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975B1 - 윈도우와 도어의 상태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정화기 자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윈도우와 도어의 상태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정화기 자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975B1
KR0165975B1 KR1019960033639A KR19960033639A KR0165975B1 KR 0165975 B1 KR0165975 B1 KR 0165975B1 KR 1019960033639 A KR1019960033639 A KR 1019960033639A KR 19960033639 A KR19960033639 A KR 19960033639A KR 0165975 B1 KR0165975 B1 KR 0165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nsor
air
air purifi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605A (ko
Inventor
김정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배길훈
대우기전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배길훈, 대우기전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33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5975B1/ko
Publication of KR1998001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64Ventilators and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16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with provisions for replacing the filter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워 모터 일측에 설치된 센서2와 자동차 실내등에 설치된 센서3에 의해 자동차 실내 공기를 감지하여 감지된 실내 공기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치의 농도 보다 탁할 시에 자동으로 공기 정화기를 작동시켜 자동차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자동차 도어 또는 윈도우 오픈시에 자동으로 공기 정화기의 작동을 중단하기 위한 윈도우와 도어의 상태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정화기 자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기 정화기에 설치된 센서1(20)이 자동차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해 공기 정화기를 제대로 작동시키지 못하여 실내 공기를 완벽하게 정화하지 못하는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차용 HVAC의 블로워 모터(20) 일측에 설치된 센서2(22)와 자동차 실내등에 설치된 센서3(24)에 의해 자동차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감지하여 정화하고, 도어 열림 감지센서와 윈도우 열림 감지센서가 도어 또는 윈도우의 오픈 상태를 감지하여 입력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공기 정화기의 작동을 중단하여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윈도우와 도어의 상태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정화기 자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 법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기 정화기 자동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HVAC(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에 설치된 센서2와 자동차 실내등에 설치된 센서3에 의해 자동차 실내 공기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감지된 실내 공기가 규정치 보다 탁할 시에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공기 정화기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실내 공기를 청결하게 정화하고, 자동차 도어 또는 윈도우 오픈시에 자동으로 공기 정화기의 작동을 중단하여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윈도우와 도어의 상태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정화기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기 정화기에서 자동차 실내 공기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공기 정화기에 설치된 센서1(20)의 저항 값을 이용하여 자동차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고, 기어드모터의 회전에 의해 바이-패스 도어(74)의 열림 각도를 조절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거나, 또는 HVAC에 설치된 블로워(Blower)모터(50)의 회전속도를 받아들여 공기 정화기의 동작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공기 정화기에 설치된 센서1(20)이 자동차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해 공기 정화기를 제대로 작동시키지 못하여 실내 공기를 완벽하게 정화하지 못하는 결점이 발생되고, HVAC내의 블로워 모터(20) 회전 속도가 빠르면 자동차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량의 증가로 인하여 차량 실내에 오염된 공기나 먼지가 증가하게 되는데, 센서1(20)이 뒷좌석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 정화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여 공기 정화기가 자동차 실내 공기를 완벽하게 정화시켜 주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운전자 또는 승차자가 오염된 공기나 먼지를 흡입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장시간 동안에 걸쳐 주행 시에 실내 환경이 쾌적하지 않아 감기에 걸릴 수 있는 등의 결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또한 공기 정화기 작동중에 도어 열림 감지센서와 윈도우 열림 감지센서에 감지신호가 감지되어 도어 또는 윈도우가 오픈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공기 정화기의 작동을 중단하지 못하여 불필요한 상황에서도 공기 정화기가 계속해서 작동되어 필터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장치의 센서(센서2,3)에 의해 정확하게 