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439B1 -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439B1
KR0165439B1 KR1019950030080A KR19950030080A KR0165439B1 KR 0165439 B1 KR0165439 B1 KR 0165439B1 KR 1019950030080 A KR1019950030080 A KR 1019950030080A KR 19950030080 A KR19950030080 A KR 19950030080A KR 0165439 B1 KR0165439 B1 KR 0165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rror
segment
unit
shift re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488A (ko
Inventor
김용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30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5439B1/ko
Priority to EP96306595A priority patent/EP0763935B1/en
Priority to DE69619914T priority patent/DE69619914T2/de
Priority to JP8240406A priority patent/JP3011260B2/ja
Priority to CN96122439A priority patent/CN1079568C/zh
Priority to US08/714,429 priority patent/US6118921A/en
Publication of KR970017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7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by assembling picture element blocks in an intermediate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DVCR이라 칭함)에서의 화면 구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VCR에서의 변속 재생모드시 화상의 정보를 신속하게 새로운 정보로 바꾸어서 보내 주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에러 정정 복호화에서 동기 블럭의 에러를 검사해서 에러가 존재하면 전 프레임을 선택하고, 에러가 없으면 현재 프레임을 선택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구성 단계, 자변장 길이 복호화 단계에서 변속 재생인가를 검사해서 변속 재생인 경우 상기 동기 블럭내의 데이타를 처리하고, 변속 재생이 아닐 경우 데이타 연속성을 검사해서 연속성이 있으면 복수개의 동기 블럭 데이타를 처리하는 변속 재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DVCR의 재생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럭도이다.
제2도는 DVCR에 있어서 압축된 디지탈 비디오 데이타의 동기 블럭(SYNC BLOCK)의 구성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5도는 제3도 및 제4도의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의 상세한 블럭도이다.
제6a도는 제3도와 제4도의 가변장 부호 복호부의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제1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제6b도는 제3도와 제4도의 가변장 부호 복호부의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제2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제7도는 제3도에 도시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8도는 제4도에 도시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DVCR이라 칭함)에서의 화면 구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VCR에서의 변속 재생모드시와 데이타 에러시에 화상의 정보를 신속하게 새로운 정보로 바꾸어서 보내 주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타 압축을 기본으로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DVCR)에서는 아날로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AVCR)와 같은 변속 재생의 구현이 불가능하다. 즉 정상적인 재생시의 헤드는 한 트랙을 완전하게 읽게 되므로 각 트랙 위의 데이타가 연속적으로 복원된다. 그러나 변속 재생시 헤드가 인접한 트랙들을 지나가게 되므로 트랙 마다 압축 데이타의 부분적인 신호만을 읽게 되어 데이타의 복원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안된 DVCR 의 규격은 다음과 같다. 즉, 화상 정보는 한 필드 또는 한 프레임내의 여러 트랙에 계층적으로 나누어 기록하며, 또한 기본 화상 정보와 그 외의 고주파 신호는 변속 재생 스피드에 맞추어 전송할 수 있도록 트랙 포맷을 정하거나 서보의 제어에 의하여 원하는 트랙이나 원하는 위치의 데이타를 읽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특정 배속 이하에서만 실용적이며 서보의 제어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DVCR의 규격에 의해 재생중에 에러가 발생하거나 변속 재생시의 에러에 대해서 화상 데이타를 신속하게 재구성함으로서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4개의 휘도 성분의 블럭과 2개의 색차 성분의 이산 코싸인 변환 블럭으로 이루어진 동기 블럭과 5개의 동기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세그먼트로 압축 부호화를 하여 기록한후 재생 장치의 에러 정정부에서 에러 정정 복호화를 수행하고 화면을 재구성하는 디지탈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정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 저장부; 상기 에러 정정부에서 출력된 데이타중에 에러가 있을시 상기 프레임 저장부로 부터 전프레임의 데이타를 독출하며, 에러가 없을시는 상기 프레임 저장부로 부터 현재 프레임의 데이타를 독출하고 변속 재생을 제어하는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
