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791B1 - 비디오엔코더의 비정상 상태판별 및 자동 복구회로 - Google Patents

비디오엔코더의 비정상 상태판별 및 자동 복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791B1
KR0164791B1 KR1019950030108A KR19950030108A KR0164791B1 KR 0164791 B1 KR0164791 B1 KR 0164791B1 KR 1019950030108 A KR1019950030108 A KR 1019950030108A KR 19950030108 A KR19950030108 A KR 19950030108A KR 0164791 B1 KR0164791 B1 KR 0164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encoder
clock
circuit
clock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0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598A (ko
Inventor
권오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30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791B1/ko
Publication of KR970019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7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1/00Details of pulse counters or frequency dividers
    • H03K21/08Output circuits
    • H03K21/10Output circuits comprising logic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1/00Details of pulse counters or frequency dividers
    • H03K21/38Starting, stopping or resetting the cou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화상회의시스템의 비디오엔코더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비디오엔코더의 비정상 상태를 정확히 판별하여 자동으로 복구 가능하게 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송신버퍼를 구비한 화상처리시스템의 비디오엔코더 비정상 상태판별 및 자동복구회로에 있어서, 송신할 데이타를 상기 송신버퍼에 기록하기 위한 제1클럭을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제1클럭을 소정 분주한 제2클럭을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제2클럭을 반전시켜 상기 제2클럭과 역상인 클럭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2클럭과 상기 제3클럭의 펄스 폭동안 입력되는 상기 제1클럭의 갯수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된 제1클럭의 갯수에 따라 상기 비디오엔코더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비디오엔코더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상태판별 및 복구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화상회의시스템의 비디오엔코더에서 발생하는 비정상 상태를 판별하여 자동으로 복구하게 하는 데에 이용한다.

