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2295B1 - 새들형 편향 코일의 권선방법 및 권선장치 - Google Patents

새들형 편향 코일의 권선방법 및 권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2295B1
KR0172295B1 KR1019950023056A KR19950023056A KR0172295B1 KR 0172295 B1 KR0172295 B1 KR 0172295B1 KR 1019950023056 A KR1019950023056 A KR 1019950023056A KR 19950023056 A KR19950023056 A KR 19950023056A KR 0172295 B1 KR0172295 B1 KR 0172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nozzle
mold assembly
deflection coi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3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로 히노
Original Assignee
무라따 야스따까
가부시끼가이샤 무라따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따 야스따까, 가부시끼가이샤 무라따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무라따 야스따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2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2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71Winding coils of special form
    • H01F2041/0711Winding saddle or deflection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 H01J2209/2363Coils
    • H01J2209/2366Machines therefor, e.g. winding, forming, welding, or the like

Landscapes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Coil Winding Methods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권선장치는, 권선몰드 조립체(25) 및 적어도 한 가닥의 와이어(23)을 공급하는 권선노즐(22)에 의해, 교란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고밀도로 균일한 장력을 갖도록 새들형 편향코일(9)을 권선할 수 있다. 상기 권선몰드 조립체(25)는 본체(24)의 회전식 스탠드 (26)상에 실장되어 있다. 권선노즐(22)는, 홀더(85)에 고정되어져 있으며, 상기 홍더(85)는 제1디스크(74)와 제2디스크(78)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노즐이동 메커니즘(28)의 결합판(77)상에 실장되어져 있다. 모터(27)의 토크는, 전달 메커니즘(30)에 의해 전달되어져서, 권선몰드 조립체(25)의 각 회전에 대해 디스크(74,78)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2회 회전시킨다. 디스크(74,78)의 회전은, 결합판(77)의 회전이동으로 전환되어져서, 권선몰드 조립체(25)의 1회 회전에 대해 권선노즐(22)는 8자형 자취를 따라 2회 왕복 운동한다.

Description

새들형 편향 코일의 권선방법 및 권선장치
제1a도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의한 새들형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b도는 제1a도에 나타난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2a도는 제1a도에 나타난 장치의 평면도로서, 노즐 이동 유니트가 권선 몰드 조립체에 근접해 있다.
제2b도는 제2a도에 나타난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3a도는 제1a도에 나타난 장치의 권선 몰드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제3b도는 제3a도에 나타난 권선 몰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제4a도는 제1a도에 나타난 장치의 노즐 이동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4b도는 제4a도에 나타난 노즐 이동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제4c도는 제4a도에 나타난 노즐 이동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제5도는 제1a도에 나타난 장치의 실장 스테이지(mount stage)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6도는 제1a도에 나타난 장치의 결합판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7도는 본 구현예에서 권선 노즐의 이동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제8도는 권선 몰드 조립체가 회전하고 있는 권선 노즐의 이동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제9도는 편향 코일의 전면 크로스오버부가 권선되어질 때, 제1a도에 나타난 장치의 권선 작업을 보여준다.
제10도는 권선몰드 조립체가 1회 회전하는 동안의 권선 작업을 나타낸다.
제11a도는 종래의 권선 장치에 사용되는 권선 몰드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제11b도는 제11a도에 나타난 권선 몰드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2도는 제11a도와 제11b도에 나타난 장치의 권선 작업을 나타낸다.
제13도는 일반적인 새들형 편향 코일의 사시도이다.
제14도는 편향 요크에 결집된 한쌍의 새들형 편형 코일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새들형 편향 코일 22 : 권선노즐
23 : 와이어 24 : 본체
25 : 권선몰드 조립체 26 : 회전식 스탠드
27 : 모터 28 : 노즐이동메커니즘
30 : 전달 메커니즘 36 : 구동풀리
38 : 베이스테이블 40 : 기어박스(gear box)
41 : 입력샤프트 44 : 출력샤프트
46 : 실장스테이지 50 : 회전식샤프트
74 : 제1디스크 78 : 제2디스크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편향요크(deflection yoke)로서 사용될 수 있는 새들형 편향 코일(saddle type deflection coil)의 권선 방법 및 권선장치에 대한 것이다.
제13도는 종래의 새들형 편향 코일(9)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새들형으로 와이어를 권선하여서 형성된다. 크로스오버(crossover)부 (1,2)가 상기 편향 코일(9)의 전단면과 후단면에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배선부(distribution part)(3)이 상기 크로스오버부(1)과(2)사이에 형성되어져 있다. 윈도(window)(4)가 상기 배선부(3)의 정상면 내에 한정되어져서, 그 내부에는 어떠한 외이어도 권선되어져 있지 않으며, 접속면(joining side)(5)가 상기 배선부(3)의 저부말단의 경계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새들형 편향 코일(9)는, 제11a도 및 제 11b도에 나타난 권선 몰드 조립체(winding mold assembly)(6)에 의해 제조되어진다. 상기 권선몰드 조립체(6)은 한쌍의 내부몰드(inner mold)(7)및 외부몰드(outer mold)(8)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몰드(7)은, 배럴(barrel)부(15)의 정상부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연동판(engaging plate)(11)이 장착되어 있는 새들형이며, 내부 몰드 테이블(mold table)(10)위에 실장되어져 있다. 와이어 안내 슬립(wire guiding slip)(13a)가 전면 플랜지(front flange)(12)와 근접한 곳에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전면 플랜지(12)는 상기 내부 몰드(7)의 전단면 상에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와이어 안내 슬립(13c)가 후면 플랜지(rear flange)(14)와 근접한 곳에 설치되어 져 있으며, 상기 후면 플랜지(14)는 내부 몰드(7)의 후단면 상에 형성되어져 있다.
반면에, 외부 몰드(8)은, 내부몰드(7)의 배럴부(15)가 그 내부에 수용되어 지는 개구(16)을 포함하고 있으며, 연동홀(engaging hole)(7)이 상기 개구(16)의 저부에 설치되어져서 연동판(11)과 맞물리게 된다. 외부 몰드(8)은 외부 몰드 테이블(18)위에 고정되어 있으며, 와이어 안내 슬립(13b,13d)가 상기 외부 몰드(8)의 양측에 설치되어져 있다.
