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239B1 - Cdp의 음악감상 모드제어방법 - Google Patents

Cdp의 음악감상 모드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239B1
KR0166239B1 KR1019950037994A KR19950037994A KR0166239B1 KR 0166239 B1 KR0166239 B1 KR 0166239B1 KR 1019950037994 A KR1019950037994 A KR 1019950037994A KR 19950037994 A KR19950037994 A KR 19950037994A KR 0166239 B1 KR0166239 B1 KR 0166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tempo
data
fast
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7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168A (ko
Inventor
오방렬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37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6239B1/ko
Publication of KR970023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P의 음악감상 모드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CDP장치에 음악감상모드가 설정될 경우 선곡데이터의 단위시간당 재생되는 정보비트수를 비교하여 템포가 빠른음악인지 늦은음악인지를 판단하는 음악템포 판단단계와, 상기 음악템포 판단단계와, 상기 음악템포 판단단계중에 판단한 결과 빠른템포의 선곡데이터일 경우 그 빠른템포의 선곡데이터들만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빠른템포 음악곡번저장단계와, 상기 음악템포 판단단계중에 판단한 결과 늦은템포의 선곡데이터일 경우 그 늦은템포의 선곡데이터들만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늦은템포 음악곡번 저장단계와, 상기 저장단계후에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실행키신호가 설정될 경우 기저장되어 있는 해당 템포의 선곡데이터들만을 연속적으로 재생시키는 사용자기호 재생단계를 구비하여, 음악감상모드중에 멜로디의 템포가 빠른음악과 늦은음악을 선별저장시키고 그 선별저장된 선곡데이터만을 예약재생시키도록 하므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선곡데이터만를 즉시 재생시키도록 되므로 이에따라 사용의 편리성이 증가되도록 됨은 물론 별도의 조작없이 선곡데이터를 연속해서 청취할 수 있으므로 이에따라 시스템의 기능성도 향상되도록 한다.

Description

CDP의 음악감상 모드제어방법
제1도는 선곡기능이 구비된 CDP를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며,
제3도는 (a), (b)는 일반적인 씨디에 포함된 서브코드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제4도는 (a)~(d)는 제3도에 도시된 서브코드에 포함된 서브채널의 모드에 관한 데이터포켓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의 플로의 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씨디 2 : 광픽업
3 : 파형정형부 4 : 데이터신호처리부
5 : 티오시저장램 6 : 마이컴
7 : 씨디롬디코더 8 : 영상/음성 디코더
9 : 영상신호처리부 10 : 스피커
11 : 음성신호처리부 12 : 스핀들모터
13 : 서보제어부 14 : 키보드
15 :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CDP의 음악감상 모드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악감상모드중에 멜로디의 템포가 빠른음악과 늦은음악을 선별저장시키고 그 선별저장된 선곡데이터만을 예약재생시키도록 하므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선곡데이터만을 즉시 재생시키도록 되므로 이에따라 사용의 편리성이 증가되도록 됨은 물론 별도의 조작없이 선곡데이터를 연속해서 청취할 수 있으므로 이에따라 시스템의 기능성도 향상되도록 된 CDP의 음악감상 모드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는 대용량의 정보기록매체로서 주목되는 예컨데, 컴팩트디스크의 기록방식을 구분해보면, 해당 컴팩트디스크의 내측으로부터 리드인 영역(Lead-inarea)과 프로그램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Lead-outarea)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그러한 영역중 리드인 영역에는 해당 컴팩트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의 어드레스(디스크상의 위치)와 각 정보 재생시간 및 절대재생시간이 기록되어 소위 TOC(Table Of Contents)로 칭해진다. 또한, 프로그램영역에는 예컨데, 해당 컴팩트디스크에 음악 정보가 실린 경우에는 최소한 1 이상의 음악정보가 기록되게되며 리드아웃영역에는 프로그램의 종료를 표시하는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는 선곡기능이 구비된 디스크재생 시스템을 제1도를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씨디(70)내에 수록된 곡목데이터 신호를 검출해내는 광픽업(71)과, 이 광픽업(71)에 의해 검출된 곡목데이터 신호를 파형정형하는 파형 정형부(72)와, 이 파형 정형부(72)에 의해 파형 정형된 곡목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73)와, 이 디지털 신호처리부(73)로부터 입력된 곡목데이터신호를 제어하고 예컨데, 이 선곡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미리 등록된 식별데이터와 동일한 경우 그 등록된 곡번을 재생시키고 시스템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74)과 이 마이컴(74)의 선곡제어신호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의 곡목데이터신호를 섹터(Sector)단위로 에러체크비트. 