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944B1 - 접는 의자 - Google Patents
접는 의자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62944B1 KR0162944B1 KR1019950705299A KR19950705299A KR0162944B1 KR 0162944 B1 KR0162944 B1 KR 0162944B1 KR 1019950705299 A KR1019950705299 A KR 1019950705299A KR 19950705299 A KR19950705299 A KR 19950705299A KR 0162944 B1 KR0162944 B1 KR 01629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front frame
- seat
- conical
- folding chai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4—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47C4/18—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 A47C4/20—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with legs pivotably connected to seat or underframe
- A47C4/2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with legs pivotably connected to seat or underframe with cross le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04—Metal chairs, e.g. tubular
- A47C5/10—Tubular chairs of 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typ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114—Articulated members including static joint
- Y10T403/32131—One member is plate or side
- Y10T403/32155—Bearing component clamped to plate or side, e.g., bolted, etc.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Special Chair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상단부에 등받이(12)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상단부에 연속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각(11)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파이프재제의 전 프레임(1)과, 상단이 상기 전 프레임(1)에 원추형 접합되고, 하단이 상단부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되는 슬라이딩 축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상단부에 연속하여 하방으로 연출하는 후각(21)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파이프재제의 후 프레임(2)과 후 가장자리 근방의 측면이 상기 후 프레임(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그 후 프레임(2)에 의한 지지위치 보다 전단측을 전 프레임(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석(3)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접는 의자(100)로서, 상기 전 프레임(1)이 사용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석(3) 보다 상방의 위치에 파이프재를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일체로 형성한 압축오목부(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 축이 상기 압축오목부(4)에 원추형 접합되는 원추형 접합부재(51)를 그 상단에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후 프레임(2)의 후각(21) 축선을 접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 프레임(1)의 전각(11)의 축선에 대략 중합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접는 의자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에서 본 사시도.
제2도는 동실시예의 접어서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동실시예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동실시예의 접은 상태에 있어서의 주요부를 도시한 횡단면도.
제5도는 동실시예의 축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4도 상당의 횡단면도.
제7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3도 상당의 분해 사시도.
제8도는 동실시예를 나타내는 제4도 상당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 프레임 2 : 후 프레임
3 : 좌석 5 : 슬라이드 링크
11 : 전각(前脚) 21 : 후각(後脚)
100 : 접는 의자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접어서 쌓을 수 있게한 접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이 종류의 접는 의자로서, 가령, 금속 파이프재를 대략 U 자형으로 성형하고, 그 상부 개방단측에 등받이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전각과, 같은 금속파이프재를 대략 U 자형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후각과, 이들 전각 및 후각에 축 지지된 좌석으로 이루어지며, 전각과 후각을 접근시킴으로써 좌석이 등받이측으로 회동 기립하여 전각, 후각, 및 좌석을 대략 평면적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접는 의자는 가령 접었을 때에 전각과 후각이 좌석 측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전각과 후각의 외측면 끼리를 링크 금구를 통하여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것은 링크금구를 전각과 후각에 전각 축부착하고, 좌석과 링크금구로 링크기구를 형성하여 접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점수가 많은데다 축의 코킹부분이 많아지고, 공수가 증가한다. 그 결과, 제조 코스트가 높아지기 일쑤이다.
또, 후각 상단부에 슬라이드 링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슬라이드 링크 상단을 전각 외측면에 축을 통하여 원추형 접합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슬라이드 링크 상단이 전각 외측면에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후각이 전각 외측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 때문에 좌석이 그 후각 측면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지지되게 되어,지지 강도가 낮아진다. 또, 이와같은 의자는 후각이 전각 보다 외측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다이를 좌우방향으로 밀착시켜서 사용할 경우, 좌우방향의 배열폭이 넓어져서 공간 이용 효율이 떨어진다.
