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382B1 - 트레킹오차검출회로 및 트래킹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트레킹오차검출회로 및 트래킹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382B1
KR0167382B1 KR1019940019660A KR19940019660A KR0167382B1 KR 0167382 B1 KR0167382 B1 KR 0167382B1 KR 1019940019660 A KR1019940019660 A KR 1019940019660A KR 19940019660 A KR19940019660 A KR 19940019660A KR 0167382 B1 KR0167382 B1 KR 016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vel
output
circuit
com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9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770A (ko
Inventor
하루오 이사카
토시히코 마루오카
케이 이찌카와
켄이찌 혼죠
마코토 고토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950006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3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by using pilot tracking tones embedded in binary coded signals, e.g. using DSV/CDS values of cod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1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simultaneously the speed of the tape and the speed of the rotating head
    • G11B15/4672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simultaneously the speed of the tape and the speed of the rotating head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 G11B15/4675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 G11B15/467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 G11B15/467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using auxiliary signals, i.e. pilot signals
    • G11B15/4678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using auxiliary signals, i.e. pilot signals superimposed on the main signal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 G11B15/4731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control of headwheel rotation
    • G11B15/473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control of headwheel rotation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e.g. for time base correction
    • G11B15/4735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control of headwheel rotation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e.g. for time base correction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 G11B15/473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control of headwheel rotation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e.g. for time base correction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using auxiliary signals, i.e. pilot signals
    • G11B15/4738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control of headwheel rotation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e.g. for time base correction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using auxiliary signals, i.e. pilot signals superimposed on the main signal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8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 G11B5/58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heads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테이프상에 해당 자기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히 형성되고, 정보신호와 함께 선택적으로 파일럿신호가 다중기록된 트랙으로부터 정보신호를 재생하는 자기재생장치용에 사용되며, 또한 상기 트랙을 주사해서 파일럿신호가 선택적으로 다중되어 있는 정보신호를 재생하여 재생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자기헤드와, 상기 재생신호의 레벨을 소정의 레벨과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재생신호에 포함된 파일럿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회로를 구비한 트래킹오차검출회로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비교결과로서, 상기 재생신호의 레벨이 상기 소정의 레벨이상이면 H(하이)레벨, 상기 재생신호의 레벨이 상기 소정의 레벨미만이면 L(로)레벨이 되는 2치화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래킹오차검출회로 및 트래킹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트래킹오차검출회로를 포함하는 트래킹제어방식의 구성도.
제2도는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부의 신호파형도.
제3도는 회전자기헤드와 각 트랙의 위치관계 및 그때의 비교기입력의 스펙트럼을 표시한 그래프.
제4도는 비교기입력의 파일럿 S/N비와 비교기출력의 파일럿신호성분과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
제5도는 비교기출력의 주파수스펙트럼을 표시한 그래프.
제6도는 비교기입력의 각 파일럿신호의 비와 비교기출력의 파일럿신호성분과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트래킹오차검출회로의 구성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트래킹오차검출회로의 구성도.
제9도는 상기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디지틀 LPF의 구성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트래킹오차검출회로의 구성도.
제11도는 디지틀레벨검출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자기헤드 2a,2b,2c : 트랙
3a : 제1대역통과필터 3b : 제2대역통과필터
4a : 제1진폭검파회로 4b : 제2진폭검파회로
5,202 : 차분회로 12 : 비교기
13 : 대역통과필터 20a : 제1승산기
20b : 제2승산기 21a : 제1저역통과필터
21b : 제2저역통과필터 22a,22b : 2승연산회로
23 : 가산기 24 : 평방근연산회로
25a : 제1참조신호발생기 25b : 제2참조신호발생기
200 : 샘플링회로 201a,201b : 디지틀레벨검출회로
210 : D플립플롭 211 : 디지틀저역통과필터
212 : 래치회로 213 : 주파수분할회로
214 : 클록발생회로 310 : 카운터
311 : 제1래치회로 312 : 제2래치회로
313 : 감산기
본 발명은 파일럿신호를 사용한 자기기록재생장치의 트래킹오차검출회로에 관한 것이다.
