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2641B1 - 일어단어 암기장치 및 암기표 - Google Patents

일어단어 암기장치 및 암기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2641B1
KR0172641B1 KR1019950030617A KR19950030617A KR0172641B1 KR 0172641 B1 KR0172641 B1 KR 0172641B1 KR 1019950030617 A KR1019950030617 A KR 1019950030617A KR 19950030617 A KR19950030617 A KR 19950030617A KR 0172641 B1 KR0172641 B1 KR 0172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panese
korean
words
word
m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0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092A (ko
Inventor
정성길
Original Assignee
정성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길 filed Critical 정성길
Priority to KR1019950030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2641B1/ko
Publication of KR970017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2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2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학습기에 있어서, 특히 의인화 또는 영상법을 이용하여 일어단어를 효율적으로 암기 또는 오래 기억할 수 있는 일어단어 암기장치 및 암기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일어단어를 암기하는 방법으로 무조건 일어단어와 그에 따른 뜻을 반복적으로 암기하여 왔었다. 따라서, 일어단어와 아무런 연관성이 없는 뜻을 그냥 외워야 하기 때문에 외우기도 어려울뿐만 아니라 쉽게 잊어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외우고자 하는 일어단어에 해당하는 뜻을 의인화된 말 즉, 일어단어의 뜻과 연관시켜 외우기 쉬운 우리의 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우리말을 암기표에 적용하여 일어단어를 쉽게 도출해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어단어를 잊어버렸다고 하더라도 그에 따른 뜻과 의인화된 우리말을 알고 있으면 쉽게 해당되는 일어단어를 찾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어단어 암기장치 및 암기표
제1도는 일어단어를 효율적으로 암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어단어 암기장치의 외관도.
제2도는 일어단어 암기장치의 회로 구성도.
제3도는 일어단어를 암기하기 위한 휴대용 암기표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의인화법에 따른 메모리 내용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키이 입력부
3 : 액정표시기 4 : 전원스위치
5 : 일어/의인화 버튼 6 : 일어/한국어 버튼
7 : 한국어/일어 버튼 8 : 의인화/한국어 버튼
9 : 삭제버튼 10 : 키이 매트릭스
11 : 마이컴 12 : 일어단어롬
13 : 액정표시 구동기 14 : 한글/의인화 단어롬
15 : 한글 단어롬
본 발명은 전자학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어단어를 의인화 또는 영상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암기 또는 기억할 수 있도록 한 일어단어 암기장치 및 암기표에 관한 것이다.
