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416B1 - 소음 감소용 압축기 가스킷 및 헤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소음 감소용 압축기 가스킷 및 헤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416B1
KR0171416B1 KR1019910003776A KR910003776A KR0171416B1 KR 0171416 B1 KR0171416 B1 KR 0171416B1 KR 1019910003776 A KR1019910003776 A KR 1019910003776A KR 910003776 A KR910003776 A KR 910003776A KR 0171416 B1 KR0171416 B1 KR 0171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ylinder
region
housing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073A (ko
Inventor
쥐이. 모랜 죤
제이. 휴터 로버트
디이. 길 제임스
Original Assignee
제이. 엠. 린타마키
포오드 모오터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엠. 린타마키, 포오드 모오터 캄파니 filed Critical 제이. 엠. 린타마키
Publication of KR910017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5/00Multi-stage pumps
    • F04B25/04Multi-stage pump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04B39/107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the members being reed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5With retarder or dashp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에어콘 압축기는 전측 하우징 헤드 및 후측 하우징 헤드를 포함하고 있는 압축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각각 축방향으로 배치된 실린더를 결정하는 한쌍의 실린더 블록과, 각각의 원통형 구멍내에 배치된 복동식 피스톤과, 각각의 피스톤과 구동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회전사판 및 각각의 실린더 블록에 동축으로 설치되는 구동축을 가진 회전사판 및 구동축 조립체와, 각각의 하우징 헤드와 각각의 블록사이에 위치하는 밸브 조립체와로 구성된다.
밸브 조립체는 각각의 실린더 블록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실린더로의 저압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 리드들을 포함하고 있는 입구 밸브수단과, 이 입구 밸브수단에 인접한 밸브판과, 이 밸브판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출구 밸브수단과, 하우징 헤드와 출구 밸브수단 사이에 위치하는 소음감소용 가스킷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소음감소용 가스킷 수단은 가스킷 수단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여 고압영역에서 반경방향의 내측으로의 가스전달을 밀봉하여 제한시키는 제 1 영역과, 이 제 1 영역에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고압영역에서 저압영역으로의 가스전달을 밀봉하여 제한시키는 제 2 영역과, 이 제 2 영역에 캔틸레버타입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자유단을 가진 다수의 탄력부재들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소음감소용 압축기 가스킷 및 헤드 조립체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반경방향의 부분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조립체의 두개의 실린더 블록중 하나의 실린더 블록의 단면도(End View).
제3도는 제2도의 실린더 블록의 타단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조립체의 부품인 축조립체와 회전사판의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선 5-5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제2도 및 제3도의 실린더 블록의 실린더에 수납된 피스톤의 측면도.
제7도는 조립체에 사용되는 밸브판의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의 밸브판의 단면도.
제9도는 실린더 블록의 축방향 끝단에 위치한 입구 밸브 리드(Inlet Valve Reed)의 평면도.
제10도는 실린더 블록의 축방향 끝단에 위치한 출구 또는 배출 리드 밸브의 평면도.
제11도는 주물 헤드 구멍의 끝단벽에서의 내부 포트 및 통로 배치를 도시하는 조립체의 후측 주물 헤드 또는 하우징의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선12-12에 따른 단면도.
제13도는 전측 헤드의 끝단벽의 내부와 포트 및 통로구조를 도시하는 전측 주물헤드의 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선 14-14에 따른 단면도.
제15도는 실린더 블록의 끝단에 위치하는 출구 리드 밸브 및 밸브판용 가스킷의 평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선 16-16에 따른 가스킷의 단면도.
제17도는 가스킷을 포함하고있는 머시인 멈춤부재와 밸브 조립체의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4 : 후측 하우징
16 : 전측 하우징 20, 46 : 끝단벽
22, 24, 94, 96, 237, 238, 240, 243, 242, 244, 246, 248 : 보스
26 : 실린더 몸체 28, 50 : 원통형 구멍
30 : 피스톤 34 : 실린더 블록
36 : 입구 밸브판 54 : 부시
102, 104 : 회전사판 슈우 111 : 회전사판
115, 154, 232, 234 : 브리지부 132, 225 : 배플
250 : O-링 시일 280 : 멈춤부재
282 : 탄력부재 284, 286 : 가스킷
이 발명은 자동차 에어콘 압축기에 사용되는 압축기 카스킷과 헤드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콘 압축기는 주물실린더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물실린더 하우징 내부에는 회전사판에 의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축방향 가동피스톤을 수납하고 있는 축방향 실린더들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사판은 자동차 엔진에 의하여 밸트식으로 구동된다.
