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943B1 - 접는의자 - Google Patents

접는의자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943B1
KR0162943B1 KR1019950705391A KR19950705391A KR0162943B1 KR 0162943 B1 KR0162943 B1 KR 0162943B1 KR 1019950705391 A KR1019950705391 A KR 1019950705391A KR 19950705391 A KR19950705391 A KR 19950705391A KR 0162943 B1 KR0162943 B1 KR 0162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ember
full
frame
joint
fro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5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0446A (ko
Inventor
기요시 고지마
다카오 스가노
노부유키 나가이
사쿠지 이토
Original Assignee
구로다 아키히로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호리이 아사카즈
다카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로다 아키히로,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호리이 아사카즈, 다카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로다 아키히로
Publication of KR970700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0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47C4/18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 A47C4/20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with legs pivotably connected to seat or underframe
    • A47C4/2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with legs pivotably connected to seat or underframe with cross leg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이 접는의자는 등받이(12)및 전각(11)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프레임(1)과, 전프레임(1)에 원추형접합된 슬라이드링크(22)를 돌출몰입가능하게 유지하여 이루어지고, 하단측에 후각(21)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후프레임(2)과, 뒷가장자리 근방의 측면을 상기 후프레임(2)에 피벗지지시키는 동시에, 그 후프레임(2)에 의한 지지위치에서 앞측을 전프레임(1)에 피벗지지시킨 좌석(2)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전프레임(1)은 상단 근방부를 상기 좌석(3)에 원추형접합한 전각측파이프부재(13)와 이 전각측파이프부재(13)와는 별체를 이루는 등받이측 파이프부재(14)와 이들 전각측파이프 부재(13)와 등받이축파이프부재(14)를 축심으로 대략 일치시켜서 접속하는 이음매부재(15)를 구비하고 있고, 그 이음매부재(15)에 슬라이드링크(22)의 상단을 원추형접합함으로써 후각(21)의 축선을 접는방향에 있어서 전각(11)의 축선에 대략 중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접는의자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예시하는 배면에서 본 사시도.
제2도는 동 실시예의 접어서 쌓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동 실시예의 주요부를 예시하는 측면도.
제4도는 동 주요부를 나타내는 작용설명도.
제5도는 제4도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제7도는 동 실시예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예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제5도 상당의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제5도 상당의 단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접어서 쌓을 수 있도록한 접는의자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이 종류의 접는의자로서 예컨대 금속나이프재를 대략 U자형으로 성형하고, 그 상단측에 등받이를 연설하여 이루어지는 전각(前脚)과, 동일하게 금속파이프재를 대략 자형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후각(後脚)과, 이들 전각 및 후각에 축지지되는 좌석으로 이루어지며, 전각과 후각을 접근시킴으로써 좌석이 등받이 측에 회동기립하여 전각, 후각 및 좌석을 대략 평면적으로 절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알려지고 있다.
이와같은 접는의자에서는 예컨대 절첩시에 전각과 후각이 좌석의 측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전각과 후각의 외측면끼리를 링크금구를 통하여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링크금구는 양단에 원추형접합부를 가진 판형상의 것이며, 원추형 접합부의 클리어런스나 스스로의 변형등에 의해 두께방향으로 기울어지기 쉽다.
그때문에 이러한 링크금구에 이해 후각과 전각과의 상대적인 좌우동작을 규제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후각의 상단을 전각의 후면에 맞닿게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커다란 하중이 작용한 경우에는 후각이 옆쪽으로 쳐저서 링크금구의 소성변형이나 파손을 초래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후각의 상단부에 슬라이드 링크를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슬라이드 링크의 상단을 전각의 외측면에 축을 통하여 원추형 접합한 것도 있다.
그런데 이것은 슬라이드링크의 상단이 전각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후각이 전각의 외측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때문에 좌석이 그 후각의 측면으로 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지지되게되며, 지지강도가 낮게된다. 또, 이와같은 의자는 후각이 전각보다도 외측쪽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다이를 좌우방향으로 밀착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에, 좌우방향의 배열폭이 넓게되고, 공간의 이용효율이 저하한다.
이와같은 결합을 개량하기 위하여 전각의 후면에 연결용의 조인트부분을 용접하고, 그 조인트부분에 슬라이드링크의 상단을 원추형접합한 것도 있다. 이 조인트 부분을 사용한 슬라이드링크 방식의 것은, 조인트부분을 전각의 후면에 부착함으로써 절첩시에 전각과 후각이 전후방향에서 겹쳐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의 것으로는 조인트부분을 전각에 용접하지 않으면 안되고, 파이프 소재를 절단하거나 절곡하거나하는 일련의 라인과는 이질절인 작업을 강요하게 된다.
