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748B1 -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748B1
KR0167748B1 KR1019960066587A KR19960066587A KR0167748B1 KR 0167748 B1 KR0167748 B1 KR 0167748B1 KR 1019960066587 A KR1019960066587 A KR 1019960066587A KR 19960066587 A KR19960066587 A KR 19960066587A KR 0167748 B1 KR0167748 B1 KR 0167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main body
motor
vehicle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8047A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66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7748B1/ko
Publication of KR19980048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20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 B60S9/21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comprising a rotatably driven auxiliary wheel or endless track, e.g. driven by ground wheel
    • B60S9/21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comprising a rotatably driven auxiliary wheel or endless track, e.g. driven by ground wheel driven by an auxiliary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다수의 롤러에 의해 차량을 좌우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주차를 가능케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킨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회전축(14)에 의해 본체(12)의 장착단(1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 (16)와, 본체(12)의 일단에 부착되는 모터(24)와, 모터(24)의 구동축(26)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28)와, 구동기어(28)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종동축(20)을 통해 종동롤러(18)로 전달하는 종동기어(22)와, 본체(12)를 덮고 있는 커버(1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다수의 롤러에 의해 차량을 좌우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주차를 가능케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킨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 있어서, 산업의 발달 및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자동차의 보급은 날로 증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도로망의 확충이나 주차공간의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차량의 증가속도에 맞게 도로망을 넓히거나 주차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좁은 지역에서도 차를 많이 주차시킬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여러 대의 차량을 수직으로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 타워를 사용하기도 하며, 주차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경승용차의 보급을 늘리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차 타워의 설치나 주차공간의 추가적인 확보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안정성 측면에서 볼 때, 경승용차의 보급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주차장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동일 공간에서도 많은 차량이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모터에 구동기어를 설치한 다음, 모터의 구동력을 종동롤러에 부착된 종동기어로 전달함으로써, 함께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에 의해 차량을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주차할 수 있는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차량이 본 발명의 주차 보조장치에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커버10a:경사부
10b:안착홈12:본체
14:회전축16:롤러
18:종동롤러20:종동축
22:종동기어24:모터
26:구동축28:구동기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축에 의해 본체의 장착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와, 본체의 일단에 부착되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종동축을 통해 종동롤러로 전달하는 종동기어와, 본체를 덮고 있는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롤러에 의해 차량을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좁은 공간에서도 주차할 수 있으므로,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날로 심각해지는 주차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차량이 본 발명의 주차 보조장치에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선으로 나타낸 차량(1)을 좁은 공간에서 주차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본 발명의 주차 보조 장치는 전륜(2') 및 후륜(2)의 하부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때, 바퀴(2), (2')는 커버(10)에 형성된 안착홈(10b)에 안착된다. 또한, 커버(10)의 전면에는 경사부(10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차시에는 커버(10)를 전륜(2') 및 후륜(2)의 간격만큼 이격시켜 배치한 상태에서, 차량을 전진시키면, 전륜(2')과 후륜(2)은 커버(10)의 경사부(10a)를 따라 올라가면서 안착홈(10b)에 안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는 다음의 도 2에서 설명하는 모터를 작동시켜 차량을 좌우 방향(P)으로 이동시키면서 주차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 이해를 돕기 위해 본체(12)를 덮고 있는 커버(10)는 가상선으로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0)의 하부에는 본체(12)가 배치되며, 본체(12)에는 회전축(14)을 중심으로 본체(12)의 장착단(12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의 롤러 (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롤러 (16)중 하나의 롤러 (16)에는 종동기어(22)를 장착하였다. 종동기어(22)는 모터(24)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28)와 맞물려 있다.
본체(12)의 일단을 구성하는 평탄면 상에 배치된 모터(24)를 구동하기 위해서, 별도의 전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연결 케이블을 이용하여 차량에 설치된 밧데리를 이용하여 전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모터(24)에 설치된 구동축(26)의 전방에는 구동기어(28)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구동기어(2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동기어(22)와 항상 맞물려 있다.
