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463B1 - 탈착식 동력추진장치를 적용한 접이식 보트 - Google Patents

탈착식 동력추진장치를 적용한 접이식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463B1
KR101782463B1 KR1020170010305A KR20170010305A KR101782463B1 KR 101782463 B1 KR101782463 B1 KR 101782463B1 KR 1020170010305 A KR1020170010305 A KR 1020170010305A KR 20170010305 A KR20170010305 A KR 20170010305A KR 101782463 B1 KR101782463 B1 KR 101782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hole
boat
insertion groove
ster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과학모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과학모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과학모형
Priority to KR1020170010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2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 B63B7/04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sectional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05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hunting or fishing
    • B63B35/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 B63H11/04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 B63H11/08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of rota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 B63H11/1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having means for deflecting jet or influencing cross-section thereof
    • B63H11/103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having means for deflecting jet or influencing cross-section thereof having means to increase efficiency of propulsive fluid, e.g. discharge pipe provided with means to improve the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2007/003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with foldable members
    • B63B2035/738
    • B63B2731/00
    • B63B2739/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미모듈(2)의 저면 중앙 부위에는 하방 및 후방 각각이 개구되어 선미모듈(2)의 후측벽(25)까지 일정 길이 연장되는 직육면체 구조의 삽입홈(24)이 마련되며; 선미모듈(2)의 삽입홈(24)에는 동력추진체(40)가 착탈식으로 장착되고; 덮개판(26)의 개구부(262)에는 동력추진체(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작패널(50)이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동력추진체(40)의 후방 일측에는, 방향타(62)의 하단 부위는 저면판(425)의 제1관통공(428)에 삽입되고, 방향타(62)의 상측 부위는 상기 선미모듈(2)의 후측벽(25) 상단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28)에 삽입되는 방향조절수단(60)이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동력추진장치를 적용한 접이식 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탈착식 동력추진장치를 적용한 접이식 보트{Foldable boat with detachable propeller device}
본 발명은 레저를 위한 소형 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SUV 차량의 내부에 직접 실을 수 있도록 보트의 크기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여 별도의 보트용 트레일러나 루프랙 등의 설비 없이도 차량에 의한 이동이 용이할 뿐 아니라, 노를 이용한 수동 운항을 기본으로 하면서 필요에 따라서는 선택적으로 동력추진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접이식 보트에 관한 것이다.
근자 생활환경이 나아지며 사람들은 자연을 벗삼아 휴식을 취하는 레저문화가 발달하고 있다. 레저문화에는 간단한 장비로서 충분히 즐길 수 있는 분야가 있는 반면에, 특별한 장치가 있어야하는 분야도 있는데 보트를 이용하는 해양 스프츠가 바로 후자의 경우에 속한다. 보트는 물 위의 자동차로서 물 위에서 낚시, 휴양 등을 즐기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장비이다.
한편,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보트는 사용자를 위한 최소한의 내부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정크기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보트를 이용한 해양 스포츠를 즐기기 위해서는 강 또는 해양 인근에 아예 보트를 정박시키거나, 아니면 보트를 특정장소로 직접 이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다. 그러나, 보트를 일정 시간 정박하거나 또는 별도의 이동용 트레일러를 구입하는 것은 상당한 추가비용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부담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미국 등록특허 제5957080호, 미국 공개특허 제2010/0024710호 등과 같이 보트를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보관 및 이동에 따른 추가비용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다각도로 제안되고 있으며, 도 6은 이중에서 미국 등록특허 제5957080호의 예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제안되고 기술 대부분은 보트를 복수 개로 분할한 다음 이들 상호간을 힌지체로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보트를 이용하지 않을 때는 보트의 각 부위를 접혀 그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활용도가 기대되고 있다.