이와같은 폐단을 개량하고자, 전각 후면에 연결용 조인트파트를 용접하고, 그 조인트파트에 슬라이드 링크 상단을 원추형 접합한 것도 있다. 이 조인트파트를 사용한 슬라이드 링크는 조인트파트의 고정위치가 각각 후면이기 때문에, 접을 때에 전각과 후각은 전후방향으로 중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의 것에는 조인트파트를 전각, 후각 및 좌석 이외에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어 부품점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되었다. 그 위에 조인트파트는 전각에 용접하지 않으면 안되어 파이프 소재를 절단하거나 절곡하는 일련의 라인과는 이질적인 작업을 강요하게 된다. 따라서, 제조라인이 복잡해지고, 자동화 하더라도 공수를 삭감하기 어렵고, 따라서, 제조비를 절감하기 어려운 일면이 있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조공정수 및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는데다 좌우 폭이 부당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배열 밀도를 높일 수 있는 접는 의자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수단을 강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접는 의자는 상단부에 등받이를 가지고, 또한 상기 상단부에 연속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각을 가지고 구성되는 파이프 재제의 전 프레임과, 상단이 상기 전 프레임에 원추형 접합되고 하단이 상단부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되는 슬라이딩 축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상단부에 연속하여 하방으로 연출하는 후각을 가지고 구성되는 파이프 재제의 후 프레임과, 후연(後緣) 근방의 측면을 상기 후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그 후 프레임에 의한 지지 위치에서 전단측을 전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석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접는 의지로서, 상기 전 프레임이 사용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석 보다 상방 위치에 파이프재를 소성변형시킴으로써 일체로 형성한 압축오목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축이 상기 압축오목부에 원추형 접합되는 원추형 접합부재를 그 상단에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후 프레임의 후각의 축선을 접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 프레임의 전각의 축선에 대략 중합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압축오목부로는 상기 전 프레임의 후반 부분을 대략 판상(板狀)으로 변형시켜서 상기 전 프레임의 양측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압축오목부는 전 프레임이 금속제 파이프재로 된 것이면 용이하게 형성하기가 가능하다.
이와같은 구성의 것이면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져온다. 즉, 전 프레임이 압축 오목부를 구비하고, 그 압축오목부에 슬라이딩 축의 원추형 접합부재를 원추형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후 프레임을 원추형 접합하기 위하여 특별한 원추형 접합용 부재를 전 프레임에 부착하지 않아도 된다. 즉, 압축오목부는 전 프레임 자체를 압축하여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그 전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특히 슬라이딩 축을 피보팅하기 위하여 각별한 부재를 부착할 필요가 없어진다. 게다가 압축오목부가 전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 프레임의 후각의 축선은 접기 방향에 있어서, 전 프레임의 전각의 축선에 대략 중합하는 배치로 할수 있다. 이 때문에, 후 프레임은 좌석 후연근방의 측면에 편평한 부착 금구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착하기가 가능해지고, 접을 때에 전 프레임과 함께 좌석의 측면 근방에서 회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각 프레임과 좌석과의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기 때문에 좌석의 부착강도를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후 프레임이 전 프레임 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의자의 좌우폭이 부당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의자를 좌우 방향으로 인접시켜서 사용할 경우에 밀도 높은 배열이 가능하고, 공간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슬라이딩 축을 피보팅하기 위한 특별한 부재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감소시키기가 가능하다. 더구나, 슬라이딩축 상단에 일체적으로 구비한 원추형 접합 부재를 원추형 접합시키는 압축오목부는 전 프레임을 오목하게 형성하므로 파이프 재제의 전 프레임의 절곡공정이나 절단공정과 다르지 않은 일련의 가공공정의 범위에서 제작할 수 있고 용접과 같은 프레스나 굽힘 가공과는 전혀 이질적 공정으로 이행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작이 용이해진다. 덧붙여, 전 프레임의 후반부분을 대략 판상으로 변형시켜서 전 프레임의 양측 부분에 압축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은 전 프레임을 그 양측에서 압축하는 것만의 작업으로 그 압축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작은 두드러지게 용이해진다. 마찬가지로 전 프레임을 금속제 파이프에 의해 구성하면 압축오목부를 단순한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어 가공이 용이해진다.