외국어를 습득하는데 있어서, 가장 필수적인 것은 각각의 단어들을 암기해야만 하는바, 현재 실행가능한 것은 단어장 또는 포켓용 사전을 휴대하고 무조건 반복해야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그의 단어특성 또는 쓰임새 등을 전혀 모르고 무조건적으로 계속 반복해야 하므로 일정시간이 지나면 그 단어의 뜻을 기억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일어에 있어서, 일어단어는 한국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오십음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해하기 어려운 일어단어와 한국어의 의미를 용이하게 연결시키지 못하여 한국어 단어는 이해하지만 일어단어를 잘 기억하지 못하게 되어 일어단어장이나 일한사전을 그때그때 다시 찾아 보아야만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다년간 외국어 학원에서 일어를 가르쳐오는 도중에 학생들이 기억하고 있었던 일어단어를 쉽게 기억하지 못하는 원인을 분석한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이 일어단어와 그에 따른 뜻을 무작정 외우는 대신에 의인화법 또는 연상법을 이용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일어단어를 기억할 수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어단어의 본래뜻과 유사한 즉, 일어단어의 본래뜻과 연관되는 말인 한국어를 의인화 또는 연상화시켜 일어단어를 언제 어느곳에서도 용이하게 암기 또는 기억할 수 있도록 한 일어단어 암기장치 및 휴대용 암기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량의 일어단어를 기억하여 필요시 독출하는 일어단어 메모리와 상기의 일어단어에 대응한 정확한 한국어 단어를 기억하고 독출할 수 있는 한국어 단어 메모리를 구비한 일어단어 암기장치가 제공되는 바, 이 일어단어 암기장치는 소정의 키이 조작에 의해 동작하여 소정의 일어단어에 대응한 한국어를 의인화한 또다른 한국어를 기억 및 독출가능한 한국어 의인화 단어 메모리와, 일어단어 메모리, 한국어 단어 메모리 및 의인화된 한국어 단어 메모리를 제어하여 일어단어와 한국어 단어 또는 의인화된 한국어 단어를 독출하기 위한 제어수단과, 이들 단어들을 키이조작에 의해 문자로서 표시하기 위한 문자표시수단(즉, 액정표시장치)과, 이 액정표시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시켜서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의인화된 한국어를 얻기 위해서는 이후 상술하는 바와 같이 일어단어의 한국어 뜻에 의인화된 한국어의 자음(ㄱ, ㄴ, ㄷ, …, ㅎ)과 일어의 오십음도(五十音圖)를 가로, 세로로 배열시켜 일어단어를 의인화된 한국어로 암기할 수가 있으므로 학생들은 한번 암기한 일어단어를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기억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어단어 암기장치의 외관도를 도시한 것인 바, 이 암기장치는 일어단어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어를 다시 일어로 번역할 수 있으며, 일어단어를 의인화된 한국어로 번역하기도 하고, 의인화된 한국어와 일어단어에 해당하는 정확한 한국어를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기장치의 케이스(1)의 외부에는 키이 입력부(2)와 액정표시기(3)가 설치되는바, 이 키이입력부(2)는 일어단어를 구성하는 오십음도에 대응하는 의인화된 한글의 자음이 가로로 0번 열에서 9번 열까지 각각 대응되게 배열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0번 열에서는 한글의 자음 이응(ㅇ)에 대응한 오십음도(あ, ぃ, う, え, お)가 배열되고, 1번 열에서는 한글의 자음 기억 또는 키억(ㄱ, ㅋ)에 대응한 오십음도(か, き, く, け, こ 및 이와 유사발음의 が, ぎ, ぐ, げ, ご)가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9번 열에서는 한글자음 치읓(ㅊ)에 대응한 오십음도의 마지막 행인 일명 야행이라고 하는 や, ゆ, よ가 각각 순차 배열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의인화된 한글자음에 대응한 오십음도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십음도 구성상 그 전체배열이 가로로는 0번 열에서 9번 열까지로 배열되고 세로로는 I단에서 V단까지 5단계로 각각 배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키이 입력부(2)의 좌측으로는 암기장치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4)와 일어단어를 의인화된 한국어로 변환하기 위한 버튼(5)과 일어단어를 그에 대응한 정확한 번역인 한국어로 변환하는 버튼(6), 한국어를 일어단어로 번역하는 버튼(7), 일어단어를 의인화한 한국어를, 그의 본래의 한국어로 변환하는 버튼(8) 및 전원 온시에 액정표시기(3)에 표시된 문자를 지울 수 있는 삭제버튼(9)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의 내측에는 제2도에 도시한 각각의 회로를 구성하는 반도체 장치 및 전지(도시하지 않았음)등이 내장된다.