내부 몰드(7)과 외부 몰드(8)은 연동판(11)과 연동홀(17)의 맞물림에 의해 서로 일치하도록 결합되어져서 그 사이에 다수개의 와이어 권선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cavity)를 형성한다. 새들형 편향 코일(9)의 배선부(3)은, 내부몰드(7)의 배럴부(15)의 곡면과 외부 몰드(8)의 개구(16)사이에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크로스오버부, (1,2)는 플랜지 (12,14)와 외부 몰드(8)의 반대쪽면 사이에 형성된다.
권선 몰드 조립체(6)은 권선 장치 위에 실장되어져 있으며, 제11a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내부몰드(7)의 중심축(20)에 수직인 회전축(21)둘레를, 제12도에 나타난 화살표 방향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구동된다. 권선 몰드 조립체(6)과 근접한 위치에, 권선 노즐(22)가 제12도에 나타난 회전축(21)에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배치되어져서, 하나 또는 다수개의 와이어(일반적으로 절연-코팅된 구리 와이어)(23)이 상기 권선 노즐(22)를 통해 공급되어져서 회전 권선 몰드 조립체(16)위에 권선된다.
상기 권선 작업에서, 와이어 (23)은 플랜지(14)상의 공동의 후부 홈안으로 들어가서 코일(9)의 후면 크로스오버부(2)가 권선된다(제12도의 0°위치 참조). 그후에, 와이어(23)은 와이어 안내 슬립(13d)의 곡면상에서 슬라이딩(sliding)하면서 배럴부(15)와 개구(16)사이의 공동의 측면홈내로 들어가서, 제12도의 45°위치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선부(3)의 한쪽면이 권선된다.
권선몰드 조립체(6)은 더욱 회전하여서 와이어(23)은, 제12도의 90°위치에 나타난 바와같이, 와이어 안내 슬립(13a)의 곡면상에서 슬라이딩하고 굴곡된다. 그 후에, 와이어(23)은 플랜지 (12)상의 홈 내로 들어가서, 제12도의 135°위치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일(9)의 전면 크로스오버부(1)을 권선 하게 된다. 상기 권선 몰드 장치(6)이 더욱 회전하면, 와이어 (23)은 와이어 안내 슬립(13b)의 곡면상에서 슬라이딩하고 굴곡하는 동안, 배럴부(15)와 개구(16)사이의 또다른 홈내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코일(9)의 배선부(3)의 다른쪽면이 내부 몰드(7)과 외부 몰드(8)사이에서 권선된다.
코일의 상기 권선 작업 후에, 권선 몰드 조립체(6)이 정지하고, 외부 몰드(8)이 내부 몰드(7)로부터 제거되어져서, 제 11a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권선된 편향 코일(9)가 내부 몰드(7)로부터 제거되어진다. 상기 권선작업에서, 와이어 (23)은 연동판(11)의 영역으로 들어갈 수 없으며, 와이어(23)이 없는 부위가 편향 코일(9)의 윈도(4)의 경계가 된다.
종래의 권선 장치는, 권선노즐(22)가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어져 있고 와이어(23)이 상기 일정 위치로부터 회전 권선몰드 조립체(6)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와이어(23)을 권선몰드 조립체(6)의 홈으로 가능한한 순조롭게 도입하기 위하여, 와이어 안내슬립(13a~13d)들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와이어 안내슬립(13a~13d)들이 사용될 때, 와이어(23)은, 홈내로 들어가기 전에 와이어 안내슬립(13a~13d)의 곡면상에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와이어(23)이 곡면(13a~13d)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과도하게 공급되어져서 와이어(23)이 홈으로 들어갈 때에는 느슨해지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 (23)의 장력(tension)이 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내부 몰드(7)의 와이어 안내 슬립(13a~13c)들이 전면 그로스오버부(1) 및 후면 크로스오버부(2)의 크기에 따라 제공되어지므로, 전면 와이어 안내슬립(13a)의 폭과 크기는 후면 와이어 안내 슬립(13c)의 그것보다 더 크다. 따라서, 전면 크로스오버부(1)을 권선하는 와이어(23)은 후면 크로스오버부(2)를 권선하는 와이어(23)보다 더 느슨해진다.
예를 들어, 제 13도의 I,II,III,IV,V 및 VI의 순서대로 와이어(23)을 권선하는 경우에, 전면 크로스오버부(1)은 우선 I~III가지 권선된다. 상기의 경우에, 와이어(23)이 전면 홈내로 들어갈때 느슨해지게 되므로, III위치에서는 장력이 감소하는 반면, I위치의 와이어(23)에는 큰 장력이 강해진다. 결과적으로, 전면 크로스오버부(1)에서, III위치의 권선밀도(winding density)는 I위치의 그것보다 더 성기게 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후부 크로스오버부(2)에서, VI위치의 권선 밀도는 IV위치의 그것보다 더 성기게 된다. 따라서 새들형 편형코일(9)에서 좌면과 우면의 권선밀도가 불균일해지게 된다.
새들형 편향 코일의 자기능력(magnetic performance)을 개선하기 위해, 권선몰드 조립체(6)의 홈내에 와이어(23)을 교란(turbulence)없이 조밀하게 권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서는, 장력 변화로 인해, 홈내에서 와이어가 느슨해지고 무질서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것을 교정하기 위해, 와이어(23)의 코일링(coiling)이 끝난 후에, 프레스(press)수단을 사용하여 와이어(23)을 기계적으로 홈쪽으로 누르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23)의 위치가 방해받게 되어서 코일의 자기성능이 개선되어지지 않는다.
상기한 방법으로 권선되는 코일(9)가 편향요크내로 집결될 때, 한 쌍의 편향 코일(9)들은, 제1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 코일(9)의 접속면 (5)가 서로 마주보도록 실장되어진다.