어드레스비트 및 자료데이터등으로 분리하는 씨디롬디코더(75)와, 이 씨디롬 디코더(75)의 자료데이터를 영상신호 데이터와 음성신호 데이터로 분리하는 영상/음성 디코더(76, Videl/audio Decoder)와 영상/음성 디코더(76)에 의해 분리된 영상신호 데이터를 영상신호처리부(77)와, 상기 영상/음성 디코더(76)에 의해 분리된 선곡신호 데이터를 저주파 증폭하여 스피커(78)를 통해 외부로 출력시키는 음성 신호처리부(79) 및, 상기 마이컴(74)의 서보제어신호에 의해 스핀들 모터(80)의 구동동작을 제어하는 서보제어부(81)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74)에는 사용자의 선곡기능설정신호를 입력하는 키보드(82)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선곡기능이 구비된 디스크 재생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곡목데이터가 수록된 씨디(70)가 트레이에 장착되고 키보드(82)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노래가 등록된 선곡코드 신호를 설정해주게 되면 마이컴(74)이 이를 인식하여 서보제어부(81)를 통해 스핀들모터(80)를 구동하게 된다. 그러면 씨디(70)도 회전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광픽업(71)이 씨디(70)의 티오시(TOC)내에 수록된 곡목데이터 신호를 검출하여 파형정형부(72)로 입력시킨다. 그리고 이 파형정형부(72)에서 상기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검출데이터 신호를 파형 정형한 다음 디지털 신호처리부(73)로 입력시키게 되고 이 디지털 신호처리부(73)에서 그 입력된 곡목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예컨데, 프로그램영역에 기록된 서브코드에서 디코딩한 곡목데이터신호를 신호처리한 다음 마이컴(74)로 입력시킨다. 그러면 이 마이컴(74)은 그 입력된 곡목데이터을 디코딩하여 선곡설정신호에 따른 음악제어 정보를 씨디롬디코더(75)로 입력시킨다.
그리고, 이 씨디롬 디코더(75)에서는 상기 마이컴(74)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 선곡데이터 신호의 트랙내에서 제어정보를 해독하고 예컨대, 섹터 단위로 에러체크비트, 어드레스비트 및 자료데이터 등을 분리한 다음 영상/음성 디코더(76)로 입력시킨다. 또한 이 영상/음성 디코더(76)에서는 영상과 음악정보가 실린 그 자료데이터를 음성신호 데이터와 영상신호 데이터를 분리하여 영상신호처리부(77)와 음성 신호처리부(79)로 각각 전송한다.
그리고 음성 신호처리부(79)는 그 입력된 선곡음성 신호데이터를 저주파 증폭시킨 다음 스피커(78)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게 되고 그와 동시에 영상신호데이터 또한 영상신호 처리부(77)에 의해 영상신호 처리된 다음 상기 선곡음성신호와 동기되어 디스플레이(83)를 통해 화상신호로 표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선곡기능이 구비된 디스크재생시스템은 재생기능이 설정되면 트레이에 삽입된 광디스크(70)의 선곡정보를 별도 조작이 없는한 모두 재생시키게 되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적응하지 못하였으며, 또한 동일한 부류의 음악 예컨데, 빠른음악이나 늦은음악과 같은 선곡데이터들을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못하므로 이에따라 시스템의 기능성도 상당히 저하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악감상 모드중에 멜로디의 템포가 빠른음악과 늦은음악을 선별저장시키고 그 선별저장된 선곡데이터만을 예약재생시키도록 하므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선곡데이터만을 즉시 재생시키도록 되므로 이에따라 사용의 편리성이 증가되도록 됨은 물론 별도의 조작없이 선곡데이터를 연속해서 청취할 수 있으므로 이에따라 시스템의 기능성도 향상되도록 된 CDP의 음악감상모드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CDP장치에 음악감상모드가 설정될 경우 선곡데이터의 단위시간당 재생되는 정보비트수를 비교하여 템포가 빠른음악인지 늦은음악인지를 판단하는 음악템포 판단단계와, 상기 음악템포 판단단계와, 상기 음악템포 판단단계중에 판단한 결과 빠른템포의 선곡데이터일 경우 그 빠른템포의 선곡데이터들만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빠른템포 음악곡번저장단계와, 상기 음악템포 판단단계중에 판단한 결과 늦은템포의 선곡데이터일 경우 그 늦은템포의 선곡데이터들만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늦은템포 음악곡번 저장단계와, 상기 저장단계후에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실행키신호가 설정될 경우 기저장되어 있는 해당 템포의 선곡데이터들만을 연속적으로 재생시키는 사용자기호 재생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디(1)내에 수록된 곡목데이터신호를 검출해내는 광픽업(2)과, 이 광픽업(2)에 의해 검출된 곡목데이터신호를 파형정형하는 파형정형부(3)와, 이 파형정형부(72)에 의해 파형정형된 곡목데이터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는 예컨대, 입력되는 곡목데이터신호를 EFM복조하는 데이터신호처리부(4)와, 이 데이터신호처리부(4)로부터 입력된 