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481B1 - 보조 부력체 및 이를 갖는 수륙양용차 - Google Patents

보조 부력체 및 이를 갖는 수륙양용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481B1
KR101005481B1 KR1020090061069A KR20090061069A KR101005481B1 KR 101005481 B1 KR101005481 B1 KR 101005481B1 KR 1020090061069 A KR1020090061069 A KR 1020090061069A KR 20090061069 A KR20090061069 A KR 20090061069A KR 101005481 B1 KR101005481 B1 KR 101005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receiving chamber
auxiliary buoyancy
flexi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근
Original Assignee
김영근
주식회사 소두머니씨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근, 주식회사 소두머니씨앤티 filed Critical 김영근
Priority to KR1020090061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F3/0038Flotation, updrift or stabili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 부력체는,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고 그 내부에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기 수용실 및 물을 수용하기 위한 물 수용실을 갖는 가요성 몸체, 가요성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요성 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 공기 수용실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가요성 몸체에 형성된 공기 주입구멍, 물 수용실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가요성 몸체에 형성된 물 주입구멍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 부력체는 수상에서 사용되는 운송수단에 결합되어 간단하게 운송수단의 수상에서의 자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상 활동공간을 확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 부력체 및 이를 갖는 수륙양용차{ASSISTANT BUOYANCY DEVICE AND AMPHIBIOUS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조 부력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에서 사용되는 운송수단에 결합되어 운송수단이 물 위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수상 활동공간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부력체 및 이를 갖는 수륙양용차에 관한 것이다.
수륙양용차는 육지뿐만 아니라 물 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차량으로, 육지에서 주행이 가능하고 물 위에서도 추진이 가능하다. 수륙양용차는 수상부양이 가능하도록 부력을 갖도록 설계된다. 수륙양용차는 주로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현재 수륙양용차의 수상부양 및 수상추진 기술은 군사용 이외에 다양한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레저 활동 인구가 증가하면서 수륙양용차를 이용한 레저 활동도 증가하고 있고, 수륙양용차를 이용한 관광상품이나 체험학습도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다.
수륙양용차는 수상부양 기능이 있어서, 수상 레저 활동에 있어서 보트를 대 체할 수 있다. 일례로, 수상에서 낚시를 하기 위해 보트 대신 수륙양용차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수륙양용차는 보트보다는 수상에서의 안전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물 위로 이동한 수륙양용차 위에서 이용자의 움직임이 크면 수륙양용차가 흔들리기 쉽고, 물결이 세질 경우에도 수륙양용차의 흔들림이 커져 전복의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륙양용차를 비롯하여 수상에서 사용되는 운송수단에 결합되어 운송수단이 물 위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물 위에서 활동공간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부력체 및 이를 갖는 수륙양용차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 부력체는,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고 그 내부에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기 수용실 및 물을 수용하기 위한 물 수용실을 갖는 가요성 몸체, 상기 가요성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 상기 공기 수용실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몸체에 형성된 공기 주입구멍, 상기 물 수용실 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몸체에 형성된 물 주입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 수용실은 상기 물 수용실이 상기 공기 수용실이 팽창할 때 팽창하여 상기 물 주입구멍을 통해 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물 수용실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수용실은 복수가 마련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 