헬리컬주사형 자기기록재생장치의 트래킹제어방식의 하나로서, 파일럿신호와 정보신호를 다중기록하고, 재생시에, 재생된 이 파일럿신호를 사용해서 자기테이프의 주행제어 또는 헤드를 트랙폭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헤드와 트랙의 상대위치 관계를 정상으로 유지하는 방식이 공지되어 있다.
이하, 8mm포맷의 VCR(video cassette recorder)등에서 이용되고 있는 종래의 트래킹제어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VCR의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된 트랙에 있어서는, 비데오신호 등의 정보신호외에, f1∼f4 4종류의 트래킹용의 파일럿신호가 매 트랙마다 순차 반복해서 다중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수평동기신호주파수를 fh라고 할 때, 파일럿신호의 각 트랙간의 주파수차는 fh와 3fh가 되도록 선택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f1=6.5fh, f2=7.5fh, f3=10.5fh, f4=9.5fh이다. 이제, 헤드가 파일럿신호 f2가 기록되어 있는 주(主)트랙상을 주사하고 있을 때 트랙폭보다도 큰 헤드로부터의 재생신호에는 양인접트랙으로부터의 파일럿신호 f1=6.5fh, f3=10.5fh가 누화되어 혼합되어 진다. 따라서, 재생신호에 주트랙의 파일럿신호f2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인 참조신호 7.5fh를 승산회로에서 승산하면, 양인접트랙으로부터의 파일럿성분은 각각 fh와 3fh주파수의 비트성분으로 변화되므로, 각각의 진폭레벨을 검출하여 비교함으로써, 좌우인접트랙중 어느 쪽이 보다 많이 혼합되어 있는지, 즉 헤드가 좌우어느쪽으로 편향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실제로, 재생신호에, 참조신호발생회로로부터의 f1∼f4에 상당하는 주파수를 지닌 참조신호를, 승산회로에서 순차 승산한다. 이 승산회로의 출력으로부터, fh의 중심주파수를 지닌 제1대역통과필터와 그의 출력레벨을 검출하는 제1진폭검파회로에 의해서 fh성분을 검출하고, 또 3fh의 중심주파수를 지닌 제2대역통과필터와 그의 출력레벨을 검출하는 제2진폭검파회로에 의해 3fh성분을 검출하여, 차분회로(즉, 감산회로)에 의해서 fh성분과 3fh성분간의 레벨차를 검출한다. 따라서, 차분회로의 출력은 헤드와 주트랙과의 상대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신호, 즉 트래킹오차신호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트래킹오차신호는 1주사마다 극성이 다르므로 헤드절환신호에 의해 극성을 일치시켜, 캡스턴제어회로에 가해진다. 캡스턴제어회로는 캡스턴모터를 구동하여 테이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헤드와 주트랙과의 상대위치관계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사기술은 USP No. 5,126,892, USP No. 5,182,681, USP No. 5,003,413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파일럿신호의 재생레벨은 트래킹오차뿐만 아니라, 헤드의 등가리액턴스, 회전변환기의 전송특성 및 헤드증폭기의 이득을 포함하는 재생감도변동에 의해서도 크게 변화한다. 따라서, 제어성능이 열화하고, 오차검출회로에 헤드의 재생레벨에 따라서 검출이득을 변화시키는 자동이득제어회로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본 발명의 주목적은 트래킹오차검출이득에 관계없이 헤드 등의 재생감도를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회로의 집적화 및 디지틀화가 용이한 간단한 구성의 트래킹오차검출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트래킹오차검출회로는, 자기테이프상에 이 자기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히 형성되고, 정보신호와 함께 선택적으로 파일럿신호가 다중기록된 트랙으로부터 정보신호를 재생하는 자기재생장치에 사용되며, 또한 상기 트랙을 주사해서 파일럿신호가 선택적으로 다중되어 있는 정보신호를 재생하여 