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710B1 - 전자식 사전의 데이터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식 사전의 데이터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710B1
KR850001710B1 KR1019830004510A KR830004510A KR850001710B1 KR 850001710 B1 KR850001710 B1 KR 850001710B1 KR 1019830004510 A KR1019830004510 A KR 1019830004510A KR 830004510 A KR830004510 A KR 830004510A KR 850001710 B1 KR850001710 B1 KR 850001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ord
korean
key
engl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622A (ko
Inventor
이광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30004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710B1/ko
Publication of KR85000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83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data storage and retrie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식 사전의 데이터 처리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회로구성의 실시예.
제2도는 본 발명의 동작 폴로우 챠트.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는 전자식 사전의 외관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돗트형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판(LD)의 문자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파형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처리결과의 표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입력부 2 : 중앙연산처리장치
3 : 주기억장치 4 : 프로그램롬
5 : 워드 롬(WORD ROM) 6 : 표시제어부
7 : 제1표시구동회로 8 : 제2표시구동회로
9 : 돗트형액정표시장치 10 : 어레이부
11 : 전원부 NR₁: 노아게이트
IV₁: 인버터 DTL : 데이터라인
ADL : 어드레스라인 KSI, KSO : 키스캔 입출력신호
Figure kpo00001
,
Figure kpo00002
: 칩 선택신호 LD : 돗트형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판
RD : 독출신호(讀出信號) KB : 키보드
CS : 케이스 CLK : 클록신호
RST : 리셋트신호 H₁~H5: 전압분배단자
RDY : 준비신호 V : 전원단자
G, F, E : 접속점
Figure kpo00003
: 이네이블신호
MREQ : 메모리요구신호
본 발명은 한영 및 영한 상호 번역이 가능한 사전기능과 계산기능 및 효과적인 학습기능을 갖춘 전자식 사전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알고자 하는 단어의 뜻을 영한사전이나 한영사전등의 서적으로부터 찾아내었으나 이러한 서적류의 사전은 항상 휴대하기에 불편하고, 책장을 넘기며 단어를 일일이 확인하며 찾아야 하므로 사용상 비능률적인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전이 가지는 사용상의 제 단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자회로상의 간단한 키조작으로 기억장치를 효과적으로 운용하므로서 단어의 상호 번역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부수적으로 단독학습기능과 일반적인 계산기능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모아쓰기 키를 사용하지 않고 한글의 입출력 처리를 통상의 타자기의 표준자판 배열로 처리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일도록 된 전자식 사전의 데이터 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주요회로부의 결속상태로써, 전자식 사전에 있어서 전압은 입력단자(IN₁)(IN₂)를 통해 전원부(11)에 공급되고, 전원부(11)를 통과한 전압은 중앙연산처리장치(2)의 전원단자(V)에 공급되므로 중앙연산처리장치(2)에서는 별도의 전원장치 없이 주기억장치(3), 프로그램롬(4), 워드롬(5) 및 제1, 제2표시구동회로(7,8)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중앙연산처리장치(2)의 전압분배단자(H₁~H₄)를 통과한 전압은 저항(R6)(R7)(R8)과 콘덴서(C₂)(C₃)사이의 접속점(E)(F)(G)에서 3가지 레벨의 전원으로 분배되어 제1, 제2표시구동회로(7,8)에 인가되므로 별도의 전원장치 없이 돗트형 액정표시장치(9)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전압분배단자(H5)를 통과하는 전압은 저항(R₃)을 거쳐서 트랜지스터(TR₁)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₁)는 턴 온(TURN ON) 상태로 되고, 트랜지스터(TR₁)의 콜렉터를 통과한 전압은 저항(R4(R5)과 콘덴서(C₄)를 거쳐서 주기억장치(3)와 프로그램롬(4) 및 워드롬(5)의 전원으로 각각 공급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모든 회로가 동작상태에 들어갈 수 있도록 전원의 투입과 같은 초기 조건이 셋트된 후에는 단어의 번역과 일반적인 계산기능중 실시하고자 하는 모우드를 선택하도록 한다.