상기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동기 블럭으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세그먼트 형성부; 상기 세그먼트 형성부에서 출력된 데이타를 가변 길이 복호화하고 상기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의 변속 재생 제어 신호에 따라서 세그먼트내의 동기 블럭 처리를 다르게하는 가변장 부호 복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4개의 휘도 성분의 블럭과 2개의 색차 성분의 이산 코싸인 변환 블럭으로 이루어진 동기 블럭과 5개의 동기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세그먼트로 압축 부호화를 하여 기록한후 재생 장치의 에러 정정부에서 에러 정정 복호화를 수행하고 화면을 재구성하는 디지탈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정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제1프레임 저장부; 상기 에러 정정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의 에러를 검지하며, 상기 제1프레임 저장부의 현재 프레임의 데이타를 독출하고 변속 재생을 제어하는 제1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 상기 제1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세그먼트 형성부; 상기 세그먼트 형성부에서 출력된 데이타를 가변 길이 복호화하고 상기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의 변속 재생 제어 신호에 따라서 세그먼트내의 동기 블럭 처리를 다르게하는 가변장 부호 복호부; 상기 가변장 길이 부호 복호부에서 출력된 상기 이산 코싸인 변환 데이타를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의 데이타로 변환하는 역 이산 코싸인 변환부; 상기 역 이산 코싸인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제2프레임 저장부; 상기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에서 데이타 에러를 감지하여 에러가 있을시 상기 제2프레임 저장부로 부터 전프레임의 데이타를 독출하며, 에러가 없을시는 상기 제2프레임 저장부로 부터 현재 프레임의 데이타를 독출하는 제1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4개의 휘도 성분의 블럭과 2개의 색차 성분의 이산 코싸인 변환 블럭으로 이루어진 동기 블럭과 5개의 동기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세그먼트로 압축 부호화를 하여 기록한후 재생 과정에서 복조 및 에러 정정 복호화를 수행하고 화면을 재구성하는 디지탈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정 복호화에서 상기 동기 블럭의 에러를 검사해서 에러가 존재하면 전 프레임의 데이타를 선택하고, 에러가 없으면 현재 프레임의 데이타를 선택하는 에러 검사 단계; 상기 에러 검사 단계에서 선택된 동기 블럭으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세그먼트 형성 단계; 상기 세그먼트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세그먼트 부호들을 가변 길이 복호화하는 가변장 길이 복호화 단계; 상기 가변장 길이 복호화 단계에서 변속 재생인가를 검사해서 변속 재생인 경우 상기 동기 블럭내의 데이타를 처리하고, 변속 재생이 아닐 경우 데이타 연속성을 검사해서 연속성이 있으면 복수개의 동기 블럭간의 데이타를 처리하는 변속 재생 단계; 상기 변속 재생 단계를 수행하고 출력된 이산 코싸인 변환 데이타를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의 데이타로 변환하는 역 이산 코싸인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4개의 휘도 성분의 블럭과 2개의 색차 성분의 이산 코싸인 변환 블럭으로 이루어진 동기 블럭과 5개의 동기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세그먼트로 압축 부호화를 하여 기록한후 재생 과정에서 복조 및 에러 정정 복호화를 수행하고 화면을 재구성하는 디지탈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정 복호화에의해 에러가 정정된 동기 블럭으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세그먼트 형성 단계; 상기 세그먼트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세그먼트 부호들을 가변 길이 부호화하는 가변장 길이 복호화 단계; 상기 가변장 길이 복호화 단계에서 변속 재생인가를 검사해서 변속 재생인 경우 상기 동기 블럭내의 데이타를 처리하고, 변속 재생이 아닐 경우 데이타 연속성을 검사해서 연속성이 있으면 복수개의 동기 블럭의 데이타를 처리하는 변속 재생 단계; 상기 변속 재생 단계를 수행하고 출력된 이산 코싸인 변환 데이타를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의 데이타로 변환하는 역 이산 코싸인 변환 단계; 상기 에러 정정 복호화에서 상기 동기 블럭의 에러를 검사해서 에러가 존재하면 전 프레임을 선택하고, 에러가 없으면 현재 프레임을 선택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구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DVCR의 재생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럭도이며, 헤드에서 재생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110)와, 에러 정정하는 에러 정정부(120)와, 데이타를 신장 시키는 데이타 신장부(130)와,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C부(140)로 구성된다.
