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493B1 -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 - Google Patents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493B1
KR100792493B1 KR1020030051562A KR20030051562A KR100792493B1 KR 100792493 B1 KR100792493 B1 KR 100792493B1 KR 1020030051562 A KR1020030051562 A KR 1020030051562A KR 20030051562 A KR20030051562 A KR 20030051562A KR 100792493 B1 KR100792493 B1 KR 100792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surface protection
nonwoven fabric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2567A (ko
Inventor
박영준
유연준
양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승 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승 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승 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030051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493B1/ko
Publication of KR20050012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5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f the release l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판 및 평판 디스플레이용 유리를 비롯한 각종 산업용 기자재 등의 기물(機物)의 표면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표면 보호용 필름의 구조를 다층화 하여 일측에는 이형층으로서 부직포층이, 타측에는 점착층으로서 압출코팅층이 형성되게 하는 것에 의해 각종 기자재에 점착되어 그 표면 보호는 물론 이형성 및 분리성을 갖게 하여 다수의 기물을 표면 보호 상태로 적층, 분리하는 경우 적층되는 면과 면 사이에 별도의 간지(間紙) 등의 완충재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이형성 및 분리성이 확보되게 한 것으로, 각종 기물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용 필름(A)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용 필름(A)을 이루는 필름본체(4)의 일측에는 접착층(3)을 개재하여 이형재로서의 부직포층(1)이 부착설치 되게 하고, 상기 필름본체(4)의 타측에는 점착층으로서의 압출코팅층(2)이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이다.
표면보호, 필름본체, 접착층, 부직포, 압출코팅

Description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Protective film for surface of mechanical good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의 대표적인 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의 다른 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부직포층 2: 압출코팅층 3: 접착층
4: 필름본체
본 발명은 기물(機物) 표면 보호용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판 및 평판 디스플레이용 유리를 비롯한 각종 산업용 기자재 등의 표면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표면 보호용 필름의 구조를 다층화 하여 일측에는 이형층으로서 부직포층이, 타측에는 점착층으로서 압출코팅층이 형성되게 하는 것에 의해 각종 기자재에 점착되어 그 표면 보호는 물론 이형성 및 분리성을 갖게하여 다수의 기물을 표면 보호 상태로 적층, 분리하는 경우 적층되는 면과 면 사이에 별도의 간지(間紙) 등의 완충재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이형성 및 분리성이 확보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 기자재 및 소비재의 표면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보호 용 필름의 경우에는 보호용 필름 자체에 점착성이 없어 자체 점착성을 갖도록 필름에 별도의 자체 점착 처리가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인 사항이다.
이러한 자체 점착성의 부여 방법은 점착제의 코팅 방법, 점착 폴리머의 공압출 방법 등의 방법이 공지되어있으나, 점착제의 코팅 방법은 코팅 성분이 피착물의 표면을 오염시키고, 주위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환경 변화에 따른 점착력의 변화가 심하며, 점착 폴리머의 공압출 방법은 점착 폴리머 중 점착 성분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고, 필름본체와의 박리(剝離)가 발생되며, 공압출 구조의 한계성으로 인해 필요한 수준의 자체 점착력을 얻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또한 서로 적층되면서 접촉되는 표면간의 이형성 및 분리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보호용 필름 표면에 엠보싱을 통한 요철(凹凸)을 주거나, 실리콘 등 별도의 이형재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공지화되어있으나, 적층 후 분리과정에서 그 이형성 및 분리성이 부족하여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거나, 이형기능이 필요한 접촉면과 면사이에 이형성을 갖는 별도의 소재, 즉 간지를 끼워 넣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는 것이어서, 표면 보호용 필름 사용시 그 사용 용도에 따라 점착성 및 / 또는 이형성을 갖게하기 위한 별도의 처리 절차가 수반되는 것이어서, 결과적으로 표면 보호용 필름이 적용되는 제품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그 효율이 낮아지게 되므로 제품의 생산단가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 등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적절한 점착성과 이형성을 갖지 못한 종래의 표면 보호용 필름이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표면 보호용 필름의 일 측면에는 이형기능을 갖게 하고, 그 타측에는 자체 점착기능을 갖도록 필름본체 양측으로 각각 부직포와 압출 코팅층이 형성되게 하는 것에 의해 보호용 필름에 별도의 점착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 환경 변화에 따른 점착력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고, 점착제로 인한 피착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형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므로 표면 보호용 필름이 적용되는 각종 기물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공정 효율을 향상시켜 그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은, 각종 기물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용 필름(A)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용 필름(A)을 이루는 필름본체(4)의 일측에는 접착층(3)을 개재하여 이형재로서의 부직포층(1)이 부착설치 되게하고, 상기 필름본체(4)의 타측에는 점착층으로서의 압출코팅층(2)이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A)은 필름 본체를 사용하지 않고 이형재로서의 부직포층(1) 일측에 직접 점착층으로서의 압출코팅층(2)이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의 대표적인 예 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의 다른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그 구성은 크게 부직포층(1)과 압출코팅층(2)으로 이루어진다.