곡목데이터신호의 단위시간당 재생되는 정보의 비트수를 기설정된 비트수와 비교판단하여 그 음악템포별로 저장시키고 예컨대, 디스크(1)의 티오시내에 수록된 곡목에 대한 정보비트수를 비교판단하여 템포별로 음악을 분류 티오시(TOC) 저장램(5)에 저장시키고, 트랙서치(Track Search)나 곡(Chapter) 구분을 위해 곡목을 세분 편집시키며, 시스템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6)과, 이 마이컴(6)의 선곡제어신호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의 곡목데이터신호를 섹터(Sector) 단위로 에러체크비트, 어드레스비트 및 자료데이터등으로 분리하는 씨디롬 디코더(7)와, 이 씨디롬 디코더(7)의 자료데이터를 영상신호 데이터와 음성신호 데이터로 분리하는 영상/음성 디코더(8, Video/Audio Decoder)와, 이 영상/음성 디코더(8)에 의해 분리된 영상신호 데이터를 영상신호처리부(9)와, 상기 영상/음성 디코더(9)에 의해 분리된 선곡신호 데이터를 저주파 증폭하여 스피커(10)를 통해 외부로 출력시키는 음성 신호처리부(11) 및, 상기 마이컴(6)의 서보제어신호에 의해 스핀들 모터(12)의 구동동작을 제어하는 서보제어부(1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6)에는 사용자의 선곡기능 설정신호를 입력하는 키보드(14)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씨디(1, 이하 컴팩트디스크라고도함)는 제3도(a)(b)에 도시된 바와같이, 해당 컴팩트디스크(1)의 전체적인 디스크 정보가 수록된 리드인 영역(L1)과, 실제의 정보가 수록되는 프로그램영역(PA), 해당 컴팩트디스크(1)에 수록된 정보의 독취완료를 나타내기 위한 리드아웃 영역(L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영역(PA)에는 서브코드를 포함하는 예컨대, 음악데이터와 같은 정보가 프레임단위로 기록되는데, 그 서브코드의 데이터 형태는 제3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선두를 표시하는 동기신호(정확하게는 프레임동기신호)를 포함하여 제어정보 및 각 서비스정보가 포함된 서브코드(즉 제어신호), 음악정보 및 에러정정코드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브코드는 디스크에 대한 사용상의 용이함을 제공하기 위해 정의되게 되는데, 통상 P, Q, R, S, T, U, V, W의 채널을 구비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해당 디스크가 음악정보를 수록한 컴팩트디스크인 경우에는 P채널과 Q채널을 주로 이용하게 되는 한편, 해당 디스크에 정지화면을 포함한 컴팩트디스크그래픽스(CD Graphics; CDG)인 경우에는 R-채널-W채널을 이용하여 그 정지화면을 기록하게 된다.
대체로, 음악정보가 수록된 컴팩트디스크에서는 1프레임 당 하나의 서브코드가 지정되고, 그 서브코드 프레임은 제3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2비트의 동기신호와, 4비트의 제어신호, 4비트의 어드레스신호, 72비트의 데이터신호, 16비트의 에러정정신호를 포함하여 98비트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는 해당 디스크에 기록된 음악정보의 기록모드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로서, 녹음시에 고역증강처리(Pre-emphasis)의 실행여부 및 음악정보의 신호가 2채널 또는 4채널인지 여부의 식별을 위한 신호이고, 또 P채널의 신호는 음악정보의 유무 즉, 곡과 곡사이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그 P신호가 ON 또는 OFF됨에 따라 프로그램의 개시 및 종료가 인지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신호는 채널 및 어드레스에 의해 다르게 되기는 하지만, 예컨대 Q채널을 고려하면 음악정보의 곡번호, 인덱스번호, 각 곡목의 재생시간,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누계시간이 기록된다. 특히, Q채널의 신호는 제2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신호(S0, S1)와 트랙에 기록된 정보의 종류를 정의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4비트의 어드레스(ADR), 72비트의 데이터(DATA-Q), 오류검증을 위한 데이터(CR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한 Q채널의 데이터포맷에서 상기 데이터(DATA-Q)에 대해서는 모드-1 내지 모드-3의 3종의 모드가 정의되고, 그러한 3종의 모드에 대해서는 상기 어드레스(ADR)가 해당 모드에 대해 변경설정된다. 각 모드에 대한 데이터포맷에 따르면 제4도(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드레스영역(ADR)에 각 모드를 나타내는 어드레스가 기록되고, 각 모드에 대한 포맷은 각 컴팩트디스크의 리디인 영역(L1)에도 해당 컴팩트디스크에 대한 디스크정보로서 기록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은 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곡목데이터가 수록된 씨디(1)가 트레이에 장착되고 키보드(14)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노래가 등록된 선곡코드 신호를 설정해주게 되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이컴(6)이 이를 인식하여 초기단계(S1)에서 선곡 정보 재생단계(S2)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면, 이 선곡정보 재생단계(S2)에서 마이컴(6)이 제3도(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씨디(1)의 티오시(TOC)내에 수록된 정보를 읽어들여 선곡재생동작을 실행시킨다.