일예로서 사용자가 한글단어를 영어단어로 번역하는 기능은 제3도에 나타난 키보드(KB)의 모우드(MODE) 키를 눌러서 선택되어진다. 제3도는 돗트형 매트릭스 액정디스플레이판(LD)과 키보드(KB) 및 케이스(CS)를 표시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키보드(KB)는 숫자키와 문자키 및 기능키(%-1~+SEARCH)등으로 배열되어 있고, 돗트형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판(LD)에 한글을 표시하는 데에는 최소한 그 크기가 10×13돗트로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렇게 구성되면 돗트형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판(LD)의 크기는 줄어드나 마이크로 컴퓨터의 특성상 처리하는 속도가 8의 배수인 16×16돗트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더 많은 로스(loss)가 발생하여 한글을 아름답게 표시하는데는 적합하지 못하므로 돗트형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판(LD)의 구성을 16×120돗트로 구성하고 한글이외의 문자나 기호표시를 임의로 변경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부터 돗트형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판(LD)상의 기능표시가 한영(K≥E) 모우드 부분에 표시되고, 키보드(KB)의 키조작에 의한 선택신호는 키입력부(1)를 통해 중앙연산처리장치(2)에 입력되며, 어드레스라인(ADL)을 통한 어드레스(A¢~A15)가 문자데이터를 기록해두는 주기억장치(3)의 램(RAM)과 워드롬(WORD ROM)(5)에 인가된다.
또한, 어드레스라인(ADL)의 일부는 어레이부(ARRAY PART)(10)에 연결되어 있는 바, 이 어레이부(10)는 키입력부(1)를 통해서 주기억장치(3)와 프로그램롬(4) 및 워드롬(4)에 데이터가 직접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여기에서 일부 어드레스(A¢~A15)는 키로드(KB)의 키조작에 의한 선택신호와 키입력부(1)에서 결합되어 제5a도와 같은 키스캔신호(KS₁~KSn)로서 중앙연산처리장치(2)의 입력단(KSI)에 공급되며, 공급된 데이터(D¢~D7)는 데이터라인(DTL)을 통해 주기억장치(3)와 프로그램롬(4) 및 워드롬(5)에 공급되는데 이때에 중앙연산처리장치(2)의 통제하에 모든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중앙연산처리장치(2)의 어드레스(A16)는 콘트롤신호만 칩선택신호(
Figure kpo00004
)(
Figure kpo00005
)로서 주기억장치(3)의 칩선택신호(
Figure kpo00006
)와 프로그램(4)의 칩선택신호(
Figure kpo00007
) 및 인버터(IV₁)를 통해 방전되어 워드롬(5)의 칩선택신호(
Figure kpo00008
)로 공급된다.
중앙연산처리장치(2)의 독출신호(RD) 및 메모리요구신호(MREQ)는 주기억장치(3)와 프로그램롬(4) 및 워드롬(5)에 랫치된 데이터를 액티브상태로 변경시킨다. 즉, 독출신호(RD) 및 메모리요구신호(MREQ)는 노아게이트(NR₁)에 입력되어 독출신호(RD) 및 메모리요구신호(MREQ)가 없을때를 제외한 경우에 제5c도와 같은 파형으로 노아게이트(NR₁)를 통해 프로그램롬(4)과 워드롬(5)의 이네이블(
Figure kpo00009
) 신호로 변경되어 공급된다. 계산수행을 할때에는 프로그램롬(4)에 인가된 이네이블(
Figure kpo00010
) 신호에 의해 프로그램롬(4)이 액티브상태로 되고, 중앙연산처리장치(2)를 통한 데이터는 프로그램롬(4)에 기록된 계산상의 연산 데이터로서, 어드레스 및 데이터라인(ADL)(DTL)을 통해 주기억장치(3)에 기록되었다가 중앙연산처리장치(2)의 통제하에 데이터라인(DTL)을 거쳐서 표시제어부(6)에 공급된다.
