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873B1 - 고체 금속소재의 질감을 가지는 플라스틱 성형소재 - Google Patents

고체 금속소재의 질감을 가지는 플라스틱 성형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873B1
KR0168873B1 KR1019930700991A KR930700991A KR0168873B1 KR 0168873 B1 KR0168873 B1 KR 0168873B1 KR 1019930700991 A KR1019930700991 A KR 1019930700991A KR 930700991 A KR930700991 A KR 930700991A KR 0168873 B1 KR0168873 B1 KR 0168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resin
metal particles
metal
c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저 퀘스텔
마아틴 엡스타인
Original Assignee
로저 퀘스텔
인타그리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저 퀘스텔, 인타그리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로저 퀘스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5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 B29C70/6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the filler influencing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e.g. by concentrating near the surface or by incorporating in the surface by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5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 B29C70/6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comprising a combination of distinct filler type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fill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1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metallic or oxidised metallic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10Building elements, e.g. bricks, blocks, tiles, panels, posts, beams
    • B29L2031/104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2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6Two dimensionally sectional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6Two dimensionally sectional layer
    • Y10T428/163Next to unitary web or sheet of equal or greater extent
    • Y10T428/164Continuous two dimensionally sectional layer
    • Y10T428/166Glass, ceramic, or metal sections [e.g., floor or wall til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2Glass or ceramic [i.e., fired or glazed clay, cement, etc.] [porcelain, quartz,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Adornment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실용 및/또는 장식용 소재(13)와 플라스틱 재질로 주로 제조한 소재를 형성하는 방법은 금속성 외부면(15)를 전체를 금속으로 만든 소재와 같은 질감 및 /또는 촉감을 상기 소재에 준다. 액체 모노머, 경화제, 금속 입자 및 부유 가능한 입자(A,B,C,D)의 분산액의 혼합물을 금형(12)에 붇는다. 금형(12)에 놓인 금속입자 또는 금형(12)은 모노머가 중합반응하기 전에 소재(13)의 외부영역을 향해서 입자를 분산하도록 원심작용을 받는다. 동시에 부유가능한 입자는 중합반응전에 소재의 내부 영역으로 상승한다. 금형(12)에서 제거한 후, 소재의 외부면을 표면에서 플라스틱 껍질을 제거하여 노출된 금속 표면(15)을 문질러서 담황색을 띄게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고체금속소재의 질감을 가지는 플라스틱 성형소재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본 출원은 1987년 8월 18일자로 출원된 미국출원 제086,978호의 일부계속출원으로서 1990년 10월 9일자 출원된 미국출원 제594,084호의 일부계속출원이다. 이들 출원서의 기재내용을 본 명세서에 참고하였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금속과 유사한 질감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주로 형성된 바닥 및 벽 타일류, 건축자재, 장식용 단지류 및 기타 3차원 소재와 같은 실용 또는 장식용 소재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제조된 소재는 청동소재와 똑같은 금속소재의 질감을 가지고, 진짜소재가 나타내는 촉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플라스틱 재질로 전체를 만든 경우 동일 소재보다 훨씬 무거운 중량감을 나타낼 수 있다. 소재가 장식용 타일, 전축자재등일 경우, 외부면은 금속으로 만든 소재의 질감을 가지는 금속성 표면을 가지는 반면, 내부면은 세라믹으로 만든 소재의 질감을 가지며, 그 사용 및 설치특징의 점에서 세라믹 제품처럼 작용하는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꺼칠 꺼칠해진 세라믹 표면을 가지도록 제조할 수 있다.
[기술의 배경]
소재에 금속질감을 주는 하나의 방법으로 금속으로 소재를 주조하는 것이 있다. 하지만, 청동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으로부터 3차원 소재를 주조하는 것은 비교적 비용이 많이 드는 프로세스이기 때문에, 장식용 단지류, 타일류 등과 같은 장식용 소재는 대형유통시장에서 일반소비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없었다.
청동과 같은 합금은 여러 소재를 형성하기 위해 매우 일찍부터 사용되어 왔으므로, 청동은 고대 생활상 및 예술의 기록을 제공한다. 일찍이 이집트인들은 고대 그리스인과 로마인이 행했던 것처럼, 청동을 주조하고 망치질하여 기구, 갑옷과 투구 및 조각상을 만들었다.
이러한, 소재들은 닦아주면 매우 광택이 나고 아름다운 표면을 제공하므로, 현대적인 예술품 상가에서 매우 각광받은 소재가 되었다. 하지만, 청동 또는 기타 장식용 금속의 장식용 단지류 또는 기타 장식용 소재로 제조하는 바용이 매우 고가였고, 그러한 소재는 일반소비자들이 대형유통시장에서 이용할 수 없었다.
과거에 장식용 또는 실용 소재에 청도과 같은 질감을 주는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소재는 청동 또는 금속성 본체와 똑같은 질감을 가지는 것은 아니었다. 미국 특허 제2,454,910호에는 금형의 표면을 청동액으로 도포하는 성형기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에서는 금형내에 청동과 같은 층을 만들도록 수지 베이스에 청동입자를 분산시킨후, 페놀수지와 같은 성형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충진하였다.
바닥 및 벽 타일류와 같은 세라믹 소재는 금속화된 에나멜의 코팅으로 칠하고, 또한 플라스틱 본체의 면에 진공 침전, 스퍼터링 또는 기타 플레이팅 기법 처리하여 얇게 금속화시킨 표면을 만들었다.
미국특허 제3,615,963호는 릴리이스제, 액체수지성 결합제 및 모래 또는 금속 파우더의 고체입자로 처리된 스테인레스 스틸 베이스상에 퍼지게 해서 강화 패널을 만드는 기법을 개시하고 있고, 이러한 입자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인접한 영역에 집중되도록 침전한다.
미국특허 제2,773,287호에는 그래스 파이버, 분쇄된 암석 또는 기타 비금속성 입자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혼합하고, 입자를 투브의 외부면에 향해 확산하는 원심력을 발생하도록 회전되는 파이프 금형에 첨가된 강화플라스틱 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
명세서를 통하여 촉감과 질감이란 용어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이용하였다.
촉감이란 용어는 소재가 개별적으로 나타내는 입체반응을 나타낸다. 동일한 예를 사용하면, 진짜 청동소재에서 볼 수 있는 특유의 것은 청동 특유의 반짝임이다. 하지만, 빛이 나는 청동-에나멜면을 가진 소재를 보게 되면 분명히 청동이 아니라 이미테이숀임을 명백히 알게 될 것이다.
