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026B1 -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026B1
KR0165026B1 KR1019960012298A KR19960012298A KR0165026B1 KR 0165026 B1 KR0165026 B1 KR 0165026B1 KR 1019960012298 A KR1019960012298 A KR 1019960012298A KR 19960012298 A KR19960012298 A KR 19960012298A KR 0165026 B1 KR0165026 B1 KR 0165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deceleration
automatic
detection sensor
automatic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2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0657A (ko
Inventor
이항주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12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5026B1/ko
Publication of KR970070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0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16H61/0213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generating shift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4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machine speed of the machine, e.g.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1Providing engine brak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16H61/0213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generating shift signals
    • F16H2061/0234Adapting the ratios to special vehicle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 시스템에 관한것으로, 특히 자동변속기를 채용하고 있는 차량에 있어서 급감속시에 자동으로 변속제어 조건을 차별화하여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나타내는 다운 변속실행으로 급경사 하강 또는 비나 눈으로 노면이 미끄러운 경우에도 안정된 차량주행과 차량 정지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 시스템에 관한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브레이크 작동에 따라 감속신호를 발생하는 감속검출센서와, 주행차량의 자동변속기의 변속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변속상태 검출센서와, 상기 감속검출센서의 작동 개시에 응답하여 감속도가 기준설정치 이상으로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휠록이 발생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각 경우에 따른 급감속 변속선도에 따라 변속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자동변속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변속을 실행하는 자동변속 실행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 시스템에 관한것으로, 특히 자동변속기를 채용하고 있는 차량에 있어서 급감속시에 자동으로 변속제어 조건을 차별화하여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나타내는 다운 변속실행으로 급경사 하강 또는 비나 눈으로 노면이 미끄러운 경우에도 안정된 차량주행과 차량 정지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 시스템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변속기를 채용하고 있는 차량에서는 일정속도 이상으로 주행중에 급경사 하강 또는 비나 눈이 내려서 노면이 미끄러운 도로를 주행중에 급감속 또는 급제동을 하는 경우 급속한 저단변속에 의한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페달 작동에 의한 디스크(또는 드럼)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것보다 미끄러짐이 없는 안정된 차량주행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동변속기 차량에서는 변속레버의 선택에 따라 P(주차), R(후진), N(중립), D(전진), 2, L(저속) 중 어느 하나의 레인지를 선택하면 해당 레인지의 정해진 변선속도에 따라 변속이 이루어 진다.
예를들어, D레인지의 경우 제4도(a)와 같이 가속페달을 밟는 정도와 차속에 따라 1속↔2속↔3속으로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 진다. 이경우 D레인지에서는 스로틀 밸브의 열리는 정도와 관계없이 차는 항상 1속에서 발진하여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2속, 3속으로 업시프트(up shift) 된다. 또한 스로틀 밸브가 많이 열림에 따라 변속점도 높아진다. 그러나 차의 속도가 떨어지면 3속↔2속↔1속으로 자동적으로 다운 시프트(down shift) 된다.
한편 L레인지는 강한 엔진 브레이크를 필요로 하는 가파른 내리막 길이나, 급커어브가 연속되는 비탈길 등을 주행할 때 적합한 사용 모드로서 이경우 D레인지 또는 2레인지로 주행하다가, L레인지로 조작하면 그때 차의 속도가 약 50㎞/h 이상일 때는 2속으로 다운 시프트되고, 그 이하일 때는 1속으로 다운 시프트된다. 그러나 2속에서도 차의 속도가 내려가면 1속으로 다운 시프트되고, 그후 차의 속도가 빨라져도 2속으로 업 시프트는 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D레인지에서 L레인지로의 변속조작은 정해진 변속 선도에 따라 이루어 질 뿐이고 각 주행상황에 따른 정밀한 감속제어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더욱이 운전자는 습관적으로 D레인지에서 주행중에 급감속이 필요한 경우에는 감속폐달을 밟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급브레이크를 밟는 경우 정하여진 변속 패턴에 따른 변속이 수행되어지며, 대체로 풋브레이크에 의한 감속효과 밖에 얻을 수 없다.
