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120B1 - 선단 블럭을 구비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및 선단 블럭 핀 - Google Patents

선단 블럭을 구비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및 선단 블럭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120B1
KR0162120B1 KR1019940010173A KR19940010173A KR0162120B1 KR 0162120 B1 KR0162120 B1 KR 0162120B1 KR 1019940010173 A KR1019940010173 A KR 1019940010173A KR 19940010173 A KR19940010173 A KR 19940010173A KR 0162120 B1 KR0162120 B1 KR 0162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ch
block
magnetic tape
assembly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738A (ko
Inventor
산타 마리아 로블스 길레모
린 센델위크 마이클
Original Assignee
윌리암 티. 엘리스
인터내셔날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암 티. 엘리스, 인터내셔날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윌리암 티. 엘리스
Publication of KR950001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7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end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or spo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10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one reel or core, one end of the record carrier coming out of the magazine or casset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7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end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or spool
    • G11B15/672Extracting end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or single re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2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with provision for splicing to provide permanent or temporary connections
    • G11B23/26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with provision for splicing to provide permanent or temporary connections of leaders for loading or threading, e.g. to form a temporary connection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Magnetic Head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leader block) 및 선단 블럭 핀과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단 블럭 핀(new generation leader block pin) 및 선단 블럭을 갖는 형태의 신규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는 4개의 모서리를 갖는 대체로 장방형인 용기(rectangular container)이다. 이 용기의 모서리중 하나는 경사져 있으며 본 발명의 선단 블럭을 삽입 위치(nested position)에 수납하도록 웰(well)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리더 블럭은 상부, 하부, 및 중간 부분으로 이루어진 노치(notch)를 갖는다.
그 노치의 중간 부분 단면은 노치의 하부 부분 단면보다 작고, 노치의 상부부분 단면은 중간 부분 단면보다 더 작다. 그 노치의 하부 부분 단면은 본 발명의 선단 블럭 핀을 수납 체결(receiving and capturing)하도록 180°보다 더 큰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블럭 노치의 상부 부분은 본 발명의 선단 블럭 핀의 측방향 이동량을 소정 범위로 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 및 선단 블럭 핀의 결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단 블럭의 노치와 선단 블럭 핀이 구성된다.

Description

선단 블럭을 구비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및 선단 블럭 핀
제1도는 카트리지 구동 장치(cartridge drive)의 리셉터클(receptacle)에 삽입된 선단 블럭형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leader block type magnetic tape cartridge)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선단 블럭 핀(new generation leader block pin)과 결합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선단 블럭의 사시도.
제3도는 여러 가지 세부 구조를 보여줄 목적으로 카트리지의 상부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자기 테이프와 선단 블럭을 구비한 카트리지의 평면도.
제4도는 선단 블럭이 제거된 카트리지의 한 모서리에 있는 웰(well)의 사시도.
제5도는 카트리지에 삽입된 본 발명의 선단 블럭과 그 블럭으로부터 분리된 본 발명의 선단 블럭 핀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선단 블럭 핀이 선단 블럭과 결합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5도와 유사한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선단 블럭과 선단 블럭 핀의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선단 블럭과 결합된 선단 블럭 핀의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선단 블럭의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X-X 평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XI-XI 평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2도는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과 선단 블럭 핀의 사시도.
제13도는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 핀과 결합된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의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선단 블럭에 결합되지 않는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 핀의 사시도.
제15도는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에 결합되지 않는 본 발명의 선단 블럭 핀의 사시 도.
제16도는 구동 장치의 리셉터클(drive receptacle)에 삽입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처리(processing)하기 위하여 소정 형태의 아암(arm)과 선단 블럭 핀을 채용하는 카트리지 구동 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선단 블럭 24 : 선단 블럭 핀
26 : 아암 28 : (카트리지) 구동 장치
30 : 리셉터클 32 : 자기 테이프
42 : 웰 45, 47 : 노치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종래의 자기 테이프 선단 블럭(leader block) 및 선단 블럭 핀(leader block pin)과는 작동할 수 없는 독특한 구조를 갖는 선단 블럭 및 선단 블럭 핀을 구비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및 자기 테이프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IBM은 3480/3490형 카트리지 구동 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3480/3490형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개발했다. 이러한, 형태의 카트리지는 오목한 형태를 갖는 카트리지의 모서리중 하나에 삽입되는 선단 블럭을 구비한다.