제1도에 있어서, 한글자음의 ㅇ열로는 오십음도에서 이응 발음이 나는 아(あ) 행의 あ, ぃ, う, え, お를 배열하고, 또한 한글자음의 ㄴ 열로는 오십음도에서 니은 발음이 나는 나(な) 행의 な, に, ぬ, ね, の등으로 표현된 바와같이 한글자음에 대하여 오십음도의 유사발음을 가급적 접목시켜 용이한 연상을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배열방법은 본 발명자의 주관적인 판단이라 하겠는 바, 이는 다년간의 경험과 실험적인 교육을 통해 일어단어를 효율적이면서 능률적으로 암기위한 수단으로 적용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도에 도시한 키이 입력부(2) 이외에도 여러 가지의 배열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는 이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암기장치의 회로 구성도인 바, 제2도에 있어서, 키이 매트릭스(10)는 제1도에 도시한 각종 키이(2) 및 버튼(4)~(9)을 망라한 것으로서 키이 입력신호를 발생시킨다. 키이 매트릭스(10)에서 발생된 키이 스캐닝 신호는 마이컴(11)에 입력되는 바, 이 경우 마이컴(12)은 입력되는 키이 스캐닝 신호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만약에 전원스위치(4)가 눌려졌을 경우, 마이컴(11)은 제2도에 도시한 각종 회로소자에 전원을 공급토록 하고, 일어단어 키이가 눌려졌을 경우에는 일어 단어롬(12)을 제어하여 그로부터 발생된 일어단어를 액정표시 구동기(13)를 제어하여 액정표시기(3)(또는 문자표시부)에 일어단어를 표시하거나, 일어/의인화 단어 스위치(5)가 눌려졌을 경우에는 현재 실시된 일어단어의 의인화된 한국어를 액정표시기(3)에 표시하도록 한글/의인화 단어롬(14)을 제어하여 그로부터 의인화된 한국어를 독출하도록 한다. 한편 마이컴(11)은 일어/한국어 단어 스위치(6)가 눌려졌을 경우에는 정확한 한글 단어롬(15)을 제어하여 그로부터 일어단어에 대응한 한국어를 액정표시기(3)에 표시되도록 한다. 결국, 이들 롬(12),(14),(15)들은 마이컴(11)의 제어하에서 일어단어를 한국어로, 한국어를 일어로 표시하거나 일어를 의인화된 한국어로 표시되도록 동작할 수가 있다.
예컨대, 상기한 장치에 따른 일예를 적용시켜보기 위해 사용자가 제1도에 도시한 키이 입력부(2)에 있는 일어의 たいこ라는 단어가 표시되는 바, 그런 다음에 일어/한국어 버튼(6)을 누르면 마이컴(11)은 일어 단어롬(12)과 한글 단어롬(15)에 칩 선택신호(CS)를 제공한 뒤, 어드레스 신호[ADD]를 각각 제공한다.
이때, 일어단어 たいこ에 대응한 한국어 단어는 롬(15)으로부터 독출되어 데이터 버스를 통해 마이컴(11)에 전달되고, 마이컴(11)은 이를 인식하여 어드레스 신호 및 칩 선택신호를 액정표시 구동기(13)에 제공하는데, 액정표시 구동기(13)는 たいこ에 해당하는 한국어의 북이라는 단어의 뜻을 액정표시기(3)의 우측에 표시토록 한다.
또한, 만약에 사용자가 북이라는 한국어를 키이 입력부(2)의 조작에 따라 입력시키고, 한국어/일어 버튼(7)을 누르면, 마이컴(11)은 한국어 북에서 대응한 일어단어 たいこ를 일어 단어롬(12)으로부터 독출하여 액정표시 구동기(13)을 거쳐 액정표시기(3)에 표시토록 한다.