상기의 경우에, 상부 코일(9)에서는, 좌면 Ⅲ위치의 권선밀도가 우면 Ⅰ위치의 그것보다 성기게 되며, 하부 코일(9)에서는, 우면 Ⅲ위치의 권선밀도가 좌면 Ⅰ위치의 성기게 된다. 따라서, 코일(9)는 상하부뿐만 아니라 좌우면에서의 권선밀도가 불균일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편향자기장(deflection magnetic field)가 좌우면, 상하면 상에 어지럽게 분산되어져서 코일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자기장 분포의 상기와 같은 분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기장 교정코일이나 자기부재(magnetic menber)들이 실장되어진다. 그러나, 코일 내에 상기와 같은 부재를 실장시키는 것은 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불균일한 자기장 분포를 효과적으로 교정하기는 어렵다.
더욱이, 종래의 권선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와이어 안내 슬립(13a~13d)의 설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권선몰드 조립체(6)이 구조면에서 너무 복잡하고 크기가 너무 큰 점이 있어서, 몰드 비용이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링 시 와이어의 장력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권선 밀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편향코일의 자기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새들형 편향 코일의 권선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권선몰드 조립체를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새들형 편향코일의 권선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권선몰드 장치에 의해 배선부에 접속되는 전면 크로스오버부와 후면 크로스오버부를 가지고 있으며, 적어도 한가닥의 와이어를 공급하기 위한 권선노즐을 갖는 새들형 편향 코일의 권선방법을 제공하게 되었다. 상기 권선몰드 조립체는, 한 쌍의 외부몰드 및 내부몰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몰드들은 서로 일치하도록 결합되어져서 그 사이에 편향코일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와이어 권선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체를 형성한다. 권선몰드 조립체는 외부몰드와 내부몰드의 일치 결합 방향에 평행한 회전축 둘레를 회전한다. 권선노즐은 상기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우선, 편향코일의 전면 크로스오버부가 권선될 때, 권선노즐이 편향코일의 정상면으로부터 접속면쪽으로 이동하고, 두번째로, 편향코일의 배선부의 한쪽면이 권선될 때, 권선노즐은 편향코일의 접속면으로부터 정상면쪽으로 이동한다. 세번째로, 편향코일의 후면 크로스오버부가 권선될 때, 권선노즐은 편향코일의 정상면으로부터 접속면쪽으로 이동하며, 마지막으로, 편향코일의 배선부의 다른쪽면이 권선될 때, 권선노즐은 편향코일의 접속면으로부터 정상면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권선몰드 조립체가 1회 회전함에 따라, 편향코일의 접속면과 정상면 사이에서 권선노즐이 2회 왕복운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권선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는, 회전권선몰드 조립체의 공동상에 권선되어져서 새들형 편향코일을 형성한다. 와이어가 편향코일의 전면 크로스오버부에서 권선될 때, 권선노즐은, 전면 크로스오버부의 정상면으로부터 접속면쪽으로, 실제적으로 권선몰드 조립체의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하여서, 와이어는 전면 크로스오버부 공동의 전면홈내로 들어간다.
즉, 전면 크로스오버부와 배선부의 한쪽면은 정상면과 접속면 사이에서의 권선로즐의 1회 왕복동작에 의해 코일되며, 후면 크로스오버부와 배선부의 다른쪽 면은 정상면과 접속면 사이에서의 1회 왕복동작에 의해 동일하게 코일되어진다.
따라서, 권선노즐은, 권선몰드 조립체의 각 회전에 대해, 정상면과 접속면 사이에서 2회 왕복운동하여서, 새들형 편향코일의 1회 권선을 코일링하게 된다. 상기 작업을 반복하여 원하는 모양을 갖는 새들형 편향코일을 권선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권선노즐의 이동이 권선몰드 조립체의 회전과 일치하게 발생하므로, 와이어 안내슬립 없이도, 와이어가 권선몰드 조립체의 홈내로 순조롭게 도입되어져서 장력변화가 감소된다. 따라서, 자기성능이 개선된 새들형 편향코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권선몰드 조립체가 와이어 안내슬립을 구비하지 않도록 되므로, 몰드 조립체의 크기가 최소화되고 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정상면과 접속면 사이의 왕복 동작 외에도 권선노즐의 교차전위가 실시되어져서, 권선몰드 조립체의 1회 회전에 대해, 8자형 자취를 따라 권선노즐이 이동된다. 권선몰드 조립체의 회전과 권선노즐의 8자형 왕복운동이 반복되어져서 자기성능이 더욱 개선된 새들형 편향코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의 경우에, 노즐이 권선몰드 조립체의 회전축을 따라 이동할 때, 노즐은, 권선몰드 조립체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위된다. 노즐의 전위이동으로 인해, 와이어는 홈의 공동속으로 순조롭게 들어가게 된다. 더욱이, 노즐이 정상면과 접속면에 도달할 때, 권선 몰드 조립체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노즐이 전위하여서, 홈에 수용된 와이어에 적절한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가 홈내에서 느슨해지지 않으며, 와이어는 교란없이 균일한 권선밀도로 권선되어진다.
도면에 의거하는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잇점들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를 설명한다. 구현예에 대한 하기하는 설명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명칭을 갖는 부위에는 동일한 참고번호가 붙여지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제1a도 및 1b도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새들형 편향코일의 권선장치를 나타낸다. 제 1a도 및 제1b도를 참고로 하면, 상기 장치는 본체(24); 권선몰드 조립체(25)를 지지하는 회전식 스탠드(rotary stand) (26); 구동수단으로 작용하는 모터(27); 권선노즐(22)를 이동시키는 노즐이동 메커니즘(28); 모터(27)의 토크(torque)를 권선몰드 조립체(25)와 노즐이동 메커니즘(28)로 전달시키는 전달 메커니즘(30) 및; 와이어 전달 메커니즘(3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회전식 스탠드(26)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회전식 샤프트(rotary shaft) (26a)가 설치되어져서, 풀리(pulley) (32)가 상기회전식 샤프트(26a)의 하부말단에 고정되어 있다.