제2도는 DVCR에 있어서 압축된 디지탈 비디오 데이타의 동기블럭(SUNC BLOCK)의 구성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며, 입력되는 압축 데이타를 에러 정정하는 에러 정정부(310)와, 에러 정정부(310)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330)와, 프레임 메모리(330)에 어드레스(301), 데이타(302), 리이드 인에이블(Read Enable)(303), 라이트 인에이블(Write Enable)(304) 신호로 접속되어 프레임 메모리 제어 및 변속 재생을 제어하는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320)와, 변속 재생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콤(370)과, 상기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320)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세그먼트 형성부(340)와, 상기 세그먼트 형성부(340)로 부터의 부호를 상기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320)로 부터 출력되는 변속 재생 신호에 따라서 가변장 복호화하는 가변장 부호 복호부(350)로 구성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며, 입력되는 압축 데이타를 에러 정정하는 에러 정정부(410)와, 에러 정정부(410)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1(430)와, 프레임 메모리1(430)에 어드레스(401), 데이타(402), 리이드 인에이블(Read Enable)(403), 라이트 인에이블(Write Enable)(404) 신호로 접속되어 프레임 메모리 제어 및 변속 재생을 제어하는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420)와, 변속 재생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콤(460)과, 상기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420)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세그먼트 형성부(440)와, 상기 세그먼트 형성부(440)로 부터의 부호를 상기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420)로 부터 출력되는 변속 재생 신호에 따라서 가변장 복호화하는 가변장 부호 복호부(450)와, 상기 가변장 부호 복호부(450)에서 출력되는 이산 코싸인 변환 부호를 역 이산 코싸인 변환하는 IDCT부(490)와, 상기 IDCT부(49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2(480)와, 프레임 메모리2(430)에 어드레스(405), 데이타(406), 리이드 인에이블(Read Enable)(407), 라이트 인에이블(Write Enable)(408) 신호로 접속되어 상기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420)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프레임 메모리를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470)으로 구성된다.
제5도는 제3도 및 제4도의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320,420)의 상세한 블럭도이며, 입력되는 블럭 단위의 데이타를 저장하는 동기 블럭 버퍼(510), 상기 동기 블럭 버퍼(510)로 부터 STA를 검출하고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STA 검출부 및 제어 신호 발생기(520), 상기 STA 검출부 및 제어 신호 발생기(520)의 STA에 따라서 상기 동기 블럭 버퍼(510)에 저장된 데이타를 라이트하는 메모리 라이트 제어기(530), 상기 메모리 라이트 제어기(530)에 의해 읽혀진 데이타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540), 상기 메모리 라이트 제어기(530)에 어드레스(515), 데이타(517), 리이트 인에이블(516) 신호에 접속되어 상기 프레임 메모리(540)의 데이타를 리드하는 메모리 리드 제어기(550)로 구성된다.
제6a도는 제3도와 제4도의 가변장 부호 복호부(350, 450)의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제1실시예의 흐름도이며, 변속 재생 판단 단계(610), STA 연속성 판단 단계(620), 신호 처리 단계(630,640)으로 이루어진다.
제6b도는 제3도와 제4도의 가변장 부호 복호부(350, 450)의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제2실시예의 흐름도이며, STA 연속성 판단단계(650), 신호 처리 단계(660,670)으로 이루어 진다.
제7도는 제3도에 도시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에러 검사 단계(710,712,714,716)와, 세그먼트 형성 단계(718)와, 가변장 길이 복호화 단계(720)와, 변속 재생 단계(722, 724, 726, 728)와, 역 이산 코싸인 변환 단계(730)으로 이루어진다.
제8도는 제4도에 도시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세그먼트 형성 단계(810, 812)와, 가변장 길이 복호화 단계(814), 변속 재생 단계(816, 818, 820, 822)와, 역 이산 코싸인 변환 단계(824)와, 에러 검사 단계(826, 828, 830)로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1도~제8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DVCR의 재생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럭도이다. 제1도에 따르면 헤드로 부터 읽혀진 디지탈 비디오 신호는 복조부(110)에서 신호가 복조되며, 복조된 신호는 에러 정정부(120)에서 에러가 정정 된 복조 신호가 출력된다. 다음 데이타 신장부(130)에서는 가변장 부호 복호 및 역 이산 코싸인 변환(IDCT)을 거쳐 원래의 신호로 복원된 후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인 DAC(140)를 거쳐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출력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변속 재생 장치를 보이는 블럭도이다.
먼저 복조된 디지탈 비디오 신호가 에러 정정부(310)로 입력하고, 에러 정정부(310)에서 R-S(Reed Solomon) 이중 적 부호로 구성된 에러 정정을 거친다.