이와같은 회전사판식 압축기들은 통상 엔드 플레이트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엔드 플레이트는 실린더의 축방향 일단에 위치하고 복수의 부품들이 갖추어진 하우징에 형성된다. 하우징 부품들 및 엔드 플레이트들을 끝과 끝이 연결되는 방식으로 보울트 접합되며 엔드 플레이트들은 밸브 캐비티를 형성한다. 밸브 요소들은 냉동사이클의 흡입행정시 각각의 실린더의 피스톤이 운동함에 따라 실린더로 흐르는 냉매(유체 또는 가스)를 제어하며, 다른 밸브요소들은 압축행정시 각각의 실린더의 끝단으로부터 흐르는 냉매를 제어한다. 이러한 엔드 플레이트 및 밸브 구조체를 제조하고 조립함에 있어서는, 그 가공이 복잡하고 조립상의 문제점이 있으며, 엔드 플레이트 및 관련 밸브 부품들에 의하여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자동차 엔진부에 에어콘 압축기를 장착함에 있어 문제가 있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820,133 호에는 하나의 압축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압축기에는 압축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조립식 실린더 하우징 헤드가 설치되고 하우징 헤드에 주조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매용 입구 통로들 및 고압 출구 통로들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몸체들은 분리되어 있으며 하우징 내부에 둘러싸여 있고 주조에 의하여 통로들이 형성된 하우징 헤드의 끝단에 대하여 병렬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입구 및 출구 밸브 요소들의 서브 조립체는 하우징 헤드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이 서브 조립체는 실린더 블록의 끝단에 인접한 밸브판과, 실린더로부터 배출되는 고압 유체의 배출통로를 제어하는 리드 밸브들로 구성된 출구 밸브 디스크와, 실린더로 유입되는 냉매의 흡입량을 제어하는 리드 밸브들로 구성된 입구 밸브 디스크를 포함하고 있다. 밸브판과 밸브 디스크들은 외부통로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도 실린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고압 및 저압 유체 모두를 축방향으로 흐르게 한다.
상기 특허는 하우징 헤드가 출구 리드 밸브들의 왜곡을 제한하는 백업 또는 멈춤부재를 포함하고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출구 밸브 디스크와 하우징 헤드사이에 위치하여 저압영역으로부터 압축기의 고압영역을 밀봉하며, 출구 리드 밸브들의 반경방향의 내측부 또는 베이스가 작동시에 과도하게 응력을 받지 않도록 반경 방향의 내측부에서 밸브판에 대하여 출구 밸브 디스크를 견고히 고정시키는 밀봉 가스킷 또는 디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출구 리드 밸브를 하우징 헤드의 백업 또는 멈춤부재와 직접 접촉시키면 압축기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소음이 발생하게되므로 소음이 없는 압축기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 발명은 상기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출구 리드 밸브를 기계가공된 멈춤부재와 접촉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압축기 소음을 감소시킴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시에 압축기 헤드에 적합한 가스킷을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구 밸브에 왜곡이 발생하여도 그 왜곡이 가스킷/ 헤드 형상에 적합하도록 함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스킷의 내측 고정영역으로의 소음통로가 짧고 직접적인 통로가 되지 않게 함으로써 가스킷의 소음 전달 통로를 감소시킴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구 리드들이 피로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감소시킴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은 전측 하우징 헤드 및 후측 하우징 헤드를 포함하고있는 압축기 하우징과, 각각 축방향으로 배치된 실린더를 결정하는 한 쌍의 실린더 블록과, 각각의 원통형 구멍내에 배치된 복동식 피스톤과, 각각의 피스톤과 구동적으로 맞물릴수 있는 회전사판 및 각각의 실린더 블록에 동축으로 설치되는 구동축을 가진 회전사판 및 구동축 조립체와, 각각의 하우징 헤드와 각각의 실린더 블록사이에 위치하는 밸브 조립체와 로 된 에어콘 압축기에 특징이 있다.
밸브 조립체는 각각의 실린더 블록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실린더로의 저압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 리드들을 포함하고 있는 입구 밸브수단과, 이 입구 밸브수단에 인접한 밸브판과, 이 밸브판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출구 밸브수단과, 하우징 헤드와 출구 밸브수단사이에 위치하는 소음감소용 가스킷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소음감소용 가스킷 수단은 가스킷 수단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여 고압영역에서 반경방향의 내측으로의 가스전달을 밀봉하여 제한시키는 제 1 영역과, 이 제 1 영역에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고압영역에서 저압영역으로의 가스 전달을 밀봉하여 제한시키는 제 2 영역과, 이 제 2 영역에 캔틸레버 타입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자유단을 가진 다수의 탄력부재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가스킷에 헤드 멈춤부재들과 출구 리드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탄력부재들을 설치함으로서 소음감소 뿐만아니라 출구 리드 밸브 부재들의 피로 현상도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가스킷 위치부에서 출구 리드 밸브의 충격영역들을 분리시킴으로써 내측 고정 영역에서 탄력부재들 사이의 소음 전달 통로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소음감소 능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이 발명에 따라 압축기 조립체의 축방향 길이는 그대로 유지되면서 소음은 실질적으로 감소하게 되고 압축기의 신뢰도는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이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가 같다.