부력체는 상기 복수의 공기 수용실을 구획하기 위해 상기 가요성 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 부력체는, 상기 복수의 공기 수용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기 수용실에서 다른 공기 수용실 쪽으로만 개방되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수용실을 구획하는 상기 격벽에 마련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 부력체는 상기 물 주입구멍과 연결되도록 상기 가요성 몸체의 외면에 구비되는 출입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 부력체는 상기 물 수용실을 팽창시켜 상기 물 주입구멍을 통해 상기 물 수용실의 내부로 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몸체에 마련되고, 공기 주입 및 배출에 의해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가요성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튜브는 상기 공기 수용실에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수용실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 부력체는 상기 공기 주입구멍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공기 주입구멍에 결합되는 개폐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 부력체는 수상용 운반수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몸체의 외측에 결합되는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륙양용차는, 육상에서 주행 가능한 휠을 갖고 수상에서 부상 가능한 차체, 수상에서 상기 차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차체에 결합되고,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고 그 내부에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기 수용실 및 물을 수용하기 위한 물 수용실을 갖는 가요성 몸체, 상기 공기 수용실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몸체에 형성된 공기 주입구멍 및 상기 물 수용실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몸체에 형성된 물 주입구멍을 갖는 보조 부력체, 상기 보조 부력체를 상기 차체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차체 및 상기 보조 부력체에 연결되는 결합 수단, 상기 공기 주입구멍을 통해 상기 가요성 몸체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 주입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 수용실은 상기 물 수용실이 상기 공기 수용실이 팽창할 때 팽창하여 상기 물 주입구멍을 통해 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물 수용실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륙양용차는 상기 물 수용실에 물을 강제 주입하기 위한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차체의 내부에서 상기 차체의 외측면까지 연장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몸체에 연결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부력체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가요성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상기 가요성 몸체와 상기 가이드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착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 부력체는 수상에서 사용되는 운송수단에 결합되어 간단하게 운송수단의 수상에서의 자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상에서의 활동공간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륙양용차는 공기 및 물을 수용하는 보조 부력체가 물 위에서 차체를 지지하고 차체의 부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수상에서 낚시 및 레저 활동 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보조 부력체 자체를 활용하여 수상 활동 공간을 확대시킬 수 있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 부력체 및 이를 갖는 수륙양용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 부력체를 갖는 수륙양용차 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륙양용차는, 차체(10)에 주행 가능하게 설치된 휠(11) 및 휠(11)을 회전시키기 위한 주행 메커니즘(미도시)을 가지고 있어서 육상에서 주행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차체(10)가 부력을 갖도록 설계되고 수상에서 추진할 수 있는 추진 메커니즘(미도시)을 가지고 있어서 수상에서도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수륙양용차의 수륙양용 구조는 연료나 전기를 구동력으로 하는 통상적인 것과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륙양용차는, 통상적인 것에 비해 수상에서의 자세 안정성을 확보하고, 수상 활동공간을 확대하기 위한 보조 부력체(20)를 더 포함한다. 보조 부력체(20)는 차체(10)의 좌우 외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도록 두 개가 구비된다. 