선단 블럭은 카트리지의 릴(reel) 상에 감겨있는 자기 테이프의 선단(leader)에 연결된다. 그 선단 블럭에는 카트리지 구동 장치와 연관된 핀의 확대부(enlarged portion)을 수납 체결하는 공동(cavity)을 제공하도록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은 판독/기록 기능과 같은 처리를 위해 선단 블럭을 카트리지로부터 끌어내어 자기 테이프를 릴에 감도록 카트리지 구동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아암에 연결되어 있다. 3480/3490형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구동 장치는 해당 산업분야에서 상업화된 제품이다. 자기 테이프는 이산화 크롬(chromium dioxide)으로 형성되며, 두께가 약 72 게이지(gauge)이다. 3480/3490형 카트리지 구동 장치는 이러한 특성의 테이프를 처리하도록 설계된다.
본 산업분야에서는 종래의 자기 테이프와는 현저히 다른 신규한 자기 테이프가 출현했다. 이러한 신규한 자기 테이프는 금속 입자 조성(formulation of metal particle)을 가지며, 두께가 약 57 게이지로서 얇다. 따라서, 신규한 테이프를 기존의 테이프에 가해지는 것보다 더 작은 인장력(with less tension)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신규한 테이프 구동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구동 장치는 신규한 조성을 갖는 테이프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테이프 구동 장치는 상기와 같은 변형을 제외하고는 기존의 테이프 구동 장치와 대체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면, 기존의 테이프 구동 장치를 조금만 수정하더라도 새로운 테이프 구동 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테이프 구동 장치에 투여되었던 상당한 비용 투자를 보전한다. 중요한 점은 신규한 테이프 카트리지가 기존의 테이프 구동 장치에는 삽입될 수 없으며, 또 기존의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신규한 테이프 구동 장치에는 삽입될 수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들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면, 테이프가 파손되거나 중요한 데이터가 소실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적절한 카트리지가 삽입되었는지를 전자적으로 검출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의 경우, 그 예방책을 취하기에 앞서서 테이프를 구동 장치에 감을 필요가 있다. 전자 검출 장치(electronic sensing device)를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를 이용하여, 자기 테이프가 카트리지 구동 장치 내로 이동되기 전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카트리지 구동 장치 내에서는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가 감기는 것을 방지하고, 또 본 발명의 카트리지 구동 장치 내에서는 종래기술의 자기 테이프가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기존의 종래기술의 테이프 카트리지 구성 부품들은 선단 블럭을 제외하고는 모두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조성 및 테이프 인장력(formulation of the tape and the tape tension)과 관련되는 구동 요소와 선단 블럭 핀을 제외하고는 기존의 종래기술 카트리치 구동 장치의 구성 부품 모두가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독특한 구조의 선단 블럭을 구비하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단 블럭에 수납 체결되는 독특한 구조의 선단 블럭 핀을 포함한다. 종래기술의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는 상하부 판과 전후방 판 및 한 쌍의 측면 판(side plate)을 갖는 대체로 장방형의 용기(generally rectangular container)를 포함한다. 판들은 용기에 한 쌍의 전방 모서리(front corner)와 한 쌍의 후방 모서리(rear corner)를 형성한다. 대체로 장방형인 선단 블럭이 용기 내에 있는 자기 테이프의 선단부에 연결되게 된다. 용기의 전방 모서리중 하나는 경사져 있고(bevelled), 또 웰(well)이 형성되어 있어서 선단 블럭을 삽입 위치(nested position)에 수납한다. 상하부 판과 선단 블럭은 각기 노치(notch)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요소의 노치들은 블럭이 용기의 웰 내에 삽입되는 경우 서로에 대해 대체로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종래기술의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독특한 선단 블럭을 갖도록 변형시킴으로써, 종래기술의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로 변경된다. 본 발명의 선단 블럭에 형성된 노치는 상하부 및 중간 부분을 가진다. 노치의 중간 부분의 단면은 노치 하부 부분의 단면보다 더 작고, 노치 상부 부분의 단면은 노치의 중간 부분의 단면보다 더 작다. 노치 하부 부분의 단면은 선단 블럭 핀의 원통형 확대부(enlarged cylindrical portion)를 수납 체결하도록, 대체로 180° 이상의 원호(circular arc)로 이루어져 있다. 선단 블럭의 노치 상부 부분은 선단 핀의 스템(stem)의 측방향 이동량을 소정 범위로 규제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카트리지 구동 장치의 아암이 본질적으로 불규칙하게 동작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선단 핀이 선단 블럭과 결합할 때 노치의 상부 부분이 안정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선단 블럭과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 핀간의 결합, 혹은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과 본 발명의 선단 블럭 핀간의 결합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선단 블럭과 선단 블럭 핀은 독특한 형상 및 치수를 갖는다. 