제1도는 주물 하우징(10)을 가진 에어콘 압축기를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10)은 다이캐스트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후측 하우징(14)과 전측 하우징(16)을 포함하고 있다. 후측 하우징(14)은 원통형의 내부구멍(18)과 다이캐스팅의 일부를 형성하며 일체로 형성되는 끝단벽(20)을 가지고 있으며, 보스들(22,24)은 다이캐스팅의 일부를 형성하며 설치 보울트들은 상기 보스들(22,24)에 형성된 보울트 구멍에 끼워 맞춤된다.
다이캐스트 알루미늄 실린더 몸체(26)는 원통형으로 다수의 실린더 구멍을 가지고 있고, 후측 하우징(14)의 원통형 내부 구멍(18)의 내경과 실린더 몸체(26)의 외경 사이에 매우 좁은 틈새가 형성되면서 내부 구멍(18)과 끼워 맞춤된다.
압축기 피스톤(30)은 실린더 몸체(26)의 하나의 원통형 구멍(28)내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수납되어 있으며, 다른 각각의 피스톤도 마찬가지로 각각의 실린더 구멍내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수납되어 있다.
전측 압축기 헤드는 전측 하우징(16)을 구비하고 있으며, 후측 하우징(14)과 마찬가지로 전측 하우징(16)에는 원형의 중심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몸체(26)는 원통형으로 원통형 구멍(32)의 내경과 외경사이에 최소 틈새가 형성되며 원통형 구멍(32)내에 수납된다. 입구 밸브판(36)은 원형의 스프링 강철재로 형성된 디스크 형상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차후에 제9도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디스크(36)에 인접하여 전측 밸브판(38)이 위치하며, 밸브판(38)에는 상기 입구 밸브 디스크(36)의 리드 밸브 요소들과 맞추어지는 밸브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전측 밸브판(38)에 대하여는 제7를 참고로하여 설명될 것이다.
전측 출구 밸브판(40)은 밸브판(38)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하며 이 밸브판(40)에 대하여는 제10도를 참고로하여 설명될 것이다. 밸브판(38)에는 리드 밸브 요소들이 형성되며 이 요소들은 밸브판(38)에 형성된 밸브 구멍과 맞추어 진다.
전측 가스킷 판(42)은 전측 출구 밸브판(40)과 전측 하우징(16)에 형성된 원통형 구멍(32)의 끝면(44) 사이에 배치된다. 끝면(44)은 기계가공된 표면으로 전측 하우징(16)의 헤드를 결정하는 끝단벽(46)의 내면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린더 블록(26)은 실린더 블록(34)에 대하여 맞접하도록 조립되며, 이러한 맞접합면들은 도면번호(48)로 표시되어 있다. 제1도에서, 원통형 구멍(28)은 실린더 블록(34)의 원통형 구멍(10)과 정렬되어 있어 피스톤(30)이 왕복운동할 수 있는 공통 실린더가 형성된다.
회전사판의 축(52)은 실린더 블록(34)에서는 부시(54)에 의하여 실린더 블록(26)에서는 부시(56)에 의하여 고정되며, 끝단벽(46)의 축구멍(58)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액체 및 가스 압력시일(60)은 축(52)이 축구멍(58)에서 회전함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를 밀봉한다. 고정 슬리이브 축연장부(62)는 끝단벽(46)에 형성되며 전자 클러치, 풀리 및 코일(도시안됨)을 지지하고 있다.
제1도 및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피스톤(30)은 축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둔 두개의 보스(94,96)로 구성되며, 이 보스들은 회전사판 슈우(104,102)용 반구형 포켓형상의 오목부(100,98) (제1도 참조)가 형성되도록 기계가공된다. 슈우들은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된 회전사판 및 축 조립체상의 각각 표면(106,108)과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맞물려 있는 플랫 베어링 표면을 가지고 있다.
제4도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회전사판(111)은 축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배치되며, 축(52)에 눌러 끼워맞춤되고 회전사판(111)을 축에 눌러 끼워맞춤하여 조립하기 전에 축(52)에 형성된 세레이션(114)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허브(113)를 포함하고 있다.