재생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자기헤드와, 상기 재생신호의 레벨을 소정의 레벨과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재생신호에 포함된 파일럿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비교기는, 비교결과로서, 상기 재생신호의 레벨이 상기 소정의 레벨이상이면 H(하이)레벨, 상기 재생신호의 레벨이 상기 소정의 레벨미만이면 L(로)레벨이 되는 2치화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의해서, 재생신호를 비교기에 2개의 레벨로 변환한 후, 파일럿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므로, 재생레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트래킹오차검출회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비교기에서 2치화값으로 변환시키고 있으므로, 디지틀화를 위해서 값비싼 AD(애널로그/디지틀)변환기를 이용할 필요가 없고, 또 회로의 집적화가 용이한 트래킹오차검출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트래킹오차검출회로의 각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트래킹오차검출회로를 포함하는 트래킹제어방식의 구성도이다.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파일럿신호와 정보신호를 다중기록하여, 재생시, 재생된 파일럿신호를 이용해서 자기테이프의 주행제어 또는 회전자기헤드를 트랙폭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헤드와 트랙과의 상대위치관계를 정상으로 유지하는 방식이다. 이 예에서는, 1트랙 걸러, f1,f22개의 주파수의 파일럿신호가 교대로 다중되어 있다. 목적으로 하는 주트랙(2a)상을 주사하고 있을 때, 트랙폭보다도 넓은 회전자기헤드(1)의 출력신호에는 양인접트랙(2b),(2c)으로부터의 파일럿신호가 누화되어 혼합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파일럿신호의 누화레벨을 검출하여 비교함으로써, 주트랙(2a)과 회전자기헤드(1)와의 상대위치관계를 알 수 있다.
회전자기헤드(1)의 출력은, 대역통과필터(BPF)(13)를 통해서 파일럿신호이외의 예를 들면 정보신호성분의 대부분을 제거한 후, 비교기(12)에 입력된다. 비교기(12)의 출력은 제1대역통과필터(3a)와 제2대역통과필터(3b)에 입력된다. 제1대역통과필터(3a)와 제1진폭검파회로(4a)는 왼쪽의 인접트랙으로부터의 파일럿신호의 주파수 f1에 동기해서 그의 레벨을 추출하는 레벨검출회로이다. 마찬가지로, 제2대역통과필터(3b)와 제2진폭검파회로(4b)는, 오른쪽의 인접트랙으로부터의 파일럿신호 f2의 레벨을 추출하는 레벨검출회로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차분회로, 즉 감산기(5)의 출력은 회전자기헤드와 주트랙과의 상대위치관계 즉, 트래킹오차신호를 나타낸다. 이 트래킹오차신호는 캡스턴제어회로(6)로 입력되고, 이 캡스턴제어회로(6)는 캡스턴모터(7)를 구동하여, 회전자기헤드가 주트랙의 중앙에 오도록 제어한다. (8)은 자기테이프, (9)는 자기테이프를 감는 릴이다.
제2도는 제1도의 각 부의 신호파형도이다. 비교기(12)의 입력신호(120)는 제2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럿신호 f1,f2이외에, 회전자기헤드로부터 발생된 테이프와의 미끄럼잡음(sliding noise), 헤드증폭기(도시생략)로부터의 증폭기잡음 및 정보신호의 저주파누화성분 등의 잡음을 포함하고 있다. 비교기(12)의 출력신호(121)는 제2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이 양일 때는 H(하이)레벨, 음일때는 L(로)레벨로 된다. 제1대역통과필터(3a)를 통과한 후의 신호(122)는, 제2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기(12)의 출력신호(121)중의 파일럿성분이다. 여기에서, 비교기의 출력은 파일럿성분과 상기 잡음성분에 의해, 파일럿성분의 크기에 따른 밀도변조를 받고 있으므로, 레벨검출회로의 f1,f2의 출력레벨은 비교기입력의 파일럿레벨에 따라서 변화한다.