촉감 및 질감의 용어는 상호 관련이 있다. 플라스틱으로 만들었다 하더라도, 소재가 금속으로 만든것처럼 보이고, 플라스틱 소재에 느껴지는 중량감보다 현저히 더 큰 중량을 가지면, 이러한 두가지 인상을 받는 이러한 소재의 소지자, 즉 두가지 인상을 받는 자는 자신이 금속 소재를 소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대부분의 소재들은 중량의 차이를 크게하는 것에만 민감하다. 소재가 진짜 금속만큼 무겁지 않다하더라도 금속으로 만든것이라는 인상을 받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청동입자를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렇나 합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알루미늄, 황동, 구리, 니켈-은(백랍)과 같은 기타 금속류를 잘 닦아서 장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주로 금속으로 만든 소재에 대응하는 질감과, 원하는 경우, 금속으로 만든 소재와 같은 촉감을 가지면서, 플라스틱 재질로 주조되거나 또는 달리 제조된 타일류, 건축자재 및 장식용 단지류와 같은 장식용 또는 실용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라스틱 재질, 금속성 입자 및 부유가능한 입자로 구성된 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빌딩건축에 사용되는 바닥 또는 벽 타일류 또는 기타 소재의 형태를 취하는 경우, 소재가 엄격한 건축, 구조 및 소방규칙을 만족하도록 방화제 또는 기타 첨가제를 합성재내에 내장하는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재를 비교적 저렴하게 제조하면서 대량 생산에 적합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재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모노머가 경화하는 동안 불균일한 수측으로 인해 소재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예를 들어 세라믹 또는 그래스 미소구형체로 만든 부유가능한 입자처럼 플라스틱내에 현탁된 요소를 내포하여, 중합 플라스틱 및 금속입자로 조성된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속이 다른 분리면과 층지게 형성되지는 않앗지만, 금속함유층과 수지층은 단일 수지혼합물로 형성되어, 그 수지 혼합물에 의해 함께 결합되기 때문에 금속 함유면이 그 아래의 수지층과 일체로되는 프로세스에서 형성되어 금속질감을 가지는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재를 금속으로 만든 외부면에 질감을 나타내는 금속성 외부면을 가지고, 제품을 세라믹으로 만든 내부면으로부터 인상이 남게되는 세라믹 내부면을 가지는 타일, 건축자재 및 내장재와 같은 소재를 제조하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이들 목적들은 외면이 진짜 금속의 질감을 가지면서,주로 폴리에스테르 플라스틱 재질로 만든 실용 또는 장식용 소재를 형성하는 프로세스로 얻어짐으로써 이러한 소재에 금속으로 만든 소재와 같은 질감 및 촉감을 주게된다. 이러한 기법에 있어서, 액체 플라스틱 모노머의 혼합물, 이를 위한 경화제, 액체 모노머보다 더욱 밀집된 금속입자의 분산액 및 액체 모노머 보다 덜 밀집된 부유가능한 입자의 분산액의 소재를 형성하는 금형에 부어진다. 금속입자는 소재의 외부영역을 향해 확산하도록 하여, 모노머가 금속입자를 결합하도록 중합하거나 딱딱하거나 딱딱해지기전에 이러한 영역에 집중되도록 원심작용을 받게된다. 부유가능한입자는 모노머가 경화하기 전에 소재의 상부 또는 내부면으로 상승된다. 액체 모노머는 경화하여 수축하기 때문에 소재의 일표면에서 금속성 입자와 소재의 대향하는 표면에서의 부유가능한 입자의 존재는, 모노머가 고르게 수축하여, 소재가 소망형태를 유지하게 한다. 소재내의 수축은 소재의 대향면에 균형이 잡혀서, 소재가 그 일면에 금속입자만을 내포하는 경우 발생하는 대향면의 불균일한 수축으로 인해 소망의 형상을 잃지 않게 된다. 예를 들면, 타일과 같은 평면 소재는 거의 평탄하고, 뒤틀림이 없다. 금형에서 제거한 후, 소재의 외면은 금속입자의 표면으로부터 미세한 중합체 껍질을 벗겨서 노출된 금속면이 담황색을 띄도록 닦아준다. 얻어진 합성소재가 고체 금속소재를 나타내므로서 고체 금속소재처럼, 실용적으로 담황색을 띄고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다.
부유가능한 입자가 중공 미소구형체와 같은 세라믹재질로 만들어지면, 타일, 건축자재 또는 그에 유사한 것과 같은 소재의 내부면은 꺼칠 꺼칠한 세라믹 표면을 제공하도록 연마되어도 좋다. 얻어진 소재의 내부면은 질감 및 작업성의 면에서 세라믹 소재의 특징을 가진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수록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의 개략도이고,
제2도는 얻어진 타일의 단면도이고,
제3도는 체크판과 같은 패턴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사시도이고,
제4도는 추상적으로 패턴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의 사시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단자의 단면도이고,
제7도는 타일의 연마된 내면을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사시도이다.
[발명의 설명]
제1도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또는 벽타일과 같은 소재를 제조하는 첫 번째 단계는 수지혼합물의 주조성물이 공급되는 혼합 드럼(10) 또는 기타 혼합장치에 성형가능한 혼합물에 제조하는 것이다.
제1조성물은 수지의 액체 모노머 A이고, 제2 조성물은 모노머를 소정비율로 중합반응하여 딱딱하게 하는 촉매 또는 경화제 B이고, 제3조성물은 미세한 금속입자 C이고, 제4 조성물은 미세한 부유가능한 입자 D이다.
일반적으로, 경화제는 모노머와 금속 및 부유 가능한 입자가 충분히 서로 혼합되어 금형에 막들어가려고 할 때까지 첨가되지 않는다. 그렇지 않으면, 경화가 혼합기 드럼에서 너무 빨리 일어날수도 있다. 더욱이, 부유가능한 입자의 양은 반대쪽의 수축율과 거의 균형잡히도록 금속입자의 양에 대해 중량면에서는 그렇지 않지만, 체적면에서 거의 같다. 부유가능한 입자의 체적은 이용된 부유가능한 입자, 금속 및 모노머의 형태에 따라 변한다.
어쨋든, 사용된 부유가능한 입자의 체적은 소재가 그 소망하는 형태를 유지하도록 모노머가 균형잡히게 수축하기에 충분한 량이어야 한다.
조성물의 대표적인 중량비는 금속 입자의 30∼300부, 부유가능한 입자의 2∼6부, 경화제의 1∼2부 및 모노머의 100부에 대한 기타 조성 또는 첨가제의 2∼10부이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금속은 청동, 백랍, 구리, 황동 또는 알루미늄의 파우더와 같은 장식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입자크기는 소재의 질감이 충분한 밀도가 될 정도로 크면서도 고체금속의 질감이 될 정도로 적어야 하며, 그래서 금속입자는 소재의 일표면에 대해 액체 모노머에 스며든다. 약 100 내지 약 325테일러 메쉬 범위의 입자가 대표적이고, 약 200 내지 약 300테일러 메쉬 범위의 입자가 더 바람직하지만, 약 200 테일러 메쉬범위의 입자가 가장 만족스럽다. 하지만, 더 굵은 입자는 소재에 다른 질감을 띄게하는데 사용될수도 있다.
프로세스에는 여러 모노머, 특히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류, 아크릴산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스틸렌류, 에폭시류, 알릴류 및 디알릴프산류가 사용된다.
바람직한 플라스틱의 특정예로서 리치홀드 케미칼 인코포레이티드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자 50%이상과 스틸렌 모노머 50%이하를 함유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모노머인 Polylite 32-358과, 애쉬랜드 케미칼 인토포레이티드의 불포화수지 68∼70중량% 및 스틸렌 약 30중량%를 함유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Aropol 8520-14와, 애쉬랜드 케미칼 인토포레이티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50∼55%, 에틸렌 그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25∼30% 및 히드록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15∼20%를 함유하는 기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Envirez 5310과, 애쉬랜드 케미칼 인토포레이티드의 스틸렌 약36%를 함유한느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지인 Hetron FR 992가 있다,
부유가능한 입자는 플라스틱 모노머의 밀도보다 작은 밀도를 가지는 파우더, 미소구형체 또는 기타 입자이며, 부유가능한입자의 기질부분이 금속입자를 함유하는 표면에 대향하는 소재의 표면 또는 내부면에 대해 액체모노머에 확산된다. 부유가능한 입자가 부유하다는 것은 입자가 확산됨이 없이 소재의 금속면에 나타나는 것이다. 표면에 확산하는 부유가능한 입자의 량은 대향면으로 확산하는 금속입자의 량에 대해 체적이 같다. 부유가능한 입자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파우더 또는 예를 들어 세라믹 또는 유리로 만든 중공 미소구형체의 형태이다.