제1도에서 축(52)이 회전하게 되면 슈우(102,104)와 미끄럼 맞물음함으로써 회전사판(106)은 각각의 실린더 블록(26,34) 내의 원통형 구멍(28,50)에 의하여 결정되는 실린더에서 피스톤(30)을 왕복운동시킨다. 회전사판상의 추력은 실린더 블록(26,34)과 맞물려있는 레이디얼 니들 베어링 조립체(110,112)에 수용되어 회전사판 허브상의 추력은 실린더 블록에 흡수된다.
슈우(102,104)는 피스톤들이 왕복운동함에 따라 표면(106,108)에 대하여 비마모성 미끄럼 베어링 역할을 수행하는 윤활오일 필름을 간직하고 있다.
제6도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같이, 피스톤(30)은 단일의 다이캐스팅에 의하여 제작되거나 단조가공되며, 피스톤의 단부에 대하여 폭이 좁은 브리지부(Bridged portion) (115)를 포함하고 있다. 이 브리지부는 상면(116)이 피스톤 중심선 아래에 위치하도록 다이캐스팅 또는 단조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회전사판(111)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충분한 틈새가 있으므로 압축기 작동시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라 몇몇 회전사판식 압축기에서 왕복 피스톤의 형성시에 필요한 복잡한 기계가공 공정들이 단순화된다.
제6도에서 피스톤은 복동식 피스톤이며 이 피스톤에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 피스톤 단부(120,122)가 형성되며 각각의 단부(120,122)는 피스톤 밀봉링을 수납하는 피스톤 밀봉홈(124,126)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14)의 후측 하우징 끝단벽(20)은 다이캐스팅시 형성되는 입구 및 출구 압력 캐비티를 가지고 있으며 저압 입구 캐비티(128)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축(52)을 둘러싸며 통로(166)을 통하여 저압 캐비티(146)와 유체를 개재하여 연이어 통하고 있다. 따라서, 저압 캐비티는 영역(128,166,146)으로 구성되며 이 저압 캐비티는 원통형 배플(132)에 의하여 고압 통로(130)와 분리된다. 출구 포트(134)는 고압 배출 포트이며, 이는 제1도 및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배플(132)의 상부 끝단은 출구 통로와 저압 캐비티를 차단하는 분리벽(136,138)과 연결되어 연속관계를 형성한다.
제11도에서, 냉매용 입구 구멍은 도면번호(152)이며, 이 구멍과 저압 캐비티(128,166,146)로 된 활형 영역 사이의 연결은 브리지(154)에 의하여 차단되고, 브리지(154)의 내면은 배플(132)의 내면과 공통 평면이다. 저압 냉매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구 포트(152)로부터 후측 가스킷(42)을 통하여 후측 밸브판(38)의 구멍(158)으로 흐르며, 계속하여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밸브판(36)의 구멍(156)들을 직접 통과하게 되며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린더 몸체(26) 내의 구멍(158)들을 통과하게 된다.
그후, 냉매는 영역(160)에 저장되고 이로부터 냉매는 실린더 몸체들내의 해당 구멍들을 통하여 제2도에 도시된 각각의 저압 통로(162,162)로 흐른다. 이들 통로의 각각의 우측 끝단은 하우징(14)의 끝단벽(20)내의 저압 통로 캐비티(128,166,146)와 연이어 통한다.
제9도의 리드 밸브 디스크는 구멍(168)과 맞추어지는 가요성 캔틸레버부(170)을 포함하여 해당 실린더의 피스톤이 흡기 행정을 수행할 때 구멍(168)을 통한 일방향 흐름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캔틸레버부(170) 뿐만 아니라 캔틸레버 밸브 요소들은 다수개(172,174,176,178) 있으며, 이들 밸브요소 또는 리드는 구멍(16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밸브판 구멍(180,182,184,186)과 맞추어진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린더 블록(26)에는 5개의 압축기 피스톤을 수납하는 5개의 실린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실린더에는 제9도에 도시된 각각의 하나의 리드 밸브가 제공된다. 각각의 피스톤(130)이 좌측으로 운동하게 됨에 따라, 냉매는 밸브판 구멍을 통하여 해당 밸브 리드를 통과하여 흡입되어 제2도에 도시된 실린더(188,190,192,194)의 구멍(128)으로부터 인입된다. 실린더(196)의 경우에는, 냉매는 구멍(146)으로부터 직접 인입된다.
제10도의 출구 리드조립체는 다수의 리드 밸브요소(198,200,202,204,206)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요소는 제7도에 도시된 고압 출구 구멍(208,210,212,214,216)과 맞추어진다. 이들 각각의 구멍은 각각의 피스톤이 우측으로 운동함에 따른 고압 냉매용 배출 포트를 가지고 있다.