접이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이들 보트는 통상적으로 노에 의존하지 않으면 별도의 동력원을 장착하여 추력을 얻는데, 별도 동력원을 사용하는 경우 보트 크기가 소형이기 때문에 저출력의 동력원을 이용하게 된다. 접이방식 보트에 저출력의 동력원을 이용하는 이유는, 고출력을 내기 위해서는 동력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져야 하고 이는 곧 바로 동력원의 무게 증가로 이어져 접이방식 보트에 적용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별도 동력원에 있어 보트에 전진 추력을 제공하는 부분은 스크류로서,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방에 있는 물을 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보트를 전진시키게 된다. 하지만, 스크류는 보트의 후방 저면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작동한다는 점에서 수심이 얕은 곳이나 수중에 부유물이 많은 곳에서는 운항 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미국 공개특허 제2010/0024710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를 이용한 수동 운항과 동력추진장치를 이용한 동력 운항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 동력추진장치를 사용하더도 수심이 얕거나 부유물이 많은 곳에서도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한 운항이 가능한 보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구되어 수용공간(12)이 마련되는 선수모듈(1)과, 상부가 개구되어 수용공간(22)이 마련되는 선미모듈(2)과, 선수모듈(1)의 후측벽(11) 상단과 선미모듈(2)의 전측벽(21) 상단 상호간을 연결하는 힌지체(3)가 구비되는 접이식 보트로서, 상기 선미모듈(2)의 저면 중앙 부위에는 하방 및 후방 각각이 개구되어 선미모듈(2)의 후측벽(25)까지 일정 길이 연장되는 직육면체 구조의 삽입홈(24)이 마련되되 상기 삽입홈(24)의 하측 좌우 모서리 각각에는 일정 폭을 가지는 가이드단(242)이 삽입홈(24)의 내벽 하단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4)의 상방을 밀폐하는 덮개판(26)의 전면 일측에는 개구부(262)가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262)는 분리 가능한 커버(266)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선미모듈(2)의 삽입홈(24)에는 동력추진체(40)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되, 상기 동력추진체(40)에는 좌우 한 쌍의 측판(421) 및 좌우 한 쌍의 측판(421)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판(422)과 한 쌍의 좌우 측판 후면에 결합되되 일정 크기의 출수공(424)가 마련되는 후면판(423)과 중앙 부위에는 복수 개의 입수공(426)이 마련되고 후면판(423)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단(427)에는 제1관통공(428)이 형성되어 좌우 측판(421) 및 전, 후면판(422, 423) 각각의 저면에 결합되는 저면판(425)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42)과, 상기 하우징(4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4)와, 일측 부위는 상기 입수공(426) 주위를 따라 저면판(425)에 결합되며 타측 부위는 완만한 곡률을 이루며 상기 출수공(424) 주위를 따라 후면판(423)에 결합되는 유수가이드관(46)과, 일단 부위는 상기 구동모터(44)와 연결되고 연장되는 타측 부위는 유수가이드관(46)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구동축(45)와, 상기 구동축(45)의 타단 부위에 결합되어 유수가이드관(46)의 내부에 위치하는 스크류(48)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판(26)의 개구부(262)에는 동력추진체(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작패널(50)이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동력추진체(40)의 후방 일측에는, 방향타(62)의 하단 부위는 저면판(425)의 제1관통공(428)에 삽입되고, 방향타(62)의 상측 부위는 상기 선미모듈(2)의 후측벽(25) 상단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28)에 삽입되는 방향조절수단(60)이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수가이드관(46)의 타측 부위에는 일방향추력유도기(49)가 마련되되, 상기 일방향추력유도기(49)는 개구된 양단 각각이 유수가이드관(46)의 타측 부위 내면에 고정결합되되 그 일측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48)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추력유도관(494)과, 추력유도관(496)의 중심축에 위치하는 고정축(496)과, 상기 스크류(48)와 대향한 상태로 고정축(496)에 방사형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스크류(48)와 대향하고 있는 각각의 단부는 일정각도 절곡된 방향유도단(499)이 형성되는 블레이드(498)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선미모듈(2)의 좌우 측벽(23) 각각의 외면에는 분리 가능한 보조부력체(7)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트를 접이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운반 장치가 아닌 일반 SUV 차량으로서 이동이 가능할 뿐 아니라, 운항 도중 보트의 접힘을 방지할 수 있으며, 노를 이용한 수동 운항은 물론 탑승자의 선택에 의해 동력추진장치를 보트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동력 운항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추진장치를 이용한 동력 운항시 수심이 얕거나 부유물이 많은 환경에서도 스크류는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스크류의 작동에 따라 후방으로 밀쳐지는 물이 보트의 후방에서 일정 입체각 이내에서 분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동력원에서 생성되는 출력의 대부분이 보트를 전진시키는데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트의 좌, 우 각각에 보조부력체를 부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소형의 보트라 할지라도 그 부력을 일정값 이상으로 제고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트를 펼쳤을 때의 개략적인 외관구성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트를 접었을 때의 개략적인 외관구성도.