이와 달리 한글단어에서 영어단어로 상호 번역하는 경우에는 중앙연산처리장치(2)를 통하는 데이터(DΦ~D7)의 어드레스(AΦ~A15)가 데이터라인(DTL)과 어드레스라인(ADL)을 통과하여 주기억장치(3)와 워드롬(5)에 공급되고, 공급된 데이터는 중앙연산처리장치(2)의 칩선택신호(
Figure kpo00011
)(
Figure kpo00012
)와 독출신호(RD) 및 메모리요구신호(MREQ)에 의해 주기억장치(3)에 기록되었다가 중앙연산처리장치(2)의 통제하에 데이터라인(DTL)을 통해서 표시제어부(6)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제5d도와 같은 파형에 의하면 중앙연산처리장치(2)의 콘트롤신호인 어드레스(A16)와 독출신호(RD) 및 메모리요구신호(MREQ)로써 주기억장치(3)와 프로그램롬(4) 및 워드롬(5)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어드레스(AΦ~A15)와 데이터(DΦ~D7) 및 칩선택신호(
Figure kpo00013
)가 발생되어 표시제어부(6)에 공급된다. 이후 사영자는 문자키(한글키)를 조작하여 한글단어를 입력시키는데, (한→영)모우드 이외의 계산기능을 수행할때와 영어단어를 한글단어로 상호 번역하는 기능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실시하도록 한다.
계산수행과 한글단어에서 영어단어로 상호 번역하는 경우 및 효과적인 학습기능등을 제2도의 폴로우챠트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우드는 3개의 모우드로 구분된다. 즉, ⓞ는 계산모우드, ①은 한→영 모우드, ②는 영→한 모우드로 분별되며, 계산모우드(ⓞ)일때는 키의 입력에 숫자(Φ~9)와 기능(%,×,+,-)의 데이터가 들어와 계산기능이 실시되고, (번역=)키를 누르면 계산결과가 돗트형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판(LD)에 제4a도와 같은 문자 구성도로 나타난다.
한→영 모우드(①)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키보드(KB)의 출제키를 눌러서 출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출제기능으로써, 한글로 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영어단어로 번역하여 맞고 틀림을 스스로 판단하는 효과적인 기능이다.
출제키를 누르지 않고 번역기능을 실시할 때에는 키보드(KB)의 문자(한글)키를 눌러서 한글의 첫째 입력소자를 판별하여 플래그(FLAG)를 셋트시켜 놓은후 이때부터 한글의 마지막 자소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마지막 자소가 아니면 한글의 자음이나 모음만을 그대로 표시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한글의 마지막 자소가 입력되었는가의 판단은 첫번째의 모음뒤에 자음이 입력되었는가를 체크하고 또 하나의 모음이 입력되는 신호를 체크하여 모아쓰기의 형태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키보드(KB)상에 별도의 모아쓰기 키를 만들면 이 프로그램은 다소 간단해지나 사용자의 실질적인 조작시 매 문자마다 입력을 시키는 불편이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도록 하였다.
즉, 마지막 자소가 복자음인 경우 예를 들어 "값", "삶", "까닭"등을 표시하는 경우는 한글의 마지막 모음의 입력이 없어서 갑ㅅ, 살ㅁ, 까달ㄱ 등으로 표시가 되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키보드(KB)의 번역키를 입력시킬때에 한글의 마지막 자음을 복자음의 받침으로 인식하게끔 프로그램을 해 놓으면 이러한 문제는 해결되는 것이다. 또한 그 외에 복자음받침이 발생할 때는 그러한 단어가 극히 적으므로 워드름(5)에 프로그램을 해놓으며 이에 따라 한글단어를 FIFO(FIRST IN FIRST OUT)로 사용하여 순서대로 처리하므로 대응롬 코드의 자소데이터가 추출되고 모아쓰기 문자가 추출되어 한글단어는 모아쓰기가 완료된다.
한글단어의 모아쓰기가 완료되지 않으면 데이터는 출제키 다음단으로 되돌려 보내져 정확한 한글의 모아쓰기를 완료하도록 한다. 이후 번역키를 눌렀을때 한글단어가 영어단어로 번역되고, 번역키를 눌러 번역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데이터를 순환시켜서 다시 한글단어를 판단하게 한다.