이러한 일어→한국어 또는 한국어→일어의 번역과정은 일반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일어에 대응한 한국어, 한국어에 대응한 일어의 단순하면서도 정확한 번역과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다. 전술한 일어단어 たいこ를 북에 관련된 의인화 또는 영상화된 단어(예컨대 동굴)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의인화된 연상법을 위한 단어를 구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예컨대, たいこ는 북이라는 뜻인데, たいこ와 북은 종래의 암기방법으로 보면 아무런 관계가 없어 그냥 반복해서 잊어버리지 않도록 계속적으로 외워야 하지만 제1도의 키이 입력부(2) 제 3 열에 있어서는 た는 ㄷ, い는 ㅇ, こ는 ㄱ 또는 ㅋ으로 표시되므로 ㄷ과 ㅇ 및 ㄱ으로 구성되는 이해 가능한 한글단어가 본 발명에 따라 의인화된 한국어가 표시된다. 예컨대, ㄷ, ㅇ, ㄱ으로 구성된 단어는 상기의 たいこ 즉, 북으로 해석되는데 이때 이와 가장 연상하기 쉬운 뜻인 동굴이 있는 바,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동굴을 이루는 자음중 ㄷ, ㅇ, ㄱ, ㄹ에서 앞의 3개의 자음 ㄷ, ㅇ, ㄱ만을 취한다는 것이다. 즉, 연상되는 한국어에 따른 오십음도는 항상 자음을 순차적으로 3자리씩 끊어서 오십음도를 찾아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동굴은 ㄷ, ㅇ, ㄱ으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ㄷ은 た, ㅇ은 い, こ는 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동굴은 たいこ가 되고 쉽게 북과 연결시킬 수가 있다. 이때 동굴중 상기의 방법으로 자음을 순차적으로 끊고난 마지막의 ㄹ은 약속한 대로 오십음도에 연관되지 않는 것이다.
たいこ의 뜻인 북을 기억하기 위해 의인화된 동굴을 외우기 쉬운 방법을 선택하여 즉, 동굴속에서 북소리가 난다라고 연상 또는 의인화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연상 또는 의인화된 한문장을 한번 외우고 나면, たいこ라는 단어의 뜻을 쉽게 기억할 수가 있는 것이며, 설상 오랜시간이 경과하여 たいこ라는 뜻을 기억하지 못했을 경우라도 제1도의 키입 입력부(2)에서 た에 대응한 ㄷ, い에 대응한 ㅇ, こ에 대응한 ㄱ을 조합하면 예전의 의인화한 동굴이 쉽게 떠오르게 되고, 그에 따라 동굴속에서 북소리가 난다라는 문장 즉, 전에 한번 기억했던 한국어 문장이 생각나게 되어 たいこ가 북이라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적용예로서 たから라는 일어단어는 보물이라는 뜻인데 각각의 た, か, ら에 해당하는 한글자음은 제1도와 제3도의 암기표에 있어서, ㄷ, ㄱ, ㄹ임을 알 수가 있다. 이러한 ㄷ, ㄱ, ㄹ로 구성된 글자 즉, たから의 뜻인 보물과 가장 연상하기 쉬운 한글어인 독립문을 연상할 수 있고, 이때 연상된 독립문을 보물과 연관되도록 의인화한 것으로서, 이는 독립문에는 보물이 많다라는 것으로 쉽게 연상 또는 의인화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연상 또는 의인화된 한국어 문장을 외우게 되면 たから라는 일어단어 뜻이 보물이라는 것을 쉽사리 잊어버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또다른 적용예로서 なみき는 가로수를 의미하는데, 제1도에 있어서 이들 な, み, き에 해당하는 한글자음은 ㄴ, ㅁ, ㄱ, ㅋ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의 한글자음중 앞의 3개만을 사용하고 마지막의 것은 규칙상 이용되지 않는 것인 바, 이러한 ㄴ, ㅁ, ㄱ을 조합할 수 있는 단어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본 발명자의 창안에 의해 연상화된 단어는 남극이다. 따라서, 학생들은 なみき의 뜻을 암기하기 위하여 가로수는 남극에서 자랄 수가 없다라고 외울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ようじ는 이쑤시개라는 뜻인데 제1도의 키이 입력부(2)에서, よ, う, じ에 각각 대응하는 한글자음은 ㅊ, ㅇ, ㅈ이다. 이러한 ㅊ, ㅇ, ㅈ으로 구성할 수 있는 글자는 총잡이가 있는 바, 총잡이가 식사후 이쑤시개로 잇새에 낀 것을 파낸다라는 문장을 만들 수가 있게 되므로 학생들은 ようじ를 총잡이로 연상하고, 그의 본래뜻은 이쑤시개라는 것임을 용이하게 알 수가 있다.