이러한 특별한 형상 및 치수에 대해서는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단 블럭이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 핀과 결합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이 본 발명의 선단 블럭 핀과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계적 구조(mechanical arrangement)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 및 선단 블럭 핀과 결합하지 않는 독특한 구성을 갖는 선단 블럭 및 선단 블럭 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 및 선단 블럭 핀과 결합하지 않으면서도, 해당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자기 테이프 구동 장치에 완전히 일치될 수 있도록 하는 선단 블럭 및 선단 블럭 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및 해당 카트리지 구동 장치의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 형태에 대한 설계 상의 영향(design impact)을 최소화하면서, 본 발명의 선단 블럭 및 선단 블럭 핀을 구성하는 부품들과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 및 선단 블럭 핀을 구성하는 부품들간의 결합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 형태의 카트리지 구동 장치로는 작동될 수 없는 자기 테이프 및 선단 블럭을 종래기술의 카트리지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되어 설명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이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다음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도면의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의 선단 블럭 핀 (24)와 결합되는 본 발명의 선단 블럭(22)를 구비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20)이 도시된다. 선단 블럭 핀(24)는 통상 카트리지 구동 장치(28)에 의해 작동되는 아암(26)에 연결된다. 선단 블럭과 선단 블럭 핀이 결합되는 동안, 카트리지(20)은 그 카트리지를 지지하고 카트리지 구동 장치(28)의 일부로서 간주되는 리셉터클(receptacle) (30)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선단 블럭(22)와 릴(reel) (34) 상에 감기는 자기 테이프(32)(제3도 참조)를 제외하고는 현재 구입할 수 있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기존 부품들을 대부분 그대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32)는 조성(formulation) 및 두께에 있어서 기존의 자기 테이프와 다르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는 이들 신규한 특징을 취급하기에 적합한 카트리지 구동 장치(28)을 필요로 한다. 자기 테이프는 기존의 카트리지 구동 장치에 로딩(loading)될 수 없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로딩이 이루어지는 경우, 자기 테이프가 파손되고 또 유용한 데이터가 소실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로딩은 카트리지 구동 장치(28)에 의해 작동되는 아암(26)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34)의 선단부(36)은 핀(38)에 의해 선단 블럭(22)에 연결된다. 아암(26)과 선단 블럭 핀(24)는 카트리지(20)으로부터 선단 블럭(22)를 끌어내어 선단 블럭에 연결된 자기 테이프를 구동 장치(28) 내의 구동 릴(drive reel) (39)로 운반한다.
이러한 과정이 종료된 후, 자기 테이프는 카트리지 구동 장치(28)의 내부에 역시 장착되어 있는 판독 및 기록 장치(4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는 카트리지 구동 장치(28), 아암(26) 및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20)은 모두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유사한 부품에 해당하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2도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20), 선단 블럭(22). 선단 블럭 핀(24) 및 아암(26)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아암(26)은 본 기술 분야에서 판토캠(Pantocam) 아암으로 알려져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20)은 상하부 판(20T) 및 (20B), 전후방 판(20F) 및 (20R)및 한 쌍의 측면 판(20S)로 이루어지는 대체로 장방형인 용기(20C)를 포함하는 데, 이러한 판들은 용기에 상호 결합하여 한 쌍의 전방 모서리 및 한 쌍의 후방 모서리를 형성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장방형인 선단 블럭(22)는 긴 노치(41)을 가지는데, 이러한 노치를 통해서 핀(24)가 삽입되어 자기 테이프(34)의 선단 부분(36)을 포획한다. 아암(26)이 완전히 신장(伸張)(extension)된 후,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20)이 구동 장치(28)에 삽입된다. 핀(24)가 노치(41)로 들어가고, 카트리지가 하강(drop down)하여 결합 동작이 실행된다. 결합 동작을 실행하고 처리 동작이 계속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는 카트리지가 완전 하강 위치(full drop down position)에 일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제2도, 제3도 및 제4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용기(20C)의 전방 모서리중 하나는 경사져 있으며, 그 모서리에는, 제3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삽입 위치 내에 선단 블럭 (22)를 수납하는 웰(42)가 마련된다. 