도 1c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트의 개략적인 분해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트에 동력추진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외관구성도.
도 2b는 도 2a에 있어 동력추진장치의 개략적인 결합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트에 장착되는 동력추진장치에 있어 동력추진체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트에 장착되는 동력추진장치에 있어 동력추진체의 개략적인 하부구성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트에 장착되는 동력추진장치의 동력추진체에 있어 스크류와 일방향추력유도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트에 장착되는 동력추진장치의 동력추진체에 있어 스크류와 일방향추력유도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트에 장착되는 동력추진장치의 동력추진체에 있어 일방향추력유도기의 개략적인 작동구성도.
도 5는 종래 접이식 보트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c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트를 펼쳤을 때의 개략적인 외관구성도 및 분해구성도를 보여주며,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트를 접었을 때의 개략적인 외관구성도를 보여준다.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선수모듈(1) 및 선미모듈(2), 그리고 힌지체(3)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선수모듈(1) 및 선미모듈(2) 각각은 보트의 선수부 및 선미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각각에는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12, 22)이 마련된다. 이들 각 수용공간(12, 22)은 탑승자 및 화물을 위한 공간이다. 선미모듈(2)의 후측벽(26) 상단의 중앙 부위에는 제2관통공(28)이 형성된다. 제2관통공(28)에는 후술할 방향조절수단(60)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힌지체(3)는 선수모듈(1) 및 선미모듈(2) 상호간을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통상적인 경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체(3)는 선수모듈(1)의 후측벽(11) 상단 부분과 선미모듈(2)의 전측벽(21) 상단 부분 각각에 고정결합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체(3)가 매개되면, 도 1b와 같이 힌지체(3)를 기점으로 선수모듈(1)은 선미모듈(2)과 겹쳐질 수 있으며, 이럴 경우 보트의 보관 및 이동이 매우 편리하다. 도 1b는 후술할 보조부력체(7)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준다.
한편, 본 발명은 선수모듈(1)과 선미모듈(2)을 연결함에 있어 힌지체(3) 외에 별도의 체결볼트(32)가 더 부가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선수모듈(1)과 선미모듈(2)이 힌지체(3)에 의해 연결되더라도, 힌지체(3)는 선수모듈(1)의 후측벽(11) 상단 부분과 선미모듈(2)의 전측벽(26) 상단 부분 각각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선수모듈이나 선미모듈 중 어느 하나의 수용공간에 하중이 가해지면 선수모듈 하단부 및 선미모듈 하단부 사이는 벌어질 수 있다.
이럴 경우, 체결볼트(32)가 선수모듈(1)의 후측벽(11) 하측 부위 및 선미모듈(2)의 전측벽(11) 각각을 연결하게 되면 선수모듈(1)과 선미모듈(2)은 매우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보트의 운행 도중에 갑작스런 접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선미모듈(2)의 저면에는 삽입홈(24)이 형성된다. 삽입홈(24)은 후술할 동력추진체(40)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선미모듈(2)의 저면 중앙 부위에서 선미모듈(2)의 후단까지 일정 길이 연장되는 직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지며, 하방 및 후방 각각이 개구되는 특징이 있다.