따라서 ABS 차량의 경우에는 차속, 차중 및 풋브레이크의 제동력에 의거하여 감속되므로 전방에 상당히 위급한 상황이 벌어지거나 운전자가 상당한 정도의 감속을 원할 경우는 이에 부응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한편 일반적인 자동변속기 차량에서는 엔진 브레이크 효과의 방안으로서 O/D 오프나 홀드(Hold) 모드(별도의 변속패턴 포함)를 설정하거나, 'S', 'L'(또는 '2', 'L') 레인지를 설정하여 인위적인 엔진브레이크를 만들 수 있도록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운전자가 버튼이나 체인지 레버를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운전자가 당황하거나 미숙할 경우에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변속기를 채용하고 있는 차량에 있어서 급감속시에 자동으로 변속제어 조건을 차별화하여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나타내는 다운 변속실행으로 급경사 하강 또는 비나 눈으로 노면이 미끄러운 경우에도 안정된 차량주행과 차량 정지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 시스템에 대한 개략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변속제어 시스템의 급감속 제어 흐름도.
제3도는 제2도의 휠록판단에 대한 상세 흐름도.
제4도 (a)내지(c)는 평상시 변속선도, 휠록시및 휠록이 아닌 경우의 변속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BS 제어부 3 : 중력센서
5 : 자동변속 제어부 7 : 변속상태 검출센서
9 : 자동변속 실행 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레이크 작동에 따라 감속신호를 발생하는 감속검출센서와, 주행차량의 자동변속기의 변속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변속상태 검출센서와, 상기 감속검출센서의 작동 개시에 응답하여 감속도가 기준설정치 이상으로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휠록이 발생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각 경우에 따른 급감속 변속선도에 따라 변속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자동변속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변속을 실행하는 자동변속 실행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급제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급감속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차속판단에 기초하여 휠록유무를 판단하고 휠록상태 유무에 따라 적정변속 단수로 변속실행을 하여 제동장치에 의한 감속과 함께 엔진 브레이크 효과에 따른 효과적인 급감속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 시스템에 대한 개략 블록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변속제어 시스템의 급감속 제어 흐름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휠록판단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고, 제4도(a)내지 (c)는 평상시 변속선도, 휠록시 및 휠록이 아닌 경우의 변속선도이다.
먼저 제1도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속제어 시스템은 자동 변속 제어부(5)의 입력측에 자동변속기의 변속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변속레버 조작부에 설치된) 변속상태 검출센서(7)와, ABS(Antilock-Brake System) 제어부(1)의 출력이 접속되어 있고, ABS 제어부(1)의 입력에는 소정크기 이상의 급감속이 일어날 경우 작동되는 중력센서(3)가 접속되어 있고, 자동변속 제어부(5)의 출력측에는 자동변속 실행 제어부(9)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 시스템의 작용을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고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브레이크가 작동(ON)되는 경우(S1), 중력(G)센서(3)가 작동을 개시한다(S2). 이 중력센서(3)는 소정의 감속도(k) 이상으로 감속하는 경우 작동된다. 따라서 중력센서(3)가 작동되어(S3), ABS 제어부(1)로 부터 감속도 신호가 자동변속 제어부(5)로 입력될 경우 타이머를 작동개시 시킨다(S4).
이어서 소정시간(α), 예를들어 0.05초 간격으로 감속도(dV/dt)가 기준 감속도(k) 이상으로 유지되는지를 소정시간(β)(단,α β) 동안 모니터 한다(S5-S8).
판단결과 소정시간 이상 감속상태가 지속된 경우 변속상태 검출센서(7)로 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현 변속단수를 판단한다(S9). 그후 차속신호로 부터 차속을 판단한다(S10).
이어서 상기한 브레이크 작동 결과 휠록(Wheel Lock)이 일어났는지를 판단한다(S11).
상기한 휠록 발생 여부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브레이크가 작동한 경우(S21), 중력센서(3)가 작동을 개시하며(S22), 이러한 사항이 ABS 제어부(1)를 통하여 자동변속 제어부(5)에 인식되는 경우에는 차속을 판단하고(S23), 이에 기초하여 감속도(dV/dt)가 기준 급감속도(Q)(단, kQ) 보다 더 큰지를 판단한다(S24).