이형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된 상기한 부직포층(1)은 폴리올레핀계 및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를 원료로 하여 단섬유 또는 필라멘트 섬유를 제조한 후,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상호 결합시켜 형태 안정성을 부여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한 멜트브로운이나 스펀본드 방식을 적용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이형층을 구성하는 부직포층의 이형성 및 분리성을 보다 더 향상시키기 위해 엠보스 처리를 할 수 있으며, 그 엠보스 면적은 전체 부직포 면적의 5∼30(%) 바람직하게는 10∼15(%)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점착층으로서의 압출코팅층(2)은 용융흐름지수(melt flow index)가 0.5∼20.0(g/10분), 바람직하게는 10.0∼20.0(g/10분)이고, 초산비닐 함량이 5∼28(중량%),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를 도공량 5∼30(g/㎡), 바람직하게는 10∼20(g/㎡)으로 압출 코팅하여 자체 점착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다.
여기서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의 용융흐름지수가 0.5(g/10분) 이하일 경우에는 용융된 수지의 흐름성이 나쁘고 불 균일하여 코팅 작업이 어려우며, 20.0(g/10분) 이상일 경우에는 용융된 수지의 과도한 흐름성 때문에 접합 원단에 융착 응고되기 전에 액상으로 흘러 원할한 코팅 작업이 어렵게 된다.
또한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의 초산비닐 함량이 5 중량% 이하일 경우 요구되는 자체 점착 기능을 발현하지 못하게 되며, 28 중량% 이상일 경우 자체 점착성이 과도하여 보호 기재의 표면에 밀착되어 보호 기재를 손상시키는 역기능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의 도공량이 5(g/㎡) 이하일 경우에는 도공량의 균일성 확보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자체 점착 기능을 발현하지 못하게되며, 도공량이 30(g/㎡)이상일 경우에는 자체 점착력이 과도하게 되어 보호 기재를 손상시키는 역기능을 초래하거나, 또는 자중(自重)이 높아져 요구되는 자체 점착 기능을 발현할 수 없게 된다.
상기한 필름본체(4)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나일론,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여 캘린더링 방식, 캐스팅 방식, 일축 연신방식, 동시 이축 연신 방식(인플레이션 방식) 및 축차 이축 연신 방식을 적용하여 제조되는 폴리머 필름층이며, 바람직하게는 표면을 보호받는 각 종 산업용 기·자재 등의 기물의 표면 품질을 보존시키기 위하여 원할한 통풍이 이루어지고 방수(防水)가 가능하도록 한 방습·통기(通氣) 기능을 보유한 필름이 좋다.
또한 상기 필름본체(4)는 부직포층(1)과의 접합이 용이하도록 코로나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접착층(3)은 상기 부직포층(1)과 필름본체(4)를 접합하여 하나의 접합원단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는 층으로서, 접합 방식은 열접착 또는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 모두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A)은 자중에 의한 자체 점착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직포층(1)과 필름본체(4), 잡착층(3)과 압출코팅층(2)을 모두 합하여 80g/㎡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 1.
방습·통기 기능을 보유한 평량16g/㎡의 일축 연신 플리에틸렌계 필름으로 되는 필름본체(4)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평량이 16g/㎡인 폴리프로필렌계 스펀본드 방식의 부직포층(1)과 140℃로 열 접합하여 접합 원단을 만들고, 본 접합 원단에 용융흐름지수가 12g/10분이고, 초산비닐의 함량이 15중량%인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를 압출 온도 230℃, 냉각 온도 10℃를 유지하면서 도공량을 14g/㎡로 하여 코팅하여 압출코팅층(2)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자체 점착력을 갖는 보호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2.