삽입홈(24)의 하측 좌우 모서리 각각에는 도면과 같이 일정 폭을 가지는 가이드단(242)이 삽입홈(24)의 내벽 하단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단(242)은 동력추진체(40)의 삽입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삽입홈(24)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동력추진체(40)가 하방으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선미모듈(2)의 저면에 형성되는 삽입홈(24)은 독립적으로 형성되기 보다는 선미모듈(2)의 수용공간(22) 중앙 부위에서 선미모듈(2) 후단까지 절개부를 형성하고, 절개부의 좌우 측면 각각 및 절개부의 전면에 일정 수직 높이의 판을 마련한 다음, 그 상부를 도 1a에서 도면부호 26으로 표기되어 있는 덮개판으로 밀폐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선미모듈에 별도의 절개부를 형성한 다음 이 개구부를 일정 면적을 가지는 판으로서 마감하여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삽입홈(24)의 상방을 밀폐하는 덮개판(26)의 상면 일측에는 개구부(262)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262)는 분리 가능한 커버(266)에 의해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262)는 동력추진체(40)의 작동을 위한 조작패널(50)의 설치를 위한 부분으로서, 동력추진체(40)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밀을 위하여 커버(266)에 의해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볼트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개구부(262)를 밀폐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트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보트를 운항할 때는 도 1a와 같이 선수모듈(1) 및 선미모듈(2)를 펼친 상태에서 운항자가 노를 직접 저으면서 수면 위를 질주할 수 있으며, 운항이 완료되면 선수모듈(1)을 선미모듈(2) 상부로 접어 보트의 크기를 반으로 축소시킨 상태로 차량에 의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보트에 동력추진체(40), 조작패널(50), 방향조절수단(60)로 구성되는 동력추진장치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접이식 보트에 별도의 동력추진장치가 장착된 상태가 도 2a에 개시되어 있으며, 접이식 보트에의 동력추진장치를 결합하는 구체적인 구성이 도 2b에 개시되어 있다. 동력추진장치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동력추진체(40)는 선미모듈(2)의 삽입홈(24)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도 3a와 같이 하우징(42), 구동모터(44), 유수가이드관(46), 스크류(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42)은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직육면체 구조의 케이스로서, 측판(421), 전면판(422) 및 후면판(423), 저면판(425)으로 구성된다. 측판(421)은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전면판(422)은 좌우 측판(421) 각각의 전면에 결합되고, 후면판(423)은 좌우 측판 각각의 후면에 결합되되 일정 크기의 출수공(424)가 마련된다.
저면판(425)은 좌우 측판(421) 및 전, 후면판(422, 423) 각각의 저면에 결합되며, 도 3b와 같이 중앙 부위에는 복수 개의 입수공(426)이 마련되고, 후단 부위는 후면판(423)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단(427)이 형성된다. 저면판(425)은 삽입홈(24)의 개구된 하방으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입수공(426)은 물이 유입되는 공간이다. 입수공(426)을 일정 크기의 단일 홀로 형성하지 않고 도 3b와 같이 폭이 좁은 복수 개의 장홈으로 분리 형성하게 되면 수면에 부유하는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면판(425)의 돌출단(427)에는 제1관통공(428)이 형성된다. 제1관통공(428)은 방향조절수단(60)의 단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도면과 같이 돌출단(427)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면판(425)의 좌우 모서리부위는 선미모듈(2)의 삽입홈(24)에 형성되는 가이드단(242)의 상면에 밀착되어 거치된다. 저하우징(42)이 삽입홈(24)에 삽입되어 위치하면, 후면판(423)의 모서리부위를 삽입홈(24) 주변에 볼트로서 결합함으로써 하우징(42)이 삽입홈(24) 내부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동모터(44)는 보트를 운항시키는 동력으로서, 하우징(4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다. 구동모터(44)는 전기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럴 경우 구동모터 일측에는 도면과 같이 배터리(도면부호 미도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은 배터리가 하우징(42) 내부가 아닌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어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유수가이드관(46)은 저면판(425)의 입수공(426)으로 유입되는 물을 후면판(423)의 출수공(424)으로 가이드하는 수단으로, 도 3c와 같이 그 일측 부위는 입수공(426) 주위를 따라 저면판(425)에 결합되며 타측 부위는 완만한 곡률을 이루며 출수공(424) 주위를 따라 후면판(423)의 내면에 결합된다. 도면부호 462는 유수가이드관(46)의 타측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판이다.