풀리(32)와 직경이 동일한 두 개의 구동풀리(35, 36)이 모터(27)의 출력샤프트(34)에 고정되어 있으며, 벨트(belt) (37)이 구동풀리(35)와 풀리(32)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어서, 모터(27)의 회전이 벨트(37)을 통해 회전식 스탠드(26)쪽으로 절달되어진다. 구동풀리(35), 벨트(37), 폴리(32)및 회전식 샤프트(26a)가 몰드 회전 수단으로 작용한다.
본 구현예에서, 벨트는 내부 톱니를 갖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를 의미 하고, 풀리는 상기 타이밍 벨트와 연동될 수 있는 톱니가 형성된 풀리를 의미 한다.
회전 방향을 변화시키는 기어 박스(gear box)(40)이 본체(24)의 베이스 테이블(base table)(38)의 아래쪽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 풀리(42)는, 기어박스(40)의 아래쪽에 돌출되어 있는 입력 샤프트(41)에 고정되어져 있으며, 벨트(43)은 구동 풀리(42)및 (36)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어서, 모터(27)의 회전이 입력 샤프트(41)로 전달되어진다.
구동풀리(42)의 직경은 구동 풀리(36)의 직경의 절반이어서, 모터 출력 샤프트(34)의 회전 속도는 2배가 되고 기어박스(40)의 입력 샤프트(41)로 전달되어져서, 기어 박스(40)의 입력 샤프트(41)은, 모터(27)의 출력 샤프트(44)의 각 회전에 대해 2회 회전한다. 바꾸어 말하면, 회전식 스탠드(26)의 1회 회전에 대해, 입력 샤프트(41)은 2회 회전한다. 출력 샤프트(44)는 기어박스(40)으로부터 옆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풀리(45)는 출력 샤프트(44)에 단단하게 부착되어 있다. 기어박스(40)은, 예를들어, 입력 샤프트(41)의 방향을 90°변화시키면서 입력 샤프트(41)의 회전을 출력 샤프트(44)에 동일한 속도로 전달 시키기 위해, 베벨 기어(bevel gear)와 같은 회전 방향 변화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실장 스테이지(mount stage)(46)이 베이스 테이블(38)위에 설치되며, 상기 실장 스테이지(46)은 전면 벽(48)과 후면 벽(47)을 갖고 있는데, 상기 벽들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식 샤프트(50)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볼-스플라인 로드(bal-spline rod)로부터 준비되어지는 회전식 샤프트(50)의 후단면이 후면벽(47)바깥으로 돌출되어져서 폴리(51)이 상기 후단면에 고정되어 있다. 벨트(52)는 폴리(51)및 (45)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어서, 출력 샤프트(44)의 회전을 회전식 샤프트(50)으로 전달시킨다. 풀리(45)와 (51)의 직경이 동일하기 때문에, 샤프트(50)은 출력 샤프트(44)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된다.
노들 이동 메커니즘(28)이 실장 스테이지(46)상에 배치되어져 있다. 상기 노즐 이동 메커니즘(28)은 유니트(unit)로서 고안되어져서, 그것의 베이스판(53)이 상기 실장 스테이지 상에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특히, 제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한 쌍의 안내 레일(46a)가 실장 스테이지 (46)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46)상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는 슬라이드 베어링(slide bearing)(53a)들이 베이스판(53)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판(53)은 로드-레스 실린더(rod-less cylinder)와 같이 공지된 직접-작용 액츄에이터(direct-acting actuator)(54)에 의해 수평으로 구동된다. 지지판(55)는 베이스판(53)의 상면상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4a~4c도는 권선 노즐(22)의 이동 메커니즘(28)을 각각 상세하게 보여 주는 것이다. 제4a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판(55)에는 수직으로 배치된 상부 홀(58) 및 하부 홀(59)가 설치되어져 있다. 볼 베어링(56a)를 통해 상부 샤프트(6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홀더(56)은 상부 홀(58)내로 단단하게 삽입되어져 있으며, 볼 베어링(57a)를 통해 저부 샤프트(6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저부 홀더(57)또한 저부 홀(59)내로 단단하게 삽입되어져 있다. 또한, 중간 샤프트(intermediate shaft)(62)가 홀 (58)과 (59)사이의 지지판(55)의 중간 지점에 고정되어 있으며, 중간 샤프트(62)의 후단면으로 후면쪽으로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다.
함께 고정되어 있는 기어(63)과 폴리(64)는 베어링(62a)를 통해 중간 샤프트(62)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져 있다. 기어(63)과 연동되어 있는 기어(65)는 저부 샤프트(61)에 고정되어 있다. 기어(65)와 (63)의 피치 서클(pitch circle)과 톱니 갯수는 서로 동일하도록 조절되어져서 기어(65)와(63)은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구동 풀리(66)은 기어(65)와 함께 저부 샤프트(61)에 고정되어 있다.
제4a도 및 제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풀리 실장판(67)은 베이스판(53)의 후단면에 아래쪽으로 고정되어 있다. 슬리브(sleeve)(68)이, 베어링(68a)를 통해, 풀리 실장판(67)의 저단면에 회전가능하게 실장되어져 있다. 샤프트(50)을 통해 축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가능하게 통과하는 스플라인 너트(splinenut)(69)가 슬리브(68)에 연동되어진다. 풀리(70)이 슬리브(68)과 스플라인너트(69)가 슬리브(68)에 연동되어져 있다. 풀리(70)은 축 방향으로 샤프트(50)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으며, 풀리(70)은 샤프트(50)과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벨트(71)은 풀리(66)과 (70)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어서, 회전식 샤프트(50)의 회전이 동일한 속도로 저부 샤프트(61)에 전달되어진다.
풀리(72)는 상부 샤프트(60)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벨트(73)이 풀리(72) 및 (64)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어서, 상부 샤프트(60)은 풀리(64) 및 기어(63)과 동일한 속도로, 그리고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상부 샤프트(60)이 저부 샤프트(61)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어진다. 저부지점 샤프트(fulcrum shaft)(75)가 제1디스크(74)의 회전축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으며, 제1회전식 부재로서 작용하는 제1디스크(74)가 저부샤프트(61)의 전단면에 고정되어져 있다. 샤프트(75)의 전단면이 베어링(76)을 통해 결합판(77)의 저단면에 결합되어져 있다.