따라서 한글단어는 제4b도와 같은 문자 구성도로 표시되며, 이러한 표시문자상에 번역키를 눌러서 워드롬(5)내의 해당 영어단어를 추출하여 표시토록 한다. 반의어(反意語)와 동의어(同意語) 및 동음이의어(同音異音語)의 기능키를 눌렀을때는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달리 영→한 모우드(②)로 있을 경우에는 키보드(KB)상의 출제키를 눌러서 영어로 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한글단어로 번역하여 맞고 틀림을 스스로 판단하는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러지 않고 번역키를 직접 누를때에는 워드롬(5)에서 해당 한글단어를 추출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판(LD)상에 표시토록 한다. 출제기능이 수행된 후에는 다시 타기능을 실시할 수 있도록 모든 회로부는 준비상태가 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영어단어는 제4c도와 같은 문자구성도로 표시되고, 번역된 한글표시단어에 대하여 여타 기능키를 눌렀을 때에는 타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타기능이 수행되지 않을 때에는 최초 시점으로 돌아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준비를 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동작 플로우 챠트에 의해서 실시되는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주요 회로부의 결속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모든 회로가 동작상태에 들어갈 수 있도록 전원을 투입하므로서 사용자는 돗트형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판(LD)의 표시루우틴 상태를 확인하며 정상적인 표시루우린 상태를 확인한후, 키보드(KB)상의 숫자키나 문자키를 누르면 제5a도에 나타난 타이밍신호인 기본클루파형(Φ)과 키스캔신호용(KS₁~KSn) 펄스는 순차적으로 키입력부(1)를 통해서 중앙연산처리장치(2)에 가해지므로 키입력여부가 감지된다.
그러므로 돗트형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판(LD)의 기능표시와 키보드(KB)상의 키조작에 의한 각 모우드 신호는 키입력부(1)를 통해서 중앙연산처리장치(2)에 입력되는데, 중앙연산처리장치(2)는 내부에서 감지된 키스캔신호용(KS₁~KSn) 펄스를 주기억장치(3)의 램(RAM)으로 보내기 위하여 제5a도와 같은 칩선택신호(
Figure kpo00014
)를 출력한다.
칩선택신호(
Figure kpo00015
)는 두개의 칩선택신호(
Figure kpo00016
)(
Figure kpo00017
)로 나누어지는바, 제1칩선택신호(
Figure kpo00018
)는 키입력부(1)를 통해서 중앙연산처리장치(2)로 입력되는 문자데이터를 기록해 두는 주기억장치(3)의 램(RAM)에 어드레스된 칩을 선택하고, 제2칩선택신호(
Figure kpo00019
)는 전체의 시스템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인 프로그램 롬(P-ROM)(4)에 인가되어 계산수행시 사용되는 칩을 선택하므로써 계산기능이 수행되며, 한편으로는 어드레스(A16)가 로우레벨로 인버터를 통하여 한글자소나 단어리스트가 수록된 단어 메모리인 워드롬(WORD ROM)(5)에 인가되어 기능이 수행된다.
이와 달리 어드레스(A16)가 하이레벨일때는 주기억장치(3)와 프로그램롬(4)의 기능이 수행되고, 제5a도와 같은 칩선택신호(
Figure kpo00020
)가 나온후에 중앙연산처리장치(2)의 어드레스 및 데이터라인(ADL)(DTL)을 통한 제5a도와 같은 어드레스 및 데이터신호(AΦ~A15)(DΦ~D7)는 주기억장치(3), 프로그램롬(4), 워드롬(5) 및 표시제어부(6)에 각각 공급되며, 각 모우드에 따라 데이터라인(DTL)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는 표시제어부(6)에 보내진 표시데이터로써 제5b도와 같은 파형으로 일정한 시간동안에 표시되는데, 중앙연산처리장치(2)에서는 표시와 관계없이 일을 계속 수행할 수 있도록 표시제어소자가 단독으로 표시데이터를 받아 표시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여타 기능의 능률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서 표시소자는 중앙연산처리장치(2)에서는 칩선택신호(
Figure kpo00021
)를 받아 데이터라인(DTL)을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를 선택하는데, 이것의 데이터가 키입력부(1)로부터 키보드(KB)상의 키조작에 의해서 중앙연산처리장치(2)의 입력으로 들어오면 순서대로 주기억장치(3)에 기억시키도록 되어 FIFO(FIRST IN FIRST OUT)의 원리에 입각하여 처리되게 한다.
이 입력데이터는 한글타자기의 표준자판을 사용하도록 하며, 이는 ASCII 배열 데이터로 하고 대응되는 워드롬(5)에서 호출하여 호출된 데이터를 표시제어부(6)로 보내도록 한다.
따라서 워드롬(5)에서 기억되어 있는 단어코드 프로그램은 표 1과 표 2에 나타난 메모리 데이터처럼 영한 모우드 메모리 맵(표 1)과 한영 모우드 메모리 맵(표 2) 등으로 구분되어진다.