모노머의 속도, 제조시간 및 기타 제조조건, 겔시간(경화시간) 및 부유가능한 입자의 형태와 같은 인자는 소재의 표면에 확산하는 부유가능한 입자의 양에 영향이 미친다. 하지만 경화하는 동안 모노머가 고르게 수축하도록 프로세스가 조절되어야 한다. 이와 동일한 인자들은 소재의 반대쪽면에 이르는 금속입자의 양에 영향을 미친다.
부유가능한 입자의 특정예로서, 펜실베나아주 밸리 포게에 소재하는 피큐 코포레이숀에 의해 제조된 크리스탈린 실리카 5까지 함유하는 중공세라믹 미소구형체인 Extendespheres SG와, 중공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미소구형체인 Extendespheres SL과 비결정질 실리콘 디옥사이드를 함유하는 무기 소듐 보로실리게이트 미소구형체인 Q-cell 300과, 유기실리콘 변형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미소구형 체인 Extendespheres XOL 50 또는 XOL 200 Bubblekup과, 알루미늄, 구리 또는 아연으로 도포된 Metelite 세라믹 미소구형체가 있다. 하지만, 특히 더 큰 부유가능한 입자를 사용할 수 있는 책상용품과 같은 더 큰 소재에 있어서는 부유가능한 입자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재질의 형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경화 조성물로서 메틸, 에틸, 케톤, 과산화물과 같은 경화모노머용으로 사용된 적절한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된 첨가제에 대해, 촉진제는 실온에서 경화를 촉진한다. 경화시간을 30분정도 연장하는 것은 Aropol Q 6919 억제제의 소량을 혼합물에 첨가해서 조절할 수 있다. 경화시간은 혼합물에 첨가된 촉진제, 촉매 및 억제제의 비에 따른다. 알루미늄 트리히드레이트(ATH)와 같은 방화제는 선택사항으로서, 장식용 단지 또는 기타 소재의 경우 방화재는 반드시 필요한 성질은 아니므로, ATH는 생략할 수 있다. 차단제는 자외선으로부터 소재를 보호하는데 이용된다. 착색제는 소재의 최종색깔을 변형하도록 첨가되며 수지 및 밀봉왁스 용액은 경화하는 동안 플라스틱을 밀봉하도록 첨가된다.
금속 입자 및 부유가능한 입자를 수지혼합물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있도록 드럼내에 충분히 혼합한후, 수지혼합물(11)을 소재(이 경우는 타일)에 근사한 형태를 가지는 금형(12)에 붇는다. 수지혼합물내의 금속 및 부유가능한 입자의 균일한 분포는 균일한 두께의 금속표면을 가지는 소재, 특히 평면 소재를 만든다. 요구되는 금속표면의 두께는 최종 소재의 사용 및 소망 중량에 따른다. 예를들면, 금속입자의 농축 덩어리에 의해 형성된 청동금속표면은 두께가 3.2㎜(1/8인치)인 반면, 반대쪽 상부면은 0.8∼2.0㎜두께의 금속면이다. 혼합물을 경화하는 시간은 비교적 무거운 입자C를 중량에 의해 가라않도록 하여 금형의 하부에 집중되도록 하고, 비교적 가벼운 입자들을 금형의 상부에 분산하도록 하는 것과 같다. 금형(12)의 진동은 금속 및 부유가능한 입자의 운동을 어느정도 도와준다. 혼합물이 딱딱해지면, 제조된 타일(13)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14)로 형성된 본체 및 금속입자를 함께 결합하도록 작용하는 플라스틱내에 매립된 금속입자의 치밀한 덩어리에 의해 구획된 외부면 영역(15)과 부유가능한 입자를 함께 결합하는 플라스틱내에 매립된 부유가능한 입자의 덩어리로 만든 내부면 영역(26)을 가진다. 외부면 영역(15), 플라스틱 재질의 본체(14) 및 내부면 영역(26)은 동일한 경화수지에 의해 일체로 함께 결합된다. 타일 또는 기타 평면 소재의 경우에 있어서, 성형절차는 평면 소재가 그 소망형태를 유지하게 한다. 소재의 전체 성질은 플라스틱 기질이 금속으로 단순히 피복되었다면 발생하게 되는 표면균열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경화가 끝난 후 타일(13)을 금형(12)에서 제거된다. 이때, 타일(13)의 외부면 영역(15)은 금속입자를 덮는 얇은 플라스틱 껍질을 내포한다. 소재가 금속 질감을 띄기 위하여, 얇은 플라스틱 껍질은 금속을 노출하도록 연마하거나 문지른다. 최종 스테이숀(16)에서, 타일의 외부면 영역(15)은 플라스틱 결합제를 제거하고, 문지른 금속을 나타내기 위한 문지르는 작용에 대해 표면에서 입자를 노출하도록 버핑 휠(17)과 같은 적절한 문지르는 수단으로 문질러서 담황색을 띄게 된다.
사용된 버핑 및 폴리싱 화합물로서, 코네티킷주 워터보리에 소재하는 레아메뉴팩츄어링 콤패니가 미세용, 중간용 및 무거운용 절삭제로서 판매하는 제품이 있다. 미세용 절삭제(색체)로서, 연마제의 혼합, 지방산 및 약5∼15 크롬(III)옥사이드 및 70∼80% 알루미늄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글리세라이드가 사용된다. 중간용 절삭제(절삭 및 삭제)는 연마제, 지방산, 글라세라이드, 석유 왁스/오일 및 1∼5% 에탄올 2,2-이미노디-및 67∼80/% 실리카 더스트를 함유하는 비누의 혼합물을 사용해서 얻어진다. 무건운용 절삭제(컷다운)은 연마제의 혼합물,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및 10∼35% 실라카 더스트 및 38∼60%트리플리 더스트를 함유하는 석유 왁스/오일로부터 얻어진다. 넓은 범위의 기타 제품을 금속 마무리 가공용으로 이용가능하다. 소재의 면은 녹청을 띄도록 식염수를 가하는 것과 같은 여러 방법으로 처리되어도 좋다. 마무리 가공을 보호하기 위해, 얇고 투명한 점착성 플라스틱 코팅을 우레탄, 왁스 또는 기타 친화성 코팅처럼 도포하여도 좋다. 이와달리, 노출된 면은 천연 금속의 변색 또는 천연 녹청을 획득하도록 산화분위기에서 숙성할수도 있다.
전체를 금속으로 만든 타일만큼 무겁지는 않다 하더라도, 얻어진 조성물 타일의 중량은 금속입자의 양에 따라 플라스틱 재질로 만든 동일한 타일보다 현저히 더 크다. 그러므로, 타일은 플라스틱 재질로 만든 타일의 촉감을 가지지 않지만, 질감상으로는 경량 금속으로 마는 타일의 촉감을 가진다.
미세한 청동 입자의 경우에 있어서, 청동 입자의 중량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동일 체적의 하중보다 3배 이상 더 크다. 체적면에서 플라스틱은 주조성물이라 하더라도, 중량 면에서 소재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동일 소재보다 적어도 약 50% 무거우며, 무거운 만큼 두배정도 평평하다. 그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소재는 금속소재에 근접한 촉감을 가진다.