Description

비디오엔코더의 비정상 상태판별 및 자동 복구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화상회의시스템의 부호기의 구성도.
제2도는 일반적인 화상회의시스템의 복호기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엔코더의 상태 판별 및 자동 복구회로의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중 상태판별기의 구체 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카운터 52, 53 : 래치
54 : 제1비교부 55 : 상태판별기
56 : 인버터 61 : 제2비교부
62 : 디플립플롭 64 : 인버터
66 : 앤드게이트 CLK : 클럭
RST : 리셋신호 INTR : 인터럽트신호
본 발명은 화상회의시스템에 있어서 비디오엔코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엔코더의 비정상 상태를 판별하여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화상 통신을 하는 화상전화기 또는 화상회의시스템은 제1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제1도는 일반적인 화상회의시스템의 부호기의 구성도로서, 화상부호화기 15와 엔트로피부호화기(다중부호화기) 16을 합하여 비디오엔코더 140이라 통칭한다. 이러한 비디오엔코더로 140으로는 하드 와이어드 로직(hard wired logic)으로 구현한 칩셋(chipset)들과 하나 혹은 다중의 RISC 혹은 디지탈신호처리기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칩셋들이 있다.
상기 제1도에 따르면, 입력영상신호(II)는 전처리기 120으로 입력되어 시간, 공간 필터링됨으로써 세계 공통의 포맷(common intermediate format)으로 변환된다 상기 전처리기 120은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11과 NTSC/CIF변환부 13 및 프리필터14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아날로그 형태의 입력영상신호(II)는 우선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11에서 디지탈 형태로 변환된 후 NTSC/CIF변환부 13을 거쳐 포멧이 변화되고 프리필터 14를 통과하면서 잡음이 제거된다. 비디오엔코더 140은 상기 전처리된 데이타를 가지고 허용된 범위내의 일그러짐을 갖도록 입력 영상신호(II)로부터 중복성 정보를 제거함으로써 정보의 감축을 꾀한다. 상기 비디오엔코더의 출력은 송신버퍼 17에 저장된다. 상기 송신버퍼 17로부터 492비트씩 읽혀진 데이타는 오차정정부 20에서 BCH 코딩된다. 전송프레임발생부 21에서는 상기 오차정정된 화상데이타와 소정의 처리를 거쳐 제공되는 음성부호 및 데이타를 합성하여 전송프레임으로 만들어 전송한다.
한편, 상기 음성부호는 아날로그형태의 음성입력(VI)을 아날로그/디지탈변환부 12에서 디지탈화하여 음성부호화부 18에서 부호화한 후 지연부 19를 거쳐 소정 시간동안 지연된 다음 상기 전송프레임발생부 21로 제공되는 것이고, 상기 데이타는 데이타입력(DI)을 그대로 상기 전송프레임발생부 21로 제공한 것이다.
이렇게 송화자의 비디오엔코더가 인가되는 화상데이타를 코딩할 때 입력되는 동기신호, 데이타의 소실, 과다 또는 비정규적인 인터럽트, 소프트웨어의 불안정등으로 인해 비정상 상태에 빠질 경우에는 상기 송신버퍼 17에 허프만 엔코딩(Huffman Encoding) 데이타를 기록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오차정정부 20에는 상기 송신버퍼 17에 저장된 데이타가 없으므로, 필(fill) 데이타를 출력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전송프레임발생부 21에서는 화상부분의 데이타로 필 데이타 '1'을 채워서 다중화데이타 MD0로서 출력한다.
제2도는 일반적인 화상회의시스템의 복호기의 구성도로서, 엔트로피복호화기(다중복호화기) 36과 화상복호화기 35를 합하여 비디오디코더 200이라고 통칭한다. 상기 비디오디코더 200 또한 하드 와이어드 로직으로 구현한 칩셋들과 하나 혹은 다중의 RISC 혹은 디지탈신호처리기(DSP)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칩셋들이 있다. 전술한 비디오엔코더 140과 상기 비디오디코더 200을 하나의 칩에 집적한 비디오코덱 칩셋들도 있다.
상기 제2도에 따르면, 수화자 복호기의 전송프레임분해부 41은 수신되는 다중화데이타 MDI는 전송프레임을 화상, 음성, 데이타로 분해한다. 그리고 화상데이타 부분만 오차정정부 40에 인가한다. 상기 오차정정부 40은 수신된 데이타를 분석하여 필 데이타 '1'일 경우 수신버퍼 37에 저장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송화자의 비디오엔코더가 오동작하게 되면 이와 같이 수화자의 모니터 화상이 정지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때 사용자는 송화자의 장치, 수화자의 장치, 교환기, 주제어유(MCU) 및 통신선로 가운데 어느 장치가 오동작을 일으켰는지 모른다. 그래서 음성통화는 정상적으로 계속 수행되고, 화상통화의 선로도 접속되어 있어서 회선요금이 계산된다. 이와 같이 회선요금이 계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화상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엔코더의 비정상 상태를 정확히 판별하여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신버퍼를 구비한 화상처리시스템의 비디오엔코더 비정상 상태판별 및 자동복구회로에 있어서, 송신할 데이타를 상기 송신버퍼에 기록하기 위한 제1클럭을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제1클럭을 소정 분주한 제2클럭을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제2클럭을 반전시켜 상기 제2클릭과 역상인 클럭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2클럭과 상기 제3클럭의 펄스 폭동안 입력되는 상기 제1클럭의 갯수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된 제1클럭의 갯수에 따라 상기 비디오엔코더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비디오엔코더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상태판별 및 복구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할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엔코더의 상태체크회로의 구성도이다. 카운터 51로 제공되는, 제5도의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클럭 CLK1은 송신버퍼 17로 기록할 때 필요한 클럭이다. 제1 및 제2래치 52, 53으로 각각 제공되는, 제5도의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럭 CLK2와은 서로 역상으로, 예를 들어 송신버퍼 17의 용량을 모두 읽어갈 정도의 폭으로 하면 된다. 구체적으로, 2Hz의 경우 1초에 2번 다음과 같은 비교동작이 실시되게 하는 것이다.
제1비교부 54는 제1 및 제2래치 52, 53에 각각 저장하고 있는 값, 즉 제2클럭 CLK2의 에지에서 트리거링(triggering)된, 제5도의 (5E)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값 A[7..0]과 반전된 제2클럭의 에지에서 트리거링된, 제5도의 (5F)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값 B[7..0]을 비교하여, 동일하면 제5도의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진수로 255를 출력하고 다르면 250, 240등과 같은 차이값 S[7..0]을 상태 판별기 55로 인가한다.
상기 비교기 54의 출력 데이타 S[7..0]는 제2클럭 CLK2와 제5도의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클럭 CLK3의 펄스 폭(pulse width)동안 상기 카운터 51로 인가되는 제1클럭 CLK1의 갯수 만큼의 값이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3클럭 CLK3는 시스템 리셋 또는 인터럽트 요구를 위한 시스템 클럭이다.
그런데 만약 비디오엔코더 140이 비정상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면 압축한 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을 것인 바, 송신버퍼 17로 기록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태판별기 55는 상기 비교부 54의 출력값 S[7..0]으로 상기 비디오엔코더 140이 정상 상태인지 아니면 비정상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비디오엔코더 140이 하드 와이어드 로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리셋신호 RST를 발생하여 상기 비디오엔코더 140을 다시 초기화시키고, 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있으면 리셋 RST 또는 높은 우선 순위의 인터럽트 INTR를 요구하여 초기화시킨다. 상기 리셋신호 RST 혹은 인터럽트신호 INTR은 제5도의 (5I)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4도는 제3도중 상태판별기 55의 구체회로도로서, 제1비교부 54의 출력값 S[7..0]을 255와 비교하여 같으면 1을 출력하고 다르면 0을 출력하는 제1로직과 상기 제1로직의 출력이 0에서 1로 천이되는 시점을 검출하는 제2로직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비교부 61에서 제1비교부 54의 출력값 S[7..0]을 255와 비교하여 같으면 1을 출력하고 다르면 0을 출력하도록 하여 제5도의 (5H)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펄스 파형 COMP-OUT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펄스 파형 COMP-OUT을 제3클럭 CLK3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디플립플롭 62의 입력단자에 제공하여 사이 디플립플롭 62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인버터 64에서 반전시킨다. 상기 반전된 신호는 앤드게이트 66으로 입력되어 다른 단자로 입력되는 상기 펄스 파형 COMP-OUT과 논리곱됨으로써 상기 펄스 파형 COMP-OUT이 0에서 1로 천이되는 시점을 검출하여 제5도의 (5I)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럽트 INTR(혹은 리셋신호 RST)을 출력한다. 여기서 십진수 255는 상기 제1비교부 54가 두입력이 동일하면 출력 비트가 모두 1이 되는 8비트 비교기일 경우를 가정한 숫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비디오엔코더의 비정상 상태를 정확히 판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송신버퍼를 구비한 화상처리시스템의 비디오엔코더 비정상 상태판별 및 자동 복구회로에 있어서, 송신할 데이타를 상기 송신버퍼에 기록하기 위한 제1클럭을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제1클럭을 소정 분주한 제2클럭을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제2클럭을 반전시켜 상기 제2클럭과 역상인 클럭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2클럭과 상기 제3클럭의 펄스 폭동안 입력되는 상기 제1클럭의 갯수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된 제1클럭의 갯수에 따라 상기 비디오엔코더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비디오엔코더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상태판별 및 복구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엔코더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신호가 인터럽트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3. 송신버퍼를 구비한 화상처리시스템의 비디오엔코더 비정상 상태판별 및 자동복구회로에 있어서, 송신할 데이타를 상기 송신버퍼에 기록하기 위한 제1클럭을 일정 주기동안 카운트하는 카운트수단과, 상기 제1클럭을 소정 분주한 제2클럭에 동기되어 상기 카운트수단에 의해 카운트된 값을 래치하는 제1래치수단과, 상기 제2클럭과 역상인 클럭에 동기되어 상기 카운트수단에 의해 카운트된 값을 래치하는 제2래치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래치수단에 래치된 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데이타를 출력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데이타를 분석하여 비디오엔코더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비디오엔코더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상태판별 및 복구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판별 및 복구수단이, 상기 비교데이타를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같으면 1을 출력하고 다르면 0을 출력하는 제1로직과, 상기 제1로직의 출력이 0에서 1로 천이되는 시점을 검출하여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제2로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n비트의 제1 및 제2래치수단에 래치된 값이 동일할 때 발생되는 n비트 비교데이타의 모든 비트가 1인 경우의 십진수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이 8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7. 제3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엔코더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신호가 인터럽트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1019950030108A 1995-09-14 1995-09-14 비디오엔코더의 비정상 상태판별 및 자동 복구회로 KR0164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0108A KR0164791B1 (ko) 1995-09-14 1995-09-14 비디오엔코더의 비정상 상태판별 및 자동 복구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0108A KR0164791B1 (ko) 1995-09-14 1995-09-14 비디오엔코더의 비정상 상태판별 및 자동 복구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598A KR970019598A (ko) 1997-04-30
KR0164791B1 true KR0164791B1 (ko) 1999-03-20