즉, 마이컴(6)이 서보제어부(13)를 통해 스핀들모터(12)를 구동시키게 되고 그에따라 씨디(1)도 회전하게 된다. 또한 그와 동시에 광픽업(2)이 씨디(1)의 티오시(TOC)내에 수록된 제3도(a)(b)에 도시된 바와같은 곡목데이터 신호를 검출하여 파형정형부(3)로 입력시킨다. 그리고 이 파형정형부(3)에서 상기 입력된 검출데이터 신호를 파형 정형한 다음 데이터 신호처리부(4)로 입력시키게 되고 이 데이터 신호 처리부(4)에서 그 입력된 곡목데이터 신호를 정보신호 처리하여 예컨데, 프로그램영역에 기록된 서브코드에서 디코딩한 곡목데이터신호를 신호처리한 다음 마이컴(6)로 입력시킨다. 그러면 이 마이컴(6)은 그 입력된 곡목데이터를 티오시(TOC)저장램(5)에 모두 저장시킨 다음 디코딩하여 선곡설정신호에 따른 음악제어정보를 씨디롬 디코더(7)로 입력시킨다.
그리고, 이 씨디롬 디코더(7)에서는 상기 마이컴(6)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 선곡데이터 신호의 트랙내에서 제어정보를 해독하고 그리고 예컨대, 섹터 단위로 에러체크비트, 어드레스비트 및 자료데이터 등을 분리한 다음 영상/음성 디코더(8)로 입력시킨다. 또한 이 영상/음성 디코더(8)에서는 영상과 음악정보가 실린 그 자료데이터를 음성신호 데이터와 영상신호 데이터를 분리하여 영상신호처리부(9)와 음성 신호처리부(11)로 각각 전송한다.
그리고, 음성 신호처리부(11)는 입력된 선곡음성 신호데이터를 저주파 증폭시킨 다음 스피커(1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되게 되고 그와 동시에 영상신호데이터 또한 영상신호 처리부(9)에 의해 영상신호 처리된 다음 상기 선곡음성신호와 동기되어 디스플레이(15)를 통해 화상신호로 표시된다.
한편, 상기 선곡정보재생단계(S2)후에 음악감상모드 설정판단단계(S3)로 진행하여 현재 사용자로부터 음악감상모드를 설정하는 키이신호가 입력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게 되고 그 판단결과 음악감상모드키이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는 전단계(S2)로 복귀하여 루프를 반복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단계(S3)중에 판단한 결과 현재 음악감상모드키이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는 빠른음악판단단계(S4)로 진행하여 현재 씨디(1)내에 장착되어 있는 선곡데이터들을 모두 일부 재생시키고 그 재생되는 선곡데이터가 비교적 빠른음악인지를 비교판단하게 된다. 즉, 선곡데이터의 단위시간당 재생되는 정보의 비트수가 기설정된 비트수보다 높을경우는 비교적 빠른템포의 음악으로 판단하게 되는데, 이때 현재재생되는 선곡데이터가 빠른템포의 음악일 경우는 빠른템포 음악선곡 저장단계(S5)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 빠른템포 음악선곡 저장단계(S5)에서는 현재 선택되는 빠른템포의 선곡데이터의 곡번들만을 모두 티오시저장램(5)에 연속적으로 저장시킨다. 그러나 상기 빠른음악판단단계(S4)중에 판단한 결과 현재 재생되는 선곡데이터가 빠른템포의 음악이 아닐 경우는 늦은템포 음악선곡저장단계(S6)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면, 이 늦은템포 음악선곡저장단계(S6)에서는 현재 선택되는 늦은템포의 선곡데이터의 곡번들만을 모두 티오시저장램(5)에 연속적으로 저장시킨다.