감지하여 정화할 수 있는 공기 정화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정화기 작동중에 도어 열림 감지센서와 윈도우 열림 감지센서에 감지신호가 감지되어 도어 또는 윈도우가 오픈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공기 정화기의 작동을 중단하여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자가 자동차 시동을 걸거나 시동을 끌 경우에 공기 정화기를 작동시켜 실내의 오염된 먼지가 쌓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의 실내 공기를 감지하여 정화시키는 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용 HVAC의 블로워 모터(20) 일측에 설치된 센서2(22)와 자동차 실내등에 설치된 센서3(24)에 의해 자동차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감지하여 정화하고, 도어 열림 감지센서와 윈도우 열림 감지센서가 도어 또는 윈도우의 오픈 상태를 감지하여 입력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공기 정화기의 작동을 중단하여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치와 그에 따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지적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공기 정화장치의 실내 공기 감지장치(센서1)의 부착 상태를 보인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정화장치의 실내 공기 감지장치(센서1 내 지 센서3)의 부착 상태를 보인 일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정화장치의 실내 공기 감지장치(센서2)가 HVAC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정화장치의 실내 공기 감지장치(센서3)가 공기 정화기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 일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Window)와 도어(Door)의 상태에 따른 자동차용 공 기 정화기 자동 제어 장치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와 도어의 상태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정화기 자동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시동 스위치(Ignition Switch) 20 : 센서1
22 : 센서2 24 : 센서3
30 : 도어(Door) 열림 감지센서
32 : 윈도우(Window) 열림 감지센서
40 : 시가 잭 감지센서 50 : 블로워 모터
60 : 마이크로 프로세서 70 : 음이온 발생기
72 : 크로스 플로우 팬 모터 74 : 바이-패스 도어
76 : 필터 교환램프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를 운전하기 위하여 점화시키는 시동스위치(10)와, 공기 정화기 작동시 자동차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1(20)과, 자동차용 HVAC의 블로워 모터(20) 회전 속도에 따라 인테이크 도어의 외기모드로 흡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감지하는 센서2(22)와, 자동차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감지하는 센서3(24)과, 도어의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센서(30)와, 윈도우의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윈도우 열림 감지센서(32)와, 시가 잭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시가 잭 감지센서(40)와, 회전속도에 따라 HVAC에서 실내로 흡입되는 공기 량을 조절하는 블로워 모터(50)와, 블로워 모터(20) 회전속도와 각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실내 오염도에 의해 공기 정화기를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0)와, 크로스 플로우 팬을 회전시켜 공기의 유입 량을 조절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 모터(72)와, 기어드 모터(미도시)의 구동 상태에 따라 공기 정화기의 열림 각도를 조절하는 바이-패스 도어(74)와, 컴바이 필터의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필터 교환램프(7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센서2(22)는 HVAC의 블로워 모터(50) 일측에 설치되게 구성한다.
상기 센서3(24)은 자동차 실내등에 설치되게 구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로서, 자동차 시동 스위치가 온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601)와, 확인된 결과 온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재차 시동 스위치가 온되었는가를 확인하고, 온으로 확인되면 윈도우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602)와, 확인된 결과 클로즈로 확인되지 않으면 재차 윈도우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하고, 윈도우가 클로즈로 확인되면 도어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603)와, 확인된 결과 클로즈로 확인되지 않으면 재차 윈도우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하고, 도어가 클로즈로 확인되면 공기 정화기를 하이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S604)와, 공기 정화기가 하이모드로 전환되면 바이-패스 도어(74)를 오픈시키는 단계(S605)와, 바이-패스 도어(74)가 오픈되어 내부 타이머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열렸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606)와, 확인된 결과 내부 타이머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바이-패스 도어(74)가 열리지 않았으면 단계(S605)로 복귀시키고, 내부 타이머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바이-패스 도어(74)가 열렸으면 블로워 모터(50)가 온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607)와, 확인된 결과 블로워 모터(50)가 온이면 블로워 모터(50)가 로우상태인가를 확인하는 단계(S608)와, 확인된 결과 블로워 모터(50)가 로우상태이면 윈도우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609)와, 확인된 결과 윈도우가 클로즈이면 도어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610)와, 단계(S609)(S610)에서 확인된 결과 윈도우와 도어가 