제2도는 DVCR에 있어서 압축된 디지탈 비디오 데이타의 동기 블럭(SUNC BLOCK)의 구성도이며, 동기 블럭은 각각 14바이트(B)인 4개의 휘도 성분의 블럭(Y0, Y1, Y2, Y3)과 각각 10바이트(B)인 2개의 색차 성분 블럭(Cr, Cb)이 76바이트로 구성되며, 여기에는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의 DC 계수인 DC0, DC1, DC2, DC3, DC4, DC5, AC 계쑤의 가변장 코드인 AC가 있다. 부가 정보는 에러 정보인 STA, 양자화 정보인 QN0의 1바이트로 총 77바이트가 된다.
세그먼트는 5개의 동기 블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압축 부호화는 세그먼트 단위로 완전히 독립되어 수행되며 모든 세그먼트 마다 동일한 크기의 부호량을 생성한다.
따라서 에러 정정을 거친 후에도 다시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2도의 최상위에 위치한 에러 정보 비트(4비트)인 STA를 변화 시켜(STA가 1111) 동기 블럭에 에러가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에러가 전부 정정된 경우에는 제2도의 동기 블럭중의 STA를 0000으로 하여 에러가 없음을 나타낸다. 또한 STA가 0010일 때는 이전 프레임의 동기 블럭으로 현재의 동기 블럭을 대치하여 현재 동기 블럭에 에러가 없으며 다른 동기 블럭과 세그먼트를 구성 할 수 있는 데이타의 연속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2도의 에러 정정부(310)에서 에러가 전부 정정되지 않았을 경우 STA를 1111로 세팅하게 된다. 이때 STA가 1111인 경우 프레임 메모리부(330)에는 현재 입력되는 데이타를 라이트(Write) 하지 않고 메모리 제어 및 변속 재생 제어부(320)에서 제어하게 된다. 메모리 제어 및 변속 재생 제어부(320)와 프레임 메모리부(330)는 어드레스(301), 데이타(302), 리이드 인에이블(Read Enable)(103), 라이트 인에이블(Write Enable)(304)신호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2도의 STA가 1111일 경우 메모리 제어 및 변속 재생 제어부(320)는 라이트 인에이블(304) 신호를 디스에이블(Disable)시켜 새 데이타의 입력을 방지하고 프레임 메모리부(330)로 부터 데이타를 리이드하여 세그먼트 형성부(340)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읽혀진 데이타는 이전 프레임의 데이타 또는 다음 프레임의 데이타로 된다. 여기서 동화상의 거의 모든 영역은 이전 화상과 거의 유사하기 때문에 에러가 난 현재의 프레임을 이전의 프레임과 대치하여도 인간의 시각으로는 구별을 할 수 없다.
세그먼트 형성부(340)에서는 메모리 제어 및 변속 재생 제어부(320)로 부터 5개의 동기 블럭을 읽고 세그먼트를 형성한 후 가변장 부호 복호부(350)로 보낸다.
이때 마이콤(370)에서 변속 재생 신호가 메모리 제어 및 변속 재생 제어부(320)로 입력되면, 메모리 제어 및 변속 재생 제어부(320)는 변속 재생 신호를 적당한 시간적 지연을 거쳐 가변장 부호 복호부(350)로 전송한다. 이 변속 재생 신호는 제2도의 STA값에 따라 동작 수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가변장 부호 복호부(350)로 입력되는 5개의 동기 블럭은 STA 값의 연속성에 따라서 세그먼트 복호 과정을 다르게 형성 할 수 있다.
가변장 부호 복호에서는 허프만 부호를 복호화하며, 세그먼트 형성부(340)에서 형성된 한 세그먼트에는 30개의 DCT 블럭이 있으며 30개의 기록 공간이 구분되어 준비된다. 모든 공간은 우선 자신의 블럭으로 부터 발생되는 허프만 부호를 최우선으로 담으며, 남으면 동일 동기 블럭내의 다른 블럭의 기록 공간에 준다(MR 과정이라 칭함). 매크로블럭내에서 기록 공간의 주고 받기가 끝나면 이번에는 5개의 동기 블럭간에 남거나 모자라는 상태에 따라 주거나 받아 오기를 한다(VR 과정이라 칭함).
이와 같이 가변장 부호가 MR과정과 VR과정을 거치며 복호된 신호는 출력 단자를 통하여 출력된다.
상술한 VR과정과 MR과정을 제6a도의 흐름도로 설명하면, 제3도의 가변장 부호 복호부(350)에 입력된 데이타가 변속 재생인 경우(610) STA의 연속성에 관계없이 자기 동기 블럭 내의 데이타(MR)만 처리하고(630), 변속 재생이 아닐 경우(610) STA의 연속성을 검사하여(620) 연속성이 있으면 VR까지 처리하고 STA의 연속성이 없으면 MR까지만 처리한다(640).
