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555Y1 - 자동차용 보조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555Y1
KR0129555Y1 KR2019950030359U KR19950030359U KR0129555Y1 KR 0129555 Y1 KR0129555 Y1 KR 0129555Y1 KR 2019950030359 U KR2019950030359 U KR 2019950030359U KR 19950030359 U KR19950030359 U KR 19950030359U KR 0129555 Y1 KR0129555 Y1 KR 01295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vehicle
auxiliary wheel
narrow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0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552U (ko
Inventor
김유진
Original Assignee
김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진 filed Critical 김유진
Priority to KR2019950030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555Y1/ko
Publication of KR9700175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5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5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5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20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 B60S9/21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comprising a rotatably driven auxiliary wheel or endless track, e.g. driven by ground wheel
    • B60S9/21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comprising a rotatably driven auxiliary wheel or endless track, e.g. driven by ground wheel driven by an auxiliary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곡이 심하고 도로폭이 좁은 지역(예를 들어, 주택가 골목등지의 T자형 교차로)에서 자동차를 원할히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좁은공간에서 주차를 하고자 할 때 운전자로 하여금 주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후방하단부의 무게중심위치에 자동차의 뒷차체를 들어올려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할 수 있는 별도의 보조바퀴를 형성시켜 제자리에서 자동차를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원할히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운전자가 손쉽게 자동차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이 협소한 주차공간에 자동차를 밀접하게 주차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보조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조향장치
제1도(a)(b)는 본 고안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보조바퀴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을 장착한 자동차의 뒷부분이 들린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을 장착한 자동차가 T자형 교차로에서 회전하는 방법 및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압펌프부 2 : 가압부
2a : 제1실린더 2b : 제2실린더
2c : 제3실린더 3 : 보조바퀴
4 : 바퀴회전축 5 : 조플렉스 커플링
6 : 구동모터 7 : 모터지지대
8 : 장착부 9 : 체결너트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곡이 심하고 도로폭이 좁은 지역(예를 들어, 주택가 골목등지의 T자형 교차로)에서 자동차를 원할히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좁은공간에서 주차를 하고자 할 때 운전자로 하여금 주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보조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운전자들이 주택가 골목등지에서 운전을 할 경우 폭이좁은 T자형 교차로를 만나게 되면,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자동차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진행시키는데 적지않은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런 경우 몇몇 운전에 능숙한 운전자들은 자동차를 다치지 않게 하기 위해 자동차를 앞으로 진행시켰다가 조향핸들을 원하는 각도로 돌리고는 다시 후진을 하고 다시 조향핸들을 풀었다가는 다시 전진하고 다시 조향핸들을 원하는 각도만큼 돌리고는 다시 후진하는 등의 일을 몇번이고 반복하고 나서야 원하는 방향을 자동차를 무사히 회전시켜 진행을 할 수 있었으며, 반면에 운전이 다소 미숙한 운전자가 이런 상황에 닥치게 되는 경우에는 자칫하여 자동차를 골목의 벽면에 부딪히게 되는 경우도 종종 있어 왔으며, 전혀 자동차를 진행시킬 엄두도 못내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또한 주차난이 심가해져 가고 있는 근래에는 더더욱 주차공간이 부족하여 자동차를 밀접하게 주차시켜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렇게 주차하려면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자동차를 몇번이고 전,후진을 반복해야만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운전자들에겐 여간 어려운 점이 아니었다. 