제10도의 출구 리드는 제11도와 관련하여 전술한 배출 통로(130)로 고압 냉매를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한다. 배플(132)은 통로(130)와 배출통로(134)사이에서 연이어 통하도록 도면번호(218)에서 분리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34)은 실린더 블록(26)과 동일하며 호환성이 있다. 후측 하우징(14)과 관련하여 전술한 입구 리드와 출구 리드들은 전측 하우징(16)과 관련된 리드들과 동일하다.
제11도에 도시된 후측 하우징(14)과 동일하게 제13도에 도시된 전측 하우징(16)에는 고압 및 저압 통로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압 통로(220)는 제11도에서의 후측 하우징(14)의 고압 통로(130)에 대응되며 저압통로(222)는 후측 하우징의 저압통로(128)에 대응된다.
후측 하우징(14)의 배플(132)에 대응되는 배플(225)은 통로(220)와 통로(222)를 분리시키며 제13도의 통로(220)들과 제1도의 출구 구멍(228)을 연이어 통하도록 도면번호(226)에서 불연속이다.
제1도 및 제13도의 고압 영역인 영역(230)은 배플(225)의 브리지부(232,234)에 의하여 저압 입구통로(222)와 분리된다.
펌핑 피스톤들에 의하여 배출되는 냉매는 배출통로(220)(제13도 참조)로부터 영역(230)(제1도 및 제13도 참조)으로 흐르고 단지 제1도에만 도시되어 있는 내부 크로스오버 통로(236)를 통과하여 흐른다.
이 통로는 제2도의 후측 실린더 블록과 관련하여 전술한 통로(150)에 대응되며, 통로(150)와 통로(236)는 접합부에서 맞추어져 제1도에 도시된 배출구멍(134)와 연이어 통하는 연속통로를 형성시킨다. 상기 내부 크로스오버 통로가 있음으로써 몇몇 종래의 장치에서 요구되는 별개의 크로스오버 튜브가 필요없게 되며, 다이캐스팅과 최소한의 마무리 기계가공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5도는 밸브판(38)과 전측 및 후측 하우징 부품들의 내면사이에 개재하는 소음 감소용 가스킷 또는 밀봉판(42)을 도시하고 있다.
가스킷(42)에는 제7도의 밸브판(38)의 구압 구멍(188)과 연이어 통하는 구멍(221)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2도의 실린더 블록(26)과 관련하여 전술한 끝단 구멍들에 대응하는 전측 실린더 블록의 끝단 구멍들과 맞추어지는 구멍(223,224,2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제2도에서는 각각 도면번호(150,158,160,162,164)로 도시되어 있다.
제15도는 축(52) 및 통로(220)를 둘러싸는 길이가 긴 엠보스먼트(231)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엠보스먼트(231)는 제1도에 도시된 배플(225)의 내면과 맞추어지는 밸브판에 인접하여 연속적인 융기부를 형성한다.
또한, 엠보스먼트는 배플(225)의 브리지부(232,234)의 기계 가공면과 맞추어져서, 이 엠보스먼트는 효과적인 밀봉작용을 수행하여 고압통로(220)와 저압통로(222)를 차단한다.
제15도의 가스킷은 실린더들의 고압 배출포트에서 축구멍(58)과 베어링(54) 영역으로 고압 냉매가 흐르는 것을 저지하는 길이가 긴 내측 엠보스먼트링(233)을 가지고 있으며, 출구밸브의 리드 밸브 요소들을 견고히 고정시켜 밸브요소들에 과도한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도에 도시된 하우징 헤드(16)는 도면번호(201)에 의하여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경사져 있는 가스킷 지지 멈춤면을 가진 멈춤부재(280)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제1도, 제14도 및 제17도에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 헤드의 가스킷 지지 멈춤면(201)에 인접하여 소음 감소용 가스킷(42)이 위치하며 이 가스킷(42)은 멈춤부재(28)의 가스킷 지지 멈춤면(201)에 접촉하고 적합하게 벤딩되는 탄력부재(282)들을 포함하고 있다. 탄력부재(282)들은 캔틸레버식으로 설치되도록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재(284,286)에 의하여 가스킷에 연결되며, 출구 피이드 부재(204)들과 표면(201) 사이에 탄력부재들을 개재시킴으로써 소음감소가 향상된다.
탄력부재들은 중앙 원형 영역에서는 연결되지 않고 도면번호(290)으로 나타낸 공간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으며, 이 공간(290)은 스탬핑(Stamping) 또는 셰어링(Shearing)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탄력부재(282)들을 가스킷의 중앙영역(233)과 연결시키지 않음으로써 가스킷을 통하여 더 이상의 소음이 전달되지 않아 리드 밸브가 탄력부재(282)들과 접촉할시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출구 리드 밸브요소(204)가 압축냉매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개방될 때, 밸브 요소는 가스킷(42)에 의하여 내부영역으로 안내되도록 개방되며, 그 후 완전히 확장되었을 때에는 가스킷의 탄력부재(282)들과 접촉하게 된다.