반면에, 제2회전식 부재로서 작용하는 제2디스크(78)이 상부 샤프트(60)의 전단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지점 샤프트(81)이 베어링(80)을 통해 제2디스크(78)의 회전축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둔 지점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져 있다. 슬라이딩 베어링(83)은 베어링 서포트(bearing support)(82)를 통해 상부지점 샤프트(81)의 전단면에 부착되어져 있다. 슬라이드 베어링(83)은, 제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방향을 따라 결합판(77)의 후면에 고정된 슬라이드 레일(84)에 안내된다.
제4b도 및 제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홀더 암(holder arm)(85)의 베이스 말단은, 저부지점 샤프트(75)와 슬라이드 레일(84) 사이의 결합판(77)의 중간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홀더 암(85)의 전단면은 결합판(77)의 종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권선노즐(22)는 홀더 칩(holder chips)(85a)에 의해 홀더 암(85)의 전단면에 고정되어져서, 노즐(22)는, 제1a 및 제1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권선몰드조립체(25)의 회전축(21)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져 있다.
제1a도 및 제1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와이어 운송 메커니즘(31)이 베이스 테이블(38)의 후단면에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메커니즘(31)은, 서포트 스테이지(support stage)(86); 상기 서포트 스테이지(86)상에 고정되어져서 와이어(23)에 역장력을 가하는 장력 유니트(87); 와이어 보빈(wire bobbin)(88)로부터 꺼내어진 와이어(23)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제 1롤러(90a) 및; 와이어(23)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한쌍의 제2롤러(90b)를 포함한다. 와이어 보빈(88)로부터 운반된 와이어(23)은 장력유니트(87)에 의해 역장력(back tension)을 받아서 권선노즐(22)를 통과하고 권선몰드 조립체(25)쪽으로 권선된다.
제3a도 및 제3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식 스탠드(26)상에 실장되어 있는 권선몰드 조립체(25)는,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한쌍의 내부몰드(7) 및 외부몰드(8)을 포함하고 있다. 본 구현예에 의하면, 와이어 안내슬립(13a~13d)(제11a도 및 제11b도 참조)가 권선몰드 조립체(25)에서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몰드 조립체(25)가 소형화된다. 상기 몰드(7,8)들은 서로 일치하도록 결합되어져서 그 사이에 다수개의 와이어(23) 권선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을 형성한다. 외부몰드(8)은 회전식 스탠드(26)상에 실장되어져 있으며, 내부몰드(7)을 외부몰드(8)상에 배치시켜서 구동메커니즘(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음)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회전축(21)은, 몰드 조립체(25)상에서 권선되어 있는 새들형 편향코일(9)의 중앙에 위치해 있다.
제7도 및 제8도는 이동하는 권선노즐(22)의 자취를 나타낸다. 권선몰드 조립체(25)의 각 회전에 대해, 제1디스크(74)와 제2디스크(78)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2회 회전한다. 결합판(77)의 하부말단은 하부지점 샤프트(75)를 통해 제1디스크(7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져셔, 제1디스크(74)의 회전축으로부터 샤프트(75)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반경 R1을 갖는 원형 자취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반면에, 슬라이드 베어링(83)은, 결합판(77)의 후면상의 슬라이드 레일(slide rail)(84)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동안, 제2디스크(78)의 회전축으로부터 샤프트(81)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반경 R2를 갖는 원형 자취를 따라 이동하며, 결합판(77)의 상부말단은 열십자형으로(crosswise) 회전한다. 따라서, 홀더 암(85)에 고정되어 있는 권선노즐(22)는,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8자형 자취를 따라 이동한다. 8자형 자취의 종방향은 실제적으로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회전축(21)을 따라서 위치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권선노즐(22)는, 출발위치 P1으로부터 중간위치 P2를 거쳐 최하부위치 P3까지 하강이동한 후에, P4, P1 및 P5를 거쳐 최상부 위치 P6로 이동하며, P7위치를 거쳐 출발위치 P1까지 하강하여서, 제 7도에 나타나 바와 같이, 권선몰드 조립체(25)가 1/2 회전하는 동안, 8자형 자취가 1회 그려진다. 바꾸어 말하면, 권선몰드 조립체(25)가 1회 회전하면, 8자형 자취가 2회 그려진다. 노즐 (22)가 P7으로부터 P2까지 하강이동하고 P4로부터 P5까지 상승이동하는 동안, 노즐(22)는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교차 전위한다. 노즐(22)의 상기교차 전위로 인해, 와이어(23)은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홈 내에 순조롭게 수용된다.
제9도는 권선몰드 조립체(25)와 권선노즐(22)의 권선작업을 보여준다. 제9도를 참조로 하면, 상부단계는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편단면도를 보여주는 것이며, 중간단계는 권선노즐(22)로부터 바라본 권선몰드 조립체(25)의 입면도이며, 하부단계는 화살표 X방향을 따라 바라본 다이어그램이다. 제9도에 나타난 권선몰드 조립체(25)는 화살표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0°위치에서, 권선노즐(22)는, 편향코일(9)의 접속면(상면)(5)상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접속면(5)는, 몰드조립체(25)상에 권선되어 있고, 8자형 자취의 최상부 지점 약간 아래쪽에 위치해 있다. 상기 위치에서, 후면 크로스오버부(2)와 전면 크로스오버부(1)사이의 배선부(3)이 권선되기 시작한다. 권선몰드 조립체(22)가 45°회전할 때, 노즐(22)는 하강이동하면서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교차전위하며, 와이어(23)은 조립체(25)의 측면 홈내로 순조롭게 들어가게 된다. 45°위치에서, 배선부(3)의 한쪽면이 완전히 권선되어져서 전면 크로스오버부(1)이 권선되기 시작하고, 권선노즐(22)는 편향코일(9)의 정상면에 해당하는 최저부에 위치하게 된다.
