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419B1 -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419B1
KR0163419B1 KR1019890014822A KR890014822A KR0163419B1 KR 0163419 B1 KR0163419 B1 KR 0163419B1 KR 1019890014822 A KR1019890014822 A KR 1019890014822A KR 890014822 A KR890014822 A KR 890014822A KR 0163419 B1 KR0163419 B1 KR 0163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tape
support
tape according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4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000A (ko
Inventor
마사아키 아라카와
히데히코 무라타
다카아키 모리야마
가즈오 스에나가
Original Assignee
가마이 고로
닛토덴코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마이 고로, 닛토덴코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마이 고로
Publication of KR900006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on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 C09J2400/263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dhesive Tap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점착테이프
제1도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의 실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지지체의 폭방향 압축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지지체 1 : 제1층
2 : 제2층 3 : 점착층
본 발명의 의료용, 위생용 등의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며, 특히 종이 기저귀의 정착고정용 패스너 테이프(fastener tape)나 생리대 등의 어긋남 방지테이프로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위생용 등의 점착테이프는 인체에 접촉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피부에 발적(發赤), 염증 및 열상(熱傷) 등이 생기지 않도록 촉감과 부드러움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망에 따라, 테이프 지지체에 여러 가지 개량이 시도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테이프 지지체로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종 또는 2종 이상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한 점과 점착테이프가 알려져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소)63-112704호).
그러나, 이러한 테이프에서는 염증과 열상의 발생은 개선되지만, 발적에 대하여는 불충분하며, 또한 테이프 제조시의 가공성도 고려하였기 때문에 비교적 단단하고 피부촉감이 나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부드러움과 강성의 양 특성을 구비하며, 따라서 피부에 온순한 동시에 취급성이나 가공성이 우수한 의료용, 위생용 등의 점착테이프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열가소성 에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제1층과 플라스틱 필름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2층과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지지체와 당해 지지체의 한 면 이상에 형성된 점착층을 갖는 의료용 또는 위생용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지지체를 구성하는 제1층은 열가소성 에리스토머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탄성 필름이며, 압축 영구 비틀림이 5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내지 60%인 동시에 쇼어 경도가 A20 이상 D70 이하, 바람직하게는 A40 내지 A90인 열가소성 에라스토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압축영구 비틀림이란 JIS K 6301에 준하여 압축율 25%. 70℃, 22시간에서 측정한 것이다. 또한, 쇼어 경도란 ASTM D 2240에 준하여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압축 영구 비틀림과 쇼어 경도치를 위의 범위로 함으로써, 목적하는 점착테이프의 부드러움과 강성을 수득할 수 있다.
열가소성 에라스토머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경질 세그멘트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이고 연질 세그멘트가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 에틸레 프로필렌 모노머등인 플리올레핀계; 경질 세그멘트가 폴리스틸렌이고 연질 세그멘트가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및 수첨(水添) 부타디엔 고무 등인 폴리스틸렌계; 경질 세그먼트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등이고 연질 세그멘트가 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또는 디옥실 프탈레이트 등의 가소제 또는 NBR, 부분 가교 NBR 등의 폴리머 블렌드, 변성 PVC 등의 고무질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계; 경질 세그멘트가 폴리에스테르이고 연질 세그멘트가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인 폴리에스테르계; 경질 세그멘트가 폴리우레탄이고 연질 세그멘트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인 폴리우레탄계; 경질 세그멘트가 블록형 염소화 폴리에틸렌이고 연질 세그멘트가 랜덤 염소화 폴리에틸렌인 염소화 폴리에틸렌계 등이며,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층으로서 열가소성 에라스토머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수지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탄성 필름을 사용하여 제2층과의 접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도 있다.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통상 5%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열가소성 수지란 결정성인 동시에 상온(20℃)에서의 저장탄성율(G')이 108이상이며 상온(20℃)에서 고무탄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의 열가소성 에라스토머와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비는 통상 1:9내지 9:1, 바람직하게는 5:5내지 1:9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층으로서, 특히 다음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 또는 이것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와의 혼합믈로 이루어진 탄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B-A)n
상기식에서,
A는 폴리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등의 모노비닐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의 중합체 블록이고,
B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등의 공액 디엔의 에라스토머성 중합체 블록이며,
n은 1내지 4이고,
A와 B의 중량비는 10/90내지 50/50이다.
당해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은 30,000내지 300,000정도이고, 수소 첨가량은 디엔 성분(B성분)에 대하여 70 내지 95%정도이다.