다시,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암기장치를 휴대한 사람이 たいこ라는 단어를 예전에 동굴이라는 의인화된 한국어와 그의 본래뜻인 북을 외웠으나, 북과 동굴이 거의 생각나지 않을 경우 た, い, こ를 누르면 액정표시기(3)에는 たいこ가 표시되는 바, 사용자가 그 후 일어/의인화 버튼(5)을 누르면 액정표시기(3)에는 제2도의 마이컴(11)의 제어하에 동작하는 한글/의인화 단어롬(14)에서 독출된 동굴이라는 글씨가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동굴이라는 의인화된 한국어를 가지고 북을 연상할 수가 있다. 그러나, 동굴이 표시되어도 たいこ의 원래 본뜻을 기억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일어/한국어 버튼(6)을 누른다. 그러면 마이컴(11)은 한글 단어롬(15)을 제어하여 그로부터 たいこ에 대응한 북이라는 문자를 독출하여 액정표시기(3)에 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사용자는 다시 북을 동굴로 의인화시켜 たいこ가 북이라는 것을 외울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의인화된 동굴이라는 한국어는 북이라는 한국어로 액정표시기(3)에 표시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키이 입력부(2)를 조작하여 동굴을 입력시키고, 의인화/한국어 버튼(8)을 누르면 액정표시기(3)에는 동굴과 북만이 표시될 수가 있다.
이와같이, 액정표시기(3)에는 키이조작에 따라 일어, 의인화된 한국어 또는 일어의 정확한 번역의 한국어가 표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일어단어를 의인화법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외울 수 있게 된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키이입력부(2)만을 별도로 발췌하여 작성한 휴대용 암기표인 바, 제1도는 제2도의 회로도를 구비한 전자식 암기장치인데 반해, 제3도의 휴대용 암기표는 학생들이 한 장의 카드로 된 것을 주머니에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전이나 단어장이 없더라도 예전에 암기한 일어단어의 본래 뜻과 의인화된 뜻을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제3도에 도시한 것만으로도 예전에 외웠던 일어단어의 뜻, 의인화된 뜻을 용이하게 알 수 있거나, 의인화된 단어를 일어단어로 변환하고, 그에 따라 정확한 한국어 뜻을 이해할 수가 있다. 이에 대한 번역 과정은 제1도의 장치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3도에 있어서, 예를 들어 たかそ의 경우에는 일어단어 암기표에서와 같이 상기 일어단어에 대응한 한글자음이 전부 I줄에 있기 때문에 거부감없이 ㄷ→た로, か→ㄱ으로, そ→ㄹ로 의인화된 한글자음이 적용되는 것이어서 구태여 각줄의 철자를 구분해서 적용시킬 필요가 없으나, 상기한 경우가 아니고 다른 경우에는 즉, 일어단어의 뜻은 다르나 그 뜻을 연상화하기 용이하도록 의인화되는 한글자음의 순서가 동일하고 그 적용 또한 동일하여 의인화된 한국어 단어가 동일하게 채택되어질 경우가 있다.
예컨대, 일어단어 さいう는 그 뜻이 가랑비이며 이에 대응한 한글자음은 さ→ㅅ, い→ㅇ, う→ㅇ으로 각각 적용되어 의인화된 한국어로는 성악가가 적용되어진다.