판단결과 만약 감속도(dV/dt)가 기준 급감속도(Q) 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휠록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S25), 그 반대인 경우 즉, 기준급감속도(Q) 보다 큰 경우에는 속도(V)가 R(R : 제로에 가까운 속도팩터)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여(S26), 만약 차속이 R 보다 작은 경우, 즉 엔진이 멈춘경우에는 휠록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S27),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22)로 진행하여 중력센서의 작동을 모니터 한다.
상기 단계(S11)에서 판단결과 휠록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4도(c)에 도시된 바와같은 자동변속기내의 토오크 컨버터의 록업 온 조건의 별도의 변속패턴을 형성하여 급감속 변속선도에 따라 적정 변속단수를 확인하고(S14), 3속록업(lock up) 상태에서 2속록업 상태로 변속을 실행하여(S15)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나타내게 한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그 반대인 경우 즉, 휠록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4도(b)에 도시된 급감속 변속선도와 같이 자동변속기 내의 토오크 컨버터의 록 업 오프 조건의 별도의 변속패턴을 형성하여 변속선도에 따라 적정 변속단수를 확인하고(S12), 3속 상태에서 2속 상태로 변속을 실행한다(S13).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급제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급감속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차속판단에 기초하여 휠록유무를 판단하고 휠록상태 유무에 따라 적정변속 단수로 변속실행을 하여 제동장치에 의한 감속과 함께 엔진 브레이크 효과에 따른 효과적인 급감속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브레이크 작동에 따라 감속신호를 발생하는 감속검출센서와, 주행차량의 자동변속기의 변속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변속상태 검출센서와, 상기 감속검출센서의 작동 개시에 응답하여 감속도가 기준설정치 이상으로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휠록이 발생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각 경우에 따른 급감속 변속선도에 따라 변속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자동변속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변속을 실행하는 자동변속 실행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검출 센서에서 입력된 감속도의 양을 우선적으로 판별하고 타이머의 작동에 의해 감속도의 시간을 모니터함으로써 급브레이크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자동 변속 제어 수단은 상기 변속 상태 검출 센서로 부터 차속과 변속 단수를 확인한 후 감속도의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이고, 실제 차속이 일정 수준 이하일때를 조건으로 휠록 여부를 판단하여, 휠록일 경우에는 자동변속기내의 토오크 컨버터의 록업 오프 조건의 별도의 변속패턴을 형성하여 엔진스톱을 예방하고, 휠록이 아닐 경우에는 록업 온 조건의 별도의 변속패턴을 형성하여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발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시스템.
KR1019960012298A 1996-04-22 1996-04-22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시스템 KR0165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298A KR0165026B1 (ko) 1996-04-22 1996-04-22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298A KR0165026B1 (ko) 1996-04-22 1996-04-22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657A KR970070657A (ko) 1997-11-07
KR0165026B1 true KR0165026B1 (ko) 1998-12-15

Family

ID=1945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2298A KR0165026B1 (ko) 1996-04-22 1996-04-22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50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657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336629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11064330A (ja) 自発的な燃料/ペダルオフ時の自動車の自動変速機を制御する方法
JP4903828B2 (ja) 自動変速を有した乗り物に実現するために意図された、滑りやすい地面を検出する方法
KR970007726B1 (ko) 급제동시의 제동거리 단축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S60146948A (ja) 自動変速制御装置
KR0165026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시스템
JPH08105538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003166632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394082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100282890B1 (ko) 자동변속기의변속제어방법
JPS63170529A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2561151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164416B2 (ja) 自動変速機のエンジンブレーキ制御装置
JPS6136046A (ja) 制動油圧保持装置の作動解除方式
KR970044795A (ko) 엔진 브레이크 자동 구동장치 및 방법
KR0180356B1 (ko) 급감속시의 시프트 패턴 변경에 의한 엔진 브레이크 장치 및 그 방법
KR0152674B1 (ko) 자동변속 차량의 다운힐 모드시 변속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80436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경사로 출발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90356B1 (ko) 자동변속기차량의브레이킹시변속제어방법
KR0158150B1 (ko) 자동변속 차량의 감속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45448A (ko)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0181459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내리막길 헌팅 방지 방법
KR100401600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0150041B1 (ko) 자동 변속기의 엔진 브레이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828696A (ja) 降坂路における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