공액 디엔 폴리머를 수소첨가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이클로헥산등의 불활성 탄화수소 용매에 당해 폴리머를 용해시키고, 알킬 알루미늄 등의 촉매를 사용하여 환원시킨 코발트 또는 니켈 등을 첨가하고, 통상 25 내지 50℃에서, 예를 들면 5내지 40kg/cm2의 수소압력하에서 10내지 60분 정도 반응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한, 당해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과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를 5내지 100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층으로서는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수지 1종 또는 2종 이상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열가소성 수지와 폴리프로필렌과의 중량비는 0:10내지 9:1, 바람직하게는 4:6내지 6:4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열가소성 수지란 결정성인 동시에 상온(20℃)에서의 저장탄성율)G')이 108이상이며 상온(20℃)에서 고무탄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2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계, 나일론계 또는 폴리올레핀계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평량이 적어도 20g/m2이상인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부직포에 압력이나 열을 강하여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층은, 제1층과 강고하게 접합하는 동시에 유연성과 강인성을 겸비한 지지체를 달성하기 위해, 제1층의 유연성을 손상하지 않고 제1층을 보강할 수 있도록 강인하고 강성이 있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이러한 부직포의 한 면 또는 양면에 1내지 100㎛정도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적층시켜, 제1층의 열가소성 에라스토머와 후술하는 점착제가 이행(移行)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지지체는 제1층과 제2층의 적층 구조, 즉 2층 구조 또는 3층 구조 이상이다. 지지체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10㎛내지 1mm이고, 또한 제1층과 제2층의 두께비는 통상 1:1내지 1,000이다.
또한, 지지체의 적어도 한 면에 설치되어 있는 점착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계, 고무계 및 스티렌계 등의 통상적인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그 두께는 5내지 500㎛ 정도로 한다. 이러한 점착층은 지지체의 제2층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테이프를 사용할 때 제1층이 표면에 배치되어 피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촉감이 우수하다.
또한 지지체의 적어도 다른 면에는 장쇄 알킬계 또는 실리콘계 등의 배면처리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는 폭방향 압축강도가 200g/mm2이하,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g/mm2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유연성과 강성이 적당한 점착테이프가 수득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폭방향 압축강도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방법으로 구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의 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A는 제1층과 그 아랫면에 적층된 제2층(2)로 이루어진 지지체이고, 이러한 제2층(2)쪽에 점착층(3)이 설치되어 있다. (4)는 지지체 A의 다른 면에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이형박리층이다.
제2도 내지 제7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서 제1층(1)을 제2층(2)의 측면부까지 덮은 구성을 나타내고, 제2층(2)의 측면부도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3도는 제2층(2)의 양면에 제1층(1)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3층 구조의 지지체 A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를 나타낸다.
제4도는, 테이프 폭의 약 1/2은 제1도와 동일한 구조로 하고, 다른 1/2은 제2층(2)의 아랫면에 제1층(1)을 적층한 지지체 A의 윗면에 점착층(3)을 설치한 구조로 하는 동시에 양면에 약간의 단차(段差)를 만든 구조로 함으로써, 이것을 반으로 접어서 로울 상태로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5도는 제1층(1)과 제2층(2)로 이루어진 지지체 A의 테이프 폭의 약 1/2의 아랫면에 점착층(3)을 설치하고, 윗면에 이형 박리층(4)을 설치한 구조이며, 나머지 1/2은 당해 구조와 대칭적인 구조로 한 것이다.
제6도는 제1층(1)의 양면에 제2층(2)을 적층시켜 이루어진 3층 구조의 지지체 A를 사용한 점착테이프를 나타낸다.
제7도는 제1층(1)과 그 아랫면에 부직포(5)를 적층한 구조의 지지체 A의 한면에 폴리 에틸렌 필름(6)을 개재시켜 점착층(3)을 설치한 것이다.
제8도는 후술하는 폭방향 압축강도의 측정방향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층은 제2층 위에 요철상 또는 줄무늬상, 격자상 등을 부분적으로 만들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각 층을 함께 압출하는 방법, 압출도공(塗工)법, 열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적층법, 용제도공법 등으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지지체를 제1층과 제2층의 적층구조로 함으로써, 유연성이 있고 피부와 접촉해도 촉감이 부드러우며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더구나 적당한 강성이 있기 때문에 취급성이나 가공성이 우수하다. 또한 제1층을 표면에 배치함으로써 촉감이 우수하며, 또한 표면 마찰이 크기 때문에 테이프를 쉽게 파지(把持)하는 등의 이점이 있다.