45°더욱 회전하면, 노즐(22)는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교차전위하고, 측면 홈에 수용되어 있는 와이어(23)에 적절한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90°위치에서, 권선노즐(22)가 상승이동하기 시작하여 전면 크로스오버부(1)을 권선하게 된다. 135°위치로 더욱 회전하면, 노즐(22)가 상승이동하면서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교차전위하며, 와이어(23)은 전면 크로스 오버부(1)의 조립체(25)의 전면홈내로 순조롭게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노즐(22)가 8자형 자취로 이동하여서, 와이어(23)이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홈내에서 권선된다.
제10도는 본 구현예에 의한 권선몰드 조립체(25)가 1회 회전하는 동안의 일련의 권선작업을 나타낸다. 제10도의 상부단계는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평단면도이며 하부단계는 화살표 X를 따라서 바라본 각 회전위치에서의 권선몰드 조립체 (25)의 입면도이다.
본 구현예에 의한 권선장치에 의해 새들형 편향코일(9)를 권선하기 위해, 제1a도 및 제1b도에 나타난 위치로부터 액추에이터(54)가 우선 구동되어서, 노즐이동 메커니즘(28)의 베이스판(53)을, 노즐(22)를 권선몰드 조립체(25)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a도 및 제2b도에 나타난 상태를 얻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모터(27)이 구동되어서 회전식 스탠드(26)과 디스크(74, 78)이 제 10도에 나타난 코일링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동된다.
제10도를 참조로 하면,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회전각도가 0°일때, 노즐(22)는 실제적으로 최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편향코일(9)의 크로스오버부(1)이 권선되기 시작한다.
권선몰드 조립체(25)가 0°위치에서 45°위치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노즐(22)가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서 와이어(23)이 전면 크로스오버부(1)의 권선몰드 조립체(25)의 전면 홈으로 빠르게 접근한다. 이 경우에 와이어(23)은 아직 전면 홈 내에 들어가지 않는다. 90°위치로 더욱 회전하면, 노즐(22)가 상승이동하고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교차전위하여서 와이어(23)이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이동하여서 와이어(23)이 배선부(3)의 우면 측면홈으로 빨리 접근한다. 135°위치에서, 와이어(23)은 전면 크로스오버부 (1)의 외부몰드(8)에 여전히 걸려 있다. 더욱 회전한 후에, 노즐(22)가 하강이동하고 권선몰드 조립체 (25)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교차전위하여 와이어(23)은 권선몰드 조립체(25)의 측면 홈으로 순조롭게 들어간다.
180°위치에서, 와이어(23)은 몰드 조립체(25)의 측면홈에 아직 완전히 들어간 것은 아니다. 권선몰드 조립체(25)가 195°위치로 더욱 회전하면, 노즐(22)가 최하부 위치에 도달하여서 와이어(23)은 배선부(3)의 측면홈내로 완전히 들어가게 된다.
195°위치에서 225°위치까지 더욱 회전하면, 노즐(22)가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회전방향에 반다로 이동하여서 와이어(23)이 후면 크로스오버부(2)의 후면 홈으로 재빨리 접근한다. 상기 225°위치에서, 와이어(23)은 후면 홈내로 막 들어가려고 한다. 그 후에, 노즐(22)가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교차전위하면서 상승이동하여 270°에서 최상부 말단까지 도달하게 되어서, 와이어(23)이 후면 홈내로 순조롭게 들어간다.
270°위치에서 315°위치까지 회전하는 동안, 노즐(22)가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이동하면서 와이어(23)이 배선부(3)의 좌면 측면홈으로 재빨리 접근한다. 315°위치에서, 와이어(23)은 후면 크로스오버부(2)의 외부몰드(8)상에 여전히 걸려 있다. 360°로 더욱 회전한 후에 노즐(22)가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교차전위하며 하강 운동하여서 와이어(23)은 배선부(3)의 좌면측면홈내로 순조롭게 들어간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노즐(22)는, 권선몰드 조립체(25)가 1회 회전하는 동안 8자형 자취를 따라 2회 왕복운동하면서, 전면 크로스오버부(1), 배선부(3)의 우면, 후면 크로스오버부(2)및 새들형 편향코일(9)의 배선부(3)의 좌면이 연속적으로 교대로 권선된다.
제10도를 통해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23)이 홈으로 들어간 후에, 노즐(22)가 권선몰드 조립체(25)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이동한다. 따라서, 와이어(23)이 홈으로 들어갈때, 노즐(22)에 의해 와이어(23)에 적절한 장력이 가해져서, 와이어(23)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장력변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홈 내에서 교란없이 매우 균일한 권선밀도로 와이어(23)이 권선된다.
본 구현예에 의해 권선되는 새들형 편향코일(9)에서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좌우면의 배선부(3)에 권선밀도가 성기게되는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1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 쌍의 새들형 편향코일(9)가 접속면에서 서로 만나게 되고 편향코일 사이에는 수직권선 분포에 있어서 권선밀도가 성기게 되는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기술과는 달리, 한 쌍의 새들형 편향코일 사이에는 수직권선 분포에 있어서 권선밀도가 성기게 되는 불균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기술과는 달리, 편향 요크의 자기장 분포의 불균일을 교정하기 위해, 복잡한 교정코일이나 자기부재와 같은 교정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자기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새들형 편향코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종래기술과는 달리, 본 구현예에 의한 권선몰드 조립체(25)는, 와이어 안내슬립이 전혀 필요하지 않으며, 몰드조립체(25)의 구조가 축소될 수 있어서, 권선몰드 조립체(25)에 대한 비용이 절갑될 수 있다. 더욱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제4a~4c도에 나타난 연결 메커니즘으로부터 노즐이동 메커니즘(28)이 형성되어져서, 결합판(77)로부터 홀더 암(85)가 돌출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8자형 자취의 수직이동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8자형 자취모양은, 결합판(77)에 대하여, 홀더 암(85)의 베이스 말단의 고정위치를 변화시켜서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구현예에 따르면, 노즐이동 메커니즘(28)은, 엑츄에이터(54)에 의해, 권선몰드 조립체(25)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권선노즐(22)와 권선몰드 조립체(25)사이의 거리는 코일링의 시작시에 조절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코일작업이 끝난 후에, 내부몰드(7)이 외부몰드(8)로부터 제거되기 이전에, 전류를 와이어(23)에 공급함으로써, 편향코일(9)가 강성화된다. 상기의 경우에, 노즐(22)는, 액츄에이터(54)에 의해, 권선몰드 조립체(25)로부터 분리된 위치로 되돌려진다.
