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824B1 - 계단승강운반차 - Google Patents

계단승강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824B1
KR0167824B1 KR1019950018195A KR19950018195A KR0167824B1 KR 0167824 B1 KR0167824 B1 KR 0167824B1 KR 1019950018195 A KR1019950018195 A KR 1019950018195A KR 19950018195 A KR19950018195 A KR 19950018195A KR 0167824 B1 KR0167824 B1 KR 0167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ft
stairs
ground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8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698A (ko
Inventor
린타로오 미사와
히데토오 히다카
타케아키 야마가타
사토시 코바야시
미쭈루 시오타
Original Assignee
린타로오 미사와
산와 샤료오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타로오 미사와, 산와 샤료오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타로오 미사와
Publication of KR960000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8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62D55/075Tracked vehicles for ascending or descending stairs, steep slopes or vertic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4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and alternative ground wheels, e.g. changeable from endless track vehicle into wheeled vehicle and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계단승강운반차(1)는 화물을 계단(S)의 위아래로 옮기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구조(2)와 그 프레임구조위에 장착된 화물용기(4)를 포함하는 차량본체와, 계단승강운반차의 반대측면에 설치된 한쌍의 무한벨트크롤러(13)를 포함하고 그 후단에 경사돌출부를 보유하여 차량이 모터(8)에 의해 계단의 위아래로 오르내리도록 하는 크롤러장치(3)와, 계단승강운반차 양측면의 텐덤에 설치되어 지면과 접촉하도록 크롤러장치로부터 돌출하는 지면접촉바퀴와, 프레임구조의 아래에 설치되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지면과 접촉하거나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캐스터(19)와, 차량본체와 크롤러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본체가 계단승강운반차 끝위의 지점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선회가능하게 하는 실린더장치(21)와, 차량본체의 한쪽 끝위에 설치된 조작손잡이(5)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계단승강운반차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계단승강운반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계단승강운반차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a)는 제1도의 계단승강운반차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부분평면도.
제3도(b)는 제1도의 계단승강운반차의 한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4도는 계단을 위아래로 오르내리는 제1도의 계단승강운반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5도는 수평의 평면바닥을 움직이는 제1도의 계단승강운반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계단승강운반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계단승강운반차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8도는 제6도의 계단승강운반차의 정면도.
제9도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제6도의 계단승강운반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0도는 철로를 따라 플렛폼위의 좁은 통로를 통해 움직이는 제6도의 계단승강 운반차를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계단승강운반차 2 : 프레임구조
3 : 크롤러장치 4 : 화물용기
5 : 조작손잡이 6 : 앞바퀴
8 : 구동모터 13 : 무한벨트크롤러
19 : 캐스터 21 : 전기실린더
28 : 분리벽
본 발명은 계단승강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가 없는 건물에서 화물이나 쓰레기를 계단의 위아래로 옮기는데 적용되는 계단승강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사실, 본 발명을 출원한 출원인은 일본특허 특공평 1-38034호 공보에 계단의 위아래로 화물이나 쓰레기를 옮기는 계단승강운반차를 제안하고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계단승강운반차는 화물용기를 장착하는 프레임구조와, 한쌍의 무한벨트크롤러(endless belt crawler)를 보유하는 크롤러장치와, 크롤러장치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중행바퀴와, 크롤러장치로부터 돌출되어 지면과 접촉하거나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적용되는 캐스터와, 차량본체의 후단 측면에 설치된 조작손잡이로 구성된다.
