 놓인다.
다음으로, 제어부(270)는 배수 밸브(200)를 제어하여 배수로(250)를 폐쇄시킨 후에 사용자가 선택한 취사 인분 설정값과 곡류 종류 선택값 등을 기준으로 하여 구동 데이터 저장부(280)에 기 저장된 취사를 위한 급수량 데이터를 읽어들이며, 이에 근거하여 급수 조절부(300)로 급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를 전달받은 급수 조절부(300)는 급수 밸브(153)를 개방시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밥솥(170)에 투입한다(S417).
제어부(270)는 중량 감지부(185)로부터 입력되는 중량 산출값과 구동 데이터 저장부(280)에 기 저장된 취사를 위한 급수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밥솥(170)내에 적정한 량의 물이 투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급수 제한을 위한 급수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 신호를 전달받은 급수 조절부(300)는 급수 밸브(153)를 폐쇄시켜 외부로부터 밥솥(170)으로 투입되던 물의 공급을 차단한다(S418∼S419).
이후, 제어부(270)는 구동 데이터 저장부(280)에 기 저장된 취사를 위한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값을 참조하여 온도 조절부(340)로 온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로서 온도 조절부(340)는 히터(210)를 작동시켜 밥솥(170)을 가열하는 취사 공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취사 공정은 통상의 전기 밥솥에 의한 취사 공정에 의해 공지된 제어과정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420).
다음으로, 제어부(270)는 취사가 완료되면 구동 데이터 저장부(280)에 기 저장된 보온을 위한 가열 온도를 참조하여 온도 조절부(340)로 온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온도 조절부(340)는 히터(210)를 작동시켜 밥솥(170)을 보온 온도로 유지하게 된다(S421∼S422).
아울러, 제어부(270)는 취사가 완료된 상태임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하여 외부표시 제어신호를 표시부(290)로 출력하며, 표시부(290)는 현재 취사가 완료된 후에 밥이 보온되고 있음을 문자 또는 기호 등을 통해 외부에 표시한다(S423).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일예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밥솥의 설거지를 위해 급수 노즐 설치, 불림 공정, 선반을 이용한 밥솥의 정/역회전 등 여러 수단이 채택되었는데, 이러한 모든 수단이 함께 채택된 경우에 가장 우수한 설거지 효능이 발휘될 것이나 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설거지 수단만이 채택되더라도 설거지 효능이 발휘됨은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 취사 모드에서 밥솥내 잔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 후에 설거지를 수행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류의 량을 조절하여 물을 이용한 세척 후에 취사 및 보온을 순차적으로 자동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설거지와 곡류 세척 과정 등과 같은 취사 사전 준비 과정에서부터 취사 및 보온까지 전체 취사 공정을 자동화시켜 종래 기술에서 사용자가 취사 사전 준비를 직접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시간 소비의 문제점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를 위한 밥솥 본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를 위한 밥솥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의 제어과정을 보인 흐름도.