제3도는 회전자기헤드와 각 트랙과의 위치관계 및 그때의 비교기입력의 스펙트럼을 표시한 것이다. 제3도의(a)에 있어서, 헤드는 왼쪽으로 편향되어 있어, f1성분이 증가하고 f2성분이 감소한다. 제3도(b)에 있어서는, 회전자기헤드가 목적으로 하는 트랙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 각 파일럿레벨은 균형을 이룬다. 제3도(c)에 있어서는, 제3도(a)와는 반대로, 회전자기헤드가 오른쪽으로 편향되어 있어, f1성분이 감소하고 f2성분이 증가한다. 즉, 트래킹오차에 의해 각 파일럿의 S/N(신호 대 잡음)비가 상보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4도는 비교기입력의 파일럿 S/N비와 비교기출력의 파일럿신호성분과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로부터, 비교기출력의 파일럿신호성분의 레벨은, 어느 정도의 잡음이 존재할 때, 비교기입력의 파일럿 S/N비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비교기입력에 어느 정도의 잡음이 존재할 때 비교기에서 입력신호를 H 및 L의 2치로 변환해도 트래킹오차는 검출가능하다. 또한, 이때, 비교기출력은 입력신호레벨과는 무관하므로, 회전자기헤드로부터의 재생레벨이 변화하더라도 검출이득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 비교기로서는, 예를 들면, 입력신호를 충분히 증폭하고 진폭제한하는 리미터회로를 이용해도 된다.
제5도는 비교기출력이 주파수스펙트럼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비교기의 동작은 비선형이므로, 일반적으로 비교기출력에는, 비교기입력의 고조파성분(2f1, 3f1,…2f2, 3f2,…,) 및 크로스변조성분(f2-f1, f1+f2, 2f1+f2,…)이 나타난다.
비교기입력에 잡음이 존재하지 않거나 극소량일 때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기출력의 파일럿성분도 마찬가지로, 두 파일럿신호가 상보적으로 변화하므로 각 파일럿의 입력레벨비에 따라 변화한다. 제6도는 비교기입력의 각 파일럿신호의 비와 비교기출력의 파일럿신호성분과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이 경우에도, 트래킹오차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비교기출력은 각 파일럿신호의 입력레벨비에 의해 결정되므로, 상기와 마찬가지로 입력신호레벨과는 무관하며, 회전자기헤드로부터의 재생레벨이 변화하더라도 검출이득은 변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레벨검출회로의 구성은 이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르 들면, 동기검파형의 검출회로로서도 사용가능하다. 그외에, 비교기출력을 D플립플롭회로 등을 이용해서, 적당한 클록신호로 이산화함으로써, 디지틀회로로 파일럿신호의 레벨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트래킹오차검출회로의 구성도이다.
제1도와 마찬가지로 기능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대역통과필터(13)를 통과한 신호는 비교기(12)에서 H 및 L레벨의 디지틀신호로 변화된 후 샘플링회로(200)에서 이산화된다. (214)는 샘플링클록을 발생하는 클록발생회로이다. 샘플링회로(200)의 출력 f1,f2는, 각각 디지틀레벨검출회로(201a),(201b)로 입력되어 파일럿신호성분을 검파해서, 차분회로(202)에서 그들의 차를 계산함으로써 트래킹오차신호를 얻도록 하고 있다.
샘플링회로(200)의 샘플링클록의 주파수는, 그후의 레벨검출처리를 고려하면, 각 파일럿주파수의 공배수로 선택하는 것이 편리하다. 또, 샘플링회로(200)는, 단지 D플립플롭을 사용해서, 샘플링클록신호에 의해서 비교기출력을 동기화하면 된다.
여기에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기출력에 고조파성분 및 크로스변조성분이 존재하므로, 신호주파수대역은 입력시보다 출력시에 더 넓다.