직접-작용 액츄에이터(54)로서 단일축 유니트가 사용되어질 때, 권선작업동안 권선몰드조립체(25)의 회전각도에 대한 권선몰드 조립체(25)의 최적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수단에 의해 권선노즐(22)의 이동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현예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권선노즐(22)가 상기 구현예에서는 8자형 자취로 이동하지만, 이동이 선택적으로 생략되어져서 권선노즐(22)가 단지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한 가닥의 와이어(23)이 권선노즐(22)를 통해 공급되지만, 다수개의 권선노즐을 통해 두가닥 이상의 와이어가 공급될 수 도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권선몰드 조립체(25)의 내부몰드(7)과 외부몰드(8)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선택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권선몰드 조립체(25)의 배치방향을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구현예에서, 노즐이동 메커니즘(28)의 제1회전식 부재와 제2회전식 부재가 디스크(74, 78)에 의해 형성되어졌지만,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막대기, 길쭉한 판 또 사각형판과 같은 다른 형태의 판에 의해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구현예에서, 모터(27)의 회전구동력이, 풀리 및 벨트를 통해 노즐이동 메커니즘(28)의 디스크(74, 78)과 회전식 스탠드(26)에 전달되어지지만, 선택적으로, 체인(chain) 및 사슬톱니(sprocket)와 같은 공지된 여러 전달 메커니즘에 의해 전달수단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노즐이동 메커니즘(28)의 디스크(74, 78)과 권선몰드 조립체(25)가 단일모터(27)에 의해 동시발생적으로 회전되지만, 선택적으로, 다수개의 각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컨트롤 써키트(control circuit)와 같은 동시발생 장치가 제공되어져서 모터를 동시 발생시킴으로써 권선몰드 조립체(25)의 1회전에 대해 디스크(74, 78)이 2회 회전한다.
상기 구현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7)

  1. 권선몰드 조립체(25)에 의해 배선부(3)에 연결되어 있는 전후면 크로스오버부(1,2), 및 적어도 한 가닥의 와이어(23)을 공급하기 위한 권 선 노즐(22)를 갖고 있으며, 상기 권선 몰드 조립체(25)는 한 쌍의 외부 몰드(7)및 내부 몰드(8)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몰드(7,8)들은 서로 일치하도록 결합되어져서 그 사이에 편향 코일(9)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와이어(23)권선을 수용하는 공동을 형성하며, 상기 권선 몰드 조립체(25)는 상기 외내부 몰드(7,8)의 일치 결합 방향에 실제적으로 수평인 회전축(21)둘레를 회전하고, 상기 권선 노즐(22)는 상기 축(21)에 실제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어있는 새들형 편향 코일 (9)의 권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 상기편향 코일(9)의 상기 전면 크로스오버부(1)이 권선될 대, 상기 권선 노즐(22)를 상기 편향 코일(9)의 정상면으로부터 접속면 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편향 코일(9)의 상기 배선부(3)의 한쪽면이 권선될 때, 상기 권선노즐(22)를 상기 상기 편향 코일(9)의 접속면으로부터 정상면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편향 코일(9)의 상기 후면 크로스 오버부(2)가 권선될 때, 상기 권선 노즐(22)를 상기 편향 코일(9)의 정상면으로부터 접속면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편향 코일(9)의 상기 배선부(3)의 다른 쪽 면이 권선될 때, 상기 권선 노즐(22)를 상기 편향 코일(9)의 정상면으로부터 접속면 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권선 몰드 조립체(25)의 1회 회전에 대해, 상기 권선 노즐(22)가, 상기 편향 코일(9)의 접속면과 정상면 사이에서 2회 왕복 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노즐(22)가 상기 편향 코일(9)의 정상면과 접속면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 권선 몰드 조립체(25)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권선 노즐(22)가 상기 편향 코일(9)의 정상면과 접속면에 도달할 때, 권선 몰드 조립체(25)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권선 몰드 조립체(25)의 1회 회전에 대해, 상기 권선 노즐(22)가 8자형자취를 따라 2회 왕복 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배선부 (3)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전후면 크로스오버부(1,2)를 갖는 새들형편향 코일(9)의 권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서로 일치결합하도록 고안되어져서 그 사이에 편향 코일(9)를 구성하는 다수개 의 와이어(23)권선을 수용하는 공동을 형성하는 한 쌍의 외내부 몰드(7,8)을 포함하는 권선 몰드 조립체(25); 상기 권선 몰드 조립체(25)를 상기 외내부 몰드(7,8)의 일치 결합 방향과 평행항 회전축(21)둘레로 회전시키는 몰드 회전수다; 상기 권선 몰드 조립체(25)를 향해 상기 회전 축(21)에 실제적으로 수직이동 되도록 배치되어서 적어도 한 가닥의 와이어(23)을 상기 공동 속에 공급하는 권선 노즐(22)및; 상기 권선 몰드 조립체(25)의 1회 회전에 대해, 상기 회전축(21)을 따라 상기 권선 몰드 조립체(25)상에 권선되어 있는 상기 편향 코일(9)의 정상면과 접속면 사이에서, 상기 권선 노즐(22)을 왕복운동시키는 노즐 이동 메커니즘(28)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편향 코일(9)의 전면 크로스오버부(1)이 권선될 때, 상기 노즐 이동 메커니즘 (28)이 상기 권선 노즐(22)를 상기 편향 코일(9)의 상기 정상면으로부터 상기 접속면쪽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편향 코일(9)의 배선부(3)의 한쪽면이 권선될때, 상기 노즐 이동 메커니즘(28)이 상기 권선 노즐(22)를 상기 편향 코일(9)의 상기 접속면으로부터 상기 정상면쪽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편향 코일 (9)의 상기 후면 크로스오버부(2)가 권선될때, 상기 노즐 이동 메커니즘(28)이 상기 권선 노즐(22)를 상기 편향 코일(9)의 상기 정상면으로부터 상기 접속면쪽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편향 코일 (9)의 상기 배선부(3)의 다른쪽면이 권선될때, 상기 노즐 이동 메커니즘(28)이 상기 권선 노즐(22)를 상기 편향 코일(9)의 상기 접속면으로부터 상기 정상면쪽으로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형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이동 메커니즘 (28)이 상기 편향 코일(9)의 정상면과 접속면 사이에서 상기 권선 노즐(22)를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권선 몰드 조립체(25)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권선 노즐(22)를 이동시키며; 상기 권선 노즐(22)가 상기 편향 코일(9)의 정상면과 접속면에 도달할 때, 