여기서 MR까지만 처리 할 경우 고주파수 성분이 복구되지 않는 단점이 있으나 반면에 STA의 연속성 검사와 같은 과정이 필요 없고 또 변속 재생의 경우에는 고주파수 성분을 눈으로 관찰 하기가 쉽지가 않다. 이와 같은 이유로 MR과정만 수행하여도 충분하다.
제6b도는 제6a도와 달리 변속 재생이나 일반 재생에 관계없이 STA의 연속성을 검사하여 MR과정(670)이나 VR과정(660) 중의 한 과정을 선택하게 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변속 재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제4도의 제1프레임 메모리부(430)은 압축된 한 프레임의 데이타를 저장하며, 제2프레임 메모리부(480)는 신장된 후의 데이타가 저장된다. 그러므로 제2프레임 메모리부(480)의 메모리 크기가 제1프레임 메모리부(430)의 메모리 크기 보다 몇배 이상 크다. 우선 제4도의 에러 정정부(410)로 부터의 출력은 메모리 제어 및 변속 재생 제어부(420)로 입력된다. 이 때 메모리 제어 및 변속 재생 제어부(420)는 동기 블럭의 STA 값에 관계 없이 어드레스(401), 데이타(402), 리이드 인에이블(203), 라이트 인에이블(204)을 통하여 제1프레임 메모리부(430)로 라이트와 리이드를 한다.
제1프레임 메모리부(430)로 부터 읽혀진 데이타는 메모리 제어 및 변속 재생 제어부(420)를 통하여 세그먼트 형성부(440)로 입력된다. 세그먼트 형성부(440)는 5개의 동기 블럭으로 1개의 세그먼트를 형성 한후 가변장 부호 복호부(450)로 입력된다. 여기서 에러가 있을 경우(STA가 1111)에는 복호를 하지 않고 나머지 동기 블럭들은 MR 까지만 처리한다. 이때 마이콤(460)에서 변속 재생 신호가 메모리 제어 및 변속 재생 제어부(420)로 입력되면, 메모리 제어 및 변속 재생 제어부(420)는 변속 재생 신호를 적당한 시간적 지연을 거쳐 가변장 부호 복호부(450)로 전송한다. 이 변속 재생 신호는 제2도의 STA값에 따라 동작 수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가변장 부호 복호부(450)에 의해 복호된 신호는 역 이산 코싸인 변환인 IDCT부(490)를 거쳐 원래의 데이타로 변환 된 후 메모리 제어부(470)로 입력된다. 메모리 제어부(470)에서는 STA가 1111일 경우 발생한 에러 신호를 메모리 제어 및 변속 재생 제어부(420)로 부터 입력 받는다. 따라서 IDCT부(490)를 거쳐 신장된 신호는 라이트 될 위치(어드레스)에서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408)를 디스에이블시켜 새 데이타의 입력을 방지한다. 여기서 어드레스(405), 데이타(406), 리이트 인에이블(407) 신호는 제2프레임 메모리부(480)와 메모리 제어부(470)에 대한 신호이다.
다음 제2프레임 메모리부(480)에서 읽혀진 데이타는 STA가 1111일 경우 즉 에러일 경우에는 이전 프레임의 데이타가 출력되며, 그 외의 경우에는 현재 프레임의 데이타가 읽혀져 출력된다. 여기서 동화상의 거의 모든 영역은 이전 화상과 거의 유사하기 때문에 에러가 난 현재의 프레임을 이전의 프레임과 대치하여도 인간의 시각으로는 구별을 할 수 없다.
제5도는 제3도와 제4도의 메모리 제어 및 변속 재생 제어부(420)의 상세도이다. 먼저 제3도, 제4도의 에러 정정부(310, 410)로 부터의 출력은 동기 블럭 버퍼기(510)로 입력된다. 여기서는 동기 블럭 단위로 데이타가 저장된다. 동기 블럭 버퍼기(510)의 한 쪽 출력은 STA 검출 및 제어 신호 발생기(520)로 입력되고 다른 한 쪽은 제2도의 동기 블럭 선단의 STA 비트를 추출하고 STA 비트 상태를 메모리 라이트 제어기(530)로 출력한다. 동기 블럭 버퍼기(510)에서 일정 시간 지연된 데이타도 메모리 라이트 제어기(530)로 입력되어 STA 비트가 에러임을 나타낼 경우 프레임 메모리기(540)에서의 데이타 입력을 중지하게 된다.