따라서, 샘플링주파수가 낮으며, 에일리어싱왜곡(aliasing distortion)이 발생하므로, 비교적 높은 샘플링주파수를 선택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그후의 레벨검출회로의 동작주파수가 높아, 하드웨어규모나 전력소비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트래킹오차검출회로의 구성도로서, D플립플롭(21)에 의해서, 높은 주파수의 클록신호 CK1을 이용해서, 비교기출력을 동기화시킨 후, 디지틀저역통과필터(디지틀 LPF)(211)에서 고조파성분, 크로스변조성분 및 양자화잡음의 고역성분을 제거하고, 래치회로(212)에 의해 CK1보다도 낮은 주파수에서 리샘플링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높은 주파수에서 샘플링하므로, 에일리어싱왜곡의 영향이 보다 작아지고, 필터링한 후 리샘플링하므로 양자화잡음의 영향도 작아진다. 더욱이 저주파의 클록신호로 래치함으로써, 그후의 처리가 용이해져, 하드웨어규모의 삭감 및 전력소비의 절약에 극히 효과적이다.
제9도는 디지틀저역통과필터(211)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D플립플롭(D1),(D2),(D3),…(Dn)은 클록신호 CK1에 의해 구동되는 지연소자이고, (a1),(a2),(a3),…(an+1)은 계수승산기이며, (230)은 가산기로서, 유한임펄스응답(FIR)필터를 구성하도록 일체화되어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트래킹오차검출회로의 구성도이며, 비교기(12)의 출력을 샘플링하기 위한 D플립플롭(210)의 출력이 H레벨일 때 카운터(310)는 클로신호 CK1에 의해 카운트업된다. 클록신호 CK1은 주파수분할회로(213)에서 주파수분할비 m(m은 정수)으로 분할되어 클록신호 CK2로 된다. 카운터(310)의 출력은 제1래치회로(311)에서, 제1래치회로(311)의 출력은 제2래치회로(312)에서 각각 클록신호 CK2에 의해 래치된다. 이들 제1래치회로(311) 및 제2래치회로(312)의 출력은 감산기(313)로 입력되어, 양출력간의 차가 산출된다. 즉, 제2래치회로(312)의 출력이 미리 래치된 카운터의 값을 의미하고, 감산기(313)의 출력이 클록신호 CK2의 1주기에 포함된 비교기의 H와 L주기의 기간의 평균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비교기의 출력은 클록신호 CK2의 레이트로 평균화되고 변환됨으로써 LPF를 통과한 것과 마찬가지로 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해서도, 비교기의 출력은 고주파수의 클록신호로 샘플링되므로, 에일리어싱왜곡의 영향은 없다. 또, 낮은 레이트로 평균화ㆍ리샘플링되어 LPF를 통과함으로써, 그후의 처리가 간단해져 전력소비 및 하드웨어규모의 삭감에 크게 효과가 있다.
이하, 제11도를 참조하면서, f1,f2의 디지틀레벨검출회로의 동작원리를 f1레벨의 검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25)는 비교기의 출력을 샘플링하기 위한 클록신호 CK1이 접속된 참조신호발생부이며, 재생파일럿주파수 f1과 동일한 주파수F1의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25a) 및 (25b)는 각각 제1 및 제2참조신호발생기로서, 서로 위상이 90°다른 주파수 F1의 2상신호를 출력한다. 두 클록신호 CK1, CK2가 미리 파일럿주파수의 정수배로 선택되어 있을 경우, 참조신호발생부의 구성은 매우 간단하다. 예를 들면 CK2가 파일럿주파수의 4배로 선택되면, 제1참조신호발생기(25a)의 출력은 0,1,0,-1,…의 단순한 반복으로 되고, 제2참조신호발생기(25b)의 출력은 1,0.-1,0,…의 단순한 반복으로 되어, 클록신호로서 CK1을 사용하는 카운터와 디코더로만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참조신호발생기(25a),(25b)의 출력 D1a, D1b는 다음식으로 표현된다.