후측 하우징(14)의 끝단벽(20)에 있는 고압 및 저압 통로들을 밀봉하기 위하여 유사한 가스킷 또는 밀봉판이 사용된다.
전측 실린더 블록용 밸브판은 후측 실린더 블록용 밸브판과 동일하며, 유사하게 전측 및 후측 실린더용 입구 밸브 리드들과 출구 밸브 리드들은 서로 동일하다.
실린더 블록의 호환성 뿐만 아니라 상기 호환성에 따라 설계, 제조 조립이 단순화되어 생산비가 절감되고 조립 신뢰도가 향상된다.
제15도에 도시된 레이디얼 아암(234)들은 엠보스먼트(233)가 형성되는 가스킷 허브를 지지한다.
제15도의 가스킷의 반경방향의 외측 가장자리 부근에는 디스크에 강성을 주고 가스킷 면을 대체하는 스트랩(236)이 있어 밸브판 구멍들을 통하여 입구 밸브리드로 냉매가스가 자유롭게 흐를수 있다. 가스킷 면에 대한 스트랩(236)들의 상대 위치는 가스킷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는 제16도를 보면 알 수 있다.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후측 하우징(14)에는 4개의 외측 보스(237,238,240,2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사하게 전측 하우징(16)에는 후측 하우징(14)의 보스(237,238,240,243)와 맞추어지는 보스(242,244,246,26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보스에는 고정 보울트가 삽입되도록 하는 보울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후측 하우징(14)의 보울트 구멍에는 각각의 보울트와 결합되도록 나사가 나 있다. 부품들을 조립한후에 보울트들을 견고히 체결할때 실린더 블록들은 상호 맞추어지고 소정의 하중이 가스킷에 인가되어 밀봉이 유효하게 이루어진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14)의 좌측 가장자리는 하우징(16)의 우측 가장자리내에 수납되고 하우징(16)의 O-링 홈에 수납되는 O-링 시일(250)은 결합되는 부품들사이에 유체 또는 기체압력에 대하여 견고한 밀봉을 제공한다.
입구 밸브 디스크, 출구 밸브 디스크 및 밸브판 등의 부품들의 호환성과 함께, 가스킷 및 2개의 밸브 디스크와 밸브판의 예비조립은 제7도에 도시된 밸브판(38)에 형성된 핀 구멍들에 수납되는 위치핀들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으며, 이들 핀은 제7도에 도시된 핀구멍(254,256)에 견고히 끼워맞춤되어 수납된다.
대응 구멍(258,260)은 제10도의 출구 밸브에 형성되고 위치 핀들과 맞추어지며, 유사하게 위치핀 구멍(258,260)은 제15도와 같이 가스킷에 형성되어 위치핀들과 맞추어진다.
밸브판의 대향측에 있어서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핀구멍(262,264)이 밸브핀들과 맞추어져 밸브판, 입구 밸브 디스크, 출구 밸브 디스크 및 가스킷은 예비 조립될 수 있어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킨다.
이러한 예비 조립공정후에 서브 조립체는 제3도에 도시된 후측 하우징의 핀 위치 설정구멍(266,268)에 삽입된다. 전측 하우징의 대응 핀 구멍(270,272)은 제13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위치 설정핀들은 조립된 부품들을 상호 적절한 각도로 맞춤함으로써 어떠한 고정구들도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비용 및 조립비용이 저렴하며 조립의 단순화에 따라 신뢰도가 향상된다.
축(152)에 설치되는 베어링(54,56)은 강철이 보강된 슬리이브 베어링으로서 설치후에는 어떠한 기계가공없이 조립될 수 있으며,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각각 니들 베어링(112,100)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베어링(112,100)의 레이디얼 로울러 케이지(Cage)는 일반적으로 2개의 추력 와셔 링들 사이에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슬리이브 베어링들의 중심부근의 끝단으로부터 윤활유와 냉매를 이끌어내는 원심 펌핑작용이 가능하다. 하우징들의 엔드 플레이트들의 각각에 있는 입구 환형부와 회전사판 챔버사이에는 압력차가 존재하고 이에 따라 베어링들을 가로질러 압력차가 존재하게 되며, 이 압력차는 추력 베어링의 작용을 하는 레이디얼 니들 베어링의 회전 케이지의 원심 작용에 의하여 촉진된다.