클로즈되지 않았으면 공기 정화기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S616)와, 단계(S610)에서 확인된 결과 도어가 클로즈상태이면 바이-패스 도어(74)를 클로즈시키는 단계(S611)와, 바이-패스 도어(74)가 클로즈되면 시가 잭이 온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612)와, 확인된 결과 시가 잭이 온되지 않았으면 센서3(24)이 온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613)와, 확인된 결과 센서3(24)이 오프상태이면 공기 정화기를 로우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614)와, 공기 정화기가 로우모드로 전환되면 센서1(20)에 감지된 공기의 오염도가 기준값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615)와, 단계(S607)에서 확인된 결과 블로워 모터(50)가 오프이면 센서2(22)가 온인가를 확인하는 단계(S617)와, 확인된 결과 센서2(22)가 오프이면 단계(S609)를 수행하고, 센서2(22)가 온이면 윈도우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618)와, 확인된 결과 윈도우가 클로즈되었으면 도어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619)와, 확인된 결과 도어가 클로즈되었으면 센서3(24)이 온인가를 확인하는 단계(S620)와, 단계(S618)(S619)에서 확인된 결과 윈도우와 도어가 클로즈되지 않았으면 공기 정화기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S626)와, 단계(S620)에서 확인된 결과 센서3(24)이 오프이면 단계(S611)를 수행하고, 센서3(24)이 온으로 확인되거나, 단계(S608)에서 확인된 결과 블로워 모터(50)가 로우상태가 아니거나, 단계(S612)에서 확인된 결과 시가 잭이 온되거나, 단계(S613)에서 확인된 결과 센서3(24)이 온상태이면 공기 정화기를 하이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621)와, 공기 정화기가 하이모드로 전환되면 바이-패스 도어(74)를 오픈시키는 단계(S622)와, 바이-패스 도어(74)가 오픈되면 내부 타이머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열렸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623)와, 확인된 결과 내부 타이머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바이-패스 도어(74)가 열리지 않았으면 단계(S622)로 복귀시키고, 내부 타이머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바이-패스 도어(74)가 열렸으면 바이-패스 도어(74)를 클로즈시키는 단계(S624)와, 바이-패스 도어(74)가 클로즈되면 센서1(20)에 감지된 공기의 오염도가 기준값 이하인가를 판단하여 기준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단계(S614)로 복귀시키고, 기준값 이하이면 단계(S621)로 복귀시키는 단계(S625)와, 단계(S615)에서 확인된 결과 센서1(20)에 감지된 공기의 오염도가 기준값 이상이거나, 단계(S616)(S626)에서 공기 정화기 작동이 정지되면 시동 스위치(10)가 오프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627)와, 확인된 결과 시동 스위치(10)가 오프되었으면 도어가 잠겼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628)와, 단계(S627)에서 확인된 결과 시동 스위치(10)가 오프되지 않았거나, 단계(S628)에서 확인된 결과 도어가 잠기지 않았으면 단계(S607)로 복귀시키고, 단계(S628)에서 확인된 결과 도어가 잠겼으면 공기 정화기를 하이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S629)와, 공기 정화기가 하이모드로 전환되면 내부 타이머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공기 정화기가 작동되었는가를 확인하여 일정시간 동안 작동되지 않았으면 단계(S629)로 복귀시키고, 일정시간 동안 작동되었으면 실내 공기 정화작업을 종료하는 단계(S630)로 이루어짐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 제안된 차량용 공기 정화장치는 자동차에 채용된 공기 정화장치의 일종으로서, 이는 공기 정화기 크로스 플로우 팬 모터(72)의 구동에 의해 크로스 플로우 팬이 회전되어 차량 실내에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주름진 형태로 되어 있는 컴바이 필터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를 다시 차량 실내로 유입시켜 주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한 공기 정화기의 취출구 방향에는 음이온 발생 침을 복수개 설치한 음이온 발생장치(70)에 의해 차량 실내에 음이온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어 오존 발생이 거의 없고, 필터 교환은 트렁크를 통하여 필터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공기 정화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선택스위치는 운전석 옆의 에어콘 컨트롤러에 부가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리모콘을 이용하여도 공기 정화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정화장치가 자동차 실내 공기를 감지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과정을 도 5, 도 6에 의하여 살펴보면, 먼저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자동차 시동 스위치(10)가 온되었는가를 확인(S601)하여 시동 스위치(10)가 온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재차 시동 스위치(10)가 온되었는가를 확인하고, 시동 스위치(10)가 온으로 확인되면 윈도우 열림 감지센서(32)에 의해 감지된 자동차 윈도우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S602)한다.
상기 확인된 결과 자동차 윈도우가 클로즈로 확인되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재차 윈도우 열림 감지센서(32)에 의해 자동차 윈도우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S602)한다.
그러나 윈도우 열림 감지센서(32)로 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윈도우가 클로즈된 것으로 확인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도어 열림 감지센서(30)를 통해 도어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S603)한다.
이 때 단계(S602)(S603)에서 확인된 결과 윈도우와 도어가 클로즈된 것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재차 윈도우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S602)한다.