스크류(46)는 유수가이드관(46)의 내부에 위치하며 구동축(45)과 연결된다. 구동축(45)은 구동모터(44)의 회전력을 스크류(46)로 전달하는 수단으로, 그 일단 부위는 구동모터(44)와 연결되고 연장되는 타측 부위는 유수가이드관(46)의 일측 부위를 관통하여 스크류(48)와 연결된다. 유수가이드관(46)을 관통하는 구동축(45) 부위에는 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씰링부재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유수가이드관(46)의 타측 부위에 일방향추력유도기(49)가 마련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일방향추력유도기(49)는 스크류(48)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물을 일정 입체각으로 유도하는 수단으로, 추력유도관(494), 고정축(496), 블레이드(49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추력유도관(494)은 양측이 개구된 원통구조로서, 양단 각각이 유수가이드관(46)의 타측 부위 내면에 고정 결합되되, 그 일측 내부에는 스크류(48)가 삽입되어 위치한다. 도 3c 및 도 4a 각각과 같이 추력유도관(494)의 양단 부위 외면에는 유수가이드관(46)의 내면과 결합되는 환형의 결합링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축(496)은 일방향추력유도기(49)의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추력유도관(494)의 중심축을 따라 위치한다. 블레이드(498)는 스크류(48)와 대향한 상태로 고정축(496)에 방사형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크류(48)와 대향하고 있는 블레이드(498) 각각의 단부에는 도 4b와 같이 일정각도 절곡된 방향유도단(499)이 형성된다. 절곡방향은 도면과 같이 스크류가 회전하는 방향을 마주하는 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력유도관(494) 내부에 복수 개의 블레이드(498)가 마련됨에 따라 스크류(46)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지는 물은 각 블레이드(66)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으로 분배된 다음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배출된다. 또한, 스크류(48)와 대향하는 각 블레이드(498)에 스크류의 회전방향으로 방향유도단(499)이 형성되면, 스크류에 의해 회전하면서 후방으로 밀려지는 물이 방향유도단(499)에 의해 자연스럽게 가이드되어 블레이드(498)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조작패널(50)은 덮개판(26)의 개구부(262)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즉, 개구부(262)를 밀폐하고 있는 커버(266)를 제거한 다음, 조작패널(50)을 동력추진체(40)의 구동모터(44)와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별도의 볼트를 이용하여 조작패널(50)을 덮개판(26)에 결합한다. 조작패널(50)에는 ON/OFF 스위치 등이 마련된다.
방향조절수단(60)은 운항자가 보트의 운항 방향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수단으로, 조절핸들(16) 및 방향타(62)가 구비된다. 보트에의 결합은, 방향타(62)의 하단 부위를 저면판(425)의 제1관통공(428)이 삽입하고, 방향타(62)의 상측 부위(연결봉)를 선미모듈(2)의 후측벽(25)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28)에 삽입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부호 64는 방향조절수단(60)을 선미모듈(2)의 후측벽(25)에 결합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접이식 보트에 동력추진장치를 장착할 경우의 개략적인 작동구성을 살펴본다.
접이식 보트가 도 2b에 개시된 상태로 수면에 부상하면, 선미모듈(2)의 삽입홈(24)에 위치하는 동력추진체(40)는 수면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은 저면판(425)의 입수공(426) 및 후면판(423)의 출수공(424) 각각을 통해 유입되어 유수가이드관(46) 내부를 가득 채우게 된다.
입수공(426)은 폭이 좁은 장홈의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저면판(425)의 입수공(426)을 통해 유입되는 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들은 모두 걸러진다(도 3b에 있어 ① 참조). 또한, 스크류(48)는 하우징(42) 및 유수가이드관(46) 각각에 의해 보호되고 있기 때문에 저면판(425)이 수면 아래 지면에 닿더라도 작동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조작패널(50)을 조작하여 구동모터(44)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44)에서 생성되는 출력은 구동축(45)을 거쳐 스크류(48)로 전달된다.