또한 그렇게 주차한 후 자동차를 다시빼기에는 더더욱 어려웠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뒷부분에 보조의 바퀴를 형성시켜 이를 통해 자동차의 회전각도를 극대화시킴으로써, 특히 굴곡이 심하고 도로폭이 좁은 지역(예를 들어, 주택가 골목등지의 T자형주로)ㅏ에서 자동차를 원할히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또한 좁은공간에 주차를 하고자 할 때 운전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보조조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도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압으로 작동되는 유압잭의 실린더 하단에 별도의 보조바퀴를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제1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의 유압잭은 유압펌프부(1)와 가압부(2)와 상기 가압부(2)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세개의 실린더(2a,2b,2c)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유압펌프부(1)와 상기 가압부(2)사이에는 각각의 상기 실린더(2a,2b,2c)에 유압을 전달하기 위한 고무호스(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음)가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유압잭은 약 200-300kg/cm2의 사용유압을 가지고 있으며, 각 실린더는 제1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실린더는 제2실린더내부로, 상기 제2실린더는 제1실린더내부로, 상기 제1실린더는 상기 유압펌프부(1)의 가압부(2)내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바퀴(3)는 상기 제1도(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압잭의 제3실린더(2c)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도에는 보이진 않지만 상기 보조바퀴(3)를 구동시키기 위한 보조바퀴 구동부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 제2도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보조바퀴 구동부의 구조를 설명해 보겠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조바퀴(3)는 구동모터(6)의 전기적인 구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모터(6)의 모터회전축과 상기 보조바퀴(3)의 바퀴회전축(4)은 조플렉스 커플링(5)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6)는 모터지지대(7)에 의해 체결너트(9)로 상기 제3실린더의 외벽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바퀴(3)는 상기 구동모터(6)의 회전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6)는 그 회전축이 조플렉스 커플링(5)에 체결된 상태를 언제나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6)는 입력전원의 극성에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모터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자동차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반적인 전륜구동 자동차의 뒷부분 즉, 뒷차체를 떠받칠 수 있는 위치(예; 뒷차축부분의 무게중심위치)에 보조바퀴가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제1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실린더(2a,2b,2c)가 겹쳐졌을 때 보조바퀴(3)가 자동차의 주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까지 올라가도록 설치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동차의 뒷트렁크하단부에 별도의 케이스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고안의 장착은 뒷차체의 무게중심위치에 제1도에서 부호(8)로 표시한 장착부에 적당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본 고안의 보조바퀴(3)가 차체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하면 된다.
또한 상기 유압잭의 유압펌프(1)와 상기 구동모터(6)의 구동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구동스위치는 운전석의 앞부분에 별도로 설치하며, 여기서, 상기 유압펌프(1)의 구동스위치는, 상,하방향 구동스위치로 분리형성시키고, 상기 구동모터(6)의 구동스위치는 좌,우방향 구동스위치로 분리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고안이 장착된 자동차의 기능 및 그 작동과정을 첨부한 도면 제4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본 고안은 제1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전하는 도중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곡이 심하고 폭이 좁은 주택가 골목등지에서 T자형 교차로를 만나게 되어 자동차를 제4도의 (a)형태로 차를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유압펌프(1)의 하방향 구동스위치를 온(ON)시키면 상기 유압펌프(1)가 회전하면서 유압(200~300kg/cm2)을 발생시켜 그 유압을 고무호스를 통해 가압부(2)로 전달시킨다. 그러면, 각각의 실린더(2a,2b,2c)는 제1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의 방향대로 펼쳐지면서 보조바퀴(3)를 지면에 닿게 한다.
계속해서 상기 유압펌프(1)가 작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보조바퀴(3)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의 뒷부분이 차체 및 뒷바퀴를 일정한 높이까지 구동스위치를 온(ON)시키면, 상기 구동모터(6)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바퀴(3)를 B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자동차의 뒷차체는 왼쪽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자동차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위치에서 (b)위치로 손쉽게 회전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다음, 상기 하방향 구동스위치와 좌방향 구동스위치를 오프시킨후 상기 유압펌프(1)의 상방향 구동스위치를 온(ON)시키면, 상기 유압펌프(1)는 종전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압을 낮추게 되어 펼쳐졌던 상기 각각의 실린더(2a,2b,2c)는 제1도(b)형태와 같이 원래의 상태로 접혀지게 된다. 그 결과 앞서 들어 올려졌던 차체는 다시 지면으로 내려오게 되고 보조바퀴(3)는 평상시의 위치까지 끌어올려지게 된다. 그런후 상기 온(ON)상태의 상방향 구동스위치를 오프(OFF)시킨 후 자동차를 전방으로 진행시키면 손쉽게 그러한 좁은 T자형 교차로를 빠져나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T자형 교차로에서 상기와는 반대쪽방향(왼쪽방향)으로 자동차를 진행시키고자 한다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차를 왼쪽방향으로 회전가능위치까지 위치시킨다. 