비록 상기한 바와 같이 계단승강운반차가 계단의 위아래로 화물이나 쓰레기를 옮기는데 사용되고는 있지만, 그 사용상에는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계단승강운반차가 계단 위아래로의 승강을 끝내어 평면바닥에 도착할 때, 캐스터가 크롤러장치로부터 돌출해서 지면과 닿게 되어, 캐스터가 주행바퀴와 상호작용하여 지면위로 바퀴가 움직이도록 한다. 그러나, 크롤러장치로부터 캐스터가 돌출하여 지면과 닿게 되는 작동은 계단승강운반차가 두계단 사이의 수평의 평평한 작은 층계참(landing)을 움직일 때에도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특공평1-38034호 공보에 개시된 발명의 문제점은, 계단이 길어서 층계참이 많을 때에는 계단승강운반차가 각 층계참에 도착할 때마다 상기한 작동을 수행해야만 하는 것인데, 이것은 매우 번거롭고 비능률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화물용기를 장착하는 프레임구조가 계단승강운반차위의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러한 용기가 계단승강운반차 위에 실릴 때 계단승강운반차를 운전하는 사람의 시야를 방해해서 사람이나 계단승강운반차의 안전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계단승강운반차는 기차역 플랫폼의 좁은 통로를 통과하는 데에는, 작동을 잘못하면 철로위로 떨어지기 쉽기 때문에 안전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계단승강운반차가 갖고 있는 고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작동이 쉽고 안전성이 뛰어난 향상된 계단승강운반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을 계단의 위아래로 옮기는 계단승강운반차가 제공되는데, 이 계단승강운반차는 프레임구조와 이 프레임구조위에 장착된 화물용기를 포함하는 차량본체와, 계단승강운반차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한쌍의 무한벨트크롤러를 포함하며 그 후단위에는 경사진 돌출부를 보유하여 작동모터에 의해 계단승강운반차가 계단의 위아래로 오르내리도록 하는 크롤러장치와, 계단승강운반차의 양 반대 측면에 세로로 일렬로 배열되고 크롤러장치로부터 돌출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지면 접촉바퀴와, 프레임구조 아래에 설치되어 지면과 접촉하거나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캐스터와, 차량본체와 크롤러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계단 승강운반차 끝위의 지점을 중심으로 차량본체가 수직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실린더장치와, 차량본체 한쪽끝 위에 설치된 조작손잡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있어서는, 지면접촉바퀴는 크롤러장치위의 지면접촉부와 경사돌출부 사이에 차례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판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는, 화물용기는 내부에 분리벽이 설치되는 형태의 케이싱으로, 이 용기의 내부공간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서는, 화물용기가 조작손잡이로 조작을 행하고 있는 사람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계단승강운반차 위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을 계단의 위아래로 옮기는 다른 계단승강운반차가 제공되는데, 이 계단승강운반차는 프레임구조와 이 프레임구조위에 장착된 화물용기를 포함하는 차량본체와, 계단승강운반차의 반대측면에 설치되는 한쌍의 무한벨트크롤러를 포함하며 그 후단위에는 경사진 돌출부를 보유하여 작동모터에 의해 계단승강 운반차가 계단의 위아래로 오르내리도록 하는 크롤러장치와, 계단승가운반차의 양반대편 측면에 세로로 일렬로 배열되고 크롤러장치로부터 돌출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지면접촉바퀴와, 계단승강운반차의 선단 양 반대측에 설치되어 지면과 접촉하거나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한쌍의 앞바퀴와, 차량본체와 크롤러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계단승강운반차 끝위의 지점을 중심으로 차량본체가 수직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실린더장치와, 차량본체 한쪽끝위에 설치된 조작손잡이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과 특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것으로, 계단승강운반차(1)는 프레임구조(2)와, 프레임구조(2)위에 장착된 화물용기(4)와, 계단승강운반차가 위아래로 승강하도록 움직이게 하는 한쌍의 무한벨트크롤러(13)를 포함하는 크롤러장치(3)와, 프레임구조(2)의 위쪽으로 연장된 부분위에 설치된 조작손잡이(5)로 구성된다.
크롤러장치(3)는 썰매와 같이 그 후단이 위쪽으로 휘어진 한쌍의 레일프레임(rail-frame)위에 장착된 구동장치(8), 감속장치(9)와, 배터리(10)를 포함한다. 한쌍의 구동바퀴(11)는 레일프레임(7)의 선단에 고정되고, 한쌍의 공전바퀴(12)는 레일프레임(7)의 후단에 고정된다. 한쌍의 무한벨트크롤러(13)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구동바퀴(11)와 공전바퀴(12)와 맞물려 돌아 가도록 설치된다.
무한벨트크롤러(13)는 계단을 위아래로 승강하는 동안 적어도 2단 너머로 연장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층계의 표면을 고려하면, 이 벨트크롤러(13)는 층계의 보호와 진동의 흡수를 위해 탄성합성고무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벨트크롤러(13)의 바깥표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돌기(도면표시하지 않음)가 다수 설치되어 계단의 단과 적절히 맞물리게 된다. 각 벨트크롤러(13)의 안쪽표면에도 역시 다수의 돌기(도면표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구동바퀴(11)와 공전바퀴(12)의 외주표면에 형성된 구동이(driving teeth)와 효과적으로 맞물려 벨트크롤러가 바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사실, 크롤러장치(13)는 계단의 적어도 2단을 넘어 연장될 수 있는 스팬(span)을 갖는 지면접촉부(13b)와 계단승강운반차가 계단을 오르기 시작할 때 계단의 첫 번째 단과 맞물리도록 적용된 경사돌출부(13a)를 보유한다. 또한, 계단승강운반차의 반대 측면의 지면접촉부(13b)가 경사돌출부(13a)에는 한쌍의 탠덤바퀴구조(tandem wheel structure, 14)가 설치된다.