한편 메모리 리드 제어기(530)는 어드레스(515), 리이드 인에이블(516) 신호에 의하여 메모리 라이트 제어기(514)를 통하여 프레임 메모리(540)을 제어한다. 또한 프레임 메모리(540)로 부터 읽혀진 데이타는 데이타 라인(517)을 통해 출력 단자로 출력한다. 한편 STA 검출 및 제어 신호 발생기(520)에서 STA가 에러인 경우 이 신호를 제어 신호로 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제7도는 제3도에 도시된 디지탈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를 의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적 기록 매체에서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여 에러 정정 복호화 단계(710)에서 압축 데이타를 에러 정정한다. 다음에 에러 정정된 데이타중에서 동기 블럭의 에러(STA 검사)를 검사(712)해서 에러가 있으면 전 프레임의 동기 블럭을 선택(714)하고, 에러가 없으면 현재 프레임의 동기 블럭을 선택(716)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 선택된 동기 블럭들은 세그먼트를 형성하며(718), 형성된 세그먼트 단위의 데이타들은 가변 길이 복호화하는 가변장 길이 복호화 과정을 수행한다(720). 가변장 길이 복호화 과정 수행중에 마이콤으로 부터 변속 재생인가를 검사(722)해서 변속 재생인 경우 동기 블럭내의 데이타를 처리하는 MR 처리를 수행(726)하고, 변속 재생이 아닐 경우 데이타 연속성(STA의 비트 검사)을 검사해서 연속성이 있으면 인접한 동기 블럭 즉, 세그먼트의 데이타를 처리하는 VR처리(728)를 수행한다.
MR 처리(726)와 VR처리(728)를 수행하고 출력된 이산 코싸인 변환 데이타를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의 데이타로 변환하는 역 이산 코싸인 변환(730)과정을 수행하여 비디오 데이타를 출력한다.
제8도는 제4도에 도시된 디지탈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를 의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기록 매체에서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여 에러 정정 복호화 과정(810)에서 압축 데이타를 에러 정정한다. 세그먼트 형성 과정(812)에서는 에러 정정 복호화(810)에 의해 에러가 정정된 동기 블럭으로 세그먼트를 형성한다.
다음에 세그먼트 형성 과정(812)에서 형성된 세그먼트 단위의 부호들은 가변 길이 부호화하는 가변장 길이 복호화 과정(814)을 거치며, 가변장 길이 복호화 과정중에 변속 재생인가를 검사(816)해서 변속 재생인 경우 동기 블럭내의 데이타를 처리하는 MR 처리를 수행(818)하고, 변속 재생이 아닐 경우 데이타 연속성(STA의 비트 검사)을 검사(820)해서 연속성이 있으면 인접한 동기 블럭 즉, 세그먼트의 데이타를 처리하는 VR처리(822)를 수행한다.
다음 MR처리(818)와 VR처리(822)를 수행하고 출력된 이산 코싸인 변환 데이타를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의 데이타로 변환하는 역 이산 코싸인 변환(824)과정을 수행하여 비디오 데이타를 출력한다. 다음에는 에러 정정 복호화 과정(810)에서 출력 데이타중에 동기 블럭의 에러(STA)를 검사(826)해서 에러가 존재하면 전 프레임을 선택하고, 에러가 없으면 현재 프레임을 선택하여 화면을 재구성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DVCR의 변속 재생시 디스플레이되는 화상 정보의 리프레시 타임을 최소로 하여 정상 화면을 구성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4개의 휘도 성분의 블럭과 2개의 색차 성분의 이산 코싸인 변환 블럭으로 이루어진 동기 블럭과 5개의 동기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세그먼트로 압축 부호화를 하여 기록한후 재생 장치의 에러 정정부에서 에러 정정 복호화를 수행하고 화면을 재구성하는 디지탈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정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 저장부; 상기 에러 정정부에서 출력된 데이타중에 에러가 있을시 상기 프레임 저장부로 부터 전프레임의 데이타를 독출하며, 에러가 없을시는 상기 프레임 저장부로 부터 현재 프레임의 데이타를 독출하고 변속 재생을 제어하는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 상기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동기 블럭으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세그먼트 형성부; 상기 세그먼트 형성부에서 출력된 데이타를 가변 길이 복호화하고 상기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의 변속 재생 제어 신호에 따라서 세그먼트내의 동기 블럭 처리를 다르게하는 가변장 부호 복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