[실시예]
다음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내지 12]
제1층과 제2층의 소재로서 각각 표1에 기재한 재료를 사용하여 탄성 필름과 플라스틱 필름을 만들고 양자를 200℃에서 T-다이로 2층 동시압출법으로 2층 필름을 수득한다.
이어서, 당해 2층 필름을 플라스틱 필름면에 점착층을 설치하여 점착테이프를 수득한다.
또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는 압출도공법으로 제1층을 부직포 위에 형성하고, 부직포의 다른 면에 점착층을 설치하여 점착 테이프를 수득한다.
[비교실시예 1내지 4]
제1층을 사용하지 않는 이외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테이프를 수득한다.
실시예와 비교실시예에서 수득한 테이프의 특성을 다음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제2표에 기재한다.
[폭방향 압축강도]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의 2층 필름 A(65mm x 25mm)를 길이 방향으로 말아서 크레이프(직경 20mm)를 만든다. 이러한 크레이프를 압축기 위에 놓고, 23℃, 65% RH의 분위기 하에서 위로부터 10mm/min으로 압축시켜 크레이프가 찌그러지기 시작하는 때의 최대 압축강도를 구하고, 이것을 지지체의 두께로 나누어서 폭방향 압축강도로 한다.
[심의 강도, 유연성, 촉감 및 파지 용이성]
점착테이프를 종이 기저귀의 정착고정용 테이프로서 사용한 기저귀를 유아 20명에게 사용한 경우의 관능 평가를 다음 기준으로 실시한다.
Figure kpo00002
[피부 발적율]
점착테이프를 종이 기저귀의 정착고정용 테이프로서 사용한 기저귀를 유아 20명에게 사용한 경우의 피부 발적육을 측정한다.
[종합평가]
위의 평가 결과를 근거로 종합평가를 실시한다.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표1에서 재료의 상세한 내역은 다음과 같다.
(a) 에틸렌 프로필렌 에라스토머(스미토모카가쿠코교 제품, TPE 1500)
압축 영구 비틀림(%) 51
쇼어 경도 A61
(b) 스틸렌-부타디엔계 블럭 공중합체(쉘 제품, 칼리프렉스 TR-1102)
압축영구 비틀림(%) 30 내지 50
쇼어 경도 A62
스티렌/부타디엔 중량비 28/72
(c)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C(쉘 제품, 클레이톤 G-1652)
압축영구 비틀림(%) 30내지 50
쇼어 경도 A75
스티렌/고무 중량비 29/71
C(쉘 제품, 클레이톤 G-1657)
압축영구 비틀림(%) 30내지 50
쇼어 경도 A65
스티렌 고무 중량비 14/86
(d) 폴리에스테르계 에라스토머(도요보세키 제품, P-40H)
압축영구 비틀림(%) 50
쇼어 경도 D38
(e) 우레탄계 에라스토머(다이닛뽄잉크 제품, 반덱스T-5010)
압축영구 비틀림(%) 30
쇼어 경도 D53
(f) 비닐 클로라이드계 에라스토머(스미토모벡크라이트 제품, 스미프렉스)
압축영구 비틀림(%) 47
쇼어 경도 A62
(g) 폴리에틸렌(닛뽄유니카 제품, NUCG-5220)
MI(dg/min) 2.0
밀도(g/m ) 0.919
(h) 폴리프로필렌(미쓰이세키유카가쿠 제품, 하이볼 B-230)
MFR(g/10min) 0.5(ASTM D1238)
밀도(g/m ) 0.91
(i)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미쓰이세키유카가쿠 제품, 에바프렉스 EV-360)
비닐 아세테이트 함유량 25%
MI(dg/min) 2.0
밀도(g/m ) 0.94
(j) 초저밀도 폴리에틸렌[미쓰비시유카 제품, 유카론 셀(YUKALON SELL) X-139]
MFR(g/10min) 2(JIS K 6760)
밀도(g/m ) 0.90
(k) 폴리에틸렌 (닛뽄유니카 제품, NUCG-5220)
MI(dg/min) 2.0
밀도(g/m ) 0.919
(l)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닛뽄세키유카가쿠 제품, V-141)
MFR(g/10min) 0.3(JIS K 6760)
밀도(g/m ) 0.929
(m)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닛뽄세키유카가쿠 제품, 소프트렉스(SOFTREX) C-9001]
MFR(g/10min) 0.5(ASTM D 1238)
밀도(g/m ) 0.90
(n) 폴리프로필렌
(h)와 동일.