제1도~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탠덤바퀴구조(14)는 지지판(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두 개의 바퀴(17,18)를 보유한다. 지지판(15)은 차례로 레일프레임(7)위의 지지샤프트(16)에 선회가능하게 운반된다. 지지판(15)이 평형위치로 될 때, 양바퀴(17,18)는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지면과 접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판(15)이 지지샤프트(16)에 대하여 크게 선회할 때, 바퀴(17,18)의 하나가 위쪽으로 움츠리게 된다.
캐스터(19)는 프레임구조(2)의 아래 선단 근처에 설치되는데, 실질적으로 이 캐스터(19)는 적절한 연결수단에 의해 프레임구조(2)의 아래면과 연결된다.
또한, 전기실린더(21)는 프레임구조(2)와 레일프레임(7) 사이에 설치되며, 배터리(10)에서 전기실린더(21)로 공급된 전력은 전기실린더를 연장하거나 수축한다. 특히, 전력이 실린더(21)에 연결된 모터로 공급되어, 모터의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모터에 맞물린 실린더봉이 위아래로 움직여 실린더가 연장되거나 수축된다. 그래서, 프레임구조(2)는 화물용기(4)와 함께 지점(20)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선회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캐스터(19)는 프레임구조의 아래에 설치되어 적당한 연결수단을 통해 프레임구조(2)의 아래면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으로 움직여 지면과 닿거나 그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즉, 전기실린더(21)가 수축될 때, 프레임구조(2)는 제1도와 같이 지점(20)을 중심으로 아래로 선회하여 캐스터(19)가 지면접촉부(13b)를 통해 돌출해서 지면과 접촉하게 된다. 한편, 전기실린더(21)가 연장될 때, 프레임구조(2)는 지점(20)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선회하여 캐스터(19)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본체의 후단 측면에 설치된 조작손잡이(5)는 구동모터(8), 감속수단(9) 및 전기실린더(21)를 작동하기 위한 한쌍의 그립(5a)과 조작부(5b)를 보유한다. 또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레버(22)는 그립(5a) 한쪽 근처에 설치되어, 브레이크와이어(23)에 의해 브레이크레버(22)의 작동이 탠덤바퀴구조(14)의 바퀴(18)위 브레이크에 전달된다. 더욱이, 브레이크레버(22)위에는 잠금수단(22a)이 설치되어 브레이크작동을 잠그게 된다.
그리고, 탠덤바퀴구조(14)의 샤프트(16)에는 평형스프링(24)이 연결되는데, 일반적으로 이 평형스프링(24)에 의해 지지판(15)이 평형으로 지지되어, 양바퀴(17,18)가 무한벨트크롤러(13)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다.
화물용기(4)는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부착된 뚜껑(26)(제2도)을 보유하는 케이싱형태로 구성되며, 옆판(27)(제1도)도 역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화물용기(4)에는 내부공간을 둘로 나누도록 분리벽(28) 설치되어, 화물이 최대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게다가, 화물용기는 계단승강운반차의 조작시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설계된다. 실제로, 프레임구조(2)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화물용기(4)는 충분한 내부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실시예 1에 따른 계단승강운반차의 사용과 작동을 다음에 설명한다.
제4도에 의하면, 계단승강운반차(1)가 계단(S)을 오르내릴 때, 전기실린더(21)가 연장되어 프레임구조(2)가 화물용기(4)와 함께 지점(20)를 중심으로 위쪽으로 선회하여 캐스터(19)가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움츠러든다. 구동모터(8)는 벨트크롤러(13)를 구동하여 계단승강차(1)가 계단(S)을 오르내리게 한다.
제5도에 의하면, 계단승강운반차(1)가 수평의 평면바닥을 주행할 때, 전기실린더(21)가 수축되어 프레임구조(2)가 화물용기(4)와 함께 지점(20)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선회하여 캐스터(19)가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지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손잡이(5)를 미는 것에 의해 계단승강운반차(1)가 지면 바닥을 부드럽게 주행하게 된다. 지면바닥에서 계단승강운반차(1)가 멈출 필요가 생기면 브레이크레버(22)를 작동하며, 장시간 멈출 경우에는 브레이크레버(22)에 설치된 잠금수단(22a)을 작동하여 브레이크작동을 잠근다.