[실시예 1]
수지혼합물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g(리치홀드의 플리에스테르 수지인 Polylite 32-358) : 금속입자 100g(유니이티드 스테이츠 브론즈 파우더스 인코퍼레이티드의 청동 파우더인 B-406) ; 촉매 1.0g(아르구스-유에스 페르옥시겐 프록거츠의 Whitco Hi-Point 90 HEKP) ; 미소구형체 2.5g(피큐 코포레이숀의 중공 미소구형체인 Extenspheres SG) ; 왁스 스틸렌 용액 3.0g (밀봉제)(아리스테크 케미칼 코포레이숀의 Modifier C).
이와 같은 조성으로 형성된 평면타일은 뒤틀림없이 평평하다. 금속의 양은 약 30 내지 약 100%까지 변하거나 소재의 소망중량 또는 금속층의 소망두께에 따라 500g까지 변한다. 부유가능한 입자는 마찬가지로 체적에 의해 변한다.
[실시예 2]
수지혼합물은 폴리에스테르 80g(애쉬랜드 케미칼 인코포레이티드의 Envirez 5310); 화염억제제로서, 알루미나 트리히드레이트 60g(살렘 인더스트리스의 RSB 431 수산화 알루미나); 금속 입자 40g((유니이티드 스테이츠 브론즈 파우더스 인코퍼레이티드의 청동 파우더인 B-406) ; 촉진제 2.4g(애쉬랜드 케미칼 인코포레이티드의 Envirez 59016 가속 용액); 촉매 1.6g(아르구스-유에스 페르옥시겐 프로덕츠의 Whitco Hi-Point 90 HEKP 촉매) ; 중심체 2.0g(피큐 코포레이숀의 Extenspheres SG) ; 및 왁스 스틸렌 용액 3.0g (아리스테크 케미칼 코포레이숀의 Modifier C)로 조성된다..
이러한 조성으로 만든 타일은 뒤틀림이 없고 평평하다.
[비교예]
수지혼합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g(리치홀드의 플리에스테르 수지인 Polylite 32-358) : 금속입자 100g(유니이티드 스테이츠 브론즈 파우더스 인코퍼레이티드의 청동 파우더인 B-406) ; 촉매 1.0g(아르구소-유에스 페르옥시겐 프로덕츠의 Whitco Hi-Point 90 HEKP) ; 및 왁스 스틸렌 용액 3.0g (아리스테크 케미칼 코포레이숀의 Modifier C)로 조성된다.
이러한 조성으로 만든 타일은 금속입자가 있거나 없거나 표면의 불균일한 수축으로 인해 뒤틀린다. 금속입자를 함유하는 표면은 수지가 경화하는 동안 금속입자를 함유하지 않은 표면만큼은 수축하지 않는다. 그 결과 타일은 휘어져서 평평하지 않다. 타일의 사용은 타일에 이면부를 붙여서 타일을 평평하게 하거나, 이와 마찬가지로 타일을 표면에 장착해야만 한다. 경화된 수지가 유연하지 못하다면, 타일을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금형 바닥면의 내면을 새기거나, 에칭처리하거나 기타 변형시키면 얻어진 소재의 면에 장식용 패턴이 만들어 진다. 그래서, 제3도의 바닥타일(18)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면(19)은 부드럽게 융기된 저사각형과 거칠게 함몰된 정사각형을 가지는 페크무늬 패턴이 새겨진다. 이러한 표면은 장식용일 뿐만 아니라,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트레드(tread)를 제공한다. 또는 제4도의 바닥타일(2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면(21)은 추상적으로 주름이 잡히거나 또한 매우 장식적인 파이버질 트레드 표면을 가진다. 또한 그 면에 로고를 가지는 타일을 만들도록 금형에 로고를 새길 수 있다.
아울러, 제1부분에 청동과 같은 하나의 금속을 가지고, 제2부분에 황동과 같은 다른 금속을 가지는 두 개의 부분(또는 둘이상)에 수지 혼합물을 제조함에 의해, 소재는 하나이상의 금속으로부터 주조된 질감을 가지게 된다. 예를들면, 타월의 외단 엣지의 부분은 황동을 나타내고, 내부단면의 부분은 청동을 나타내는 패턴이다.
종래의 세라믹 타일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금속형 타일의 이점은 세라믹 타일들이 덜 깨지도록 하기위해 두꺼워야 하였으므로 비교적 얇은 금속형 타일보다 더 무거워서, 세라믹 타일을 선적하고 저장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었다. 또한, 금속형 타일들은 공간장식에 적합하도록 어려움없이 절단할 수 있는 반면, 세라믹 타일은 절단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에 따라 만든 타일과 같은 소재를 비교적 얇게 만들 수 있다 하더라도, 소망하는 경우 이면부를 소재에 부착하여서, 두껍게 하거나 또는 기준크기에 적합하게 한다. 예를 들면, 제4도에 도시된 타일(20)의 바닥은 알루미늄 벌집형 시이트(28)에 의해 덮인 후, 얇은 파이버그래스 네트(29)에 의해 덮인 얇은 파이버그래스 시이트(27)의 이면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1/8인치 두께의 타일이 공업규격에 접합하도록 1/4인치 두께로 만들어진다.
제5도는 플라스틱 결합제에 의해 함께 유지된 청동 또는 황동과 같은 기타 금속파우더에 의해 형성된 플라스틱 본체 및 윤곽면 영역(23)을 가지는 주조 건축자재(22)를 예시하며, 면을 문질러서 자재가 청동으로 만들어진 것인지 기타 금속이 사용된 것인지를 나타낸다. 자재는 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기 때문에 나무 자재처럼 벽에다 아교로 붙이전지 이와 달리 부착된다. 고체청동 자재는 벽에다 용이하게 부착하기에는 너무 무겁다. 그러한 자재는 액자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제6도에 도시된 장식용 단지(24)에 있어서, 금속면영역(25)은 무거운 입자를 면 영역을 향해 분산하는 반면, 가벼운 입자를 모노머가 중합반응하여 굳어지기 전에 내면상에 층을 형성하는 층을 형성하는 원심력을 발생하도록 액체 모노머와 금속입자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금형을 회전함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소재는 본 발명에 사용된 것만을 만들 수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실내외에서 사용되는 여러 형태의 제품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보면, 본 발명은 모든 금속소재와 똑같은 촉감과 질감을 가지는 조각 장식품, 침대 머리판, 박스 및 기타소재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벽 및 바닥 타일과 같은 인테이러 제품, 컴퓨터 상부표면, 탁상용품, 책상용품, 가구부품, 배관기구, 창문장식, 장식용 화분, 계단 난간, 장식용 브래킷, 패널, 선반, 액자 및 조명기구에 사용할 수 있다. 옥외에 사용되는 제품에 있어서는, 문, 천장 타일, 물받이통, 잔디 및 정원기구, 옥외 수영장 타일 및 창문장식, 빌딩외면, 선박금속부품 및 악세사리, 자동차용 차체부품 및 악세사리, 공구, 장난감 및 체육 설비에 사용할 수 있다. 수지혼합물의 성분을 변화시켜서, 제조된 소재를 특정용도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소재가 옥외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수지는 이러한 목적에 적합해야 한다.
소재를 형성하는 혼합물에 포함된 금속입자의 상대적인 양은 소망하는 소재의 최종 무게에 의존하며, 어느 경우에는, 비교적 무거운 소재를 만들도록 폴리에스테르 중량과 같거나 5배까지 금속입자의 양을 사용하여 금속으로 만들었다는 환상이 증가한다. 책상용 램프대 또는 3차원 소재인 장식용 단지에 있어서 향상된 중량은 소재에 안정감을 준다.