스크류(48)가 일정속도로 회전하게 되면, 입수공(426)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유수가이드관(46)을 따라 스크류(48) 방향으로 흡입되며(도 3c에 있어 ② 참조), 유수가이드관(46) 내부에서 스크류(48)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던 물은 스크류(48)의 회전운동에 의해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순차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스크류(48)는 추력유도관(494)의 일측 내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크류(48)에 연동하여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후방으로 이동하는 물(도 4b에 있어 ③ 참조)은 각 블레이드(498)에 의해 일정 양씩 나뉘어져(도 4b에 있어 ④′및 ④〃 참조), 추력유도관(494)의 내면과 각 블레이드(498)에 의해 구획된 공간으로 진입한다.
이때, 각 블레이드(498)의 단부에는 스크류(48)의 회전방향과 마주하는 쪽으로 일정각도 절곡된 방향유도단(49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추력유도관(494)의 내면과 각 블레이드(498)에 의해 구획된 공간으로 진입하는 물(④′및 ④〃) 각각은 블레이드(498) 측벽과 곧 바로 충돌하지 않고 방향유도단(499)에 의해 유입 방향이 자연스럽게 변경되면서 운동량을 잃지 않은 상태로 구획된 공간을 따라 수평하게 이동한 다음(도 4b에 있어 ⑤′및 ⑤″참조), 최종적으로 추력유도관(494) 및 후면판(423)의 출수공(424)을 빠져나간다.
즉, 스크류(48)의 작동에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후방으로 이동하는 물을 배출함에 있어, 추력유도관(494)의 내면과 각 블레이드(498)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수평으로 이동하여 일정각도의 입체각을 이루면서 빠져나가도록 구성함으로써 보트를 전진시키는 힘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에 부가하여 각 블레이드(498)에 형성되는 방향유도단(499)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물의 운동량 손실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구동모터(44)에서 생성된 출력을 손실없이 보트를 전진시키는 추력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선미모듈(2)의 좌우 측벽(23) 각각의 외면에 분리가능한 보조부력체(7)가 장착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보조부력체(7)는 접이식 보트에 부가적인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내부는 빈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스티로폼과 같은 물체로 채워질 수도 있다.
도면에는, 접이식 보트에 보조부력체(7)를 장착함에 있어, 선미모듈(2)의 좌 우 측벽(23) 각각의 외면에 제1가이드단(27)을 마련하고, 각 보조부력체(7)의 내면에는 제2가이드단(71)을 마련한 다음, 이들 상호 간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는 경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일례일 뿐 선미모듈(2)과 보조부력체(7) 상호간의 결합은 여러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선수모듈 2 : 선미모듈
3 : 힌지체 7 : 보조부력체
24 : 삽입홈 40 : 동력추진체
50 : 조작패널 60 : 방향조절수단

Claims (3)

  1. 상부가 개구되어 수용공간(12)이 마련되는 선수모듈(1)과, 상부가 개구되어 수용공간(22)이 마련되는 선미모듈(2)과, 선수모듈(1)의 후측벽(11) 상단과 선미모듈(2)의 전측벽(21) 상단 상호간을 연결하는 힌지체(3)가 구비되는 접이식 보트로서,
    상기 선미모듈(2)의 저면 중앙 부위에는 하방 및 후방 각각이 개구되어 선미모듈(2)의 후측벽(25)까지 일정 길이 연장되는 직육면체 구조의 삽입홈(24)이 마련되되 상기 삽입홈(24)의 하측 좌우 모서리 각각에는 일정 폭을 가지는 가이드단(242)이 삽입홈(24)의 내벽 하단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4)의 상방을 밀폐하는 덮개판(26)의 전면 일측에는 개구부(262)가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262)는 분리 가능한 커버(266)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선미모듈(2)의 삽입홈(24)에는 동력추진체(40)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되, 상기 동력추진체(40)에는 좌우 한 쌍의 측판(421) 및 좌우 한 쌍의 측판(421)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판(422)과 한 쌍의 좌우 측판 후면에 결합되되 일정 크기의 출수공(424)가 마련되는 후면판(423)과 중앙 부위에는 복수 개의 입수공(426)이 마련되고 후면판(423)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단(427)에는 제1관통공(428)이 형성되어 좌우 측판(421) 및 전, 후면판(422, 423) 각각의 저면에 결합되는 저면판(425)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42)과, 상기 하우징(4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4)와, 일측 부위는 상기 입수공(426) 주위를 따라 저면판(425)에 결합되며 타측 부위는 완만한 곡률을 이루며 상기 출수공(424) 주위를 따라 후면판(423)에 결합되는 유수가이드관(46)과, 