따라서, 제조라인이 복잡하여, 자동화하여도 공수를 삭감하기가 어렵고, 따라서 제조 코스트를 경감시키기 어려운 일면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것은 전각과 등받이의 등지지간(背支杆) 부분을 연속한 파이프부재에 의해 일체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대규모의 파이프 성형설비가 필요하게 된다.
더욱이, 이 종류의 의자는 전각의 형상이나 등받이 형상에 각각 복수의 종류가 있고, 그들의 조립에 대응한 종류의 설비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그 설비는 전각만 혹은 등받이 만의 사양변경이라도 대응하는 파이프성형 설비전체에 변경을 가할 필요가 있고, 설비전환작업에 시간과 품을 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중에 의한 파손을 초래하기 어려울뿐더러, 좌우폭이 부당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배열밀도를 높일 수가 있고, 더구나 사양변경이나 신사양의 추가등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는 접는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수단을 강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접는의자는 상단측에 등받이를 갖는 동시에 하단측에 전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프레임과, 상단부에 전프레임에 원추형 접합된 슬라이드 링크를 돌출 몰입가능하게 유지하여 이루어지고, 하단측에 후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후프레임과, 뒷가장자리 근방의 측면을 상기 후프레임에 피벗지지시키는 동시에 그 후프레임에 의한 지지위치에서 앞쪽을 전프레임에 피벗지지시킨 좌석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전프레임을 상단근방부를 상기 좌석에 원추형접합한 전각측파이프부재와, 이 전각측파이프부재와는 별체를 이루는 등받이측 파이프부재와, 이들 전각측 파이프부재와 등받이측 파이프부재를 축심을 대략 일치시켜서 접촉하는 이음매부재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고, 그 이음매부재에 상기 슬라이드링크의 상단을 원추형접합함으로써, 상기 후각의 축선을 접는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각의 축선에 대략 중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음매부재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전각측 파이프부재 및 등받이측 파이프부재와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가진 본체와, 이 본체양단에 돌출설치되고 상기 전각측파이프부재 및 등받이측 파이프부재의 내주에 각각 끼워붙여지는 삽입부와, 상기 본체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에 돌출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링크의 상단과 피벗연결되는 원추형접합부를 일체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음부재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것이라도 무방하며, 합성수지제의 것이라도 무방하다. 이와같은 구성의 것이면,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즉, 전프레임에 이음매 부재를 설치하고, 그 이음매부재에 후프레임의 슬라이드링크 상단을 원추형접합하고 있으므로, 후각의 전프레임에 대하여 옆쪽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하중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더구나, 전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이음매부재에 후프레임을 원추형 접합하여 후각의 축선을 접는방향에 있어서 전각의 축선에 대략 중합되도록 하고있으므로, 후프레임은 좌석의 뒷가장자리 근방의 측면에 편평한 장착금구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되고, 절첩시에 전프레임과 함께 좌석의 측면근방에서 회동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후프레임과 좌석과의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기 때문에 좌석의 장착강도를 높게할 수 있다. 더구나,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후프레임이 전프레임 보다도 외측쪽에 돌출하는 일이 없어지므로, 의자의 좌우측이 부당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때문에, 복수의 의자를 좌우방향으로 인접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에 밀도가 높은 배열이 가능하게되고 공간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전각과 등받이의 등지지간 부분을 연속한 파이프부재에 의해 일체로 구성하고 있지 않으므로, 대규모의 파이프성형 설비가 불필요하게 되고, 전각이나 등받이를 각각 별도로 성형하기 때문에 비교적 소형의 성형기나 운반기등을 구비한 콤팩트한 설비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각각 별도로 성형된 복수종류의 전각과 복수종류의 등받이를 편성함으로써, 각종사양의 전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게 되고, 전각만의 형성변경이나 등받이만의 구조변경등에도 쉽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음매부재를 상기한 바와같은 본체와 삽입부 및 원추형접합부를 구비한 것으로 해두면 그들의 삽입부를 전각측 파이프부재 및 등받이측 파이프부재에 각각 압입하여 고정하거나 삽입하여 리벳고정 혹은 볼트고정함으로써 전프레임을 완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완성된 전프레임에는 이 이음매부재의 원추형접합부가 견고하게 설치되게 된다.