그러나 단계(S603)에서 확인된 결과 도어가 클로즈된 것으로 확인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공기 정화기를 하이모드로 전환(S604)시켜 기어드 모터(미도시)를 구동하여 바이-패스 도어(74)를 오픈시킨다.(S605)
즉, 바이-패스 도어(74)가 오픈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내부 타이머(미도시)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바이-패스 도어(74)가 열렸는가를 확인(S606)하여 내부 타이머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바이-패스 도어(74)가 열리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기어드 모터(미도시)를 구동하여 바이-패스 도어(74)를 오픈시킨다.(S605)
그러나 내부 타이머(미도시)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바이-패스 도어(74)가 열렸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HVAC 내의 블로워 모터(50)가 온되었는가를 확인(S607)하여 블로워 모터(50)가 온상태이면 블로워 모터(50)가 로우상태인가를 확인(S608)한다.
상기 확인된 결과 블로워 모터(50)가 로우상태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윈도우 열림 감지센서(32)로 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자동차 윈도우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S609)하여 윈도우가 클로즈상태이면 도어 열림 감지센서(30)에서 감지되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자동차 도어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S610)한다.
이 때 단계(S609)(S610)에서 확인된 결과 자동차 윈도우와 도어가 클로즈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공기 정화기 작동을 정지시킨다.(S616)
한편, 단계(S610)에서 확인된 결과 도어가 클로즈상태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바이-패스 도어(74)를 클로즈(S611)시키고, 시가 잭 감지센서(40)에 의해 시가 잭이 온되었는가를 확인(S612)한다.
상기 확인된 결과 시가 잭 감지센서(40)에 감지신호가 감지되지 않아 시가 잭이 온되지 않았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센서3(24)이 온되었는가를 확인(S613)하여 센서3(24)이 오프상태이면 공기 정화기를 로우모드로 전환(S614)시켜 센서1(20)에 감지된 공기의 오염도가 기준값 이하인가를 판단(S615)한다.
한편, 단계(S607)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HVAC 내의 블로워 모터(50)가 온되었는가를 확인하여 블로워 모터(50)가 오프이면 센서2(22)가 온인가를 확인(S617)한다.
상기 확인된 결과 센서2(22)가 오프상태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윈도우 열림 감지센서(32)로 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자동차 윈도우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S609)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수행한다.
그러나 단계(S617)에서 센서2(22)가 온인가를 확인한 결과 센서2(22)가 온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윈도우 열림 감지센서(32)로 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자동차 윈도우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S618)하여 윈도우가 클로즈상태이면 도어 열림 감지센서(30)에서 감지되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자동차 도어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S619)한다.
이 때 단계(S618)(S619)에서 확인된 결과 자동차 윈도우와 도어가 클로즈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공기 정화기 작동을 정지시킨다.(S626)
상기 도어 열림 감지센서(30)에서 감지되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자동차 도어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S619)하여 도어가 클로즈되었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센서3(24)이 온인가를 확인(S620)한다.
상기 확인된 결과 센서3(24)이 오프상태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바이-패스 도어(74)를 클로즈(S611)시키고, 시가 잭 감지센서(40)에 의해 시가 잭이 온되었는가를 확인(S612)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센서3(24)이 온인가를 확인(S620)되거나, 단계(S608)에서 확인된 결과 블로워 모터(50)가 로우상태가 아니거나, 단계(S612)에서 확인된 결과 시가 잭이 온되거나, 단계(S613)에서 확인된 결과 센서3(24)이 온상태이면 공기 정화기를 하이모드로 전환(S621)한다.
즉, 공기 정화기가 하이모드로 전환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바이-패스 도어(74)를 오픈시켜(S622) 내부 타이머(미도시)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바이-패스 도어(74)가 열렸는가를 확인(S623)하여 내부 타이머(미도시)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바이-패스 도어(74)가 열리지 않았으면 재차 기어드 모터(미도시)를 구동하여 바이-패스 도어(74)를 오픈시켜(S622) 내부 타이머(미도시)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바이-패스 도어(74)가 열렸는가를 확인(S623)하여 내부 타이머(미도시)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바이-패스 도어(74)가 열렸으면 바이-패스 도어(74)를 클로즈시켜(S624) 센서1(20)에 감지된 공기의 오염도가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가를 판단(S625)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 판단된 결과 센서1(20)에 감지된 공기의 오염도가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공기 정화기를 로우모드로 전환(S614)시켜 센서1(20)에 감지된 공기의 오염도가 기준값 이하인가를 판단(S615)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단계(S625)에서 판단된 결과 센서1(20)에 감지된 공기의 오염도가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공기 정화기를 하이모드로 전환(S621)하는 과정부터 다시 수행한다.