그러나, 일어단어 さいえ는 그 뜻이 재회로서 다르나 이에 대응한 한글자음은 さ→ㅅ, い→ㅇ, え→ㅇ으로 각각 적용됨을 알 수 있으며, 이 역시 상기 さいう와 같이 의인화된 한국어로서 성악가가 적용되어짐을 알 수 있는 것으로서, 뜻을 달리하는 일어단어라 할지라도 이를 연상시키기 위한 의인화된 한국어인 성악가가 각각 동일하게 적용되어지는 것이어서 일반적으로 각각의 일어단어에 적용되어진 의인화된 각 한국어는 쉽게 구분된다 할지라도 그 적용을 규칙적으로 하기 위한 하나의 이론적인 틀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또하나의 규칙인 의인화법을 적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어단어는 다섯글자씩 구분해서 0번 줄에서 9번 줄까지 습득하기로 하며, 이는 전술한 의인화법을 적용하여 그 의인화를 통해 입체적으로 제3도에 도시한 일어단의 I, II, III, IV, V 자리를 파악한다.
즉, さいう는 의인화된 한국어가 성악가이지만 그냥 성악가라고 하면 さいえ가 나타날 수도 있으므로 성악가의 얼굴로 가정하고 그 얼굴을 코, 눈, 두부, 혀, 미간의 5단계로 구분(하기의 표 I~V행 참고)된 것 중에서 상기 さいう의 세글자를 이에 적용시킨다. 즉, さ는 I자리에 있으므로 코, い는 II자리에 있으므로 눈, う는 III자리에 있으므로 두부에 각각 적용시킨다.
따라서, 상기 さいう의 성악가 얼굴중에서 さ의 적용을 받는 코는 그 자체를, い의 적용을 받는 눈에는 눈물이 나고, う의 적용을 받는 두부에는 모자를 쓰고 있는 것으로 구분해서 코와 눈에는 눈물이 나고, 두부에는 모자를 쓴 성악가를 연관시키면 된다.
또한, さいえ의 경우는 즉, さ는 I자리에 있으므로 코, い는 II자리에 있으므로 눈, え는 IV자리에 있으므로 혀에 각각 적용시켜서 상기 さいえ는 성악가 얼굴중에서 さ의 적용을 받는 코는 그 자체를 い에 적용받는 눈에는 눈물이 나고, え의 적용을 받는 혀에는 혀바늘이 생기는 것으로 구분해서 코와 눈에는 눈물이 나고, 혀에는 혀바늘이 생긴 성악가를 연관시켜 생각하면 쉽게 구분된다. 즉, 상기 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의인화된 한국어 단어가 동일한 경우라 하더라도 이상에서와 같이 규칙적으로 적용되는 의인화법을 이용 적용하여 주므로서 쉽게 구분하고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경우를 고려하여 5단계로 구분되고 규칙적으로 적용되는 각 행(I~V행까지)의 정해진 의인화 상태는 다음 표와 같다.
이상의 표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일어단어를 다섯글자씩 구분하되 이를 다섯행으로 나누어 그 행마다 I행의 경우는 코, II행의 경우는 눈, III행의 경우는 두부, IV행의 경우는 혀, V행의 경우는 미간 등으로 적용 구분한 다음 그 각 행의 I~V자리에 있을 경우 다시 이를 그 행에 적용된 의인화와 연상되기 쉬운 낱말로 선택 배열되고 있는 것을 이용하면 그 만큼 쉽게 구분하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자의 오랜 연구와 실험결과 채득된 것으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함에는 상기 표를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4도는 전술한 의인화법에 따른 일어단어들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들 아라비아 숫자에 대응한 의인화된 단어는 제1도의 장치중 메모리에 입력되거나 그로부터 독출될 수 있으며, 제3도의 암기표에 의해 의인화된 단어를 유추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たかそ의 경우 의인화 단어가 독립문으로서 이는 314의 숫자로 번호(Key Namber)를 각각 가질 수 있는 것이어서 이로서도 의인화된 단어 유출에 따른 일어단어 뜻 및 일어단어를 쉽게 유추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일어단어를 외우기 쉬운 우리말 즉, 일어단어와 연관되기 쉬운말로 의인화시켜 본래의 한국어 뜻을 암기할 수 있으므로 일어단어를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지속적으로 적재적소에 적용하여 간편하게 암기할 수 있도록 암기표를 휴대용으로 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일어단어에 대한 정확한 한국어 의미를 의인화된 단어로서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 것이며, 본 발명자의 경우에는 각 일어단어의 올바른 뜻을 의인화된 우리말과 가장 쉽게 외워질 수 있도록 연관되어질 수 있는 문장은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매우 독특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소정량의 일어단어를 기억하여 필요시 독출하는 일어단어 메모리와, 상기의 일어단에 대응한 정확한 한국어 단어글 기억 및 독출하는 한국어 단어 메모리를 구비한 일어단어 암기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키이조작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의 일어단에 대응한 한국어를 의인화한 또다른 한국어를 기억 및 독출하기 위한 한국어의 의인화 단어 메모리와; 상기의 메모리들을 제어하여 일어단어와 한국어 단어, 한국어/의인화 단어를 독출하도록 한 제어수단과; 상기의 단어들은 키이조작에 의해 문자로서 표시하기 위한 문자 표시수단 및; 상기의 문자 표시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어단어 암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키이는 하기와 같은 버튼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어단어 암기장치.