[발명을 실시하는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제1도∼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접는 의자의 1예를 나타내는 배면으로 부터의 사시도이고, 사용시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의자를 접어서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수납시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의자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의자를 접은 상태에 있어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5도는 주요부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링크의 축부의 단면도이다.
접는 의자(100)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각(11) 및 등받이(12)를 일체로 갖는 전 프레임(1)과, 후각(21)과 슬라이딩 축인 슬라이드 링크(5)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후 프레임(2)과, 좌석(3)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전 프레임(1), 후 프레임(2) 및 좌석(3)을 중합시킨 상태로 대략 평면적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제2도에 도시한다).
전 프레임(1) 및 후 프레임(2)은 각각 파이프재인 동일 외형의 환(丸)스틸파이프제로서, 그 하단측에 바닥면에 평행으로 재치되는 베이스간(杆; 11a, 21a)을 형성하고자 하단측이 대략 U자 형으로 굽힘 가공되어 있다. 또, 좌석(3)은 좌판(31a)상에 쿠션재(31b)를 붙이고, 그 쿠션재(31b)를 표장재(表裝材; 31c)로 포위한 좌석 본체(31), 좌석 본체(31) 주위에 감겨 좌판(31a)을 지지하는 환스틸파이프제의 좌석 프레임(32)으로 된다.
이들 좌석(3) 및 등받이(12) 구조는 해당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것과 같아도 된다.
전 프레임(1)은 환스틸파이프를 대략 U자 형으로 굽혀서 베이스간(11a)이 형성되어 있고, 좌석(3) 측면을 형성하는 좌석프레임(32)의 측면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 전 프레임(1) 상단에는 한쪽 상단부와 다른쪽 상단부 사이에 가설하여 쿠션재를 좌석(3) 측에 부착한 등받이(12)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같은 전 프레임(1)에 있어서, 좌석(3)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전각(11)으로 하고, 좌석(3)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등 지지간(13)으로 한다. 즉, 전각(11)이란, 등받이(12)의 고정된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환스틸 파이프내, 베이스간(11a)을 포함한 좌석(3)에서 아래에 존재하는 부분을 일컫는 것이다. 이 전프레임(1)의 좌석(3) 근방 상측 부분에는 후 프레임(2) 상단에서 뻗어나온 슬라이드 링크(5)의 원추형 접합부재(51)가 원추형 접합되는 압축오목부(4)가 형성되어 있다.
압축오목부(4)는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 프레임(1)의 후 프레임(2) 측의 대략 후반부분을 양측에서 압축하여 소성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즉, 이 실시예의 것은 전 프레임(1) 양측에 압력을 가하여 파이프 형상을 찌그러뜨림으로써 그 표면 보다 오목한 오목함몰부분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 결과, 오목함몰부분과 오목함몰부분 사이에는 전 프레임(1)의 소재 두께의 대략 2배 정도의 두께, 즉, 전프레임(1) 내면이 접촉하도록 변형시켜서 되는 판상부분(4a)이 형성된다. 이 판상부분(4a)은 전 프레임(1)의 축선 후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압축오목부(4)의 판상부분(4a)에는 관통공(4b)이 베이스간(11a)과 평행 방향으로 뚫려 있고, 슬라이드 링크(5)의 원추형 접합부재(51)가 원추형 접합축(6)을 통하여 원추형 접합되는 것이다.