물론 보조 부력체(20)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차체(10)에는 부조 부력체(20)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실(12)과 한 쌍의 보조 부력체(20)를 각각 차체(10)의 외측면으로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이 마련된다. 보조 부력체(20)는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구조로 된 것으로 그 내부에 공기 및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수축된 보조 부력체(20)에 공기를 강제 주입하거나 팽창된 보조 부력체(20)로부터 공기를 강제로 빼내기 위해 차체(10)의 일측에는 에어 컴프레셔(15)가 설치된다. 에어 컴프레셔(15)는 공기의 주입 및 공기의 흡입이 가능한 것이 이용된다. 이러한 에어 컴프레셔(15)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은 생략하기로 한다. 에어 컴프레셔(15)는 보조 부력체(20)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다른 공기 주입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보조 부력체(20)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실(12)은 차체(10)의 설치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차량용 시트(13) 하부에 마련된다. 차량용 시트(13)는 힌지 장치(17)에 의해 차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시트(13)를 젖히면 수납실(12)이 드러나게 된다. 보조 부력체(20)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4)은 수납실(12)에서 차체(10)의 외측면까지 연장된다. 가이드 레일(14)의 중앙에는 가이드 홈(14a)이 마련되고, 보조 부력체(20)는 가이드 홈(14a)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44;도 5참조)를 구비하여서 보조 부력체(20)는 가이드 레일(1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물론, 보조부력체(20)는 다양한 장소에 보관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 레일(14)을 따라 차체(10)의 외측면으로 이동한 보조 부력체(20)에 공기를 주입하면, 보조 부력체(20)가 팽창과 함께 하부의 물을 끌어들여 효율적으로 차체(10)에 부력을 증가시키고 차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체(10) 위에서 이용자의 움직임이 커지거나 물결이 일더라도 차체(10)는 물 위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보조부력체 위에 텐트 등을 설치하여 수상에서의 활동공간을 확대 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 부력체(20)는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 가요성 몸체(21), 가요성 몸체(21)의 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공기 수용실(22)(23) 및 물 수용실(24), 가요성 몸체(2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25)(26), 가요성 몸체(21)의 외면에 결합된 복수의 주입기구(27)(28) 및 결합기구(40)를 포함한다. 복수의 격벽(25)(26)은 가요성 몸체(21)의 내부 공간을 공기가 수용되는 복수의 공기 수용실(22)(23) 및 물이 수용되는 물 수용실(24)로 구획한다. 이렇게 보조 부력체(20)는 가요성 몸체(21)의 내부가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공간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차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제 1 주입기구(27)는 제 1 공기 수용실(22)과 연결되도록 가요성 몸체(21)에 형성된 제 1 공기 주입구멍(22a)에 설치되고, 제 2 주입기구(28)는 제 2 공기 수용실(23)과 연결되도록 가요성 몸체(21)에 형성된 제 2 공기 주입구멍(23a)에 설치된다. 사용자는 에어 컴프레셔(15)를 이용하여, 제 1 주입기구(27)를 통해 제 1 공기 수용실(22)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고, 제 2 주입기구(28)를 통해 제 2 공기 수용실(23)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에어 컴프레셔(15)의 동작을 조작하여, 제 1 주입기구(27)를 통해 제 1 공기 수용실(22)의 공기를 빼낼 수 있고, 제 2 주입기구(28)를 통해 제 2 공기 수용실(23)의 공기를 빼낼 수 있다. 제 1 주입기구(27) 및 제 2 주입기구(28)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에어 컴프레셔(15)의 공기 주입호스(16)가 연결되면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1 주입기구(27) 및 제 2 주입기구(28)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구조의 밸브가 이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공기 수용실(22) 및 제 2 공기 수용실(23)을 구획하는 격벽(25)에는 체크 밸브(30)가 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체크 밸브(30)는 제 1 공기 수 용실(22)과 제 2 공기 수용실(23)을 연결하는 통공(31a)이 형성된 시트부(31)와 통공(31a)을 개폐하기 위해 시트부(31)에 결합된 커버부(32)를 포함한다. 커버부(32)는 통공(31a)을 덮어 제 1 공기 수용실(22)과 제 2 공기 수용실(23)을 구획하지만, 제 1 공기 수용실(22)에서 제 2 공기 수용실(23) 쪽으로 일정 압력 이상의 힘을 받을 때만 변형되어 통공(31a)을 개방한다.