따라서, 추력 베어링의 작용을 하는 레이디얼 니들 베어링들의 케이지들과 저어널 베어링들은 윤활되어 압축기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이 발명에 따른 신규한 디자인에 의한 압축기 가스킷과 헤드 조립체에 의하여 압축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은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헤드에 형성된 가스킷 지지면과 가스킷은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소음 감쇄작용을 하며, 또한 가스킷의 탄력부재들은 출구 리드 부재들이 개방될때 리드부재들의 손상을 방지한다.
헤드상의 가스킷 지지면은 리드 부재가 개방될때 가스킷의 탄력부재들이 출구 리드부재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가스킷의 탄력부재들은 가스킷의 허브에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소음전달통로 및 진동전달 통로들이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상술한 바에따라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 발명의 수많은 변형예가 있음은 자명한 것이며, 이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형예들은 특허청구의 범위내에 포함될 것이다.
예컨대, 하우징은 반드시 두부분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

Claims (3)

  1. 복수의 정지면을 각각 포함하는 전후방 하우징 헤드를 포함하는 압축기 하우징과; 축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실린더를 각각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속에 배치된 한쌍의 실린더 블럭과; 각각의 실린더 개구부의 복동식 피스톤과; 각각의 피스톤과 구동 가능하게 맞물 수 있는 회전 사판 및 공동의 축방향으로 각각의 실린더 블럭속에 장착된 구동 샤프트를 구비하는 회전 사판 조립체 및 구동 샤프트 조립체와; 상기 각각의 하우징 헤드와 각각의 실린더 블럭 사이에 배치된 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에어 조절 압축기로서, 상기 실린더 블럭은 축방향으로 정렬, 병렬 관계로 서로 경계를 이루며, 이로 인해 한쪽 블럭의 실린더들은 다른쪽 블럭의 실린더들과 연결되어 공통의 실린더 개구부들을 형성하며; 각각의 실린더 블럭은 인접하는 실린더 블럭의 각각의 실린더와 연통하는 고압 유통 통로와 저압 유통 통로를 그 속에 형성했으며; 상기 각각의 밸브 조립체는 상기 각각의 실린더 블럭과 인접하여 배치된 흡입 밸브 수단과, 이 흡입 밸브 수단과 인접하여 배치된 밸브판과, 이 밸브판과 인접하여 배치된 배출 밸브 수단과, 이 배출 밸브 수단과 상기 하우징 헤드 사이에 배치된 소음 감소용 가스킷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 밸브 수단은 상기 저압 통로에서 상기 실린더로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 리드(valve reeds)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판은 그 속에 배치된 배수 및 배출 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 밸브 수단은 상기 실린더에서 상기 고압 통로로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배출 밸브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 소용 개스킷은 상기 고압 영역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향으로 가스 운반을 밀봉하여 제한하는 상기 가스킷의 반경 방향 내부에 배치된 제 1 영역과, 상기 고압 영역에서 상기 저압 영역으로 가스 운반을 밀봉하여 제한하는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으로 이격된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복수의 탄력 부재가 상기 배출 밸브 리드와 상기 정지면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영역에 외팔보식으로 장착되고, 제 1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자유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판 배출 포트를 통해 상기 실린더로부터 가스를 배출하는 동안 상기 정지면과 상기 배출 밸브 리드의 직접 접촉을 막음으로써 상기 압축기를 작동하는 동안 발생된 소음을 줄이는데 적합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조절용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면들은 평탄한 부분과 이 부분과 소정의 각도로 배치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조절용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 부재가 배치되어 이 부재의 부분은 상기 정지면과 접촉해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조절용 압축기.