이 압축오목부(4)에 원추형 접합되는 슬라이드 링크(5)는 후 프레임(2) 상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후 프레임(2)은 그 상단 근방부가 좌석 프레임(32)의 측면에 부착금구(9)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접을 때에 전각(11)에 중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후 프레임(2)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링크(5)는 합성수지제로, 후 프레임(2) 내에 수납되는 축부(52)와, 그 축부(52) 상단에 일체 형성되는 원추형 접합부재(51)로 구성된다. 축부(52)는 마찰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제5도에 그 단면을 도시하는 바와같이 복수의 리브(52a)가 일체로 형성된 형상을 하고 있고, 사용중에는 후 프레임(2) 내에 수납되고, 접을 때에 후 프레임(2)의 이동에 따라 후 프레임(2) 내에서 뻗어나오는 것이다. 이 축부(52)를 후 프레임(2) 상단부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후 프레임(2)의 상단부에는 중앙부에 축부(52)를 관통시키는 관통공(7a)이 설치된 마개부재(7)가 장착되어 있다. 이 마개부재(7)는 후 프레임(2)의 절단구 단면이 직접 원추형 접합부재(51)에 닿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후 프레임(2)을 구성하는 파이프재의 절단 처리시에 절단구 단면 내측에 생기는 우그러짐에 의해 원추형 접합부재(51)와 축부(52)가 상처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고 있다. 이 마개부재(7)의 상면 주변부분(7b)은 비교적 크게 모따기가 되어 있고, 이 마개부재(7)에 대응하여 원추형 접합부재(51)의 마개부재(7)에 대향하는 하면 주변부분(51c)도, 동일하게 비교적 크게 모따기가 되어 있다(제3도 참조). 원추형 접합부재(51)는 상부에 2매의 판상 원추형 접합부(51a)를 갖추고 있고, 그 원추형 접합부(51a)는 축부(52) 상단에 형성된 기둥모양의 기부(51b)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원추형 접합부(51a)는 압축 오목부(4)의 판상부분(4a)의 두께에 맞춘 틈새(g)를 가지고 있고, 또, 그 폭치수는 전 프레임(1)의 외경치수와 대략 대등하고 (제4도 참조), 수평방향으로 원추형 접합축(6)을 관통시키는 축공(53)이 뚫려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슬라이드 링크(5)는 축부(52)를 마개부재(7)의 관통공(7a)에 관통시킨 상태로, 그 마개부재(7)를 후 프레임(2) 상단에 고정하여 그 축부(52)를 후 프레임(2)에 부착한다. 이 상태로, 전 프레임(1)과 후 프레임(2)으로 좌석(3)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슬라이드 링크(5)의 원추형 접합부재(51)를 전 프레임(1)의 압축오목부(4)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원추형 접합부재(51)의 축공(53)과 압축오목부(4)의 관통공(4b)을 합치시킴과 동시에 원추형 접합축(6)을 축공(53)과 관통공(4b)에 관통시키고, 원추형 접합축(6)의 관통끝을 코킹한다. 이와같이 원추형 접합축(6)의 관통단을 코킹함으로써 원추형 접합축(6)의 빠짐을 금지한다.
이와같이 슬라이드링크(5)를 전 프레임(1)에 원추형 접합함에 있어서, 전 프레임(1)의 소정부위를 압축가공하여 압축오목부(4)를 형성하고, 그 압축오목부(4)에 슬라이드 링크(5)의 원추형 접합부재(51)를 원추형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원추형 접합을 위하여 특별한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즉, 원추형 접합부재(51)의 원추형 접합부(51a)에 맞추어, 가령 반원형상의 평판조각을 소정위치에 용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원추형 접합부위의 변형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제조라인에 있어서, 가령 환스틸 파이프의 절단, 절곡 등의 성형처리공정의 라인에서 용접공정의 라인으로 변경할 필요가 없어지고, 제조라인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 링크(5)를 구성하는 축부(52)와 원추형 접합부재(51)는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조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축부(52)는 마개부재(7)의 관통공(7a)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주형상은 아니고, 복수의 리브(52a)의 집합체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마개부재(7)와의 접촉면적이 적고, 스무즈한 움직임이 되는 것으로, 이 접는 의자(100)의 접기 및 사용시의 세팅 조작을 경쾌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원추형 접합부재(51)는 전 프레임(1)의 축선후방에 위치시킨 압축오목부(4)의 판상부분(4a)에 원추형 접합되기 때문에 후 프레임(2)은 전 프레임(1) 옆쪽에 위치하는 일이 없다. 