(20a)는 제1승산기로서, 입력신호와 제1참조신호발생기(25a)의 출력 D1a를 승산한다. (20b)는 제2승산기로서, 마찬가지로 입력신호와 제2참조신호발생기(25b)의 출력 Dlb를 승산한다. 이제, 입력신호의 파일럿신호 f1, 성분 H1을,
(단 A1:파일럿신호 f1의 진폭, t:시간)라고 하면, 제1승산기(20a)의 출력 M1a는 다음식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제2승산기(20b)의 출력 M1b는 다음식으로 된다.
식중, θ1은 재생파일럿신호 f1과 제1 및 제2참조신호발생기의 출력주파수 F1간의 위상차이다. 여기에서, CK2가 상기와 마찬가지로 F1의 정수배, 예를 들면 4배로 선택되면, 승산될 참조신호는 단지 1,0 및 -1뿐이면 되므로, 제1 및 제2승산기는 매우 간단해진다.
(21a)는 제1저역통과필터이며, 제1승산기(20a)의 출력 M1a의 저주파신호, 즉 저역신호만을 통과시킨다. 마찬가지로, (21b)는 제2저역통과필터로서, 제2승산기(20b)의 출력M1b의 저역신호만을 통과시킨다. 따라서, 제1저역통과필터(21a)의 출력 L1a는, 상기 M1a중 제1항만을 통과시키는 반면, 제2저역통과필터(21b)의 출력 L1b는 상기 M1b중 제1항만을 통과시킨다. 즉,
따라서, 2승연산회로(22a),(22b)에서 다음과 같이 제1 및 제2저역통과필터의 출력을 각각 2승하고, 가산기(23)에서 함께 가산해서 평방근연산회로(24)에서 평방근을 취하면, 디지틀레벨검출회로, 즉 제1파일럿검출부(201a)의 출력 PD1로서 재생파일럿신호f1의 진폭의 1/2의 성분이 얻어진다.
상기 설명은 f1성분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f2의 디지틀레벨검출회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각각 검출한 파일럿레벨은 차분회로(202)에서 감산되어, 회전자기헤드와 주트랙의 상대위치편향에 따라서, 양 또는 음의 트래킹오차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오차검출회로에서는 재생신호를 비교기에 의해 H 및 L레벨의 2치화신호로 변환하고 있으므로, 회전자기헤드의 재생감도에 검출이득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클록신호를 파일럿주파수의 정수배로 선택함으로써,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디지틀화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기이후의 오차검출신호를 디지틀화한 것으로 하였으나, 캡스턴제어회로도 CPU등을 이용해서 디지틀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레벨검출회로의 구성은 본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동기검파형의 검출회로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는, 레벨검출회로는 종래와 같이 코일, 커패시터 등의 대형외부부품 및 조정소자를 필요로 하지 않고, 비교기이후의 오차검출회로는 디지틀회로로 완전히 구성할 수 있으므로, 변동에 강하고 IC화가 용이하다.
또, AD변환기 등의 값비싼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비교기와 D플립플롭만으로 저가로 디지틀화가 가능하다.
파일럿신호의 인가방식은,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정보신호에 가산해서 주파수 다중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디지틀기록의 경우에서는, 정보신호를 변조함으로써, 1과 0의 밀도를 장소에 따라 변화시켜 저역에 파일럿성분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트랙전체에 파일럿신호를 공급할 필요도 없다.
게다가, 파일럿주파수는 8mm포맷과 같이 4종류의 파일럿을 순차 다중화하는 방식 또는 디지틀오디오테이프(DAT)와 같이 1종류의 파일럿신호를 장소를 바꾸어 트랙에 시간축다중화해서, 각 파일럿레벨을 샘플링하는 방식이어도 되며, 파일럿신호의 입력방식 및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DAT와 같이 1종류의 파일럿신호를 사용하는 방식에 적용할 경우, 레벨검출회로는 1개만으로도 충분하다.