행해지는 질감인자의 다른 양해는 금속일 입힌 유사 소재에 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소재에 의한 인상이다. 천연금속일 때 눈에 보이는 질감보다 덜 빛나는 질감을 곁칠한 소재가 가지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재는 연질 금속성 빛을 띠고, 멀지않아 겉칠한 소재에서 결여하고 있는 천연 녹청을 얻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이 종래에 비해 향상됨에 따라 서로 결합되는 외부장식면과 내부기능면을 가지는 제품에 특히 적합한 제품을 만들 수 있는 향상이 있다. 타일, 건축자재, 창문장식등은 이러한 제품의 예이다.
또 다른 향상으로서, 성형 프로세스동안 형성되어 부유가능한 입자를 커버하는 얇은 플라스틱 껍질을 제거하도록 성형품의 내부면을 연마하는 것이다. 연마는 부유가능한 입자의 외부 및 내부의 양쪽을 노출하도록 내부면의 부유가능한 입자를 분쇄한다. 연마는 소재의 내부면을 샌드브래스팅하거나 샌딩하는 다우의 방법으로 실행한다. 그 결과, 내부면은 유연해지는 대신에 꺼칠 꺼칠해지고 약간 불규칙하게 된다. 이렇게 꺼칠어진 내면은 접착제, 아교 및 기타 매스틱(mastics)에 대해 향상된 결합면을 제공한다.
성형품에 세라믹 미소구형체가 있는 부유가능한 입자를 제공하고, 제품의 내부면을 연마함에 의해, 내부면은 기능면과 심미적인 면에서 세라믹 제품의 특징을 나타낸다. 타일, 건축자재등은 세라믹 타일 및 건축자재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해도 좋다. 예를들면, 타일은 세라믹 타일의 이면부를 부착함이 없이 제조해도 되고, 세라믹 산업에서 공지된 접착제로 벽, 바닥, 대향상부 등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면부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1/8인치 타일에 이면부를 설치하는 수고,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한다.
제7도는 본 프로세스에 따라 만든 타일을 나타내며, 타일(30)은 내부면(31) 및 외부 장식면(32)(도면에서 보이지 않음)을 가진다.
타일(30)은 제1도와 연관해서 설명된 소재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형성된다. 타일(30)을 만들 때, 액체 플라스틱 수지, 파우더 금속, 촉매(또는 경화제) 및 중공 세라믹 비이드들을 혼합해서 수지 혼합물을 형성한다. 방화제, UV 흡수제, 촉진제 및 증가 반응억제제와 같은 기타 첨가제을 제품의 물리적 성질 및 혼합물의 물리적 취급을 향상하도록 포함시켜도 좋다.
액체 플라스틱 수지의 예로서, 에이치게이 리서치 코포레이숀사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R 0059, 애쉬랜드 케미칼 인코포레이티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Hetron 425 P가 있다. 유에스 브론즈의 B-406 청동 또는 C-118구리와 같은 파우더 금속을 사용해도 좋다. 경화제의 촉매는 루치돌 펜왈트 코포레이숀의 Lupersol DDM-9 또는 위트코 코포레이숀에 의 해 시판된 Hi-Point 90과 같은 유기 과산화물 촉매이어도 좋다. 중공 세라믹 비이드는 예를들면 피큐 코포레이숀의 Extendospheres SG 또는 Extendospheres SF-12이어도 좋다. 문니 케미칼 인코포레이티드의 6% 코발트 Nap-All 또는 12% 코발트 Polycure A+와 같은 촉진제는 제품의 겔, 디몰드 및 경화시간을 변화하는데 사용된다.
수지 혼합물을 페인트 교반기와 같은 혼합장치 또는 더욱 계량된 계측 및 혼합설비를 구비한 혼합드럼 내에서 혼합된다.
수지 혼합물내의 금속 파우더의 함량은 액체 플라스틱 수지 중량의 약15% 내지 약 400%이며, 중공 세라믹 비이드의 함량은 금속파우더 중량의 약3% 내지 약 15% 범위이다. 촉매 및 촉진제가 사용된다면, 그양은 더 길거나 짧은 겔, 디몰드 및 경화시간을 만들도록 변화된다. 중공 세라믹 비이드 대신에 통기면을 제공하는 유리 미소구형체 또는 기타 재질과 같은 실리카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수지 혼합물은 실리콘 고무 또는 우레탄 탄성체로 만든 가소성 금형으로 주조된다. 겔시간은 약 5 내지 약 60분 변하고, 디몰드 시간은 사용된 촉매 및 촉진제의 양에 따라 약 10 내지 180분 변한다. 소재의 경화는 실온에서 약 48 내지 약 72시간 사이에서 행한다. 경화를 가속하기 위해, 소재는 완전한 경화를 제공하도록 저온 오븐에서, 예를 들어 150°F에서 2시간동안 구어진다.
소재가 완전히 경화되면, 소재를 금형에서 제거하고, 세라믹 비이드를 함유하는 소재의 내부면을 성형하는 동안 형성된 얇은 플라스틱 껍질을 제거하며, 규격타일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서 양호한 기계적 결합을 촉진하는 거친 표면을 만들도록 연마한다. 거친 표면은 54 그리트 알루미늄 옥사이드 연마제를 사용하여 60psi에서 2내지 3초동안 샌드브래스팅해서 얻는다. 이와 같은 과업을 수행하는 다른 그리트와 베이스 재질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 기타의 샌드 브라스트 매체가 있다. 거칠어진 표면은 통기구조로 되어서 얇은 플라스틱 껍질을 제거하고 소재의 내부면상에 미소구형체를 분쇄한다.
샌드브래스팅은 로고, 명칭 또는 기타 디자인이 부착된 수재의 내부면을 표시하는데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재의 세라믹 내부면을 거칠게 하는데 특히 좋은 방법이다. 소망표시의 스텐실을 포함하는 고무 또는 스틸 마스크로 내부면을 덮고, 내부면을 샌드브라스팅함에 의해, 소재는 소망 마크의 자극을 포함한다(제7도).
세라믹 내부면을 연마한 후, 금속외부면이 반짝이도록 금속면을 버핑한다. 이는 예를들면 두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단계는 소재의 외부면상에 입자를 덮은 플라스틱 수지의 외측을 제거하는 컷다운 버핑을 행하여, 금속을 노출하고 부드러운 금속면을 제조한다. 컷다운 버핑은 다양한 버프 스타일, 베이스 재질 및 버핑 화합물로 행한다. 예를들면, 레아 매뉴팩튜어링 컴패니 인코포레이티드의 Learock 857 bar 화합물을 사용하여 1750rpim에서 12인치 플란넬 바이어스 버프로 행한다. 둘째 단계는 금속외부면상에 거울처럼 매우 반짝이는 광내기를 하는 칼라 버핑이다. 레아 매뉴팩튜어링 컴패니 인코포레이티드의 Learock 857 bar 화합물을 사용하여 1750rpim에서 12인치 플란넬 바이어스 버프는 이러한 과업을 달성한다.
버핑이 끝난 후, 청결한 보호코팅의 접착을 위해 청결한 표면을 제공하고, 소재의 미적인 질을 향상하고 보호하기 위해 남아있는 버핑화합물을 제거한다. 청결은 물세척 및 자외선 청정을 포함하는 여러방법으로 달성된다. 청정액은 산성 또는 알칼리성이다. 청정 작동을 예를 들어보면, 자외선 탱크를 미셀 브라드포드 인터내쇼날 코포레이숀의 Mi-Clean 310과 같은 청정액 1부에 몰 20부의 용액을 충진한다. 소재를 탱크에 놓고 나머지의 양에 따라 30초 내지 10분동안 청정한다. 소재가 깨끗해지면, 청정액이 남아있지 않게 행군다. 물공급원에 존재하는 칼슘 또는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비이온호된 물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물얼룩이 없는 표면이 남는다. 이렇게 처리된 소재는 비이온화된 물이 린스용으로 사용되면 공기로 건조시킨다.