종동기어(22)는 종동축(20)을 개재하여 종동롤러(18)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24)의 작동에 의해 구동기어(28)가 회전하게 되면, 구동기어(28)와 맞물려 있던 종동기어(22)가 함께 회전하기 시작하면서, 종동축(20)을 통해 종동롤러(18)를 회전시킨다.
종동롤러(18)가 회전되면서, 지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본체(12)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본체(12)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롤러 (16)들도 함께 회전함으로써, 차량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지닌 주차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주차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차하려는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주차 보조장치가 설치된 커버(10)를 바퀴의 간격만큼 이격시킨 상태에서, 커버(10)의 전면에 형성된 경사부(10a)를 타고 전진하기 시작한다. 바퀴(2), (2')가 커버(10)의 안착홈(10b)에 안착되면, 운전자는 엔진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스위치를 작동시켜 모터(24)에 전기를 공급하면, 구동축(26)이 회전하면서 구동기어(28)도 함께 회전되며, 이때, 구동기어(28)와 맞물려 있던 종동기어(22)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에 따라, 종동축(20)을 통해 종동기어(22)와 연결되어 있는 종동롤러(18)가 회전되면서, 다른 롤러 (16)들도 함께 회전됨으로써, 본체(12)를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주차를 가능케 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에 의하면, 모터의 구동력으로 롤러를 회전시켜 차량을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좁은 공간에서도 주차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날로 심각해지는 주차문제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회전축(14)에 의해 본체(12)의 장착단(1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 (16)와, 상기 본체(12)의 일단에 부착되는 모터(24)와, 상기 모터(24)의 구동축(26)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28)와, 상기 구동기어(28)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종동축(20)을 통해 종동롤러(18)로 전달하는 종동기어(22)와, 상기 본체(12)를 덮고 있는 커버(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에는 차량의 바퀴가 안착되는 안착홈(1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경사부(10a)가 형성되어 있어, 차량의 바퀴가 상기 경사부(10a)를 타고 올라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
KR1019960066587A 1996-12-17 1996-12-17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 KR0167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587A KR0167748B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587A KR0167748B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047A KR19980048047A (ko) 1998-09-15
KR0167748B1 true KR0167748B1 (ko) 1999-03-30

Family

ID=1948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587A KR0167748B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77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047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56831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力伝達装置
FR2754033B1 (fr) Double volant a roulement a billes,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KR0167748B1 (ko) 자동차용 주차 보조장치
FR2749258B1 (fr) Arbre de direction telescop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JP2007106387A (ja) 車両駆動装置
CN2249718Y (zh) 一体式车速、制动控制手把
CN101947916A (zh) 汽车防倒溜结构
KR100314916B1 (ko) 자동차의 이동용 대차
JPS5839525A (ja) 動力取出し装置
KR100224402B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000014036A (ko) 자동차의 무시동 근거리 이동장치
JP5895819B2 (ja) 電動車を用いた発電システム
RU2718476C1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е манев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9980025639U (ko) 안전 주차를 위한 스티어링 휠의 자동 제어장치
CN2152708Y (zh) 汽车照明灯的随向装置
KR100569346B1 (ko) 차량의 스티어링 휠 시스템
KR200145835Y1 (ko) 자동차 도난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잠금장치
KR19980044899U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FR2725414B1 (fr)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entraine en rotation par un pantographe
KR0143800B1 (ko) 시동용 안전스위치가 장착된 수동변속기
KR960014372B1 (ko) 차량 바퀴를 구동원으로 하는 주차 턴테이블의 회전장치
KR200277459Y1 (ko)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KR0129555Y1 (ko) 자동차용 보조조향장치
KR19990060239A (ko) 자동차의 종감속 장치
JP3235028B2 (ja) 自動車駆動輪利用伝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