그때문에, 용접공정을 중도에 추가함이 없이 전프레임을 제조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프레스나 절곡공정의 중도에 이질적인 용접공정을 삽입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 설비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의 형태]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제1도∼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접는의자(100)의 1예를 예시한 배면으로부터의 사시도이며, 사용시의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또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의자(100)를 접어서 쌓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수납시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3도는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전프레임(1)의 하단부 및 후프레임(2)의 하단부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4도는 접은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동일하게 전프레임(1)의 상하단부 및 후프레임(2)의 하단부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접는의자(100)는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각(11)및 등받이(12)를 가진 전프레임(1)과, 후각(21)과 슬라이드링크(2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후프레임(2)과, 좌석(3)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프레임(1), 후프레임(2) 및 좌석(3)을 겹친상태로 대략 평면적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프레임(1)은 전각(11)을 구성하는 전각측 파이프부재(13)와, 이 전각측 파이프부재(13)와는 별체를 이루는 등받이축 파이프브재(14)와, 이들 양파이프부재(13,14)를 축심을 대략 일치시켜서 접속하는 이음매부재(15)를 구비하고 있다.
전각측 파이프부재(13)는 환스틸파이프제의 것으로, 그 하단측에 바닥면을 접지하는 베이스간(11a)을 형성하기 위하여 대략 U자형으로 절곡가공 되어 있다.
등받이측파이프부재(14)는 환스틸파이프제의 것으로 상단부에서 등받이(12)를 유지하고 있다. 이음매부재(15)는 예컨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것으로,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각측파이프부재(13)및 등받이측파이프부재(14)와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본체(15a)와, 이 본체(15a)의 양단에 돌출설치되어 상기 전각측 파이프부재(13)및 등받이측파이프부재(14)의 내주에 각각 끼워맞춤되는 삽입부(15b)와 상기 본체(15a)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에 돌출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링크(22)의 상단과 피벗연결되는 원추형접합부(15c)를 일체로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부(15b)와 각 파이프부재(13,14)를 리벳(16)을 사용하여 빠짐방지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각측파이프부재(13)의 상단근방부에서 좌석(3)을 회동가능하게 피벗팅지지하고 있다.
좌석(3)은 좌판(31a)상에 쿠션재(31b)를 붙여설치하고 그 쿠션재(31b)를 표장재(表裝材)(31c)로 포위한 좌석본체(31)와 좌석본체(31)의 주위에 감겨져서 좌판(31a)을 지지하는 환스틸파이프제의 자리프레임(32)으로 이루어진다. 이 좌석 프레임(32)의 측면부를 상기 전각측 파이프부재(13)에 지지축(33)을 통하여 원추형 접합 하고 있다. 이들좌석(3) 및 등받이(12)의 구조는 당해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것과 동일해도 무방하다.
후프레임(2)은 후각(21)과 이 후각(21)의 상단부에 돌출몰입 가능하게 유지시킨 슬라이드링크(2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후각(21)는 환스틸파이프제의 것으로 그 하단측에 바닥면에 접지하는 베이스간(21a)을 형성하도록 대략 U자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이 후각(21)의 상단근방부에 고정설치한 장착금구(21b)와 좌석프레임(32)을 지지축(23)에 의해 피벗결합하는 동시에, 상단에 합성수지제의 슬라이드축받이(21c)를 끼워붙이고, 이 슬라이드축받이(21c)에 상기 슬라이드링크(22)를 돌출몰입동작 가능하게 끼워맞춤시키고 있다.
슬라이드링크(22)는 합성수지제로, 후프레임(2)내에 수납되는 축부(22a)와, 그 축부(22a)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추형접합부재(22b)로 구성된다. 축부(22a)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6도에 그 단면을 나타내는 바와같이 복수의 리브(22c)가 일체로 성형된 형상을 하고 있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용중에도 후프레임(2)내에 수납되며,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을때 후프레임(2)의 이동에 따라 후프레임(2) 내로부터 뻗어나오는 것이다.
슬라이드축받이(21c)는 슬라이드링크(22)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유지하는 것뿐만아니고, 후각(21)의 절구(切口)단면이 직접 원추형접합부재(22b)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후각(21)을 구성하는 파이프부재의 절단처리시에 절구단면의 안쪽에 생기는 부스러기에 의해 원추형접합부재(22b)와 축부(22a)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이 슬라이드축받이(21c)의 윗면부변부분(21d)은 비교적 크게 면따기 되어 있고, 이 슬라이드축받이(21c)에 대응하여 원추형접합부재(22b)의 아래면주변부분(22d)도 동일하게 비교적 크게 면따기 되어 있다(제7도에 도시). 원추형접합부재(22b)는 전프레임(1)의 외경과 대략 동등한 외경을 가진 원추형상의 것으로, 그 선단부중앙에 이음매부재(15)의 원추형접합부(15c)가 삽입되는 슬릿(22e)을 구비하고 있다.