가요성 몸체(21)를 팽창시킬 경우, 제 1 주입기구(27)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제 1 공기 수용실(22)이 일정량 팽창한 후 커버부(32)가 변형되어 제 2 공기 수용실(23) 쪽으로도 공기가 주입된다. 따라서, 제 2 주입기구(28)를 사용하지 않고도 제 1 공기 수용실(22) 및 제 2 공기 수용실(23)에 모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반면, 각 공기 수용실(22)(23)로부터 공기를 빼낼 경우에는 제 1 주입기구(27) 및 제 2 주입기구(28)를 모두 이용하여 제 1 공기 수용실(22) 및 제 2 공기 수용실(23)의 공기를 빼낼 수 있다. 이들 주입기구(27)(28)는 공기 주입호스(16)의 연결에 의해 자동으로 공기 주입구멍(22a)(23a)을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개폐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물 수용실(24)은 복수의 격벽(25)(26)에 의해 제 1 공기 수용실(22) 및 제 2 공기 수용실(23)과 구획되며, 제 1 공기 수용실(22) 및 제 2 공기 수용실(23)로 둘러 싸인다. 물 수용실(24)은 가요성 몸체(21)의 하면에 형성된 물 주입구멍(24a)을 통해 외부와 연결된다. 가요성 몸체(21)의 하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출입튜브(35)가 물 주입구멍(24a)과 연결되도록 마련되어서 출입튜브(35)를 통해 외부의 물이 물 수용실(24)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물 수용실(24)로 유입된 물은 출입튜 브(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물 수용실(24)은 별도의 팽창 또는 수축 동작을 가하지 않더라도, 제 1 공기 수용실(22) 및 제 2 공기 수용실(23)이 팽창하면 팽창하고, 제 1 공기 수용실(22) 및 제 2 공기 수용실(23)이 수축하면 수축한다. 따라서, 출입튜브(35)의 끝단이 물속에 잠긴 상태에서 제 1 공기 수용실(22) 및 제 2 공기 수용실(23)에 공기가 주입되면, 물 수용실(24)이 팽창하면서 출입튜브(35)를 통해 물이 물 수용실(24)로 흡입된다. 반대로, 제 1 공기 수용실(22) 및 제 2 공기 수용실(23)의 공기가 강제로 배출되어 이들 공간이 수축되면 물 수용실(24)도 함께 수축되면서 물 수용실(24)의 물이 출입튜브(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기 및 물을 수용하여 팽창한 한 쌍의 보조 부력체(20)는 차체(10)의 좌우 양쪽 측면에서 차체(10)를 지지함으로써 차체(10)를 물 위에서 흔들리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부력체(20)는 공기 뿐만아니라 물을 수용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움직이거나 들리지 않는다. 따라서, 공기만 수용하는 통상의 튜브체에 비해 수륙양용차의 차체(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요성 몸체(21)의 외부 일측에는 차체(1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기구(40)가 구비된다. 결합기구(40)는 가요성 몸체(21)에 결합된 고정구(41)와 고정구(4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43)를 포함한다. 고정구(41)는 가이드 부재(43)의 결합을 위한 삽입구(41a)와 가이드 부재(43)를 고정구(41)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버튼(42)을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43)는 가이드 레일(14)의 가이드 홈(14a)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44)와 고정구(41)의 삽입구(41a)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 돌기(45)를 갖는다.
사용자는 삽입 돌기(45)를 삽입구(41a)에 삽입하는 것으로 가이드 부재(43)를 고정구(41)에 결합할 수 있고, 버튼(42)을 누르는 것으로 가이드 부재(43)를 고정구(41)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경우에 따라 가이드 부재(43)를 고정구(41)로부터 분리하여 보조 부력체(20)를 차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43)를 가요성 몸체(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착탈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가이드 부재(43)의 삽입 돌기(45), 고정구(41)의 삽입구(41a) 및 버튼(42)은 가이드 부재(43)를 가요성 몸체(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다른 착탈 수단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보조 부력체(20)를 가이드 레일(14)을 따라 차체(10)의 외측면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핀(48)을 이용하여 보조 부력체(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4) 및 차체(10)에는 고정핀(48)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구멍(10a)이 마련된다. 가이드 돌기(44)를 가이드 레일(14)의 끝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핀(48)을 고정구멍(10a)에 삽입하면 가이드 돌기(44)가 고정핀(48)에 걸려 움직이지 못하고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보조 부력체(20)의 구조나 형상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보조 부력체(20)는 공기 및 물을 함께 수용할 수 있는 조건 하에서 공기 수용실(22)(23) 및 물 수용실(24)의 개수나 배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기구(40)는 보조 부력체(20)를 차체(10)에 결합할 수 있는 다른 결합 수단으로 변경될 수 있고, 차체(10)와 보조 부력체(20)의 결합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결합 수단을 변경하면 