[표 1]
(영한 모우드 메모리 맵)
Figure kpo00022
[표 2]
(한영 모우드 메모리 맵)
Figure kpo00023
영한 모우드 메모리 맵인(표 1)에 수록되어 있는 메모리 데이터의 처리순서는 다음과 같다.
키보드(KB)상의 키조작에 의한 영어단어(BRIDE)가 키입력부(1)를 통하여 중앙연산처리장치(2)에 입력되고, 입력된 데이터는 중앙연산처리장치(2)의 어드레스라인(ADL)을 통해 워드롬(5)내에 있는 지정된 어드레스(2ΦΦ)에 공급되며, 이러한 표시데이터는 중앙연산처리장치(2)의 데이터라인(DTL)을 통해 주기억장치(3)와 프로그램 램(4) 및 워드롬(5)에서 상호 교환되고, 키보드(KB)상의 번역 및 반의어키를 누름에 따라서 워드롬(5)내에 메모리된 신부(AΦ2) 및 신랑(AΦΦ) 데이터는 데이터라인(DTL)을 통해 표시제어부(6)에 공급된다.
이와 달리 한영 모우드 메모리 맵(표 2)에 수록되어 있는 메모리데이터를 처리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키입력부(1)를 통과한 한글(신랑) 데이터는 중앙연산처리장치(2) 내부에 입력되고, 입력된 데이터는 중앙연산처리장치(2)의 어드레스 및 데이터라인(ADL)(DTL)을 통해서 워드롬(5)내에 있는 지정된 어드레스(AΦΦ)에 공급되며, 키보드(KB)상의 번역 및 반의어 키조작에 의해 워드롬(5)내에 메모리된 BRIDEGROOM(2Φ1) 및 BRIDE(2ΦΦ) 데이터는 어드레스 및 데이터라인(ADL)(DTL)을 통해 주기억장치(3)에 기록되었다가 다시 데이터라인(DTL)을 통해 표시제어부(5)에 공급된다.
따라서 영한 모우드 메모리 맵(표 1) 및 한영 모우드 메모리 맵(표 2)에 수록된 메모리 데이터는 중앙연산처리장치(2)의 레이디신호(RDY)와 칩선택신호(
Figure kpo00024
)에 의해 전술한 방법으로 제어되고 난후에 표시제어부(6)에 공급된다.
표시제어부(6)를 통과한 표시데이터는 액정표시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브 집적회로인 제1, 제2표시구동회로(7)(8)에 공급되고, 표시데이터는 계산되는 숫자와 영한 모우드 메모리 맵(표 1) 및 한영 모우드 메모리 맵(표 2)에 수록된 데이터로서, 제1, 제2표시 구동회로(7)(8)를 통해 돗트형 액정표시장치(9)에서 숫자 및 문자(한글과 영어단어)로 표시된다.
돗트형 액정표시장치(9)는 16×16 돗트형 매트릭스로서 숫자와 영문자 또는 한글을 표시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실제로 제4a도, 제4b도 및 제4c도와 같은 형태로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되는 각 모우드의 데이터 처리방법에 준하여 키보드(KB)상에 있는 키 조작과 돗트형 액정표시장치(9)의 관계를 표시하면 제6도와 같다.
제6a도에 나타난 것은 한글을 영어단어로 번역하는 것과 기타 기능을 표시하는 것으로 키 보드(KB)의 모우드(MODE)키를 누르면 돗트형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판(LD)에 표시루우틴에 따라 계산, 영→한, 한→영 등의 상태로 옮기게 되고, 제6b도에서는 한→영(K→E) 모우드가 선택된 후 즉, 돗트형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판(LD)에 표시 루우틴이(K→E) 모우드로 된후에 입력데이터를 넣어주면 되고 이와 같이 "ㄱ" "ㅏ"의 키를 누르고 난 다음에 "ㅂ" "ㅕ"의 키를 누르고 다시 "ㅇ" "ㅜ" "ㄴ"의 키를 누르면 "가벼운"이라는 문자가 표시되며 번역키를 누르면 돗트형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판(LD)에는 "A, LIGHT"라는 문자가 표시된다.