이음매부재(15)의 원추형접합부(15c) 및 슬라이드링크(22)의 원추형접합부재(22b)에는 상호일치하는 축구멍(15f,22f)이 뚫어설치되어 있고, 그 축구멍(15f,22f)에 삽입장착된 축(24)에 의해 전프레임(1)과 후프레임(2)을 피벗결합하고 있다. 축(24)은 축구멍(15f,22f)에 삽입후 그 관통단부를 코킹함으로써 삽입장착된다.
이와같은 구성의 것이면, 전프레임(1)에 이음매부재(15)를 설치하고, 그 이음매부재(15)에 슬라이드링크(22)의 상단을 원추형접합하고 있으므로, 후프레임(2)의 상단이 전프레임(1)에 대하여 옆쪽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때문에, 하중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설계하기가 용이해진다.
더구나, 전프레임(1)의 일부를 구성하는 이음매부재(15)에 후프레임(2)을 원추형접합하여 후각(21)의 축선을 접는방향에 있어서 전각(11)의 축선에 대략 중합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후프레임(2)은 좌석(3)의 뒷가장자리 근방의 측면에 편평한 장착금구(21b)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고, 절첩시에 전프레임(1)과 함께 좌석(3)의 측면근방에서 회동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프레임(1,2)과 좌석(3)과의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므로, 좌석(3)의 장착강도를 높게할 수 있다. 더구나,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후프레임(2)이 전프레임(1)보다도 외측쪽에 돌출되는 일이 없어지므로, 의자의 좌우폭이 부당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때문에, 복수의 의자(100)를 좌우방향에 인접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에 밀도가 높은 배열이 가능하게되고 공간의 이용효율이을 높일 수 있다.
또, 전각(11)과 등받이(12)의 등지지간 부분을 연속된 파이프부재에 의해 일체로 구성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대규모의 파이프성형설비가 불필요하게되고, 전각(11)이나 등받이(12)를 각각 별도로 성형하기 위한 비교적 소형의 성형기나 운반기등을 구비한 콤팩트한 설비로 제조할 수가 있게 된다.
더구나, 각각 별도로 성형된 복수종류의 전각(11)과 복수종류의 등받이(12)를 편성함으로써 각종 사양의 전프레임(1)을 제작할 수 있게되고, 전각(11)만에 형상변경이나 등받이(12)만의 구조변경등에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음매부재(15)를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으로해두면, 삽입부(15b)를 전각측파이프부재(13)및 등받이측파이프부재(14)에 각각 삽입하여 리벳고정함으로써 전프레임(1)을 완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프레임(1)에는 이 이음매부재(15)의 원추형접합부(15c)가 견고히 설치되게 된다. 그때문에 용접공정을 일체 도입함이 없이, 전프레임(1)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프레스나 절곡공정의 중도에 이질적인 용접공정을 삽입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설비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음매부재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합성수지에 의한 일체성형이라도 무방하다. 또, 이음매부재와 파이프부재와의 결합도, 리벳고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입만에 의한 고정부착 혹은 볼트고정등이라도 무방하다.