또한 단계(S615)에서 확인된 결과 센서1(20)에 감지된 공기의 오염도가 기준값 이상이거나, 단계(S616)(S626)에서 공기 정화기 작동이 정지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시동 스위치(10)가 오프되었는가를 확인(S627)하여 시동 스위치(10)가 오프되었으면 도어 열림 감지센서(30)로 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도어가 잠겼는가를 확인(S628)한다.
상기 단계(S627)에서 확인된 결과 시동 스위치(10)가 오프되지 않았거나, 단계(S628)에서 확인된 결과 도어가 잠기지 않았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단계(S607)로 복귀시켜 그 과정부터 상기한 과정들을 다시 수행토록 하고, 단계(S628)에서 확인된 결과 도어가 잠겼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공기 정화기를 하이모드로 전환시켜(S629) 내부 타이머(미도시)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공기 정화기가 작동되었는가를 확인(S630)하여 공기 정화기가 내부 타이머(미도시)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작동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공기 정화기를 하이모드로 전환시켜(S629) 내부 타이머(미도시)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공기 정화기가 작동되었는가를 확인(S630)하여 공기 정화기가 내부 타이머(미도시)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작동되었으면 자동차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작업을 종료한다.
상술한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2,3에 의해 정확하게 감지된 자동차의 실내 공기를 설정된 프로그램 처리하여 오염도가 설정된 값보다 탁할 시에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자동으로 공기 정화기를 작동시켜 자동차 실내 공기를 정화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로 실내 환경을 유지하며, 자동차 도어 또는 윈도우 오픈시에 공기 정화기의 작동을 중단하여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운전자가 자동차 시동을 걸거나 시동을 끌 경우에 공기 정화기를 작동시켜 실내의 오염된 먼지가 쌓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윈도우와 도어의 상태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정화기 자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 예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를 운전하기 위하여 점화시키는 시동스위치(10)와, 공기 정화기 작동시 자동차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1(20)과, 자동차용 HVAC의 블로워 모터(20) 회전 속도에 따라 인테이크 도어의 외기모드로 흡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감지하는 센서2(22)와, 자동차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감지하는 센서3(24)과, 도어의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센서(30)와, 윈도우의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윈도우 열림 감지센서(32)와, 시가 잭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시가 잭 감지센서(40)와, 회전속도에 따라 HVAC에서 실내로 흡입되는 공기 량을 조절하는 블로워 모터(50)와, 블로워 모터(20) 회전속도와 각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실내 오염도에 의해 공기 정화기를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0)와, 크로스 플로우 팬을 회전시켜 공기의 유입 량을 조절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 모터(72)와, 기어드 모터의 구동 상태에 따라 공기 정화기의 열림 각도를 조절하는 바이-패스 도어(74)와, 컴바이 필터의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필터 교환램프(76)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와 도어의 상태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정화기 자동 제어장치.