한편 키보드(KB)상의 반(反)키를 누르면 반(反)위치에 표시루우틴되고 난후에 "A, HEAVY" 문자 돗트형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판(LD)에 표시되고 또 번역키를 누르면 "무거운" 문자가 표시되며, 다시 반(反)키를 누르면 "A, LIGHT" 문자가 표시되고, 번역(飜譯)키를 누르면 "가벼운" 문자가 돗트형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판(LD)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어휘력 및 기타 테스트를 하기 위한 출제기능을 제6b도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제기능은 사용자가 임의의 단어를 출제하여 스스로 테스트 하는 것으로 키보드(KB)에 있는 모우드(MODE) 키를 눌러서 한영 모우드(K→E)에 셋트하고, RND 및 출제키를 눌러서 임의의 단어인 "N, 의복, 옷?" 등의 단어를 돗트형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판(LD)에 표시한 후, 키보드(KB)에 있는 "D,R,E,S,S"의 키를 눌러서 자신의 답을 표시하고 테스트(TEST)키를 누르면 워드롬(5)등에서 한글단어와 영어단어의 일치여부를 판정하여 "맞았읍니다!"라는 판정문이 표시된다. 판정문의 표시후에는 적정영어단어인 "DRESS" 문자가 표시된다.
이와는 달리 "A, 공업의, 산업의?" 등의 임의의 단어가 출제되면 사용자는 키보드(KB)에 있는 (I,N,D,U,S,T,R,Y"의 키를 누른 다음에 테스트(TEST)키를 누르면 워드롬(5)의 수록단어에 의한 비교에 의해 맞고 틀림은 다음과 같이 "틀렸읍니다!"로 표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다시 "A, 공업의, 산업의?" 등의 단어를 표시한후, 사용자가 "I,N,D,U,S,T,R,I,A,L"의 키와 테스트(TEST) 키를 누르게 되면 이는 워드롬(5) 및 프로그램롬(4)의 판정에 의해 "맞았읍니다!"로 표시된후 "INDUSTRIAL" 문자가 표시된다.
따라서, 임의의 단어가 출제되어 틀린 데이터가 중앙연산처리장치(2)에 들어오면 이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워드롬(5)내에서 영한 모우드 메모리 맵(표 1)과 한영 모우드 메모리 맵(표 2)을 조합 처리하게 되어 있어서 고속의 번역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중앙연산처리장치(2)에서는 입력데이터의 어드레스가 지정되어 있으므로 임의의 단어에 대하여 번역키를 누르게 되면 가장 유사한 곳의 단어가 지정되어서 신속히 번역 데이터가 있는 곳으로 재어드레싱 되어진다.
이렇게 하여 재어드레싱되는 데이터는 어드레스 및 데이터라인(ADL)(DTL)을 통해 표시제어부(6)에 공급되고 또 제1, 제2표시 구동회로(7)(8)를 통해서 돗트형 액정표시장치(9)에 나타나게 된다.
제6b도에 나타낸 것은 한글을 영어단어로 번역하는 것으로 키보드(KB)의 모우드(MODE) 키를 누르면 돗트형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판(LD)에 한→영(K→E) 모우드가 선택되고, 그후 "ㄲ" "ㅏ", "ㄷ" "ㅏ" "ㄹ" 순으로 키를 누르면 "까달"에서 "ㄱ"키를 다시 누르면 "까닭"으로 표시되는 것을 워드롬(4)에서 키보드(KB)의 번역키를 입력시킬때에 한글의 마지막 자음을 복자음의 받침으로 인식하게끔 프로그램을 해놓으면 되며, 이와 달리 복자음의 받침이 자음과 자음 사이에 발생할때의 단어가 극히 적으므로 이것 역시 프로그램을 해놓으면 이러한 문제는 해결된다.
따라서, "까달ㄱ" 다음에 번역키를 누르면 "까닭"으로 변경되었다가 "N, REASON"으로 표시된다.