  3. 일어의 오십음도와 한극의 자음을 하기의 표와 같이 가로, 세로로 배열하여 일어단어의 한국어 뜻에 의인화된 한국어의 자음을 연결시켜 일어단어를 의인화된 한국어로 암기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일어단어 암기표.
KR1019950030617A 1995-09-19 1995-09-19 일어단어 암기장치 및 암기표 KR0172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0617A KR0172641B1 (ko) 1995-09-19 1995-09-19 일어단어 암기장치 및 암기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0617A KR0172641B1 (ko) 1995-09-19 1995-09-19 일어단어 암기장치 및 암기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092A KR970017092A (ko) 1997-04-28
KR0172641B1 true KR0172641B1 (ko) 1999-02-18

Family

ID=1942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0617A KR0172641B1 (ko) 1995-09-19 1995-09-19 일어단어 암기장치 및 암기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26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591B1 (ko) * 2009-06-26 2012-06-28 정나윤 외국어 학습에 이용되는 색깔 암기표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교재 편집 구조 및 학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591B1 (ko) * 2009-06-26 2012-06-28 정나윤 외국어 학습에 이용되는 색깔 암기표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교재 편집 구조 및 학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092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7279A1 (en) A foreign language communication aid
Cahill et al. Factors in designing effective orthographies for unwritten languages
JPS645347B2 (ko)
KR0172641B1 (ko) 일어단어 암기장치 및 암기표
KR20040048592A (ko)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영어 문장을 학습하는 장치 및 방법
KR930004798B1 (ko) 영어단어 암기장치 및 암기표
KR100294034B1 (ko) 문자의 획순학습장치 및 그 학습방법
Lee Processing of Alternated and Inverse Fonts in Word Recognition by Native and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KR200294647Y1 (ko) 한글학습장치
KR100768696B1 (ko) 한글자판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KR200349277Y1 (ko) 휴대용 전자 문자 학습기
JPS6336665B2 (ko)
JPH0715694B2 (ja) 文字列表示装置
JP2005173081A (ja) 瞬間刺激による記憶力向上システム
KR100491947B1 (ko) 문자학습장치
JPH0269793A (ja) 格納情報表示装置
KR102503394B1 (ko) 한글학습교재
KR200168949Y1 (ko) 천자문 학습 장치
JPH0624902Y2 (ja) 仮名キ−ボ−ド入力装置
Adamson Authority and Illusion: The Power of Prospero's Book
KR20070114233A (ko) 한글의 언어적 특징을 이용한 한글 학습 방법
KR19990009836U (ko) 휴대용 단어 암기기
KR850001710B1 (ko) 전자식 사전의 데이터 처리방법
Williams et al. Interactive braille output for blind computer users
JPS6373362A (ja) アクセント表示機能を備えた単語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