  2. 4개의 휘도 성분의 블럭과 2개의 색차 성분의 이산 코싸인 변환 블럭으로 이루어진 동기 블럭과 5개의 동기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세그먼트로 압축 부호화를 하여 기록한 후 재생 장치의 에러 정정부에서 에러 정정 복호화를 수행하고 화면을 재구성하는 디지탈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정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제1프레임 저장부; 상기 에러 정정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의 에러를 검지하며, 상기 제1프레임 저장부의 현재 프레임의 데이타를 독출하고 변속 재생을 제어하는 제1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 상기 제1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세그먼트 형성부; 상기 세그먼트 형성부에서 출력된 데이타를 가변 길이 복호화하고 상기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의 변속 재생 제어 신호에 따라서 세그먼트내의 동기 블럭 처리를 다르게하는 가변장 부호 복호부; 상기 가변장 길이 부호 복호부에서 출력된 상기 이산 코싸인 변환 데이타를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의 데이타로 변환하는 역 이산 코싸인 변환부; 상기 역 이산 코싸인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제2프레임 저장부; 상기 메모리 및 변속 재생 제어부에서 데이타 에러를 감지하여 에러가 있을시 상기 제2프레임 저장부로 부터 전프레임의 데이타를 독출하며, 에러가 없을시는 상기 제2프레임 저장부로 부터 현재 프레임의 데이타를 독출하는 제1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
  3. 4개의 휘도 성분의 블럭과 2개의 색차 성분의 이산 코싸인 변환 블럭으로 이루어진 동기 블럭과 5개의 동기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세그먼트로 압축 부호화를 하여 기록한후 재생 과정에서 복조 및 에러 정정 복호화를 수행하고 화면을 재구성하는 디지탈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정 복호화에서 상기 동기 블럭의 에러를 검사해서 에러가 존재하면 전 프레임의 데이타를 선택하고, 에러가 없으면 현재 프레임의 데이타를 선택하는 에러 검사 단계; 상기 에러 검사 단계에서 선택된 동기 블럭으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세그먼트 형성 단계; 상기 세그먼트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세그먼트 부호들을 가변 길이 복호화하는 가변장 길이 복호화 단계; 상기 가변장 길이 복호화 단계에서 변속 재생인가를 검사해서 변속 재생인 경우 상기 동기 블럭내의 데이타를 처리하고, 변속 재생이 아닐 경우 데이타 연속성을 검사해서 연속성이 있으면 복수개의 동기 블럭간의 데이타를 처리하는 변속 재생 단계; 상기 변속 재생 단계를 수행하고 출력된 이산 코싸인 변환 데이타를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의 데이타로 변환하는 역 이산 코싸인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방법.
  4. 4개의 휘도 성분의 블럭과 2개의 색차 성분의 이산 코싸인 변환 블럭으로 이루어진 동기 블럭과 5개의 동기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세그먼트로 압축 부호화를 하여 기록한후 재생 과정에서 복조 및 에러 정정 복호화를 수행하고 화면을 재구성하는 디지탈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정 복호화에 의해 에러가 정정된 동기 블럭으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세그먼트 형성 단계; 상기 세그먼트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세그먼트 부호들을 가변 길이 부호화하는 가변장 길이 복호화 단계; 상기 가변장 길이 복호화 단계에서 변속 재생인가를 검사해서 변속 재생인 경우 상기 동기 블럭내의 데이타를 처리하고, 변속 재생이 아닐 경우 데이타 연속성을 검사해서 연속성이 있으면 복수개의 동기 블럭의 데이타를 처리하는 변속 재생 단계; 상기 변속 재생 단계를 수행하고 출력된 이산 코싸인 변환 데이타를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의 데이타로 변환하는 역 이산 코싸인 변환 단계; 상기 에러 정정 복호화에서 상기 동기 블럭의 에러를 검사해서 에러가 존재하면 전 프레임을 선택하고, 에러가 없으면 현재 프레임을 선택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구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방법.