또, 이음매부재의 원추형접합부 및 슬라이드링크의 원추형접합부재의 형태도 이상설명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제8도, 혹은 제9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것으로 해도 무방하다. 즉, 제8도의 전프레임(101)에 있어서의 이음매부재(115)의 원추형접합부(115c)는 전프레임(101)의 반경에 상당하는 두께를 가지고 있고, 후프레임(102)을 구성하는 슬라이드링크(122)의 원추형접합부재(122b)는 그 선단부분이 편반부(片半部)를 제거하여 이루어지는 반원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원추형접합부재(122b)의 선단부분과 이음매부재(115)의 원추형접합부(115c)를 축(124)에 의해 피벗연결하고 있다. 제9도의 전프레임(201)에 있어서의 이음매부재(215)의 원추형접합부(215c)는 중간에 슬릿(215g)을 가지는 두가닥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이 슬릿(215g)에 판형상을 이루는 슬라이드링크(222)의 원추형접합부재(222b)를 삽입하고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링크(222)의 원추형접합부재(222b)와 이음매부재(215)의 원추형접합부(215c)을 축(224)에 의해 피벗연결하고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링크가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제작된 것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별도 부품인 축부와 원추형접합부재를 편성하여 슬라이드링크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즉, 예컨대 축부를 금속제로하고, 원추형접합부재를 합성수지제로 하는 것이라도 무방하며, 양쪽을 금속제로 하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축부가 리브의 집합체형상의 것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축부는 환파이프라도 무방하며, 혹은 환봉이라도 무방하다. 이와같은 형상의 것에 있어서는 그 외측표면에 마찰계수가 작은 수지를 일체로 성형하는등하여, 슬라이드 축받이와의 마찰력을 경감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 전프레임도 도시실시예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걱종 변형이 가능하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접는의자는 각종홀이나 체육관등의 플로어상에 다수 배열시켜서 설치하거나, 급거 좌석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생겼을 경우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4)

  1. 상단측에 등받이를 가지는 동시에 하단측에 전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프레임과, 상단부에 전프레임에 원추형접합된 슬라이드링크를 돌출몰입 가능하게 유지하여 이루어지고, 하단측에 후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후프레임과, 뒷가장자리 근방의 측면을 상기 후프레임에 피벗지지시키는 동시에 그 후프레임에 의한 지지위치에서 앞측을 전프레임에 피벗지지시킨 좌석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접는의자로서, 상기 전프레임을 상단 근방부를 상기 좌석에 원추형접합한 전각측 파이프부재와, 이 전각측 파이프부재와는 별체를 이루는 등받이측 파이프부재와, 이들 전각측 파이프부재와 등받이측 파이프부재를 축심을 대략일치시켜서 접촉하는 이음매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하고, 그 이음매부재에 상기 슬라이드링크의 상단을 원추형접합함으로써 상기 후각의 축선을 접는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각의 축선에 대략 중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는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이음매부재가 전각측파이프부재 및 등받이측파이프부재와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본체와, 이 본체의 양단에 돌출설치되어 상기 전각측파이프부재 및 등받이측파이프부재의 내주에 각각 끼워붙임되는 삽입부와, 상기 본체의 배면으로 부터 후방에 돌출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링크의 상단과 피벗연결되는 원추형접합부를 일체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는의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음매부재가 알루미늄 다이케스트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는의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음매부재가 합성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는의자.
KR1019950705391A 1995-05-31 1995-05-31 접는의자 KR0162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5/001075 WO1996038071A1 (fr) 1995-05-31 1995-05-31 Chaise plia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0446A KR970700446A (ko) 1997-02-12
KR0162943B1 true KR0162943B1 (ko) 1999-01-15

Family

ID=1412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5391A KR0162943B1 (ko) 1995-05-31 1995-05-31 접는의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18474A (ko)
JP (1) JP2915579B2 (ko)
KR (1) KR0162943B1 (ko)
GB (1) GB2306310B (ko)
HK (1) HK1018573A1 (ko)
WO (1) WO19960380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9651A (en) * 1999-07-16 2000-07-18 Carmen; Norman Folding chair anchoring system
US6543842B2 (en) * 2000-02-03 2003-04-08 Lifetime Products, Inc. Interference fit support bracket for a portable folding chair
US6592182B1 (en) * 2002-01-21 2003-07-15 Mah Sing Plastics Industries Sdn Bhd Stackable folding chair
US20030168894A1 (en) * 2002-03-07 2003-09-11 Wen-Shen Lin Foldable chair
