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054B1 - 차량의 부력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부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054B1
KR0174054B1 KR1019940018104A KR19940018104A KR0174054B1 KR 0174054 B1 KR0174054 B1 KR 0174054B1 KR 1019940018104 A KR1019940018104 A KR 1019940018104A KR 19940018104 A KR19940018104 A KR 19940018104A KR 0174054 B1 KR0174054 B1 KR 0174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unit
electronic control
water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101A (ko
Inventor
심민형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40018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054B1/ko
Publication of KR960004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86Electronic control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의 주행중 사고로 인하여 차량이 강이나 바다로 추락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공기 주머니가 부풀면서 차량이 물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등의 익사 사고를 방지할 목적으로; 차내 콘솔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물에 잠겼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전자제어유닛으로 신호를 보내는 물감지 센서와; 차량의 엔진룸과 트렁크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한 기폭장치의 폭발로 공기탱크의 질소가스에 의하여 팽창하는 전·후 공기 주머니와; 상기 전자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전·후 공기 주머니의 팽창과 동시에 동작하면서 트렁크 후드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트렁크 후드 오픈 래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의 부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부력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용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차량의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계통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차량의 부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중 사로로 인하여 차량이 강이나 바다로 추락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공기주머니가 부풀면서 차량이 물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등의 익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부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최근 차량이 급증하면서 이에 따른 안전 사고가 급증하는 추세이다.
이에따라 최근 제작 출고되는 차량에는 이에 대응하는 안전장치 즉,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이라든가 에어백이 장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안전장치는 차량의 충돌 및 추돌 사고에 대한 안전장치일 뿐이며, 교량이나 강변로 및 해안로를 주행하다가 운전자의 실수 또는 비상 대피등의 여러가지 이유로 차량이 물에 빠질 때 이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안정장치로서의 기능은 수행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물속으로 빠질 때 운전자 및 탑승자가 정신을 잃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차량의 도어를 열고 대피하여 인명사고를 줄일 수는 있으나, 운전자 및 탑승자가 기절을 하거나 차량의 파손으로 도어를 열 수 없는 경우에는 차량이 물속으로 잠기면서 익사하게 되어 많은 인명피해를 입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중 사고로 인하여 차량이 강이나 바다로 추락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공기 주머니가 부풀면서 차량이 물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등의 익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부력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내 콘솔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물에 잠겼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전자 제어유닛으로 신호를 보내는 물감지 센서와; 차량의 엔진룸과 트렁크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한 기폭장치의 폭발로 공기탱크의 질소가스에 의하여 팽창하는 전·후 공기 주머니와; 상기 전자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전·후 공기 주머니의 팽창과 동시에 동작되면서 트렁크 후드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트렁크 후드 오픈 래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의 부력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적용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차량의 측면도 및 그의 계통도로서, 부호 2는 물감지 센서를 지칭한다.
상기 물감지 센서(2)는 차내 콘솔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며, 이는 물에 잠겼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전자 제어유닛(4)으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 제어유닛(4)에는 전·후 공기 주머니(6)(8)와 트렁크 후드 오픈 래피(10)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전·후측 공기 주머니(6)(8)는 질소가스가 압축 저장되는 공기 탱크와 이의 탱크 입구부를 개방할 수 있는 기폭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자 제어유닛(4)은 상기 기폭장치와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측 공기 주머니(6)는 차량의 엔진 하측부 소정 위치에 배치되며, 후측 공기 주머니(8)는 트렁크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따라 차량이 운행중에 사고로 인하여 강물이나 바닷물속으로 빠지는 경우에는 차량이 서서히 잠기게 되며, 이때 물이 콘솔에 배치되어 있는 물감지 센서(2)가 잠기게 되면, 물감지 센서(2)는 현재 차량이 물속에 잠기고 있다는 신호를 전자 제어유닛(4)으로 보내게 된다.