KR1019950030080A 1995-09-14 1995-09-14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 및 방법 KR0165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0080A KR0165439B1 (ko) 1995-09-14 1995-09-14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 및 방법
EP96306595A EP0763935B1 (en) 1995-09-14 1996-09-11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video segment for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DE69619914T DE69619914T2 (de) 1995-09-14 1996-09-11 Anlage und Verfahren zur Wiedergabe von Videosegmenten für digitalen Videorecorder
JP8240406A JP3011260B2 (ja) 1995-09-14 1996-09-11 ディジタルビデオカセットレコ−ダのビデオセグメント再生装置及び方法
CN96122439A CN1079568C (zh) 1995-09-14 1996-09-14 再现数字盒式磁带录像机的视频段的装置和方法
US08/714,429 US6118921A (en) 1995-09-14 1996-09-16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video segment for a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0080A KR0165439B1 (ko) 1995-09-14 1995-09-14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488A KR970017488A (ko) 1997-04-30
KR0165439B1 true KR0165439B1 (ko) 1999-03-20

Family

ID=1942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0080A KR0165439B1 (ko) 1995-09-14 1995-09-14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18921A (ko)
EP (1) EP0763935B1 (ko)
JP (1) JP3011260B2 (ko)
KR (1) KR0165439B1 (ko)
CN (1) CN1079568C (ko)
DE (1) DE6961991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5149A1 (fr) 1999-07-07 2001-01-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sseur de signal reproduit
JP2004511970A (ja) * 2000-10-11 2004-04-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オーディオのピッチ歪みがないよう予め記録されたビデオを可変速度で再生するビデオ再生装置
US20030112366A1 (en) * 2001-11-21 2003-06-1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roving video quality delivered to a display device
US8014651B2 (en) 2003-06-26 2011-09-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PEG-2 decoder, method and buffer scheme for providing enhanced trick mode playback of a video stream
US20080165281A1 (en) * 2007-01-05 2008-07-10 Microsoft Corporation Optimizing Execution of HD-DVD Timing Markup
US8996963B2 (en) 2012-11-13 2015-03-31 Seagate Technology Llc Buffer management using side information
US8910026B2 (en) * 2012-11-13 2014-12-09 Seagate Technology Llc Data decoding using side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0844B2 (ja) * 1992-02-04 2003-01-0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伝送装置およびフレーム化方法
JP2962053B2 (ja) * 1992-06-25 1999-10-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
JP3191426B2 (ja) * 1992-07-24 2001-07-23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DE69417471T2 (de) * 1993-05-12 1999-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erät zur Aufzeichnung und Wiedergabe von Videosignalen
KR100289855B1 (ko) * 1993-07-12 2001-05-15 이데이 노부유끼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H089319A (ja) * 1994-06-23 1996-01-12 Sony Corp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方法、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3172643B2 (ja) * 1994-11-14 2001-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3156555B2 (ja) * 1995-08-23 2001-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修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488A (ko) 1997-04-30
EP0763935B1 (en) 2002-03-20
JPH09172610A (ja) 1997-06-30
EP0763935A2 (en) 1997-03-19
DE69619914D1 (de) 2002-04-25
CN1161544A (zh) 1997-10-08
CN1079568C (zh) 2002-02-20
JP3011260B2 (ja) 2000-02-21
US6118921A (en) 2000-09-12
EP0763935A3 (en) 1998-05-13
DE69619914T2 (de) 200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33947B1 (en) Encoder and decoder
US5649047A (en) Picture reproduction apparatus and picture decoding apparatus
US6167085A (en) Image data compression
KR0157665B1 (ko) 압축텔레비젼신호기록재생장치
US5532837A (en)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0165439B1 (ko)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면 구성 장치 및 방법
US5987183A (en) Image activity data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method and apparatus
JP2937664B2 (ja) ディジタルvtrのエラー訂正方法及び装置
JPH05260438A (ja) 可変速再生のためのディジタル磁気テープ記録再生方法
US5995149A (en) Image data compression
JPH0723333A (ja) 映像信号の記録および再生装置
US6108487A (en) Shuffle encoded video data recording and reproduction
JPH0723423A (ja) ディジタル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US6192182B1 (en) Digital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930089B2 (ja) 圧縮映像情報記録方法及び圧縮映像情報記録装置
KR100445497B1 (ko) 정보 수신 기록 재생 방법 및 정보 수신 기록 재생 장치
JP2720717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3849305B2 (ja) 画像信号再生装置及び方法
KR0155736B1 (ko) 디지탈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JPH07170485A (ja)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復号装置
KR0170666B1 (ko) 특정배속 트릭재생을 위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기록방법 및 기록장치
JPH1056613A (ja) 圧縮画像復号化装置
KR0147621B1 (ko) 제한임의배속 트릭재생을 위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기록방법 및 기록장치
JP2751828B2 (ja) 動画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H0795525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