Claims (10)

  1. 자기테이프상에 해당 자기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히 형성되고, 정보신호와 함께 선택적으로 파일럿신호가 다중기록된 트랙으로부터 정보신호를 재생하는 자기재생장치에 사용되며; 상기 트랙을 주사해서 파일럿신호가 선택적으로 다중되어 있는 정보신호를 재생하여 재생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자기헤드(1); 상기 재생신호의 레벨을 소정의 레벨과 비교하는 비교기(12);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재생신호에 포함된 파일럿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회로(3a,4a,3b,4b)를 구비한 트래킹오차검출회로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비교결과로서, 상기 재생신호의 레벨이 상기 소정의 레벨이상이면 H(하이)레벨, 상기 재생신호의 레벨이 상기 소정의 레벨미만이면 L(로)레벨이 되는 2치화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오차검출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클록신호를 발생하는 클록발생회로(214); 및 상기 클록신호에 응해서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샘플링하는 샘플링회로(200)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레벨검출회로(201a, 201b)는 상기 샘플링회로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재생신호에 포함된 파일럿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오차검출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신호는, 파일럿신호의 주파수의 정수배인 주파수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오차검출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제1클록신호를 발생하는 클록발생회로(214); 제1클록신호에 응해서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샘플링하는 제1샘플링회로(210); 상기 제1샘플링회로의 출력을 저주파성분을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211); 상기 제1클록신호를 주파수분할해서 제2클록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분할회로(213); 및 상기 제2클록신호에 응해서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출력을 샘플링하는 제2샘플링회로(212)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레벨검출회로(201a, 201b)는 상기 제2샘플링회로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재생신호에 포함된 파일럿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오차검출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록신호는, 파일럿신호의 주파수의 정수배인 주파수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오차검출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제1클록신호를 발생하는 클록발생회로(214); 상기 제1클록신호에 응해서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샘플링하는 샘플링회로(210); 상기 샘플링회로의 출력이 H(하이)레벨인 기간동안 상기 제1클록신호의 클록을 업카운트 또는 다운카운트하는 카운트(310); 상기 제1클록신호를 주파수분할해서 제2클록신호를 얻는 주파수분할회로(213); 상기 제2클록신호를 응해서 상기 카운터의 출력을 래치하는 제1래치회로(311); 상기 제2클록신호에 응해서 상기 제1래치회로의 출력을 래치하는 제2래치회로(312); 및 상기 제1래치회로의 출력과 상기 제2래치회로의 출력간의 차를 생성하는 감산기(313)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레벨검출회로(201a, 201b)는 상기 감산기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재생신호에 포함된 파일럿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오차검출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록신호는, 파일럿신호의 주파수의 정수배인 주파수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오차검출회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검출회로(201a, 201b)는, 상기 제1클록신호로부터, 서로 위상이 90°다른 제1 및 제2참조신호를 발생하는 제1 및 제2참조신호발생회로(25a, 25b); 상기 감산기의 출력에, 각각 제1 및 제2참조신호를 승산하는 제1 및 제2승산회로(20a, 20b); 상기 제1 및 제2승산회로의 출력으로부터 각각 저주파성분만을 추출하는 제1 및 제2저역통과필터(21a, 21b); 상기 제1 및 제2저역통과필터의 출력을 각각 2승하는 제1 및 제2의 2승회로(22a, 22b); 상기 제1의 2승회로의 출력과 제2의 2승회로의 출력을 함께 가산하는 가신기(23); 및 상기 가산기의 출력의 평방근을 산출하는 평방근연산회로(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오차검출회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재생신호에 포함된 파일럿신호의 레벨에 따라 펄스폭이 변화하는 2치화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오차검출회로.
  10. 자기테이프상에 해당 자기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히 형성되고, 정보신호와 함께 선택적으로 파일럿신호가 다중기록된 트랙으로부터 정보신호를 재생하는 자기재생장치에 사용되며; 상기 트랙을 주사해서 파일럿신호가 선택적으로 다중되어 있는 정보신호를 재생하여 재생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자기헤드(1); 상기 재생신호의 레벨을 소정의 레벨과 비교하는 비교기(12); 상기 비교기에 의한 2치화신호출력으로부터 재생신호에 포함된 파일럿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회로(3a,4a,3b,4b); 상기 레벨검출회로의 출력으로부터 트래킹오차를 검출하는 트래킹오차검출회로(5); 상기 트레킹오차신호에 응해서, 상기 자기헤드에 의해 상기 트랙이 주사될 때 상기 자기헤드와 상기 트랙간의 소정의 상대적 위치를 유지하는 제어수단(6)을 구비한 트래킹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비교결과로서, 상기 재생신호의 레벨이 상기 소정의 레벨이상이면 H(하이)레벨, 상기 재생신호의 레벨이 상기 소정의 레벨미만이면 L(로)레벨이 되는 2치화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장치.