그러면 전자 제어유닛(4)에서는 전·후측 공기 주머니(6)(8)의 기폭장치에 전기적 신호를 가하여 폭발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트렁크 후드 오픈래치(10)를 동작시켜 각각의 공기탱크 압축공기가 팽창되면서 공기주머니(6)(8)를 부풀게 함은 물론 트렁크 후드(12)를 열리게 한다.
이와같이 트렁크 후드(12)가 열리면서 공기 주머니(6)(8)가 부풀게 되면, 제3도에서와 같은 상태가 되면서, 공기 주머니(6)(8)의 부력에 의하여 차량이 물속으로 잠기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공기 주머니(6)(8)에 공급된 공기는 공기 주머니(6)(8)을 임의로 터트리기 전까지 빠지지 않도록 함은 물론이다.
이에따라 사고 차량에 탑승하고 있던 운전자 및 탑승자들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고차량을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는 바, 인명피해 및 경제적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차내 콘솔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물에 잠겼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전자제어유닛으로 신호를 보내는 물감지 센서와; 차량의 엔진룸과 트렁크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한 기폭장치의 폭발로 공기탱크의 질소가스에 의하여 팽창하는 전·후 공기 주머니와; 상기 전자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전·후 공기 주머니의 팽창과 동시에 동작되면서 트렁크 후드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트렁크 후드 오픈래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의 부력장치.
KR1019940018104A 1994-07-26 1994-07-26 차량의 부력장치 KR0174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104A KR0174054B1 (ko) 1994-07-26 1994-07-26 차량의 부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104A KR0174054B1 (ko) 1994-07-26 1994-07-26 차량의 부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101A KR960004101A (ko) 1996-02-23
KR0174054B1 true KR0174054B1 (ko) 1999-02-18

Family

ID=19388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104A KR0174054B1 (ko) 1994-07-26 1994-07-26 차량의 부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0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481B1 (ko) * 2009-07-06 2011-01-05 김영근 보조 부력체 및 이를 갖는 수륙양용차
KR20220000694A (ko) 2020-06-26 2022-01-04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부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630B1 (ko) * 2019-04-05 2021-02-03 대한민국 차량용 침수방지 튜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481B1 (ko) * 2009-07-06 2011-01-05 김영근 보조 부력체 및 이를 갖는 수륙양용차
KR20220000694A (ko) 2020-06-26 2022-01-04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부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101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80937B2 (ja) 乗物の側面衝撃に対する搭乗者拘束手段及びその拘束方法
US8695521B2 (en) Vehicle flotation system
CN106945623A (zh) 一种乘用车防水淹气囊系统
US20090111341A1 (en) Floating air bag
US5246083A (en) Inflatable air bag for motor vehicles
JPH09164906A (ja) 自動車の非常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530573B1 (ko) 선박용 에어백장치
CN108819894A (zh) 一种汽车防撞防沉气囊系统及实现方法
KR102125151B1 (ko) 침수차량 구조시스템 제어 방법 및 침수 차량 구조시스템
KR0174054B1 (ko) 차량의 부력장치
US6502856B1 (en) Rollover air bag system
JP2009116728A (ja) 事故車両への追突防止装置
KR102514405B1 (ko) 차량의 침수 예방 안전장치
JP2005132153A (ja) エアバッグ装置
CN208789630U (zh) 一种汽车防撞防沉气囊系统
JPH11170965A (ja) 自動車用車外フロントエアーバッグ
KR19990042566A (ko) 자동차의 차체 에어백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218172192U (zh) 一种车辆落水缓沉系统
US20050127646A1 (en) Airbag system
KR20180114305A (ko) 자동차용 자동 소화기 시스템
JP2577963Y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100214985B1 (ko) 차량전복 침수시 차량자세 제어장치
KR100224245B1 (ko) 측면 에어백 작동 제어장치
KR100189492B1 (ko) 침수차량의 자동 응급장치
KR200336178Y1 (ko) 팽창 후 수상 구명(救命)장비로 사용 가능한 차량용측면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