즉, 후 프레임(2)은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원추형 접합부재(51)가 전 프레임(1) 후면에 원추형 접합되게 되므로 그 축선이 전 프레임(1)의 축선과 전후 방향에 있어서 대략 중합하게 된다. 따라서, 후 프레임(2)과 좌석(3)의 좌석 프레임(32) 사이를 최단거리로 할수 있고, 후 프레임(2)에 있어서의 좌석(3)의 부착강도를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사용상태에 있어서, 접는 의자(100)의 수평폭은 전 프레임(1)의 수평폭과 동등하고, 후 프레임(2)이 전 프레임(1) 옆쪽에 있어서 원추형 접합되는 것에 비하여 수평폭을 작게할 수 있고, 공간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접었을 때에도 후 프레임(2)이 전 프레임(1)에 대략 중합하고, 전 프레임(1) 옆쪽에 위치하여 접은 상태와 같이 폭치수를 크게하는 일이 없다. 즉, 접어서 전 프레임(1)을 하측으로 하여 가령 바닥에 놓았을 경우, 전 프레임(1) 바로 위에 후 프레임(2)이 위치하고, 전 프레임(1)의 폭치수로서의 적층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후 프레임(2)이 전 프레임(1) 옆쪽에 위치하는 구조의 것에 비하여 적층하여 병렬로 가지런히 수납할 때의 수납 면적을 작게할 수 있고, 수용수를 증가시켜서 수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오목부(4)는 상기 설명과 같이 전 프레임(1)의 소재내면이 대략 접촉하는 위치까지 압축하여 판상부분(4a)을 형성하게 한 것 이외에 가령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간의 간극을 남기고 압축한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판상부분(104a)의 두께와 원추형 접합부재(151)의 원추형 접합부(151a)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합계 된 두께가 전 프레임(1)의 외경과 대략 같아지도록 설정하면 된다. 이와같은 구조의 것이면, 판상부분(104a)의 두께가 증가하여 이 부분의 단면적이 전 프레임(1)의 다른 부분의 단면적에 비하여 극단적으로 작게 되지 않으므로 이 부분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슬라이드 링크(5)가 전 프레임(1)의 축선 후방에 위치하고, 또한, 원추형 접합부재(151)의 폭치수가 전 프레임(1)의 외경과 대략 같으므로 후 프레임(2)이 전 프레임(1)의 옆쪽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고, 또, 달리 옆쪽으로 돌출하는 부재도 없다. 따라서, 사용시의 공간이용 효율을 높이거나 수용면적을 작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좌석(3)의 지지부분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6도에 있어서, 109는 좌석(3)의 후 프레임(2)에 대한 부착금구이다.
제7도와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다른 실시예는 압축오목부(204)의 형상과 슬라이드 링크(205)의 원추형 접합부재(251)의 형상이 상기 실시예와 상이한 것으로, 전 프레임(201)과 후 프레임(202)은 기본적으로 같고, 또 전 프레임(201)과 좌석(3)의 연결관계 및 부착금구(209)를 통한 후 프레임(202)과 좌석(3)의 연결관계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것이다. 그 때문에, 전 프레임(201) 및 후 프레임(202)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압축오목부(204)는 상기 실시예와 다르고, 전 프레임(201)의 외측 측면 후반만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만든 것으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전 프레임(201)의 좌석(3)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등지지간(213)의 하단 근방부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전 프레임(201)의 내측, 즉 좌석(3)측의 측면은 압축가공되지 않고 전 프레임(201)과 동일하게 거의 소재 그대로의 형상이 남아 있고, 외측 측면이 이그러져 압축오목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축오목부(204)는 외측에 면하는 평면적인 오목부 측면(204c)을 가지고 있고, 이 오목부측면(204c)에는 베이스간(221a)과 평행방향으로 전 프레임(201)의 내측 측면도 관통하는 관통공(204b)이 뚫려 있다.