이 후, 계단승강운반차가 계단을 오르내릴 때의 작동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계단승강운반차(1)가 계단(S)을 오를 때, 계단승강운반차(1)는 후단(조작손잡이측면)이 앞쪽으로 위치한다. 그후, 전기실린더(21)가 오르기 전에 작동하여 프레임구조(2)가 화물용기(4)와 함께 지점(20)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선회하여 캐스터(19)가 지면으로부터 움츠러든다. 이때, 계단승강운반차(1)를 작동하는 사람은 조작손잡이(5)와 그립의 앞쪽에 위치하게 되어 얼굴이 계단승강운반차(1)의 앞쪽과 마주하게 된다. 계속하여, 구동모터(8)가 벨트크롤러(13)를 구동하여 계단승강운반차(1)가 계단승강운반차(1)와 사람의 얼굴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방향의 변함없이 계단(S)을 올라가기 시작한다. 시작시에, 경사돌출부(13a)(제1도)가 계단(S)의 제1단과 맞물리게 되고, 그후에 계단승강운반차(1)는 적어도 2층 너머로 연장되는 지면접촉부(13b)로 계단(S)을 올라간다.
한편, 계단승강운반차(1)가 계단(S)을 내려 갈 때, 그 후단(조작손잡이)이 뒤쪽에 위치하게 되며, 그 후 전기실린더(21)가 계단승강운반차가 아래로 내려가지 전에 작동되어, 프레임구조(2)가 화물용기(4)와 함께 지점(20)을 중심으로 위로 선회하여 캐스터(19)가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움츠러든다. 이 때에도, 계단승강운반차(1)를 작동하는 사람은 조작손잡이(5)와 그립의 앞쪽에 위치하여 얼굴이 계단승강운반차(1)의 앞쪽을 향하게 된다. 그 후 구동모터(8)가 벨트크롤러(13)를 구동하여 계단승강운반차(1)가 계단승강운반차와 사람의 얼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방향의 변함없이 내려간다.
계단승강운반차(1)가 계단(S)을 오르내릴 때, 탠덤바퀴구조(14)의 바퀴(17,18)가 샤프트(18)를 중심으로한 지지판(15)의 선회운동을 통해 계단의 지면과 교대로 접촉하게 된다. 또한, 계단승강운반차(1)가 계단의 층계들 사이에 위치한 수평의 평평한 좁은 바닥인 층계참에 도착하면, 계단승강운반차(1)는 바닥 위에서 회전중심인 바퀴(18)에 의해 그 방향이 회전되어 다음 층계로의 승강을 계속한다. 층계참에서의 계단승강운반차(1)의 회전 동안에, 캐스터(19)가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하는 전기실린더(21)의 조작이 없이도 무한벨트크롤러(13)가 바닥으로부터 약간 올라가는 것에 의해 회전운동은 실행된다.
더욱이, 계단승강운반차(1)가 계단(S)을 오르내릴 때, 화물용기(4)가 조작손잡이(5)의 앞쪽을 향해 지점(20)을 중심으로 해서 위쪽으로 선회하기 때문에, 중력의 중심이 계단승강운반차(1)의 뒤쪽으로 집중해서 계단승강운반차(1)가 계단(S)을 안정적으로 오르내리게 된다. 계단승강운반차(1)가 계단(S)을 오르내리는 동안에 갑자기 정지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구동모터(8)가 즉시 정지하여 특수브레이크장치가 계단승강운반차의 운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용기(4)의 내부공간이 분리벽(28)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어서 화물의 중력중심이 움직이지 않아 계단승강운반차가 더욱 안정적으로 된다.
제6도~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시예 1 보다도 더욱 향상된 변형예이다. 실시예2에서 실시예1와는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한다.
제6도, 제7도 및 제8도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계단승강운반차(1)에 캐스터(9)가 설치되지 않는다는 것이 실시예 2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이지만, 대신에 실시예 2에는 한쌍의 앞바퀴(6)가 프레임구조(2)의 연장된 부분의 선단에 설치된다.
특히, 제7도와 제8도에 의하면, 앞판(62)이 프레임구조(2)의 선단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샤프트(63)를 중심으로 수직으로 선회가능한 프레임부재(61)와 연결되며, 한 쌍의 앞바퀴(6)는 프레임부재(61)의 반대 끝에 설치된다.