US6905168B2 (en) * 2002-03-22 2005-06-14 Mah Sing Plastics Industries Sdn Bhd Stackable folding chair
US7052081B2 (en) * 2002-03-29 2006-05-30 Cosco Management, Inc. Foldable chair
CN2587251Y (zh) * 2002-11-07 2003-11-26 来福太(厦门)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折叠椅
USD481549S1 (en) * 2003-03-28 2003-11-04 Cocso Management, Inc. Chair frame portion
US7219955B2 (en) 2005-02-18 2007-05-22 Atico Int Usa Inc Anti-pinching device for use in a folding chair
CN2807921Y (zh) * 2005-06-16 2006-08-23 邓鉴荣 靠背式折叠椅的支撑架
US7445277B2 (en) * 2006-08-22 2008-11-04 Cosco Management, Inc. Foldable chair with extensible legs
US7753439B2 (en) * 2008-03-21 2010-07-13 Idea Nuova, Inc, Folding chair
US8449037B2 (en) 2010-04-13 2013-05-28 Herman Miller, Inc. Seating structure with a contoured flexible backrest
USD653061S1 (en) 2010-04-13 2012-01-31 Herman Miller, Inc. Chair
USD652657S1 (en) 2010-04-13 2012-01-24 Herman Miller, Inc. Chair
USD637423S1 (en) 2010-04-13 2011-05-10 Herman Miller, Inc. Chair
USD650206S1 (en) 2010-04-13 2011-12-13 Herman Miller, Inc. Chair
USD657166S1 (en) 2010-04-13 2012-04-10 Herman Miller, Inc. Chair
USD639091S1 (en) 2010-04-13 2011-06-07 Herman Miller, Inc. Backrest
US20130307297A1 (en) * 2012-05-21 2013-11-21 Tsung-Chieh Huang Foldable chairs
CN103040263A (zh) * 2012-08-28 2013-04-17 厦门新技术集成有限公司 一种折叠椅
CN105581546A (zh) * 2014-10-24 2016-05-18 天津市富缔豪家具有限公司 一种便于携带的折叠椅
USD793113S1 (en) 2016-02-02 2017-08-01 Zhuhai Shichang Metals Ltd. Ergonomic collapsible chair
USD794372S1 (en) 2016-11-29 2017-08-15 Zhuhai Shichang Metals Ltd. Collapsible chair fr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7717A (en) * 1954-07-29 1956-08-07 Shwayder Bros Inc Reinforced chair seats
US2757715A (en) * 1955-05-18 1956-08-07 Heywood Wakefield Co Folding chair
FR1238791A (fr) * 1959-07-06 1960-08-19 Chaise repliable
JPS5110003B2 (ko) * 1972-11-07 1976-04-01
JPS50156303U (ko) * 1974-06-07 1975-12-24
JPS5633525A (en) * 1979-08-28 1981-04-04 Topy Ind Ltd Inspecting method of shearing strength in automobile wheel
US4441757A (en) * 1980-02-13 1984-04-10 Jesus Gasca Burges Structural joint for folding chair
JPS60172553U (ja) * 1984-04-24 1985-11-15 愛知株式会社 折りたゝみ椅子
US4784436A (en) * 1985-10-28 1988-11-15 Larry A. Peterson Travel chair
US4881776A (en) * 1988-11-22 1989-11-21 Casual Living International Inc. Chairs with foldable backs
JPH0612682Y2 (ja) * 1990-06-14 1994-04-06 チトセ株式会社 パイプへの回転軸の取付け装置
JP2694392B2 (ja) * 1991-03-26 1997-12-24 株式会社田村電機製作所 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6038071A1 (fr) 1996-12-05
US5718474A (en) 1998-02-17
GB9607318D0 (en) 1996-06-12
GB2306310B (en) 1999-01-06
JP2915579B2 (ja) 1999-07-05
HK1018573A1 (en) 1999-12-24
KR970700446A (ko) 1997-02-12
GB2306310A (en) 1997-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2943B1 (ko) 접는의자
JP4423018B2 (ja) バンパービームアセンブリ
JP2537687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ル
AU7256300A (en) Steering gear frame
US6832816B2 (en) Metallic cylindrical member and metallic bracket
KR0162944B1 (ko) 접는 의자
US5310210A (en) Upper control arm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
JPH08169205A (ja) 前輪駆動車軸アセンブリ及び車両の車軸アセンブリ用の一体の車軸管及びヨーク・アセンブリ
US5310211A (en) Hollow upper control arm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s
US5236209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hollow triangular upper control arm for vehicle
JPH06503785A (ja) 乗用車のボディの構造部材のジョイント、特に縦構造部材のジョイント
US5927666A (en) Wall bracket
JPH11225628A (ja) 魚釣用ラインガイド
JPH0139998Y2 (ko)
US5280945A (en) Upper control arm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
CN112823114B (zh) 用于机动车辆的发动机托架
JP3024754B2 (ja) 自動二輪車等のリヤフレーム
JPS6361006B2 (ko)
CN220262963U (zh) 摩托车车架的边梁结构
JPS6367054B2 (ko)
CN220227113U (zh) 一种用于压缩机机芯与压缩机壳体的连接结构
JP3412698B2 (ja) 自動二輪車のリヤフォーク
JP2000168616A (ja) ボディクロスメンバ
JP3279541B2 (ja) 携帯可能な作業機械の軸受装置
JPH07285354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