  2. 시동 스위치가 온으로 확인되면 윈도우와 도어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하여 클로즈로 확인되면 공기 정화기를 하이모드로 전환하여 바이-패스 도어를 오픈시켜 내부 타이머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열렸는가를 확인하는 제1과정과, 내부 타이머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바이-패스 도어가 열렸으면 블로워 모터가 온되었는가를 확인하여 온이면 블로워 모터(50)가 로우인가를 확인하여 로우이면 윈도우가 클로즈인가를 확인하여 클로즈이면 도어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하는 제2과정과, 상기 확인된 결과 윈도우와 도어가 클로즈되지 않았으면 공기 정화기 작동을 정지시키고, 도어가 클로즈이면 바이-패스 도어를 클로즈시켜 시가 잭이 온되었는가를 확인하여 온되지 않았으면 센서3이 온되었는가를 확인하는 제3과정과, 상기 확인된 결과 센서3이 오프이면 공기 정화기를 로우모드로 전환하여 센서1에 감지된 공기의 오염도가 기준값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계(S607)에서 확인된 결과 블로워 모터가 오프이면 센서2가 온인가를 확인하여 센서2가 오프이면 단계(S609)를 수행하고, 센서2가 온이면 윈도우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하여 클로즈되었으면 도어가 클로즈되었는가를 확인하는 제4과정과, 상기 확인된 결과 윈도우와 도어가 클로즈되지 않았으면 공기 정화기를 정지시키고, 도어가 클로즈되었으면 센서3이 온인가를 확인하는 제5과정과, 상기 확인된 결과 센서3이 오프이면 단계(S611)를 수행하고, 센서3이 온으로 확인되거나, 단계(S608)에서 확인된 블로워 모터가 로우상태가 아니거나, 단계(S612)에서 확인된 시가 잭이 온이거나, 단계(S613)에서 확인된 센서3이 온이면 공기 정화기를 하이모드로 전환하여 바이-패스 도어를 오픈시켜 내부 타이머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열렸는가를 확인하는 제6과정과, 상기 확인된 결과 내부 타이머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바이-패스 도어가 열리지 않았으면 단계(S622)로 복귀되고, 일정시간 동안 열렸으면 바이-패스 도어를 클로즈시켜 센서1에 감지된 공기의 오염도가 기준값 이하인가를 판단하여 기준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단계(S614)로 복귀시키고, 기준값 이하이면 단계(S621)로 복귀시키는 제7과정과, 상기 단계(S615)에서 확인된 결과 센서1에 감지된 공기의 오염도가 기준값 이상이거나, 단계(S616)(S626)에서 공기 정화기 작동이 정지되면 시동 스위치가 오프되었는가를 확인하는 제8과정과, 상기 확인된 결과 시동 스위치가 오프되었으면 도어가 잠겼는가를 확인하여 도어가 잠기지 않았으면 단계(S607)로 복귀시키고, 도어가 잠겼으면 공기 정화기를 하이모드로 전환시켜 내부 타이머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공기 정화기가 작동되었는가를 확인하여 일정시간 동안 작동되었으면 실내 공기 정화작업을 종료하는 제9과정으로 이루어진 윈도우와 도어의 상태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정화기 자동 제어방법.
KR1019960033639A 1996-08-13 1996-08-13 윈도우와 도어의 상태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정화기 자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65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639A KR0165975B1 (ko) 1996-08-13 1996-08-13 윈도우와 도어의 상태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정화기 자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639A KR0165975B1 (ko) 1996-08-13 1996-08-13 윈도우와 도어의 상태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정화기 자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605A KR19980014605A (ko) 1998-05-25
KR0165975B1 true KR0165975B1 (ko) 1999-05-01

Family

ID=1946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639A KR0165975B1 (ko) 1996-08-13 1996-08-13 윈도우와 도어의 상태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정화기 자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5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3414B2 (en) * 2003-12-18 2006-01-31 Carrier Corporation Detection of clogged filter in an HVAC system
KR102066156B1 (ko) * 2018-09-14 2020-01-1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605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34525B2 (ja) 自動車用空調制御装置
KR100776602B1 (ko) 공기 순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5221292A (en) Air cleaning system for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JP2006193116A (ja) 内外気切替装置
KR0165975B1 (ko) 윈도우와 도어의 상태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정화기 자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781680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9980010928U (ko) 자동차용 공기 정화장치의 실내 공기 감지장치
KR0165976B1 (ko) 차량 속도 감지에 의한 자동차 실내 공기 정화방법
KR980008648A (ko) 빌트-인 타입 차량용 공기 정화기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31871B1 (ko)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JP2761975B2 (ja) 空気清浄装置と連動する自動車用空調装置
JPH0939562A (ja) 車載空調装置
JPH0680019A (ja) 車両用空気浄化装置
KR980001067A (ko) 자동차용 내장형 공기청정기
KR20040053985A (ko) 차량 실내환기 시스템
KR0152185B1 (ko) 자동차 실내공기 자동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S5950528B2 (ja) 自動車用空調制御装置
JPH08192623A (ja) 車両用空気清浄機能付き空気調和装置
KR20220073973A (ko) 광촉매 장치를 이용하는 차량 실내 공기 정화 장치
KR960008232Y1 (ko) 차량의 강제환기제어장치
JPH0479852B2 (ko)
JPH057717A (ja) 空気清浄化装置
JPH08497B2 (ja) 車載用空気浄化システム
KR20040085724A (ko) 차량의 실내공기 제어방법
JP2000203257A (ja) 車両用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