한편, 슬라이드 링크(205)의 원추형 접합부재(251)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축부(252)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또, 기부(251b)의 형상도 상기 실시예의 것과 같다.
슬라이드 링크(205)의 원추형 접합부(251a)는 대략 반장원(半長) 형상의 1매의 평판이 기부(251b) 상단에 성형된 형상을 하고 있다. 즉, 원추형 접합부(251a)는 압축오목부(204)에 대응하여 축부(252)의 축선 보다 외측으로 편위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압축오목부(204)에 원추형접합될 때에 축부(252)의 축선 즉 후 프레임(202)의 축선이 전 프레임(201)의 축선과 전후방향으로 대략 중합되게 성형되어 있다.
슬라이드 링크(205)는 원추형 접합부(251a)의 축공(253)과 압축오목부(204)의 관통공(204b)을 합치시켜 원추형 접합축(6)을 그들 축공(253)과 관통공(204b)에 삽통시키고, 그 원추형 접합축(6)의 관통끝을 코킹하여 원추형 접합한다. 이와같이 전 프레임(201)의 외측의 측면에 설치한 압축오목부(204)에 슬라이드 링크(205)의 상단을 원추형 접합하므로, 원추형 접합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 부분의 단면적이 다른 부분의 단면적에 비해 약 1/4 정도의 감소로 그칠 수 있으므로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 링크(205)의 축부(252)와 원추형접합부재(251)를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고 있으므로 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원추형 접합부재(251)의 원추형 접합부(251a)가 1매 판형상이기 때문에 성형금형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제조비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령, 상기 각 실시예는 슬라이드 링크(5, 205)가 축부(52, 252)와 원추형 접합부재(51, 251)를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만들어진 것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별도 부품인 축부와 원추형 접합부재를 조합시켜서 슬라이드 링크를 구성하여도 좋다. 즉, 가령, 축부를 금속제로 하고, 원추형 접합부재를 합성수지로 한 것이라도 좋고, 양쪽을 금속제로 한 것이라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는 축부(52)가 리브(52a)의 집합체 형상의 것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축부(52)는 환 파이프라도 좋고, 혹은 환봉이라도 좋다.
이와같은 형상의 것에 있어서는 그 외측 표면에 마찰계수가 작은 수지를 일체로 성형하는 등하여 마개부재(7)와의 마찰력을 감소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 전 프레임(1)은 파이프재인 1개의 환스틸 파이프가 루프상으로 굴곡되고, 그 소재 양단부가 맞대어져서 용접으로 연결되는 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즉, 각부의 상단부분이 개방단으로 되지않고, 등받이 부착부분이 원호상으로 연속하고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측의 원호상 굴곡부분에 등받이가 끼워져서 부착되는 것이 적합하다.
기타, 각부의 구성은 도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접는 의자는 각종 홀이나 체육관 등의 프로어상에 다수 배열시켜서 설치하거나, 급거 좌석수를 늘릴 필요가 생겼을 때,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3)
- 상단부에 등받이를 가지고, 또한 상기 상단부에 연속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각을 가지고 구성되는 파이프재제의 전 프레임과, 상단이 상기 전 프레임에 원추형 접합되고, 하단이 상단부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되는 슬라이딩 축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상단부에 연속하여 하방으로 연출되는 후각을 가지고 구성되는 파이프 재제의 후 프레임과, 후측 가장자리 근방의 측면을 상기 후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그 후 프레임에 의한 지지위치 보다 전단측을 전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석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접는 의자로서, 상기 전 프레임이 사용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석 보다 상방의 위치에 파이프재를 소성변형시킴으로써 일체로 형성한 압축 오목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 축이 상기 압축오목부에 원추형 접합되는 원추형 접합부재를 그 상단에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후 프레임의 후각의 축선을 접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 프레임의 전각의 축선에 대략 중합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는 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압축오목부가 상기 전 프레임의 후반부분을 대략 판상으로 변혁시켜서 상기 전 프레임의 양측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는 의자.