다른 예로서 "ㅈ", "ㅜ", "ㄱ", "ㅇ", "ㅡ", "ㄴ" 순으로 키보드(KB)의 키를 누르고 난 다음에 번역키를 누르면 "죽은"으로 표시되었다가 "A, DEAD"로 돗트형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판(LD)에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저항(R₁)과 콘덴서(C₁)를 통하는 중앙연산처리장치(2)의 리셋트신호(RST)가 발생되면 어드레스라인(ADL)과 데이터라인(DTL)은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되어서 중앙연산처리장치(2)의 모든 제어신호를 크리어상태로 만들고, 이때 중앙연산처리장치(2)에서 입출력되는 모든 신호는 비활동상태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영 및 영한 상호 번역이 가능한 사전기능과 이러한 사전기능에 계산기능을 부가하고, 학습효과를 올릴 수 있는 출제, 동의어, 반의어 및 동음이의어 등의 기능을 추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므로써 한글 및 영문 또는 숫자 등으로 표시가능한 돗트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판(LD)상에 서적류의 사전보다 더욱 효과적인 기능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워드롬(4) 부분만을 교환 가능하게 하면 영어, 불어, 독어 등의 여러 나라의 외국어 번역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1)

  1. 키보드(KB)에 의하여 구성된 키입력부(1)를 통하여 문자데이터를 중앙연산처리장치(2)에 공급하고, 중앙연산처리장치(2)에 입력된 문자데이터를 어드레스라인(ADL)과 데이터라인(DTL)을 통하여 주기억장치(3)에 공급해서 제2국어로 번역하며, 번역된 문자데이터를 표시제어부(6)에 공급해서 제1,2표시구동회로(7)(8)와 돗트형 액정표시장치(9)를 통하여 번역문자를 표시하도록 된 전자식 사전의 데이터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2)에 입력된 문자데이터가 어드레스라인(ADL)과 데이터라인(DTL)을 통해서 주기억장치(3)와 프로그램롬(4) 및 워드롬(5)에서 상호 교환되도록 하고 계산 및 시스템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롬(4)과 한글자소나 단어리스트를 수록한 워드롬(5)에서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3)의 램(RAM)에 기록하며, 번역 또는 출제키를 선택함에 따라 워드롬(5)에 있는 영한 모우드 메모리와 한영 모우드 메모리로부터 해당단어를 추출하도록 한후, 이를 제1, 제2표시구동회로(7)(8)와 16×120돗트형 액정표시장치(9)에 표시하므로써 한영·영한 상호 번역과 출제기능, 동의어, 반의어, 동음이의어의 처리기능, 계산기능 등을 실시하도록 된 전자식 사전의 데이터 처리방법.
KR1019830004510A 1983-09-26 1983-09-26 전자식 사전의 데이터 처리방법 KR850001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4510A KR850001710B1 (ko) 1983-09-26 1983-09-26 전자식 사전의 데이터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4510A KR850001710B1 (ko) 1983-09-26 1983-09-26 전자식 사전의 데이터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622A KR850002622A (ko) 1985-05-15
KR850001710B1 true KR850001710B1 (ko) 1985-11-26

Family

ID=1923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510A KR850001710B1 (ko) 1983-09-26 1983-09-26 전자식 사전의 데이터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7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622A (ko) 198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itken Using cloze procedure as an overall language proficiency test
Nesi The specification of dictionary reference skills in higher education
WO1982000442A1 (en) Ideographic word selection system
JP3811992B2 (ja) 電子学習機
US5063534A (en) Electronic translator capable of producing a sentence by using an entered word as a key word
US5295070A (en) Electronic dual language dictionary
KR850001710B1 (ko) 전자식 사전의 데이터 처리방법
JPS61252575A (ja) 教育用学習機
JPH0715694B2 (ja) 文字列表示装置
JPH11202751A (ja) 単語ゲーム付き電子辞書
JPH10171338A (ja) 携帯学習機
JP3278447B2 (ja) 電子辞書
Staack A study of Braille code revisions
JPS6014277A (ja) 国語学習機
KR930004798B1 (ko) 영어단어 암기장치 및 암기표
JPH0624902Y2 (ja) 仮名キ−ボ−ド入力装置
JPH0232634B2 (ko)
JPH0821039B2 (ja) 電子辞書検索装置
JPS5832418B2 (ja) 漢字まじり文入力装置
KR880000990B1 (ko) 한글의 모아쓰기 자동처리방법
JPS5835581A (ja) 電子学習機
JP2002351868A (ja) 電子辞書
JPS6146556A (ja) 日本語ワ−ドプロセツサ
JPS5984281A (ja) 漢字学習機
JPS5717080A (en) Electronic interpr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0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