청정 및 건조 소재를 외부 장식면상의 청결보호 코팅으로 덮는다. 코팅은 금속면이 녹스는 것을 방지하고, 손상 및 긁힘에 대해 보호한다. 건축 코팅, 파우더 코팅, 에나멜 및 라커가 코팅으로서 유용하다. 예를들면, 아게이트 라커 레아 매뉴팩추어링 컴패니 인코포레이티드의 202W 베이킬 라커 및 하이드로코트 컴패니 인코포레이티드의 Hydroshield Plus가 있다. 코팅은 종래의 스프레이 기법을 사용해서 도포한다. 이러한 기법으로서 베어킹 라커로 소재의 외부 장식 금속면을 코팅하도록 빈크스 매뉴팩추어링의 모델 200/ss 스프레이건과 조합하여 압축공기를 이용한다. 스프레이 후, 코팅의 경화를 가속하기 위해 소재를 소결한다. 소결온도 및 시간은 사용된 코팅에 따라 약 150°F 내지 약 250°F 및 약5내지 약 90분이다. 202W 베이킹 라커로 코팅된 소재는 약 175°F에서 약 45분동안 소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향상된 점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두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3]
수지 혼합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g(애쉬랜드 캐미칼의 Hetron 425 P) : 금속입자 25g(유니이티드 스테이츠 브론즈 파우더스 인코퍼레이티드의 청동 파우더인 B-406) ; 촉매 1.50g(위트코 코포레이숀의 Whitco Hi-Point 90) ; 중공 세라믹 미소구형체 1.75g(피큐 코포레이숀의 Extendosphers SG); 촉진제 0.5g(문레이 케미칼 인코레이티드의 6% 고발트 Nap-All) ; 증기 반응억제제 3.00g(아리스테크 케미칼 인코포레이티드의 Modifier C) 및 방화제 5.00g(니이콜 프록덕츠 인코포레이티드의 Nyacol APE 1540)으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1/4인치 평면타일의 내면은 거칠은 세라믹 비이드를 노출하도록 샌드브라스트된다. 이러한 타일은 금속으로 만든 소재의 질감을 가지는 반짝이는 장식용 금속 외부면을 가진다. 타일의 내부면에 기능적으로 세라믹 타일처럼 행해져서 세라믹 타일 산업에서 공지된 접착제를 사용하여 다른 표면에 결합된다.
[실시예 4]
수지 혼합물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모노머 100g(리치홀드 캐미칼 인코퍼레이티드의 Polylite 32-358) : 파우더 금속 50g(유니이티드 스테이츠 브론즈 파우더스 인코퍼레이티드의 C-112구리) ; 촉매 2.0g(루시돌 펜왈츠 코포레이숀의 Lupersol DDM-9) ; 중공 세라믹 미소구형체 2.2g(피큐 코포레이숀의 Extendosphers); 및 증기 반응억제제 1.00g(비와이케이 체미에의 BYKS740)으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수지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타일은 거칠어진 세라믹 비이드를 노출하도록 내부면상에 샌드브라스트된다. 타일의 외부 장식면이 빛나고 금속성인 반면 1/4인치 타일의 내부면은 세라믹 타일처럼 작용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남이 없이 여러 변형과 수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경화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된 소재에 있어서, 상기 경화 플라스틱 수지와 결합되고, 일체로 형성된 금속 입자들의 농축된 덩어리의 한 표면과, 상기 소재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경화 도중에 고른 수축을 유지하도록 하는 부유 가능한 입자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경화 플라스틱 수지와 또한 결합되고 일체로 형성된 다른 표면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된 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입자들은 청동, 황동, 알루미늄, 백랍 또는 구리이고 고른 수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상기 부유 가능한 입자 수단은 비금속성 입자로서 소재의 경화 도중 불균일한 수축으로 인한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된 소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가능한 입자들은 경화되기 전의 상기 수지의 비중보다 작은 비중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된 소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입자들의 농축된 덩어리의 표면은 상기 소재에 금속성 질감을 주도록 문질러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된 소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가능한 입자들은 세라믹 또는 유리의 중공 미소구형체들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분말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된 소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되기 전의 상기 수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류, 아크릴레이트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스트렌류, 메틸스티렌류, 에폭시류, 알릴류, 및 디알릴프탈레이트류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단위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된 소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는 약 0.3㎜ 내지 약 1.0㎜의 두께의 표면상에 금속 입자들의 농축된 덩어리를 가지며, 상기 금속 입자들의 크기는 약 200 내지 약 300테일러 메쉬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된 소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가능한 입자들은 상기 금속 입자들의 농축된 덩어리에 의하여 형성된 표면과 상기 부유 가능한 입자들의 농축된 입자들에 의하여 형성된 다른 표면이 고르게 수축하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소재내에 존재하여 상기 소재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된 소재.
  9. 금속성 질감을 주는 외부 표면과 다른 표면을 가지는 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액체 단위체 수지, 경화제, 금속 입자들 및 경화 도중에 상기 외부 표면과 상기 다른 표면이 불균일하게 수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 수지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재의 형태를 형성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몰드내에 상기 수지 혼합물을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수지 혼합물이 경화되기 전에 상기 금속 입자들을 상기 외부 표면으로 이동시킴에 의하여 상기 소재의 상기 외부 표면에 금속 입자들의 농축된 덩어리를 형성하는 단계; 경화되기 전에 상기 수지 혼합물내에 불균일한 수축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지 혼합물을 경화시켜서 형태를 가지는 수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질감을 주는 외부 표면과 다른 표면을 가지는 소재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소재에 금속적인 질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소재의 상기 외부 표면을 문지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질감을 주는 외부 표면과 다른 표면을 가지는 소재의 제조 방법.
  11. 금속성 질감을 가지는 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액체 단위체 수지, 경화제, 상기 액체 단위체 수지보다 비중이 높은 금속 입자들 상기 액체 단위체 수지보다 비중이 낮은 부유 가능한 입자들의 수지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재의 형태를 형성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몰드에 상기 수지 혼합물을 붇는 단계; 상기 수지 혼합물이 경화되기 전에 상기 금속 입자들을 상기 소재의 상기 외부 표면에 상기 금속 입자들의 농축된 덩어리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지 혼합물내의 상기 금속 입자들을 상기 소재의 외부 표면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수지 혼합물이 경화되기 전에 상기 부유 가능한 입자들이 상기 소재의 다른 표면에 상기 부유 가능한 입자들의 농축된 덩어리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지 혼합물내의 상기 부유 가능한 상기 소재의 다른 표면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지 혼합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적인 질감을 가지는 소재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소재에 금속적인 질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소재의 외부 표면을 문지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적인 질감을 가지는 소재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가능한 입자들의 부피는 대략 상기 수지 혼합물내의 금속 입자들의 부피와 동일하고 상기 부유 가능한 입자들의 비중은 경화되기 전의 상기 수지보다 작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적인 질감을 가지는 소재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입자들은, 청동, 황동, 알루미늄, 백랍 또는 구리이고 상기 부유 가능한 입자들은 세라믹 또는 유리의 중공 미소구형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의 분말이고, 상기 액체 단위체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류, 아크릴레이트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스티렌류, 메틸스티렌류, 에폭시류, 알릴류, 및 디알릴프탈레이트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적인 질감을 가지는 소재의 제조 방법.