KR1019940019660A 1993-08-11 1994-08-10 트레킹오차검출회로 및 트래킹제어장치 KR0167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99341 1993-08-11
JP19934193 1993-08-11
JP20934893 1993-08-24
JP93-209348 1993-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770A KR950006770A (ko) 1995-03-21
KR0167382B1 true KR0167382B1 (ko) 1999-03-20

Family

ID=2651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9660A KR0167382B1 (ko) 1993-08-11 1994-08-10 트레킹오차검출회로 및 트래킹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94602A (ko)
EP (1) EP0638897B1 (ko)
KR (1) KR0167382B1 (ko)
DE (1) DE6942355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1720A (ja) * 1994-11-30 1996-06-21 Canon Inc 再生装置
DE19609736A1 (de) * 1996-03-13 1997-09-18 Thomson Brandt Gmbh Detektionsschaltung für Pilottöne zur Spurfolgeregelung bei Magnetbandaufzeichnungen
KR100233669B1 (ko) * 1996-11-01 2000-01-15 윤종용 트랙 쉬프트량 보상을 위한 서보버스트 기록방법및 서보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7328A (en) * 1980-02-19 1981-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JPS57117163A (en) * 1981-01-08 1982-07-21 Victor Co Of Japan Ltd Field pulse generating circuit
JPS62164314A (ja) * 1986-01-14 1987-07-21 Nippon Gakki Seizo Kk アナログ・デイジタル変換器
US5182681A (en) * 1986-12-27 1993-01-26 Yamaha Corporation Rotating hea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having automatic tracking control function
JPH0619883B2 (ja) * 1987-11-20 1994-03-16 三洋電機株式会社 回転ヘッド式テープレコーダの再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94602A (en) 1997-01-14
DE69423553T2 (de) 2000-07-27
EP0638897B1 (en) 2000-03-22
DE69423553D1 (de) 2000-04-27
EP0638897A2 (en) 1995-02-15
KR950006770A (ko) 1995-03-21
EP0638897A3 (en) 199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502393A (ja) 同期波形サンプリング用タイミング回復回路
US4906941A (en) Digital phase locked loop circuit
JPH0551982B2 (ko)
KR0167382B1 (ko) 트레킹오차검출회로 및 트래킹제어장치
US5359473A (en) Tracking device
US6141170A (en) Signal processing with frequency component detection in two modes
JPH0748723B2 (ja) デ−タクロツク発生回路
KR0152321B1 (ko) 자기기록재생장치 및 이 장치용의 트래킹오차검출기
EP1098312B1 (en) Waveform equalizer
US4148078A (en) Noise reduction apparatus
JPH07114759A (ja) トラッキング誤差検出回路
US6774835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bits in a data signal
KR100215460B1 (ko) 트래킹에러신호 발생장치 및 그 방법
JP2658575B2 (ja) トラッキング装置
KR0124610B1 (ko)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신호복원장치
JP299126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675018B2 (ja) デジタル信号の磁気記録方法
SU1644212A1 (ru) Способ записи-воспроизведени аналоговых сигналов на движущийс носитель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EP0677841B1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0136472Y1 (ko) 저속재생시 캡스턴 모터 속도제어회로
JP2871121B2 (ja) トラッキング誤差検出装置
SU1190404A1 (ru)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 магнитной записи
KR0165276B1 (ko) 데이타재생장치
JP2581273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8124250A (ja) トラッキング誤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