다음에 실시예 2에 따른 계단승강운반차의 사용 및 작동을 설명한다.
제9도에 따르면, 계단승강운반차(1)가 계단(S)을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전기실린더(21)가 연장되어 프레임구조(2)가 화물용기(4)와 함께 지점(20)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선회하여 앞바퀴(6)가 위쪽으로 돌출한다. 한편, 구동모터(8)는 벨트크롤러(13)를 구동하여 계단승강운반차(1)가 계단(S)을 오르내리게 한다.
제6도에 따르면, 계단승강운반차(1)가 수평의 평면바닥을 주행할 때, 전기실린더(21)는 수축되어 프레임구조(2)가 화물용기(4)와 함께 지점(20)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선회하여 앞바퀴(6)가 지면과 닿게 된다. 그 후, 손잡이(5)를 밀어 계단승강운반차(1)가 수평의 바닥을 부드럽게 주행하게 한다.
그러나, 앞바퀴(6)가 수평한 바닥과 닿아 있을 때에는 무한벨트크롤러(13)의 밑면과 바닥 사이는 3~5cm으로 하는 것이 계단승강운반차를 무한벨트크롤러(13)와 바닥 사이의 마찰력으로 정지시킬 필요가 있을 때 유효하게 된다.
제10도에 따르면, 계단승강운반차(1)가 수평의 평면바닥을 주행하고 기차역 플랫폼위의 좁은 통로를 통해 지나갈 때, 계단승강운반차(1)의 앞부분의 한쪽이 갑자기 레일의 한쪽 공간으로 빠지거나 앞바퀴(6)가 플랫폼에서 벗어나게 되면, 무한벨트크롤러(13)의 밑면이 지면과 닿게 된다. 이때, 무한벨트크롤러(13)는 정지한 상태이기 때문에, 무한벨트크롤러(13)와 플랫폼의 지면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이 충분히 커지게 되어서 계단승강운반차가 정지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계단승강운반차(1)가 레일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계단승강운반차(1)가 레일에서 똑바로 밀리거나 계단에서 아래쪽으로 밀려서 양앞바퀴(6)가 지면에서 떨어지면, 무한벨트크롤러(13)가 역시 지면과 닿게 된다. 이 때에도 무한벨트크롤러(13)는 정지한 상태이기 때문에, 무한벨트크롤러(13)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이 충분히 커지게 되어 계단승강운반차(1)가 정지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계단승강운반차(1)가 레일 아래로 떨어지거나 계단 아래로 떨어지는 일이 방지되게 된다.

Claims (5)

  1. 프레임구조(2)와 프레임구조(2)위에 장착된 화물용기(4)를 포함하는 차량본체와, 계단승강운반차(1)의 반대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무한벨트크롤러(13)를 포함하고 있고 후단에는 경사돌출부(13a)를 보유하여 차량이 구동모터(8)에 의해 계단(S)을 오르내리게 하는 크롤러장치(3)와, 계단승강운반차(1) 양측면 위의 탠덤에 설치되고 크롤러장치(3)로부터 돌출하여 지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지면접촉바퀴(17)(18)와,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프레임구 아래와 설치되어 지면과 접촉하거나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캐스터(19)와, 차량본체와 크롤러장치(3)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본체가 계단승강운반차(1) 끝의 지점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선회가능하게 하는 실린더장치(21)와, 차량본체의 한쪽 끝 위에 설치된 조작손잡이(5)로 구성된 화물을 계단(S) 위아래로 옮기는 계단승강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2) 위에 장착된 화물용기를 포함하는 차량본체와, 그리고 상기 화물용기(4)가 그 위에 부착된 뚜껑(26)을 가진 케이싱형태로 되어 용기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화물용기(4)가 내부공간을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도록 내부에 분리벽(28)을 보유하는 케이싱 형태로 구비되고, 또한 상기 화물용기(4)가 차량본체가 조작손잡이(5)를 조작하는 사람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차량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승강운반차.