KR1019910003776A 1990-03-16 1991-03-08 소음 감소용 압축기 가스킷 및 헤드 조립체 KR0171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495,003 1990-03-16
US07/495,003 US5100306A (en) 1990-03-16 1990-03-16 Noise reducing compressor gasket and head assembly
US07/495,003 1990-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073A KR910017073A (ko) 1991-11-05
KR0171416B1 true KR0171416B1 (ko) 1999-03-30

Family

ID=2396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776A KR0171416B1 (ko) 1990-03-16 1991-03-08 소음 감소용 압축기 가스킷 및 헤드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00306A (ko)
EP (1) EP0447027B1 (ko)
JP (1) JP2826385B2 (ko)
KR (1) KR0171416B1 (ko)
CA (1) CA2033434C (ko)
DE (1) DE6910409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0436B2 (ja) * 1991-11-28 2000-06-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往復動型圧縮機
DE4326366A1 (de) * 1992-08-07 1994-02-24 Toyoda Automatic Loom Works Kompressor der Taumelscheibenbauart
US5397218A (en) * 1992-08-07 1995-03-14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Support mechanism for a rotary shaft used in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H0640389U (ja) * 1992-10-28 1994-05-27 サンデン株式会社 圧縮機の吐出弁装置
US5387092A (en) * 1994-05-20 1995-02-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A/C compressor with integrally molded housings
US5456287A (en) * 1994-10-03 1995-10-10 Thomas Industries Inc. Compressor/vacuum pump reed valve
JPH08170588A (ja) * 1994-12-16 1996-07-0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往復動型圧縮機
JPH109136A (ja) * 1996-06-24 1998-01-1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
AT405868B (de) * 1997-12-17 1999-12-27 Verdichter Oe Ges M B H Druckventil
US6318980B1 (en) * 1997-12-26 2001-11-20 Sanden Corporation Shape of suction hole and discharge hole of refrigerant compressor
JP3915227B2 (ja) 1998-02-20 2007-05-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KR100363930B1 (ko) * 1999-04-01 2002-12-11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형성체의 위치결정구조
DE10101390A1 (de) * 2001-01-13 2002-08-01 Krupp Bilstein Gmbh Vorrichtung zum Umwandeln eines Hydraulik- oder Pneumatikstroms
WO2003083304A1 (en) * 2002-03-29 2003-10-09 Devilbiss Air Power Company Head pressure relief assembly
JPWO2004088139A1 (ja) * 2003-03-28 2006-07-06 株式会社ヴァレオサーマルシステムズ 往復動型圧縮機
CN101240784B (zh) * 2007-02-05 2010-05-19 周文三 空气压缩机的活塞体构造
JP2014190335A (ja) * 2013-03-28 2014-10-06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
CN105349924A (zh) * 2015-12-07 2016-02-24 瑞安市贝斯特压缩机制造有限公司 一种空压机阀板降噪处理工艺及空压机
CN106194668B (zh) * 2016-07-21 2019-05-03 江苏盈科汽车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压缩机端盖
CN106168206B (zh) * 2016-07-21 2018-08-31 江苏盈科汽车空调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活塞缸排气阀片组件
US11773837B1 (en) * 2022-06-03 2023-10-03 T/CCI Manufacturing, L.L.C. Com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15147A (en) * 1963-05-16 1965-12-31 Ass Elect Ind Improvements relating to compressors
SE355642B (ko) * 1971-08-02 1973-04-30 Stal Refrigeration Ab
JPS59126194U (ja) * 1983-02-12 1984-08-24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 圧縮機の吐出弁装置
JPH059512Y2 (ko) * 1987-03-11 1993-03-09
US4820133A (en) * 1987-12-03 1989-04-11 Ford Motor Company Axial piston compressor with discharge valving system in cast housing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04093T2 (de) 1995-01-19
CA2033434A1 (en) 1991-09-17
JP2826385B2 (ja) 1998-11-18
US5100306A (en) 1992-03-31
EP0447027A1 (en) 1991-09-18
DE69104093D1 (de) 1994-10-27
CA2033434C (en) 1997-03-11
JPH04224282A (ja) 1992-08-13
KR910017073A (ko) 1991-11-05
EP0447027B1 (en) 1994-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1416B1 (ko) 소음 감소용 압축기 가스킷 및 헤드 조립체
US4790727A (en) Swashplate compressor for air conditioning systems
US4929157A (en) Pulsation damper for air conditioning compressor
US3945765A (en) Refrigerant compressor
US5636974A (en) Reciprocating piston type compressor with an oil separator for removing lubricating oil from discharged high pressure refrigerant gas
US6155805A (en) Hermetic compressor having acoustic insulator
AU612929B2 (en) Compressor valve system
US5921756A (en) Swash plate compressor including double-headed pistons having piston sections with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US3930758A (en) Means for lubricating swash plate air conditioning compressor
US4746275A (en) Multi-pisto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with internal lubricating arrangement
KR970003246B1 (ko) 공기 조화 압축기
US4403921A (en) Multi-cylinder variable delivery compressor
US20040202562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US4950132A (en) Swashplate and sliding shoe assembly for an air conditioning compressor
US5385451A (en) Swash-plate type compressor with tapered bearings and rotary valves
US5393205A (en) Axial multi-piston compressor having rotary suction valve
US7547198B2 (en) Double-headed piston type compressor
US4990064A (en) Multi-pisto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with internal lubricating arrangement
US4538976A (en) Vane compressor having suction port and discharge port located at the same axial side thereof
EP0838593B1 (en) Vane Compressor
US5275269A (en) Combined drive pulley and rotor shaft support for a refrigerant compressor
US3827314A (en) Compressor construction
JPH0544640A (ja) 斜板式圧縮機
EP0971128A2 (en) Positive-displacement-type refrigerant compressor with a novel oil-separating and lubricating system
JPH06323247A (ja) 斜板式圧縮機の潤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