- 제2항에 있어서, 전 프레임이 금속제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4-324622 | 1994-12-27 | ||
JP32462294 | 1994-12-27 | ||
PCT/JP1995/000520 WO1996019932A1 (fr) | 1994-12-27 | 1995-03-20 | Chaise pliant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702736A KR960702736A (ko) | 1996-05-23 |
KR0162944B1 true KR0162944B1 (ko) | 1999-01-15 |
Family
ID=1816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705299A KR0162944B1 (ko) | 1994-12-27 | 1995-03-20 | 접는 의자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5634684A (ko) |
KR (1) | KR0162944B1 (ko) |
CN (1) | CN1118255C (ko) |
GB (1) | GB2299935B (ko) |
HK (1) | HK1008722A1 (ko) |
MY (1) | MY114882A (ko) |
WO (1) | WO199601993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061396B4 (de) * | 2000-12-09 | 2004-02-05 | Hailo-Werk Rudolf Loh Gmbh & Co. Kg | Stuhl |
US6592182B1 (en) | 2002-01-21 | 2003-07-15 | Mah Sing Plastics Industries Sdn Bhd | Stackable folding chair |
US6905168B2 (en) | 2002-03-22 | 2005-06-14 | Mah Sing Plastics Industries Sdn Bhd | Stackable folding chair |
US7052081B2 (en) * | 2002-03-29 | 2006-05-30 | Cosco Management, Inc. | Foldable chair |
CN2587251Y (zh) * | 2002-11-07 | 2003-11-26 | 来福太(厦门)塑胶制品有限公司 | 一种折叠椅 |
USD481549S1 (en) * | 2003-03-28 | 2003-11-04 | Cocso Management, Inc. | Chair frame portion |
US7219955B2 (en) * | 2005-02-18 | 2007-05-22 | Atico Int Usa Inc | Anti-pinching device for use in a folding chair |
US7445277B2 (en) * | 2006-08-22 | 2008-11-04 | Cosco Management, Inc. | Foldable chair with extensible legs |
JP2011030760A (ja) * | 2009-07-31 | 2011-02-17 | Sankei Kogyo Kk | 紙管接続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椅子 |
USD793113S1 (en) | 2016-02-02 | 2017-08-01 | Zhuhai Shichang Metals Ltd. | Ergonomic collapsible chair |
USD814205S1 (en) * | 2016-04-04 | 2018-04-03 | Kartell S.P.A. | Chair |
USD794372S1 (en) | 2016-11-29 | 2017-08-15 | Zhuhai Shichang Metals Ltd. | Collapsible chair frame |
CN107183980A (zh) * | 2017-06-30 | 2017-09-22 | 德清星辰户外用品有限公司 | 一种折叠椅的椅架 |
CN211242450U (zh) * | 2019-08-30 | 2020-08-14 | 厦门新技术集成有限公司 | 折叠椅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60451A (en) * | 1903-07-08 | 1904-05-24 | Hayden Implement Company | Brush-handle. |
GB190627579A (en) * | 1906-12-04 | 1907-10-31 | Thomas Bertram Sutton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Legs for Tables, Pianos, Settees, Sofas and the like. |
US950194A (en) * | 1909-12-06 | 1910-02-22 | Murray Show Case And Fixture Company | Furniture construction. |
FR799576A (fr) * | 1935-12-19 | 1936-06-15 | Plan d'appui flexible applicable notamment comme fonds ou dossiers pour sièges et couchettes en tous genres | |
FR803833A (fr) * | 1936-03-27 | 1936-10-09 | Siège à assise et dossier souples, en particulier pour voitures automobiles | |
US2666478A (en) * | 1949-06-25 | 1954-01-19 | Shwayder Brothers | Folding chair brace |
US2757715A (en) * | 1955-05-18 | 1956-08-07 | Heywood Wakefield Co | Folding chair |
GB993672A (en) * | 1963-01-15 | 1965-06-02 | Vivian Home Seymer | Improved chair |
US3340828A (en) * | 1966-03-01 | 1967-09-12 | Roy J Smith | Portable seat |
JPS58147451A (ja) * | 1982-02-27 | 1983-09-02 | Idemitsu Petrochem Co Ltd | ポリカ−ボネ−ト系樹脂組成物 |