  15. 경화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된 소재에 있어서, 경호되기 전의 상기 수지보다 비중이 크고 상기 경화 플라스틱 수지와 함께 결합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금속 입자들의 농축된 덩어리에 의하여 장식적인 외부 표면과, 경화되기 전의 상기 수지보다 비중이 작고 상기 경화 플라스틱 수지와 함께 결합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부유 가능한 입자들의 농축된 덩어리에 의하여 형성된 기능적인 내부 표면을 가지며, 상기 장식적인 외부 표면은 금속 입자들이 노출된 표면을 가져서 상기 소재에 금속적 질감을 부여하고, 상기 내부의 기능적인 표면은 부유 가능한 입자들이 노출된 표면을 가져서 다른 소재에 결합되기에 적합한 표면을 만들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된 소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가능한 입자들은, 유리 또는 세라믹 미세구형체들이고, 상기 금속 입자들은 청동, 황동, 알루미늄, 백랍 또는 구리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된 소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는 평면 타일 또는 건축자재이고, 상기 경화 플라스틱 수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류, 아크릴레이트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스티렌류, 메틸스티렌류, 에폭시류, 알릴류, 및 디알릴프탈레이트류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경화되기 전의 수지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금속 입자들은 상기 경화되기 전의 수지의 약 15중량% 내지 약 40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부유 가능한 입자들은 상기 금속 분말의 약 3중량% 내지 약 1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된 소재.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표면은, 거친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표면을 만들기 위하여 부유 가능한 입자들을 분쇄하도록 연마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적인 질감을 가지는 소재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입자들은 청동, 황동, 알루미늄, 백랍 또는 구리이고, 상기 부유 가능한 입자들은 세라믹 또는 유리의 중공 미소구형체이고, 상기 액체 플라스틱 수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류, 아크릴레이트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스티렌류, 메틸스티렌류, 에폭시류, 알릴류, 및 디알릴프탈레이트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적인 질감을 가지는 소재의 제조 방법.
KR1019930700991A 1990-10-09 1991-10-03 고체 금속소재의 질감을 가지는 플라스틱 성형소재 KR0168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408490A 1990-10-09 1990-10-09
US594,084 1990-10-09
US07/677,616 US5177124A (en) 1987-08-19 1991-03-27 Plastic molded pieces having the appearance of a solid metallic piece
US677,616 1991-03-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8873B1 true KR0168873B1 (ko) 1999-03-20

Family

ID=2708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991A KR0168873B1 (ko) 1990-10-09 1991-10-03 고체 금속소재의 질감을 가지는 플라스틱 성형소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5177124A (ko)
EP (1) EP0591207B1 (ko)
JP (1) JP2609969B2 (ko)
KR (1) KR0168873B1 (ko)
AT (1) ATE184619T1 (ko)
CA (1) CA2093644C (ko)
DE (1) DE69131626T2 (ko)
DK (1) DK0591207T3 (ko)
ES (1) ES2136602T3 (ko)
GR (1) GR3031860T3 (ko)
HK (1) HK1011375A1 (ko)
SG (1) SG49642A1 (ko)
WO (1) WO19920061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857A1 (ko) * 2013-06-28 2014-12-31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7153A (en) * 1992-06-08 1998-05-05 Mcdaniel; Harry C. Glass and ceramic objects having durable lustrous coatings and methods of producing
DE9211553U1 (de) * 1992-08-27 1994-01-05 Kloeber Johannes Aus Kunststoff bestehender Dachentlüfter
DE4440760A1 (de) * 1994-11-15 1996-05-23 Rolf Koehnl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lenformteilen aus Recycling- oder Neumaterial PE/Alu/PE oder PE/Karton/PE oder PE/Karton/PE/Alu/PE
US6015519A (en) * 1995-05-01 2000-01-18 Pyramid Composities Manufacturing Limited Partnership Densified coating process and molded articles having densified outer surface
US5869154A (en) * 1996-03-21 1999-02-09 Fort James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having special colors and decoration added thereto
US5753325A (en) * 1996-06-13 1998-05-19 Mcdaniel; Harry C. Articles having scuff resistant lustrous coatings
JPH10100187A (ja) * 1996-09-30 1998-04-21 Toyoda Gosei Co Ltd 樹脂成形品
US6004641A (en) * 1997-07-11 1999-12-21 Sinclair & Rush, Inc. Molded plastisol article with textured exterior
WO1999018150A1 (en) * 1997-10-07 1999-04-15 Questech Corporation In mold bonded thin composit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mposites
GB2330325B (en) * 1997-10-17 1999-10-20 John Anthony Frank Tengwall Work surfaces
ES2162722B1 (es) * 1998-12-10 2003-04-01 Caparros Antonio Guirao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laminas de cubricion de superficiesy lamina lograda segun dicho procedimiento.
US6255377B1 (en) 1999-05-19 2001-07-03 Demir Hamami Structural element of metal turnings in a plastic moldment
US7037865B1 (en) * 2000-08-08 2006-05-02 Moldite, Inc. Composite materials
US20060191145A1 (en) * 2001-08-24 2006-08-31 Waddington North America, Inc. Metallized cutlery and tableware and method therefor
DE60226332T2 (de) 2001-08-24 2009-07-09 Waddington North America, Inc., Chelmsford Metallisiertes besteck
US20030194534A1 (en) * 2002-04-10 2003-10-16 Chen-Chi Mao Anti-moisture floor tile
EP1415794B9 (en) * 2002-10-31 2008-08-06 Elleci S.p.A. Method for manufacturing sanitary articles
US6737112B1 (en) * 2003-02-26 2004-05-18 Yuan-Feng Chang Method for making a table top
US6884385B2 (en) * 2003-05-15 2005-04-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lorization pellet for injection molding process
JP4583728B2 (ja) * 2003-06-04 2010-11-17 株式会社中川ケミカル 装飾用シート
US7300616B2 (en) * 2004-04-02 2007-11-27 Wycech Joseph S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article of manufacture and an article of manufacture made by a new and novel process
US20060185284A1 (en) * 2005-02-24 2006-08-24 Alan Tolley Metal bricks for forming a decorative surface
DK1868805T3 (da) * 2005-04-13 2013-01-02 Cool Options Inc Komfurarrangement omfattende et i plan monteret komfurpanel
US20060260248A1 (en) * 2005-05-20 2006-11-23 Questech Corporation Trim paneling with miterless corner joints and related methods
US20070090122A1 (en) * 2005-10-26 2007-04-26 Caplugs Llp Textured vinyl pull cap
US8689671B2 (en) 2006-09-29 2014-04-08 Federal-Mogul World Wide, Inc. Lightweight armor and methods of making
DE102007005432A1 (de) * 2007-01-30 2008-07-31 Evonik Röhm Gmbh Formmassen für mattierte Polyacrylat-Formkörper
US20100151220A1 (en) * 2007-03-13 2010-06-17 Alan Edward Bowmar Impact Absorbing Product
US20080233383A1 (en) * 2007-03-23 2008-09-25 Midwest Canvas Corporation Polymeric insulating materials
JP5175006B2 (ja) * 2007-05-24 2013-04-03 和雄 吉澤 人工錆石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る盆栽用錆石
US8110132B2 (en) * 2008-02-13 2012-02-07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Process and machine for manufacturing lap siding and the product made thereby