방습·통기기능을 보유한 평량 16g/㎡의 일축 연신 폴리에틸렌계 필름으로 되는 필름본체(4)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평량이 18g/㎡인 폴리프로필렌계 스펀본드 방식의 부직포층(1)과 140℃로 열 접합하여 접합 원단을 만들고, 본 접합 원단에 용융흐름지수가 16g/10분이고, 초산비닐의 함량이 18중량%인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를 압출 온도 230℃, 냉각 온도 10℃를 유지하면서 도공량을 16g/㎡로 하여 코닝함으로써 자체 점착력을 갖는 보호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기물표면 보호용 필름에 의하면 폴리머 필름으로 되는 필름본체의 일측면에 부직포층이 접합되게 하여 이형기능을 갖도록 하고, 필름본체의 타측면 에는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로 되는 압출코팅층을 형성하여 자체 점착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각종산업용기·자재로 되는 기물의 표면을 보호되게 하는 상태로 적층, 분리할 때 번거로운 처리 절차가 요구되는 별도의 간지가 불필요하게되어 표면 보호용 필름의 사용공정을 단순화하고, 공정효율을 향상시켜 기물의 전체적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별도의 점착 처리를 하지 않아도 적절한 점착성을 유지함은 물론 환경 변화에 따른 점착력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고, 점착제로 인한 피착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재활용이 가능함으로 환경 친화적인 측면에서도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각종 기물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용 필름(A)에 있어서,
    필름본체(4)의 일측에는 접착층(3)을 개재하여 이형재로서의 부직포층(1)이 설치되게하고, 상기 필름본체(4)의 타측에는 점착층으로서의 압출코팅층(2)이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
  2. 각종 기물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용 필름(A')에 있어서,
    부직포층(1)은 일측에 점착층으로서 압출 코팅층(2)이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물 보호용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1)은 엠보스 처리되며 그 처리 면적은 전체 부직포 면적의 5∼30(%)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물 보호용 필름.
  4. 제1항 내지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직포층(1)은 폴리올레핀계 및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를 원료로 하여 단섬유 또는 필라멘트 섬유를 제조한 후, 상호 결합시켜 멜트블로운 이나 스펀본드 방식을 적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
KR1020030051562A 2003-07-25 2003-07-25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 KR100792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562A KR100792493B1 (ko) 2003-07-25 2003-07-25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562A KR100792493B1 (ko) 2003-07-25 2003-07-25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567A KR20050012567A (ko) 2005-02-02
KR100792493B1 true KR100792493B1 (ko) 2008-01-10

Family

ID=37224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562A KR100792493B1 (ko) 2003-07-25 2003-07-25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8383B2 (en) 2017-08-25 2021-08-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articles permitting damage free remov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784B1 (ko) * 2003-10-09 2006-07-20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유리 보호 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2132A (ja) * 1993-01-18 1994-08-02 Sekisui Chem Co Ltd 両面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KR980009408A (ko) * 1996-07-26 1998-04-30 사이카와 켄조오 점착테이프용 기포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테이프
KR0163419B1 (ko) * 1988-10-18 1998-12-15 가마이 고로 점착 테이프
KR19990044318A (ko) * 1995-09-01 1999-06-25 로날드 디. 맥크레이 부직포를 포함하는 보호용 커버 직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419B1 (ko) * 1988-10-18 1998-12-15 가마이 고로 점착 테이프
JPH06212132A (ja) * 1993-01-18 1994-08-02 Sekisui Chem Co Ltd 両面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KR19990044318A (ko) * 1995-09-01 1999-06-25 로날드 디. 맥크레이 부직포를 포함하는 보호용 커버 직물
KR980009408A (ko) * 1996-07-26 1998-04-30 사이카와 켄조오 점착테이프용 기포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테이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8383B2 (en) 2017-08-25 2021-08-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articles permitting damage free removal
US11898069B2 (en) 2017-08-25 2024-02-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articles permitting damage free remov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567A (ko) 200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5416A (en) Adhesive tape
US6579601B2 (en) Conformable multilayer films
US20090202804A1 (en) Masking film with improved wetting
KR101332315B1 (ko) 고점착성 메탈로센 보호 필름
KR20110042367A (ko) 이형 재료
JP5001719B2 (ja) ガラス板用合紙、合紙挟込ガラス、ガラス板の保護方法および運搬方法
TWI575050B (zh) 用於封裝電子組件之熱密封覆蓋膜
KR100542426B1 (ko) 점착제층이 적층된 라미네이트 적층시트
CN117511439A (zh) 表面膜和包含该表面膜的胶粘标签
AU2016257688B2 (en) High optics machine direction oriented label facestock
KR100792493B1 (ko)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
JP3342977B2 (ja) 塗膜保護用シート
US20050151230A1 (en) Preventive film for polarizing film and preventive film for releasable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m
KR100720373B1 (ko) 기물 표면 보호용 필름의 제조 방법
JP2000297257A (ja) 多層粘着フィルム
TW201132733A (en) Surface-protection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base film for a surface-protectio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5016569A (ja) 離型フィルム
JP4378092B2 (ja) スクリーン
KR100397022B1 (ko) 전자부품 포장재용 커버 테이프
TWI379765B (ko)
CN111448273A (zh) 隔膜以及带有隔膜的粘合带或粘合片
CN215664943U (zh) 一种强效抗污油包膜
JP3998060B2 (ja) 袋体
CN211445599U (zh) 一种防尘透气胶带
WO2008065720A1 (fr) Feuille protectrice de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