차체(10)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14)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상술한 보조 부력체(20)를 이용하여 수상으로 이동한 차체(10)를 지지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수륙양용차를 물 위로 이동시킨 후,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납실(12)에 수축된 상태로 수납된 보조 부력체(20)를 가이드 레일(14)을 따라 차체(10)의 외측면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보조 부력체(20)의 가이드 돌기(44)가 가이드 레일(14)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보조 부력체(20)는 차체(10)에 연결된 상태로 차체(10)의 외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보조 부력체(20)를 차체(10)의 외측면으로 이동시킨 후, 사용자는 고정핀(48)을 이용하여 보조 부력체(20)를 가이드 레일(14)을 따라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납실(12)에서 꺼낸 보조 부력체(20)는 수축된 상태 그대로 수면에 펼쳐진다. 이때, 출입튜브(35)의 끝단은 물 속에 잠긴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에어 컴프레셔(15)의 공기 주입호스(16)를 보조 부력체(20)의 제 1 주입기구(27)에 연결하여 제 1 공기 수용실(22)로 공기를 주입한다.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주입기구(27)에 공기를 주입하면 제 1 공기 수용실(22) 뿐만 아니라 제 2 공기 수용실(23)에 공기가 주입된다. 제 1 공기 수용실(22) 및 제 2 공기 수용실(23)에 공기가 주입되어 가요성 몸체(21)가 팽창하면 물 수용실(24)이 팽창하면서 출입튜브(35)를 통해 물이 물 수용실(24)로 흡입된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계속해서 가요성 몸체(21)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면, 제 1 공기 수용실(22) 및 제 2 공기 수용실(23)이 공기로 채워지고, 물 수용실(24)은 물로 채워진다. 이렇게 공기 및 물로 채워진 보조 부력체(20)는 차체(10)의 양쪽 외측면에서 차체(10)의 부력을 증가시키고 차체(10)를 흔들리지 않게 지지한다.
한편, 보조 부력체(20)를 거둬들이기 위해서는 제 1 주입기구(27) 및 제 2 주입기구(28)에 에어 컴프레셔(15)의 공기 주입호스(16)를 연결하고 에어 컴프레셔(15)의 작동 모드를 흡입 모드로 전환시켜 제 1 공기 수용실(22) 및 제 2 공기 수용실(23)의 공기를 배출시킨다. 제 2 공기 수용실(23)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 제 2 공기 수용실(23)을 수축시키면 물 수용실(24)도 수축하면서 물 수용실(24)에 수용된 물이 출입튜브(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보조 부력체(20) 내부의 공기 및 물을 배출시킨 후, 고정핀(48)을 제거하고 보조 부력체(20)를 가이드 레일(14)을 따라 다시 수납실(12)에 수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가요성 몸체(21)에 결합된 고정구(41)를 가이드 부재(43)와 분리함으로써 보조 부력체(20)를 차체(10)에서 떼어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요성 몸체(21)의 상면에 물 수용실(24)과 연결되는 구멍 및 이 구멍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재를 마련하면 물 수용실(24)에 수용된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개폐부재를 조작 하여 구멍을 개방시키고 보조 부력체(20)를 수면으로부터 들어올리면 물 수용실(24)에 수용된 물이 중력에 의해 출입튜브(35)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 부력체(5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보조 부력체(50)는 복수의 공기 수용실(52)(53)(54) 및 물 수용실(55)을 갖는 가요성 몸체(51), 가요성 몸체(51)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 주입기구(56)(57)(58), 가요성 몸체(51)의 하부 일부에 결합된 가요성 튜브(59), 가요성 몸체(51)의 하면에 결합된 출입튜브(60), 가요성 몸체(51)를 가이드 레일(14)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기구(61), 가요성 몸체(5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62)(63)(64)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결합기구(61)는 상술한 보조 부력체(20)의 결합기구(40)와 같은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공기 수용실(52) 및 제 2 공기 수용실(53)을 구획하는 격벽(62)에는 제 1 체크 밸브(65)가 구비되고, 제 2 공기 수용실(53) 및 제 3 공기 수용실(54)을 구획하는 격벽(63)에는 제 2 체크 밸브(66)가 구비된다. 제 1 체크 밸브(65)는 제 1 공기 수용실(52)에서 제 2 공기 수용실(53) 쪽으로만 개방되고, 제 2 체크 밸브(66)는 제 2 공기 수용실(53)에서 제 3 공기 수용실(54) 쪽으로만 개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에어 컴프레셔(15)의 공기 주입호스(16)를 제 1 주입기구(56)에 연결하고 에어 컴프레셔(15)를 작동시킴으로써 제 1 내지 제 3 공기 수용 실(52)(53)(54) 모두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제 1 체크 밸브(65) 및 제 2 체크 밸브(66)는 도 6에 도시된 체크 밸브(30)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요성 튜브(59)는 물 수용실(55)을 감싸도록 가요성 몸체(51)의 외면에 결합된다. 