Claims (10)

  1. 열가소성 에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제1층과 플라스틱 필름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2층과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지지체(a)와 당해 지지체의 한 면 이상에 형성된 점착층(b)을 포함하며 지지체의 폭방향 압축강도가 200g/mm2이하인 점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제1층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에라스토머가 이의 25% 압축 영구 비틀림이 5내지 100%인 동시에 경도가 쇼어 A20 이상 쇼어 D70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제1층이 폴리올레핀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계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에라스토머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성 필름인 점착 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제1층이 열가소성 에라스토머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수지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탄성 필름인 점착 테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제1층이 다음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블럭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로 이루어진 탄성 필름인 점착 테이프.
    A-(B-A)n
    상기식에서, A는 모노비닐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의 중합체 블럭이고, B는 공액 디엔의 에라스토머성 중합체 블럭이며, n은 1내지 4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제1층이 다음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첨가제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탄성 필름인 점착 테이프.
    A-(B-A)n
    상기식에서, A는 모노비닐 치환 방향족 탄화 수소의 중합체 블록이고, B는 공액 디엔의 에라스토머성 중합체 블록이며, n은 1내지 4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제2층이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수지 1종 또는 2종 이상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필름인 점착 테이프.
  8. 제1항에 있어서, 제2층이 폴리에스테르계, 나일론계 또는 폴리올레핀계로 이루어진 부직포인 점착 테이프.
  9. 제1항에 있어서, 점착층이 지지체의 제2층 쪽에 설치되어 이루어진 점착 테이프.
  10. 제1항에 있어서, 지지체의 점착층쪽의 반대편에 이형박리층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점착 테이프.
KR1019890014822A 1988-10-18 1989-10-16 점착 테이프 KR0163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135859 1988-10-18
JP13585988 1988-10-18
JP135,859/88 1988-10-18
JP89-41040 1989-04-06
JP41,040/89 1989-04-06
JP4104089 1989-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000A KR900006000A (ko) 1990-05-07
KR0163419B1 true KR0163419B1 (ko) 1998-12-15

Family

ID=2638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4822A KR0163419B1 (ko) 1988-10-18 1989-10-16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723308B2 (ko)
KR (1) KR0163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493B1 (ko) * 2003-07-25 2008-01-10 주식회사 화승 인더스트리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0530U (ko) * 1990-03-14 1991-12-11
JP3422609B2 (ja) * 1995-11-14 2003-06-30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4312A (en) * 1976-06-23 1977-05-17 Johnson & Johns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ving extensible and elastic backing composed of a block copolymer
ZA873791B (en) * 1986-06-11 1989-01-25 Minnesota Mining & Mfg Dispensable tapes
JPS6334105U (ko) * 1986-08-20 1988-03-0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493B1 (ko) * 2003-07-25 2008-01-10 주식회사 화승 인더스트리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23308B2 (ja) 1998-03-09
JPH0347884A (ja) 1991-02-28
KR900006000A (ko) 199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4281A (en) Adhesive tapes for medical or sanitary use
US5308695A (en) Adhesive tapes for medical or sanitary use
EP2242465B1 (en) Elastomeric materials
EP1870233B1 (en) Elastic film exhibiting low tensile force properties in the machine direction
EP2106343B1 (en) Elastomeric laminate materials that do not require mechanical activation
EP2969529B1 (en) Absorbent articles with multilayer laminates
TWI277407B (en) Elastic closure tab
EP0375862B1 (en) Adhesive tapes for medical or sanitary use
JP6730289B2 (ja) 引裂抵抗を増大させたエラストマーフィルム
KR0163419B1 (ko) 점착 테이프
JP2000117917A (ja) 積層体及び皮膚貼付材
JP2001061953A (ja) 貼付材用フィルム
CN113727852A (zh) 多层共挤出膜和包括该多层共挤出膜的制品
JP3950269B2 (ja) 貼合用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貼合品
JPH09319308A (ja) 耐ブロッキング性に優れた金属製エンドシールラベル及びそれを有する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JPH0759839A (ja) 救急絆創膏用フィルム
KR20070121595A (ko) 기계 방향으로 저 인장력 특성을 나타내는 탄성 필름
MXPA00003541A (en) Anisotropic elastic films and we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