상기 노즐 이동 메커니즘(28)이 상기 권선 몰드 조립체(25)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상기 권선 노즐(22)로 이동시키고; 상기 권선 몰드 조립체(25)의 1회 회전 에 대해, 상기 권선 노즐(22)가 8자형 자취를 따라 2회 왕복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형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이동 메커니즘 (28)이, 상기 권선 몰드 조립체(25)의 상기 회전 축(21)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회전축(21)에 실제적으로 수직인 출 둘레를 동일한 속도로 반대바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제1, 제2회전식 부재(74,78); 상기 제1회전식 부재(74)의 회전축으로부터 배치된 제1지점 샤프트(75)를 통해 상기 제1회전식 부재(7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말단부를 갖는 결합판(77); 상기 결합판(77)의 다른쪽 말단부에 배치되어져서 상기 결합판(77)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져 있는 슬라이드 가이드(slide guide)(84);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4)를 따라 미끄럼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 베어링(83); 회전축으로부터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2회전식 부재(78)의 일부와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83)을 연결시키는 제2지점 샤프트(81)및; 상기 결합판(77)의 중간부에 부착되어 상기 권선 노즐(22)를 상기 권선 몰드 조립체(25)쪽으로 지지하는 권선 노즐 홀더(85,85a)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형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구동수단(27)및; 상기 구동수단(27)의 토크(torque)를 상기 권선 몰드 조립체(25)와 상기 제1,제 2회전식 부재(74,78)쪽으로 전달하여서, 상기 권선 몰드 조립체(25)의 1회 회전에 대해 상기 제1, 제2회전식 부재(74,78)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2회 회전하게 하는 전달 메커니즘(30)을 더욱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형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노즐 이동 메커니즘(28)을 상기 권선 몰드 조립체(25)를 향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 수단(53a,46a)및; 상기 노즐 이동 메커니즘(28)을 상기 안내 수단(53a,46a)를 따라서 상기 권선 몰드 조립체(25)쪽으로 및 상기 권선 몰드 조립체(25)로부터 이동시키는 구동수단(54)를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형 편향 코일의권선 장치.
KR1019950023056A 1994-08-01 1995-07-29 새들형 편향 코일의 권선방법 및 권선장치 KR0172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7294A JP3316719B2 (ja) 1994-08-01 1994-08-01 くら型偏向コイルの巻線方法および巻線装置
JP6-199072 1994-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2295B1 true KR0172295B1 (ko) 1999-02-01

Family

ID=1640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3056A KR0172295B1 (ko) 1994-08-01 1995-07-29 새들형 편향 코일의 권선방법 및 권선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316719B2 (ko)
KR (1) KR0172295B1 (ko)
CN (1) CN106297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915B1 (ko) * 2000-09-01 2002-10-05 파츠닉(주) 편향코일 수거구조
KR100374868B1 (ko) * 2001-02-27 2003-03-04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코일뭉치 성형방법
JP6309732B2 (ja) 2013-09-30 2018-04-11 株式会社東芝 巻線装置、巻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1335A (ja) * 1984-09-03 1986-03-29 Towa Nittoku Eng Kk ブラウン管用水平偏向コイルの巻線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16719B2 (ja) 2002-08-19
CN1062974C (zh) 2001-03-07
JPH0845427A (ja) 1996-02-16
CN1127418A (zh) 199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44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and forming field windings for dynamo-electric machines
US6098912A (en) Winding machine having freely positionable nozzle
US8490280B2 (en) Winding device
US5946897A (en) Production unit for twisted cable
EP0538905B1 (en) Equipment for the actuation of needles for the realization of electric motors field windings
KR0172295B1 (ko) 새들형 편향 코일의 권선방법 및 권선장치
JP4252656B2 (ja) ステータコアへの巻線装置
US20190326802A1 (en) Nozzle turning apparatus and winding machine
JP2001008418A (ja) ステータコアへの巻線装置
US20020017585A1 (en) Wire winding method and wire winding apparatus for stator core
US4256268A (en) Coil winding machine to wind saddle-shaped coils
US6389787B1 (en) Optical fiber ribbon twisting device and system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fiber optic cable components
CN110788154A (zh) 内螺纹管成型、收料一体化生产线
US55074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toroidal coils
CN113896042B (zh) 一种碳纤维加热电缆加工绕制机
EP05871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toroidal coils
CN108238494A (zh) 纱筒成型横动驱动装置
JP4804642B2 (ja) ステータコアへの巻線装置
EP0143319A1 (fr) Dispositif électromécanique de bobinage avec fixation aux extrémités
JPH0438507Y2 (ko)
CN117399527B (zh) 一种钨丝校直装置
CN1098531C (zh) 灯泡用电极灯丝的形成装置
CA2010023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haping windings for extremely elongated coils, in particular to form dipole or quadrupole magnets
CN113059088A (zh) 一种发热丝成型绕线设备
CN117621449A (zh) 线角耦合传动机构、组件及3d打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