가요성 튜브(59)의 일측 끝단은 제 3 공기 수용실(54)과 연결되어 제 3 공기 수용실(54)에 공기가 주입되면 가요성 튜브(59)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가요성 튜브(59)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가요성 튜브(59)가 팽창하면 물 수용실(55)이 팽창한다. 물 수용실(55)은 격벽(64)에 의해 제 1 내지 제 3 공기 수용실(52)(53)(54)과 구획되고, 물 주입구멍(55a) 및 출입튜브(60)를 통해 외부와 연결된다. 물 수용실(55)이 팽창하면 출입튜브(60)를 통해 물 수용실(55)로 물이 흡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 튜브(59)는 제 1 내지 제 3 공기 수용실(52)(53)(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도록 가요성 몸체(51)의 외면 또는 내면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튜브(59)는 제 1 내지 제 3 공기 수용실(52)(53)(54)과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요성 튜브(59)에는 공기 주입 및 배출을 위한 공기 주입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 부력체(50)는 상술한 보조 부력체(50)와 같이 공기 및 물을 수용함으로써 부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쉽게 들리지 않는다. 따라서, 차체(10)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차체(10)를 물 위에서 흔들리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보조 부력체(50)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 및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에어 컴프레셔(15)를 이용할 수 있다. 에어 컴프레셔(15)의 공기 주입호스(16)를 제 1 내지 제 3 주입기구(56)(57)(58)에 연결하고 에어 컴프레셔(15)를 흡입 모드로 작동시키면 제 1 내지 제 3 공기 수용실(52)(53)(54)의 공기를 강제 배출시킬 수 있다. 제 3 공기 수용실(54)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면 가요성 튜브(59)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공기가 배출되면 가요성 튜브(59)는 수축하고 이에 의해 물 수용실(55)이 수축한다. 물 수용실(55)이 수축하면 물 수용실(55)의 물이 출입튜브(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요성 몸체(51)의 측면에 물 수용실(55)과 연결되는 구멍 및 이 구멍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재를 마련하면 물 수용실(55)에 수용된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개폐부재를 조작하여 구멍을 개방시키고 보조 부력체(50)를 수면으로부터 들어올리면 물 수용실(55)에 수용된 물이 출입튜브(60)를 통해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륙양용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륙양용차는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륙양용차와 대부분의 구성이 같으며, 다만 보조 부력체(70)의 구조가 다르고, 보조 부력체(70)에 물을 주입하기 위한 펌프(18)를 갖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펌프(18)는 보조 부력체(70)의 물 주입구멍(75a)에 연결될 수 있는 물 주입호스(19)를 구비하며, 통상적인 것과 같이 정상 모드 및 역전 모드 동작이 가능하여 물 주입호스(19)를 통해 보조 부력체(70)에 물을 강제 주입할 수도 있고, 보조 부력체(70)로부터 물을 강제 배출시킬 수도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조 부력체(7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보조 부력체(50)와 대부분의 구성이 같은 것으로, 복수의 공기 수용실(72)(73)(74) 및 물 수용실(75)을 갖는 가요성 몸체(71), 가요성 몸체(71)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 주입기구(76)(77)(78), 물 수용실(75)과 연결되도록 가요성 몸체(71)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물 주입구멍(75a), 가요성 몸체(71)를 가이드 레일(14)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기구(80), 가요성 몸체(7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81)(82)(83), 복수의 체크 밸브(84)(8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물 주입구멍(75a)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상술한 보조 부력체(50)와 같은 것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 주입구멍(75a)은 가요성 몸체(71)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공기 수용실(73)을 관통하여 물 수용실(75)을 구획하는 격벽(83)에 연결되는 연결튜브(79)를 통해 물 수용실(75)과 연결된다. 물 주입구멍(75a)은 뚜껑(86)에 의해 개폐된다. 뚜껑(86)은 가요성 몸체(71)의 상면에 결합된 가요성의 연결부재(87)에 결합된다. 물론 뚜껑(86)은 가요성 몸체(71)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물 주입구멍(75a)에 펌프(18)의 물 주입호스(19)를 연결하고 펌프(18)를 작동시키면 물 수용실(75)에 물을 강제 주입할 수 있다. 반대로, 물 주입호스(19)를 물 주입구멍(75a)에 연결하고 펌프(18)의 작동 모드를 전환시키면 물 수용실(75)의 물을 강제 배출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보조 부력체(70)에 있어서, 물 주입구멍(75a)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 경될 수도 있다. 