그런다음, 유압펌프(1)의 하방향 구동스위치를 온(ON)시키면 유압잭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수순으로 작동되어 제1도(a)와 같은 형태로 보조바퀴(3)를지면에 닿게 한다. 계속해서 상기 유압펌프(1)가 작동하게 됨에 따라 보조바퀴(3)는 지면을 밀게되고, 따라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의 뒷부분 및 뒷바퀴를 일정한 높이까지 들어올리게 된다(여기까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런다음 상기 구동모터(6)의 좌,우방향 구동스위치중 우방향 구동스위치를 온(ON)시키면, 구동모터(6)는 앞의 경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보조바퀴(3)를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A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자동차의 뒷차체를 오른쪽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자동차는 제4도의 T자형 교차로에서 왼쪽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방향 구동스위치와 우방향 구동스위치를 오프(OFF)시키고 유압펌프(1)의 상방향 구동스위치를 온(ON)시키면, 상기 유압펌프(1)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유압을 낮추게 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도(b)형태로 각각의 실린더(2a,2b,2c)를 접어올리게 된다. 그 결과 차체는 다시 지면으로 내려오게 되고 보조바퀴(3)는 평상시와 마찬가지의 위치까지 끌어올려지게 된다. 그런후 상기 온(ON)상태의 상방향 구동스위치를 오프(OFF)시킨 후 자동차를 전방으로 진행시키면 손쉽게 빠져나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자동차에 장착하여 사용하면 주택가 골목등지의 도로폭이 좁고 굴곡이 심한 T자형 교차로에서 운전자가 손쉽게 자동차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이 협소한 주차공간에 자동차를 밀접하게 주차시켜야 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가 평상시에는 회전하기 어려운 지점에서도 운전석에 앉아서 스위치만 작동시키면 차가 원하는 방향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하므로 차를 손상시킬 염려가 없을 뿐만아니라 주차시에도 좁은 주차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 주차난 해소에도 탁월한 효과를 낼 수 있으며, 또한 운전이 아직 서투른 사람도 상기와 같은 주택가 골목등의 도로폭이 좁은 T자형 교차로에서도 손쉽게 원하는 방향으로 차체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어 운전자로 하여금 운전을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방향전환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후방하단부의 무게중심위치에 별도의 보조바퀴(3)를 유압펌프(1)와 가압부(2)와 다수의 실린더(2a,2b,2c)로 구성된 유압잭하단에 형성시켜 자동차의 뒷차체를 들어올려서 제자리에서 자동차를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원할히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조바퀴(3)는 그 바퀴회전축(4)이 조플렉스 커플링(5)에 의해 구동모터(6)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3)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서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자동차의 뒷차체를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조향장치.
KR2019950030359U 1995-10-26 1995-10-26 자동차용 보조조향장치 KR01295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359U KR0129555Y1 (ko) 1995-10-26 1995-10-26 자동차용 보조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359U KR0129555Y1 (ko) 1995-10-26 1995-10-26 자동차용 보조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552U KR970017552U (ko) 1997-05-23
KR0129555Y1 true KR0129555Y1 (ko) 1998-12-01

Family

ID=1942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0359U KR0129555Y1 (ko) 1995-10-26 1995-10-26 자동차용 보조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5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552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3123B2 (en) Frame mounted vehicle lift system and method of use
US3784160A (en) Vehicle support system
KR0129555Y1 (ko) 자동차용 보조조향장치
CN106740741A (zh) 一种车辆移位装置
US3589462A (en) Motor vehicle parking mechanism
US5738376A (en) Automobile parking aid mechanism
US20080053729A1 (en) Parallel parker
US3460643A (en) Wheel device for laterally moving an automotive vehicle from rest
KR100506014B1 (ko) 차량의 자동 밀림방지장치
KR200185117Y1 (ko) 차량의 경사지 주차용 미끄럼 방지장치
KR200277459Y1 (ko)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CN2846224Y (zh) 自动收放警示牌
GB2293584A (en) Transverse manoeuvring device for vehicles and mobile machines
CN217259986U (zh) 一种汽车救援用止滑装置
KR0151830B1 (ko) 차체 회전용 가로바퀴가 장착된 자동차
KR200292955Y1 (ko)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CN215361285U (zh) 一种机动车辅助侧位停车系统
KR20000018314U (ko) 자동차의 주차 보조장치
CN100999200A (zh) 警示牌自动收放装置
KR200292957Y1 (ko)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KR0153634B1 (ko) 보조 주차 브레이크 장치
CN210882060U (zh) 一种便于车辆侧方位泊车和窄路反向掉头的设备
GB2293358A (en) Apparatus enabling a vehicle to be parked sideways
CN206456348U (zh) 一种车辆移位装置
KR200225403Y1 (ko) 차량의 보조 방향전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