일단 부위는 상기 구동모터(44)와 연결되고 연장되는 타측 부위는 유수가이드관(46)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구동축(45)와, 상기 구동축(45)의 타단 부위에 결합되어 유수가이드관(46)의 내부에 위치하는 스크류(48)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판(26)의 개구부(262)에는 동력추진체(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작패널(50)이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동력추진체(40)의 후방 일측에는, 방향타(62)의 하단 부위는 저면판(425)의 제1관통공(428)에 삽입되고, 방향타(62)의 상측 부위는 상기 선미모듈(2)의 후측벽(25) 상단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28)에 삽입되는 방향조절수단(60)이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동력추진장치를 적용한 접이식 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가이드관(46)의 타측 부위에는 일방향추력유도기(49)가 마련되되, 상기 일방향추력유도기(49)는 개구된 양단 각각이 유수가이드관(46)의 타측 부위 내면에 고정결합되되 그 일측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48)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추력유도관(494)과, 추력유도관(496)의 중심축에 위치하는 고정축(496)과, 상기 스크류(48)와 대향한 상태로 고정축(496)에 방사형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스크류(48)와 대향하고 있는 각각의 단부는 일정각도 절곡된 방향유도단(499)이 형성되는 블레이드(498)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동력추진장치를 적용한 접이식 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미모듈(2)의 좌우 측벽(23) 각각의 외면에는 분리 가능한 보조부력체(7)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동력추진장치를 적용한 접이식 보트.
KR1020170010305A 2017-01-23 2017-01-23 탈착식 동력추진장치를 적용한 접이식 보트 KR101782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305A KR101782463B1 (ko) 2017-01-23 2017-01-23 탈착식 동력추진장치를 적용한 접이식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305A KR101782463B1 (ko) 2017-01-23 2017-01-23 탈착식 동력추진장치를 적용한 접이식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463B1 true KR101782463B1 (ko) 2017-10-24

Family

ID=6029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305A KR101782463B1 (ko) 2017-01-23 2017-01-23 탈착식 동력추진장치를 적용한 접이식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4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1297A (ja) 1999-10-07 2003-03-25 ウィンザー ロルフェ,デイビッド 折りたたみ式ボ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1297A (ja) 1999-10-07 2003-03-25 ウィンザー ロルフェ,デイビッド 折りたたみ式ボー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3754B1 (en) Powered water sports board
US5090929A (en) Paired motor system for small boat propulsion and steerage
CN111566004B (zh) 电动机动水路航行器和传动系系统
SE2050034A1 (en) Electrically powered, water-jet propelled surfboard
US20070125285A1 (en) Portable Personal Watercraft
KR101549669B1 (ko) 휴대가 간편한 워터 제트 보드
JP2018154177A (ja) 水中推進装置
KR101880404B1 (ko) 조립식 전동카약
WO2006119057A9 (en) Watercraft with submerged passive flotation devices
CN209366431U (zh) 一种无桨推进潜水器
GB2554045A (en) Boat auxiliary propulsion unit
KR101782463B1 (ko) 탈착식 동력추진장치를 적용한 접이식 보트
US8894453B2 (en) Shallow-draft watercraft propulsion and steering apparatus
KR101523729B1 (ko) 러더 어셈블리
CZ308694B6 (cs) Kajak s přídavným pohonem
CN217969827U (zh) 一种电动水翼冲浪板
CN207417087U (zh) 一种家用游乐半浮潜式潜水艇
US6647912B1 (en) Underwater traveling craft
RU2547102C1 (ru) Подводный аппарат повышенной маневренности
US20110056422A1 (en) Flying Water Jet-Ski Submarine
KR101645088B1 (ko) 조립식 배
US20220017185A1 (en) Surfboard with low-profile propulsion system
WO2022102442A1 (ja) 船舶
CN216069509U (zh) 一种浅水载货双向行驶的多功能船舶
CN214451777U (zh) 一种船舶混合动力推进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