예컨대, 물 주입구멍(75a)은 연결튜브(79)와 같은 별도의 통로수단이 필요없이 물 수용실(75)과 직접 연결되도록 가요성 몸체(71)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조 부력체는 도시되고 설명된 4륜차 형태의 수륙양용차 뿐만 아니라, 8륜, 2륜차 형태의 수륙양용차나 보트와 같이 수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운송수단에 활용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륙양용차의 보조 부력체가 수축되어 수납실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륙양용차의 보조 부력체가 팽창되어 차체의 외측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 부력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조 부력체의 체크 밸브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륙양용차의 차체와 보조 부력체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륙양용차의 보조 부력체를 차체의 외측면에서 펼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 부력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보조 부력체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륙양용차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 부력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보조 부력체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12 : 수납실
14 : 가이드 레일 15 : 에어 컴프레셔
20, 50, 70 : 보조 부력체 21, 51, 71 : 가요성 몸체
22, 23, 52, 53, 54, 72, 73, 74 : 공기 수용실
24, 55, 75 : 물 수용실
25, 26, 62, 63, 64, 81, 82, 83 : 격벽
27, 28, 56, 57, 58, 76, 77, 78 : 주입기구
30, 65, 66, 84, 85 : 체크 밸브 35, 60 : 출입튜브
40, 61, 80 : 결합기구 41 : 고정구
42 : 버튼 43 : 가이드 부재
44 : 가이드 돌기 59 : 가요성 튜브
79 : 연결튜브 86 : 뚜껑

Claims (14)

  1.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고 그 내부에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기 수용실 및 물을 수용하기 위한 물 수용실을 갖는 가요성 몸체;
    상기 가요성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
    상기 공기 수용실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몸체에 형성된 공기 주입구멍;
    상기 물 수용실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몸체에 형성된 물 주입구멍;을 포함하는 보조 부력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수용실은 상기 물 수용실이 상기 공기 수용실이 팽창할 때 팽창하여 상기 물 주입구멍을 통해 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물 수용실의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부력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수용실은 복수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공기 수용실을 구획하기 위해 상기 가요성 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부력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 수용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기 수용실에서 다른 공기 수용실 쪽으로만 개방되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수용실을 구획하는 상기 격벽에 마련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부력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주입구멍과 연결되도록 상기 가요성 몸체의 외면에 구비되는 출입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부력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수용실을 팽창시켜 상기 물 주입구멍을 통해 상기 물 수용실의 내부로 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몸체에 마련되고, 공기 주입 및 배출에 의해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가요성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부력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튜브는 상기 공기 수용실에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수용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부력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구멍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공기 주입구멍에 결합되는 개폐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부력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수상용 운반수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몸체의 외측에 결합되는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부력체.