JPS58147451U (ja) * | 1982-03-27 | 1983-10-04 | 日本発条株式会社 | シ−トフレ−ム構造 |
DE8436612U1 (de) * | 1984-12-14 | 1985-05-23 | Heinz Kettler Metallwarenfabrik Gmbh & Co, 4763 Ense | Klappsessel |
FR2611827B1 (fr) * | 1987-03-04 | 1989-07-28 | Cousin Cie Ets A & M Freres | Partie de jonction conformee de tube d'armature de siege avec un mecanisme de reglage d'inclinaison du dossier |
DE3835855A1 (de) * | 1988-10-21 | 1990-04-26 | Simon Desanta | Klappstuhl |
JPH0612682Y2 (ja) * | 1990-06-14 | 1994-04-06 | チトセ株式会社 | パイプへの回転軸の取付け装置 |
JPH0612682A (ja) * | 1992-06-26 | 1994-01-21 | Toshiba Corp |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
JP2675960B2 (ja) * | 1993-03-24 | 1997-11-12 | コクヨ株式会社 | 折り畳み椅子 |
-
1995
- 1995-03-20 WO PCT/JP1995/000520 patent/WO199601993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1995-03-20 US US08/553,327 patent/US5634684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03-20 GB GB9607250A patent/GB2299935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03-20 KR KR1019950705299A patent/KR016294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03-20 CN CN95190328A patent/CN1118255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05-24 MY MYPI95001356A patent/MY114882A/en unknown
-
1998
- 1998-07-24 HK HK98109379A patent/HK1008722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GB9607250D0 (en) | 1996-08-21 |
HK1008722A1 (en) | 1999-05-14 |
MY114882A (en) | 2003-02-28 |
WO1996019932A1 (fr) | 1996-07-04 |
GB2299935B (en) | 1998-06-17 |
CN1134658A (zh) | 1996-10-30 |
GB2299935A (en) | 1996-10-23 |
CN1118255C (zh) | 2003-08-20 |
KR960702736A (ko) | 1996-05-23 |
US5634684A (en) | 1997-06-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62944B1 (ko) | 접는 의자 | |
CA2736556C (en) | Closed structure parts, method and press form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5718474A (en) | Foldable chair | |
EP2325041B1 (en) | Seat frame and vehicle seat | |
US9238428B2 (en) | Back frame for vehicle seat | |
US6412872B2 (en) | Headrest device | |
JPH08182567A (ja) | 自動車の座席フレーム組立体及び座席フレーム組立体の製造方法 | |
JP2013510766A (ja) | ワンピース型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 |
EP2147271A2 (en) | Tailor welded seat and components | |
CA2738292A1 (en) | Closed structure parts, method and press form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JP2010046162A (ja) | 車両用シートバックのフレーム構造及び該構造を有する車両用シートバック | |
JP2012526015A (ja) | 車両用シートの背もたれフレーム | |
WO2008074964A1 (en) | Method of joining metal parts | |
JP2992490B2 (ja) | 折り畳み椅子 | |
JP2954706B2 (ja) | 折り畳み椅子 | |
JP7398357B2 (ja) | 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用シートのフレーム | |
JP2016215986A (ja) | シートフレーム | |
JP3373348B2 (ja) | シートスライド装置 | |
JPS6235627Y2 (ko) | ||
JP5880319B2 (ja) | シートフレーム | |
FR3133034A1 (fr) | Ensemble de dossier pour siège de véhicule comprenant une armature tubulaire soudé à un gousset | |
JP5813578B2 (ja) | シート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 |
JP3412698B2 (ja) | 自動二輪車のリヤフォーク | |
JP2501347Y2 (ja) | カシメ装置 | |
JP3289356B2 (ja) | シートバツクフレー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823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