Family

ID=1942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0108A KR0164791B1 (ko) 1995-09-14 1995-09-14 비디오엔코더의 비정상 상태판별 및 자동 복구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47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516B1 (ko) * 2008-04-24 2010-03-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코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516B1 (ko) * 2008-04-24 2010-03-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코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598A (ko)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2979A (en) Synchronous circuit
KR0164791B1 (ko) 비디오엔코더의 비정상 상태판별 및 자동 복구회로
US4974225A (en) Data receiver interface circuit
US5510786A (en) CMI encoder circuit
US54519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tability of a digital component video signal
JPH1013238A (ja) 復号化装置およびその復号方法
US5892465A (en) Decoding apparatus and decoding method
JPH08265368A (ja) 送信元識別装置及び送信元識別方法
JPH01292927A (ja) データ伝送方式
JP2627890B2 (ja) デコード回路
JP4387488B2 (ja) オーバフロー保護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伝送装置
CA1336103C (en) Data receiver interface circuit
US58704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end of serial bit stream
JPS61263326A (ja) フレ−ム同期検出方法
JP2576526B2 (ja) 入出力信号監視回路
KR0174601B1 (ko) 전자식 교환시스템의 잡음제거회로
JPS6024797A (ja) 符号誤り検出方式
WO1994010801A1 (en) Input clock presence detector for a digital video input signal
JP2751271B2 (ja) ディジタル送受信装置
KR0149720B1 (ko) 맨체스터 디코더
JP2003188730A (ja) Cmi符号の符号化および復号化方法、cmi符号化回路、およびcmi復号化回路
JPS58218233A (ja) 音声デ−タ混合伝送方式
JPS60152155A (ja) 符号化方式
JPH03192932A (ja) フレーム構成方法と複号化装置
JPS58213552A (ja) 信号の解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