Claims (18)

  1. 자동 취사 기능의 선택을 위한 입력부와,
    일측에 마련된 배수구가 배수로에 연결되어진 밥솥과,
    상기 밥솥의 내부로 투입되는 물과 곡류의 량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밥솥의 설거지와 상기 밥솥에 공급된 곡류의 세척 및 취사를 위한 각종 구동 데이터가 저장되는 구동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자동 취사 명령과 상기 감지부에 의한 감지량 및 상기 구동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구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설거지와 곡류 세척 및 취사를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급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밥솥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를 통해 상기 밥솥으로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는 급수 조절부와,
    상기 제어부의 곡류 공급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기 위한 곡류 공급로를 통해 상기 밥솥으로 공급되는 곡류의 량을 조절하는 곡류 공급 조절부와,
    상기 제어부의 배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밥솥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로를 통해 배출하는 배수 조절부와,
    상기 제어부의 온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밥솥을 상기 곡류 세척을 위한 불림 온도로 가열 및 상기 취사를 위한 취사 온도로 가열하는 온도 조절부
    를 포함하는 자동 취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밥솥을 내부에 안치하여 보호하는 하부 본체와,
    회전축으로 가진 회전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회전 연결부재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밥솥을 개폐하는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 또는 상기 상부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본체에 의한 상기 밥솥의 폐쇄 상태에서 불요의 개방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상호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취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곡류를 상기 밥솥으로 각각 투입하기 위한 상기 급수로와 상기 곡류 공급로가 마련되며, 상기 급수로와 상기 곡류 공급로를 개폐하는 급수 밸브와 곡류 공급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 밸브와 곡류 공급 밸브는 상기 급수 조절부와 상기 곡류 공급 조절부에 의하여 각각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취사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로의 상기 밥솥을 향하는 선단에는 물을 소정 압력으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취사 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로 또는 곡류 공급로의 상기 상부 본체 외부를 향하는 선단에는 물 공급장치 또는 곡류 공급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취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의 상기 하부 본체 외부를 향하는 선단에는 배수 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취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밥솥의 하부에서 상기 밥솥을 지지하면서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선반과,
    상기 선반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제어부의 회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동력 발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취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및 모터의 회전축에 풀리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풀리들이 동력을 전달하는 밸트에 의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취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밥솥의 하중을 감지하는 중량 센서의 감지값에 의거해 중량을 산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취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를 통해 곡류는 빠져나가지 못하게 필터링하고 물은 배수하는 필터 밸브와 상기 배수로를 개폐하는 배수 밸브가 상기 배수로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 조절부는 상기 배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필터 밸브 및 배수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취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조절부는 상기 설거지를 위해 상기 필터 밸브와 배수 밸브를 함께 구동시켜 상기 배수로를 완전 개방하며, 상기 곡류 세척을 위해 상기 배수 밸브만을 구동시켜 상기 필터 밸브를 통해 상기 곡류가 상기 배수로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취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외부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각종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취사 장치.
  13. 자동 취사 모드에서 밥솥내 잔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 후에 설거지를 수행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류의 량을 조절하여 물을 이용한 세척 후에 취사를 자동 수행하는 자동 취사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자동 취사 모드에서 밥솥의 하중에 의거하여 산출한 중량과 기 설정된 자체 중량을 비교하여 잔반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밥솥내의 잔반량이 설거지 공정의 수행을 위한 취사 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밥솥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를 개방하여 소정 량의 물을 상기 밥솥으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물이 투입된 밥솥을 기 설정된 불림 온도로 소정 시간동안 가열하여 상기 밥솥에 붙어있는 밥티가 떨어지게 하는 단계와,