  2. 프레임구조(2)와 프레임구조(2)위에 장착된 화물용기(4)를 포함하는 차량본체와, 계단승강운반차(1)의 반대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무한벨트크롤러(13)를 포함하고 있고, 차량이 구동모터(8)에 의해 계단(S)을 오르내리게 하는 크롤러장치(3)와, 계단승강운반차(1) 양측면 반대측면에 설치되고 크롤러장치(3)로부터 돌출하여 지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지면접촉바퀴(17)(18)와, 차량본체와 크롤러장치(3)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본체가 계단승강운반차(1) 끝의 지점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선회가능하게 하는 실린더장치(21)와, 차량본체의 한쪽 끝 위에 설치된 조작손잡이(5)로 구성된 화물을 계단(S) 위아래로 옮기는 계단승강운반차에 있어서, 상기한 계단승강운반차(1) 선단의 반대측면에 설치되어 지면과 접촉하거나 그로부터 떨어지는 한 쌍의 앞바퀴(6)와, 상기한 한 쌍의 앞바퀴는 차량이 계단을 오르내릴 때 위쪽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수평의 평면바닥을 주행할 때 지면에 접촉하게 되며, 앞바퀴 중의 하나가 표면바닥 이외로 주행할 때 벨트 크롤러의 밑면이 바닥에 접촉하므로써 차량이 안전하게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승강운반차.
  3. 제2항에 있어서, 앞바퀴(6)가 수직으로 배치된 부재를 통해 차량본체와 차례로 연결되는 수직으로 선회가능한 부재위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승강운반차.
  4. 제2항에 있어서, 계단승강운반차(1)가 수평한 평면바닥을 주행할 때, 앞바퀴(6)가 지면접촉바퀴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승강운반차.
  5. 제2항에 있어서, 앞바퀴(6)가 수평의 바닥과 접촉하며, 무한벨트크롤러(13)의 밑면과 바닥 사이의 높이가 3~5cm인 것을 특징으로 계단승강운반차.
KR1019950018195A 1994-06-29 1995-06-29 계단승강운반차 KR0167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799494 1994-06-29
JP94-147994 1994-06-29
JP6325538A JPH0872758A (ja) 1994-06-29 1994-12-27 階段昇降運搬車
JP94-325538 1994-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698A KR960000698A (ko) 1996-01-25
KR0167824B1 true KR0167824B1 (ko) 1999-01-15

Family

ID=26478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8195A KR0167824B1 (ko) 1994-06-29 1995-06-29 계단승강운반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872758A (ko)
KR (1) KR0167824B1 (ko)
DE (1) DE19522939C2 (ko)
IT (1) IT12784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90427C (en) * 1996-01-23 1999-07-27 Rintaro Misawa Transporter for patient's emergency escape
KR20170015628A (ko) 2015-07-29 2017-02-09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용 전극봉
CN110155196A (zh) * 2019-06-18 2019-08-23 广州合创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运垃圾箱的智能爬楼车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6772A (ja) * 1983-05-23 1984-12-06 Sanwa Sharyo Kk 運搬車
CH663934A5 (de) * 1983-12-12 1988-01-29 Peter Auer Fahrzeug zum transport von personen und guetern auf treppen.
DE4226079A1 (de) * 1992-08-06 1994-02-10 Sommer Metallbau Stahlbau Gmbh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Türen, Fenstern oder dergleich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22939C2 (de) 2000-02-10
DE19522939A1 (de) 1996-01-04
IT1278498B1 (it) 1997-11-24
ITRM950418A1 (it) 1996-12-21
ITRM950418A0 (it) 1995-06-21
KR960000698A (ko) 1996-01-25
JPH0872758A (ja) 1996-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8815A (en) Conveyor system for load-carrying carts
CA1147772A (en) Stair climbing wheelchair carrier
EP0482744A2 (en) A stair-climbing wheelchair carrier
JPS647914B2 (ko)
KR0167824B1 (ko) 계단승강운반차
US6216826B1 (en) Bank hoist braking apparatus
JPH0213593A (ja) 車椅子乗用踏段付エスカレータ
JP2001180499A (ja) ハンドカート
JPH0725508B2 (ja) エスカレーター装置
JP2504215B2 (ja) エスカレ―タ
JP2717362B2 (ja) 運搬車
JPH0680368A (ja) 車いす兼用エスカレーター
KR0136181Y1 (ko) 계단승강용 운반차의 전륜바퀴 가변장치
JPH019828Y2 (ko)
JPH02225288A (ja) 乗客コンベアの乗降口
JP2606577B2 (ja) エスカレーター
JP3357806B2 (ja) エスカレータ装置
JPS6277279A (ja) 階段走行装置
JPH0122771Y2 (ko)
JPH05518Y2 (ko)
JP2004075302A (ja) 車椅子等簡易階段昇降装置
JPH08113443A (ja) 乗客コンベア装置
JPS63502576A (ja) 輸送システム
JPS6222622B2 (ko)
JPH04350094A (ja) マンコンベアの乗降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