그리고, 상기 단계(S5, S6)후에 실행키 입력판단단계(S7)로 진행하여 현재 늦은템포의 음악을 재생하는 키입력이나 또는 빠른템포의 음악을 재생하는 키입력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게 되고 그 판단결과 음악을 재생하는 키입력이 없다면 기능을 종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단계(S7)중에 판단한 결과 실행키입력신호가 설정되었다면 즉, 빠른템포 혹은 늦은템포의 음악을 재생하는 키입력이 설정되었다면 선택곡목재생단계(S8)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면 이 선택곡목재생단계(S8)에서는 그 설정된 해당키입력 예컨데, 빠른템포의 음악을 재생하는 키입력신호가 설정되었다면 티오시저장램(5)에 기 저장되어 있던 빠른템포의 음악들을 저장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재생하게 한다. 그런데, 만약 늦은템포의 음악을 재생하는 키입력이 설정되었다면 티오시저장램(5)에 기 저장되어 있던 늦은템포의 음악들을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재생시킨다. 따라서, 상기와같은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조작없이도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선곡데이터별로 재생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음악감상모드 중에 멜로디의 템포가 빠른음악과 늦은음악을 선별저장시키고 그 선별저장된 선곡데이터만을 예약재생시키도록 하므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선곡데이터만을 즉시 재생시키도록 되므로 이에따라 사용의 편리성이 증가되도록 됨은 물론 별도의 조작없이 선곡데이터를 연속해서 청취할 수 있으므로 이에따라 시스템의 기능성도 향상되도록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데이터 신호처리부(4)로부터 입력된 곡목데이터신호를 티오시저장램(5)에 저장시키는 마이컴(6)이 구비된 CDP에 있어서, 상기 CDP장치에 음악감상모드가 설정될 경우 선곡데이터의 단위시간당 재생되는 정보비트수를 비교하여 템포가 빠른음악인지 늦은음악인지를 판단하는 음악템포 판단단계와, 상기 음악템포 판단단계중에 판단한 결과 빠른템포의 선곡데이터일 경우 그 빠른템포의 선곡데이터들만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빠른템포 음악곡번저장단계와, 상기 음악템포 판단단계중에 판단한 결과 늦은템포의 선곡데이터일 경우 그 늦은템포의 선곡데이터들만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늦은템포 음악곡번 저장단계와, 상기 저장단계후에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실행키신호가 설정될 경우 기저장되어 있는 해당 템포의 선곡데이터들만을 연속적으로 재생시키는 사용자기호 재생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P의 음악감상모드제어방법.
KR1019950037994A 1995-10-30 1995-10-30 Cdp의 음악감상 모드제어방법 KR0166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994A KR0166239B1 (ko) 1995-10-30 1995-10-30 Cdp의 음악감상 모드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994A KR0166239B1 (ko) 1995-10-30 1995-10-30 Cdp의 음악감상 모드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168A KR970023168A (ko) 1997-05-30
KR0166239B1 true KR0166239B1 (ko) 1999-03-20

Family

ID=1943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994A KR0166239B1 (ko) 1995-10-30 1995-10-30 Cdp의 음악감상 모드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62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168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67493A (ja) 情報再生装置
US5311492A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recording star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to a recording start position
JP3838605B2 (ja) テキスト表示方法及びテキスト表示装置
US5294745A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information therefrom
KR0166239B1 (ko) Cdp의 음악감상 모드제어방법
KR0143279B1 (ko) 광디스크의 선곡정보 편집방법
JP2657969B2 (ja) イントロ・スキャン方法
JPH08227577A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装置
KR0183587B1 (ko) 오디오재생기능이 구비된 대화형 브이씨디의 메뉴재생방법
JPH0828043B2 (ja) オーディオ機器の再生方法
KR0183583B1 (ko) 비디오 컴팩트 디스크장치의 실행속도 개선방법
JP3545043B2 (ja) 音響再生装置
KR0121194B1 (ko) Cd/cdg 디스크의 판별방법
KR950004267Y1 (ko) 곡명표시가능한 광디스크 재생장치
KR0183584B1 (ko) 대화형 디스크의 컴팩트디스크디지탈 오디오트랙인식방법.
JP2624874B2 (ja) 記録媒体演奏装置
JP3894560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再生方法
JP2541441B2 (ja) Cd−rom再生装置
JPH09167477A (ja) 音声再生装置
JPH10124978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927161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3869646B2 (ja) オーディオ信号記録装置
KR19980058045A (ko)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곡정보기억기능제어방법
KR0178610B1 (ko) 디스크 플레이어에서의 디스크 종류 인식방법
JP2621433B2 (ja) テープレコーダの検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