    상기 밥솥의 배수구에 연결된 배수로를 완전 개방하여 상기 밥티가 섞인 물을 상기 밥솥의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기 위한 곡류 공급로를 개방하여 소정 량의 곡류를 상기 밥솥으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급수로를 개방하여 상기 밥솥으로 공급되는 물을 노즐을 통해 소정 압력으로 분사하여 상기 곡류를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배수로를 부분 개방하여 상기 세척을 위해 사용한 물은 상기 배수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되 상기 세척된 곡류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필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급수로를 개방하여 소정 량의 물을 상기 밥솥으로 투입한 후에 상기 밥솥을 취사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밥솥 내의 곡류를 취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취사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거지 공정의 수행을 위해 상기 밥솥으로 물을 투입할 때에 상기 물을 노즐을 통해 소정 압력으로 분사하여 설거지 효능이 발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취사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거지 공정의 수행을 위해 상기 밥솥으로 물을 투입한 후에 상기 밥솥을 불림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밥솥내 물의 온도를 상승시켜 설거지 효능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취사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거지 공정의 수행을 위해 상기 밥솥으로 물을 투입한 후에 상기 밥솥을 회전시켜 상기 밥솥내 물의 와류 현상으로 상기 밥솥에 붙어있는 밥티가 떨어지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취사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 세척 공정의 수행을 위해 상기 밥솥으로 물을 투입한 후에 상기 밥솥을 회전시켜 상기 밥솥내 물의 와류 현상으로 상기 밥솥내 곡류의 세척 효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취사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밥솥을 소정 시간간격으로 교번하여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취사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3-0073603A 2003-10-22 2003-10-22 자동 취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16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603A KR100516728B1 (ko) 2003-10-22 2003-10-22 자동 취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603A KR100516728B1 (ko) 2003-10-22 2003-10-22 자동 취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330A KR20050038330A (ko) 2005-04-27
KR100516728B1 true KR100516728B1 (ko) 2005-09-22

Family

ID=37240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603A KR100516728B1 (ko) 2003-10-22 2003-10-22 자동 취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7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458B1 (ko) * 2008-03-06 2010-11-15 노용섭 자동 취사장치
KR101402764B1 (ko) 2012-06-21 2014-06-03 박지명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
KR200478606Y1 (ko) * 2015-05-06 2015-10-26 송준화 자동 쌀 세척 밥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3246A (zh) * 2017-05-15 2017-07-04 张岳 一种智能洗菜篮,使用方法及用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030A (ko) * 1992-01-18 1993-08-26 정승영 자동취반장치 및 방법
JPH05337036A (ja) * 1992-06-04 1993-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保温機能付の炊飯器
JPH07231847A (ja) * 1994-07-25 1995-09-05 Iseki & Co Ltd 炊飯釜の自動洗浄装置
JPH10234565A (ja) * 1997-02-25 1998-09-08 Hideaki Sawabe 水流による洗米装置付き炊飯器
KR20010025379A (ko) * 2000-12-20 2001-04-06 조교운 전자동 밥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030A (ko) * 1992-01-18 1993-08-26 정승영 자동취반장치 및 방법
JPH05337036A (ja) * 1992-06-04 1993-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保温機能付の炊飯器
JPH07231847A (ja) * 1994-07-25 1995-09-05 Iseki & Co Ltd 炊飯釜の自動洗浄装置
JPH10234565A (ja) * 1997-02-25 1998-09-08 Hideaki Sawabe 水流による洗米装置付き炊飯器
KR20010025379A (ko) * 2000-12-20 2001-04-06 조교운 전자동 밥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458B1 (ko) * 2008-03-06 2010-11-15 노용섭 자동 취사장치
KR101402764B1 (ko) 2012-06-21 2014-06-03 박지명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
KR200478606Y1 (ko) * 2015-05-06 2015-10-26 송준화 자동 쌀 세척 밥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330A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5626B2 (en) Commercial frozen food preparation apparatus
US9681790B2 (en) Obstacle sensing spray arm for a dishwashing machine
US20110146715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the release of cleaning agents into a dishwasher cycle
WO2009091635A2 (en) Self-cleaning rotisserie oven
US20070017551A1 (en) Dishwasher fill control
EP0842614A2 (en) An improved method of washing fruit or vegetables
EP3667174A1 (en)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10088724A1 (en) Rinse aid release detection method
KR100516728B1 (ko) 자동 취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18063B1 (ko) 라면 자동 판매장치
KR100555974B1 (ko) 자동 취사 장치의 곡류 세척 공정 제어방법
KR102230162B1 (ko) 자동조리 밥솥
KR101317262B1 (ko) 예약 취사용 계량 수조가 구비된 전기밥솥
KR100555882B1 (ko) 노즐형 자동 취사 장치의 설거지 공정 제어방법
KR100551358B1 (ko) 자동 취사 장치
JP3327530B2 (ja) 飲料供給装置
KR100551356B1 (ko) 자동 취사 장치
KR20040054628A (ko) 자동취사장치
JP2006102006A (ja) 食器洗い機
KR100516729B1 (ko) 자동 취사 장치
KR100551357B1 (ko) 자동 취사 장치
JP2006102005A (ja) 新たに動作設定が可能な制御手段を有する電気機器
KR100551361B1 (ko) 자동 취사 장치
KR200141542Y1 (ko) 밥 자동 취사기의 물 공급장치
KR20050038332A (ko) 세척봉형 자동 취사 장치의 설거지 공정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