  10. 육상에서 주행 가능한 휠을 갖고 수상에서 부상 가능한 차체;
    수상에서 상기 차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차체에 결합되고,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고 그 내부에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기 수용실 및 물을 수용하기 위한 물 수용실을 갖는 가요성 몸체, 상기 공기 수용실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몸체에 형성된 공기 주입구멍 및 상기 물 수용실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몸체에 형성된 물 주입구멍을 갖는 보조 부력체;
    상기 보조 부력체를 상기 차체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차체 및 상기 보조 부력체에 연결되는 결합 수단; 및
    상기 공기 주입구멍을 통해 상기 가요성 몸체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 주입수단;을 포함하는 수륙양용차.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수용실은 상기 물 수용실이 상기 공기 수용실이 팽창할 때 팽창하여 상기 물 주입구멍을 통해 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물 수용실의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차.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수용실에 물을 강제 주입하기 위한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차.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차체의 내부에서 상기 차체의 외측면까지 연장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몸체에 연결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차.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부력체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가요성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상기 가요성 몸체와 상기 가이드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착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차.
KR1020090061069A 2009-07-06 2009-07-06 보조 부력체 및 이를 갖는 수륙양용차 KR101005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069A KR101005481B1 (ko) 2009-07-06 2009-07-06 보조 부력체 및 이를 갖는 수륙양용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069A KR101005481B1 (ko) 2009-07-06 2009-07-06 보조 부력체 및 이를 갖는 수륙양용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481B1 true KR101005481B1 (ko) 2011-01-05

Family

ID=4361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069A KR101005481B1 (ko) 2009-07-06 2009-07-06 보조 부력체 및 이를 갖는 수륙양용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4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3231A (zh) * 2016-06-23 2018-07-06 文秀 一种拍摄采集智能装备
KR101911492B1 (ko) 2016-12-23 2018-10-24 주식회사 포스코 용액 받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645A (ko) * 1996-12-13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의 부력장치
KR0174054B1 (ko) * 1994-07-26 1999-02-18 전성원 차량의 부력장치
KR19990020576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수륙양용 자동차
KR100243423B1 (ko) 1997-03-24 2000-03-15 김종천 수상 부유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4054B1 (ko) * 1994-07-26 1999-02-18 전성원 차량의 부력장치
KR19980046645A (ko) * 1996-12-13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의 부력장치
KR100243423B1 (ko) 1997-03-24 2000-03-15 김종천 수상 부유구조체
KR19990020576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수륙양용 자동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3231A (zh) * 2016-06-23 2018-07-06 文秀 一种拍摄采集智能装备
KR101911492B1 (ko) 2016-12-23 2018-10-24 주식회사 포스코 용액 받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481B1 (ko) 보조 부력체 및 이를 갖는 수륙양용차
CN105209335B (zh) 具有以平移的方式移位的船尾平台的船舶
KR20150009526A (ko) 모듈형 개인 수상정
JP6265481B2 (ja) 船艇
CN102197180B (zh) 用于收集水上漂浮物如碳氢化合物的装置
KR101218975B1 (ko) 다기능성을 갖는 보트
EP3560813B1 (en) Compartment ballast system
US2391906A (en) Inflatable boat
KR101750122B1 (ko) 선박
KR100715113B1 (ko) 에어쿠션이 구비된 여행용 가방
US5645010A (en) Device for a box
US6902222B2 (en) Cargo cover side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storing
US10349806B2 (en) Dishwasher
ITMI991041A1 (it) Imbarcazione pneumatica a galleggianti ausiliari di ammortizzazione
EA031725B1 (ru)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воздуха в двигатель моторного судна
US9873498B2 (en) Stand-up type personal watercraft
TW567303B (en) Means of providing additional modular armor protected buoyancy to tracked and wheeled vehicles
KR100936775B1 (ko) 차량용 러기지 박스
JP4599147B2 (ja) 飛行船及び飛行船の装備品取付方法
KR200398365Y1 (ko) 에어쿠션이 구비된 여행용 가방
US20160185424A1 (en) Inflatable craft having v-shaped hull and flaps
KR100416369B1 (ko) 조립식 보트
KR200242454Y1 (ko) 조립식 보트
EP2298638B1 (en) Inflatable craft
KR101782463B1 (ko) 탈착식 동력추진장치를 적용한 접이식 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