WO2009126948A2 (en) * 2008-04-11 2009-10-15 Linares Medical Devices, Llc Mold and process for combining metal/ceramic and polymer component mixture in the formation of homogenous parts and further including an article of manufacture & process for creating a combination plastic and silver composite exhibiting lifelong anti-biotic properties
US20100075083A1 (en) * 2008-09-23 2010-03-25 Southern Sales & Marketing Group, Inc. Process for In-Mold Application of Metal Finish Coating
US10160093B2 (en) * 2008-12-12 2018-12-25 Applied Materials, Inc. Carrier head membrane roughness to control polishing rate
DE102008063698A1 (de) * 2008-12-19 2010-06-24 Schock Gmbh Einrichtungsdekorelement
US20110016994A1 (en) * 2009-07-23 2011-01-27 Sebel Furniture Ltd Plastic article and its fabrication
DE102009048400A1 (de) * 2009-10-06 2011-04-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HF-Resonatorkavität und Beschleuniger
US20150096479A1 (en) * 2013-10-09 2015-04-09 Pacific Bulletproof Co. Ballistic resistant building components and system
US10471511B2 (en) 2013-11-25 2019-11-12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hybrid cylindrical structure
CA3031263A1 (en) 2014-06-16 2015-12-16 Delta Faucet Company Molded wall unit
US9504359B2 (en) 2014-06-16 2016-11-29 Delta Faucet Company Molded wall unit including a corner bracket
KR101598357B1 (ko) * 2014-12-31 2016-02-29 한덕환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
GB201509080D0 (en) * 2015-05-27 2015-07-08 Landa Labs 2012 Ltd Coating apparatus
CN108699662A (zh) * 2015-12-08 2018-10-23 3M创新有限公司 包含无机粒子和不连续纤维的金属基质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20180183227A1 (en) * 2016-12-27 2018-06-28 Gabriel Patent Technologies, Llc Device that uses electromagnetic polarization to improve audio cable sound quality
JP7214462B2 (ja) * 2018-12-19 2023-01-30 トクラス株式会社 樹脂製品の製造方法
WO2020163540A1 (en) * 2019-02-08 2020-08-13 ByDesign, LLC Decorative coating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8331A (en) * 1936-10-17 1939-08-08 Du Pont Cast resin with integral sheen
US2145068A (en) * 1937-10-01 1939-01-24 Allegheny Ludlum Steel Tile and tile assembly
US2454910A (en) * 1946-04-04 1948-11-30 Vilbiss Co Method of applying coatings to molded or cast articles
US2773287A (en) * 1952-07-14 1956-12-11 William H Stout Method of manufacturing plastic pipe
US3010158A (en) * 1959-01-27 1961-11-28 Capital Plastics Inc Method for making plastic articles
US3219734A (en) * 1961-06-19 1965-11-23 Mearl Corp Method of making nacreous cast plastic exhibiting multiple color effects
GB1159801A (en) * 1965-06-02 1969-07-30 Colin Bruce Thrush Improved Decorative Ware.
GB1159809A (en) * 1966-05-19 1969-07-30 Smith & Newphew Plastic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lock Materials.
SE315713B (ko) * 1968-01-19 1969-10-06 Creative Build Materials Cebem
DE1779552B2 (de) * 1968-08-27 1977-04-21 Glaser, Kurt, 5600 Wuppertal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plattenfoermigen kunststoffkoerpers fuer wandverkleidungen, reliefs o.dgl.
DE2042179C3 (de) * 1970-08-25 1974-10-03 Micafil Ag, Zuerich (Schweiz)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ichtweise aufgebauten Hohlkörpern
GB1380262A (en) * 1971-03-10 1975-01-08 Ici Ltd Shaped articles
FR2426554A1 (fr) * 1978-05-24 1979-12-21 Cola Alain Procede de moulage d'objets en resine synthetique, avec surface demi-metallique
DE3120831A1 (de) * 1981-05-26 1982-12-16 SKS-Technik Säure- und Korrosionsschutz GmbH, 7320 Göppingen Kunststoffmoertel zur herstellung von estrichen oder beton
US4521475A (en) * 1983-04-01 1985-06-04 Riccio Louis M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metal cladding on surfaces and products formed thereby
JPS59230714A (ja) * 1983-06-14 1984-12-25 Toshiba Corp プラスチツク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DE8321303U1 (de) * 1983-07-23 1983-10-27 Röhm, Günter Horst, 7927 Sontheim Stirnseiten-mitnehmer fuer drehmaschinen
EP0135120B1 (de) * 1983-08-23 1988-03-09 BBC Brown Boveri AG Keramik-Metall-Element
FR2564039B1 (fr) * 1984-05-09 1987-08-28 Cachot Gerard Fabrication de tableau recouvert en etain ou bronze
JPS6135913A (ja) * 1984-07-30 1986-02-20 Asahi Chem Ind Co Ltd 成形品の模様付け方法
JPS6438212A (en) * 1987-08-05 1989-02-08 Nippon Zeon Co Conductive molded body and its preparation
WO1990006858A1 (en) * 1988-12-14 1990-06-28 Roger Questel Polyester pieces having a metallic hand and appear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857A1 (ko) * 2013-06-28 2014-12-31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49642A1 (en) 1998-06-15
JPH05507758A (ja) 1993-11-04
HK1011375A1 (en) 1999-07-09
EP0591207B1 (en) 1999-09-15
US5177124A (en) 1993-01-05
DE69131626D1 (de) 1999-10-21
US5280052A (en) 1994-01-18
JP2609969B2 (ja) 1997-05-14
DE69131626T2 (de) 2000-03-09
WO1992006132A1 (en) 1992-04-16
EP0591207A1 (en) 1994-04-13
DK0591207T3 (da) 2000-04-03
CA2093644A1 (en) 1992-04-10
EP0591207A4 (en) 1993-06-09
CA2093644C (en) 1995-05-16
ATE184619T1 (de) 1999-10-15
ES2136602T3 (es) 1999-12-01
GR3031860T3 (en) 2000-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8873B1 (ko) 고체 금속소재의 질감을 가지는 플라스틱 성형소재
US4956030A (en) Method of fabricating simulated stone surfaces and improved simulated stone products
US4952462A (en) Decorative pane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H03504488A (ja) 人工石およびその製造法と用途
JP2001517157A (ja) 多層装飾品の形成方法
US534256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imulated granite
KR100605090B1 (ko)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WO2002040237A1 (en) Methods and materials for the manufacture of a solid surface article
US4554118A (en) Process of inlaying a design in molded simulated marble
WO1999000235A1 (en) In mold bonded composit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mposites
WO1996008370A1 (en) Acrylic or polycarbonate sheet-lacquer laminates and articles of furniture made therefrom
WO1999018150A1 (en) In mold bonded thin composit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mposites
CN1100365A (zh) 金属复合玻璃钢材料及其制造工艺
JP5091825B2 (ja) 成形コンクリートの塗装方法と加飾コンクリート成形品
WO2019110970A1 (en) Automotive components comprising ceramics, novel inlay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CN1037902C (zh) 仿古仿欧装饰浮雕产品及其制造方法
KR20090034628A (ko) 호마이카에 내장된 무늬를 형성한 장식용 판재 및 그제조방법
GB2233640A (en) Mineral composition
US3419454A (en) Method of making and reinforcing decorative polyester resin products
KR100295340B1 (ko) 열경화성수지및무기충전물로만든조립식욕실용벽파넬및그제조방법
CN1022993C (zh) 金属复合玻璃钢材料的制造工艺及其制品
JPH06344517A (ja) 建材用装飾板の製造方法
WO1990006858A1 (en) Polyester pieces having a metallic hand and appearance
CA3205505A1 (en) Composite material with coating layer
JPH10500367A (ja) 装飾材料を形成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