제4도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웰(42)에는 자기 테이프가 통과하는 개구부(opening) (44)가 있다.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의 상부 및 하부 판에는 노치(45) 및 (47)이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판의 노치(45) 및 (47)과 선단 블럭 노치(41)은 선단 블럭(22)가 카트리지(20)의 웰(42)에 삽입 된 경우 서로에 대해 대체로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 블럭 핀(24)는 아암(26)에 연결된 원통형 스템(48)에 축방향으로 연결되는 하부가 확대된 원통형 확대부(bottom enlarged cylindrical portion) (46)을 갖는다. 원통형 확대부(46)을 스템 부분(stem portion) (48)에 연결하는 것은 절두 원추형(frusto-conical) 또는 챔퍼링 가공된 부분(chamfered portion) (50)이다. 제5도에서는 핀(24)가 블럭(22)에 대해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며, 제6도 및 제8도 에서는 핀(24)가 블럭(22)에 결합된 상태로 도시된다. 핀(24)가 선단 블럭(22)와 결합하면, 아암(26)이 자기 테이프를 카트리지(20)으로부터 끌어내어 구동 장치(28)내의 판독 및 기록 장치(40)으로 운반 할 수 있게 된다. 제6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구성 요소간에만 이루어져야 하는 상호 결합을 도시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 핀은 본 발명의 선단 블럭과의 결합이 방지되어야 하며, 또 본 발명의 선단 블럭 핀은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과의 결합이 방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어느 경우라도, 이러한 방지책을 취하기 전에 해당 카트리지가 어느 구동 장치에든 정확히 맞도록 일치되어야 한다. 이는 조작자(operator)가 혼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본 발명의 선단 블럭(22)내에 있는 노치(41)은 제7도, 제9도,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3부분, 즉 상부 부분(52), 하부 부분(54) 및 중간 부분(56)을 갖는다. 이러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치의 중간 부분의 단면은 노치의 하부 부분의 단면보다 더 작으며, 노치의 상부 부분의 단면은 노치의 중간 부분의 단면보다 더 작다. 노치의 하부 부분(54)는 180° 이상의 원호로 형성되어 선단 블럭 핀(24)의 원통형 확대부(46)을 수납 체결한다. 제8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통형 확대부(46)은 블럭(22)내에 형성된 노치의 원통형 하부 부분(54)내에서 결합된다.
구동 장치(28)의 소망스럽지 못한 요동(perturbation)으로 인해 아암(26)의 이동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노치(41)은 제8도에 도시된 결합이 유연히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특별히 구성된다. 본 발명은 선단 블럭 핀(24)의 스템(48)의 측방 이동을 규제할 수 있도록 노치의 상부 부분(52)의 치수를 노치의 하부 부분(54) 및 중간 부분(56)보다 더 작게 형성한다. 포물선(parabolic) 형인 것이 바람직한 이러한 형상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포물선 형상은 원통형 스템 부분(48)의 도입(entrance)은 허용하지만, 선단 블럭 핀 (24)가 포물선 형상의 하부에 삽입된 경우에는 스템의 측방향 이동을 규제한다. 카트리지 (20)이 구동 장치(28) 내에서 하강 위치(down position)에 완전히 일치된 경우 본 발명의 선단 블럭 핀(24)가 본 발명의 선단 블럭(22)와 결합한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이는 노치 하부 부분(54) 내에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단 블럭(22)는 길이를 한정하는 전후방 단부(22F) 및 (22R)과, 폭을 한정하는 측부(22S) 및 두께(depth)를 한정하는 상하부(22T) 및 (22B)를 갖는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22T)에서 하부(22B)까지인 선단 블럭(22)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관통하여 노치(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치의 하부 부분(54)가 절두 원추형 또는 챔퍼링 가공된 부분(58)에 의해 노치의 중간 부분(56)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 하부 부분(54) 및 절두 원추형 부분(58)은 선단 블럭 핀 (24)의 원통형 확대부(46)과 절두 원추형 부분(50)을 꼭 맞게 수납한다.
전술한 선단 블럭(22)의 노치 하부 부분(54)의 원호의 길이는 노치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증가될 수 있다. 테이퍼진 연장부(tapered extension)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호의 길이는 노치의 하부에서 최대이다. 테이퍼진 연장부(60)은 노치 하부(54)가 선단 블럭 핀(24)의 원통형 확대부(46)과 결합하는 부위를 증대시킨다. 테이퍼진 연장부(60)의 상부에서의 원호는 적어도 181° 인 것이 바람직하다. 180° 에서 1° 초과하는 것은 하부 부분 (54) 내에서 원통형 부분(46)이 체결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테이퍼진 연장부(60)의 하부의 원호는 190° 내지 260°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도에는 종래기술 선단 블럭(62)와 종래기술 선단 블럭 핀(64)가 도시된다. 선단 블럭(62)는 그 높이를 한정하는 상부(62T) 및 하부(62B)를 갖는다. 이 블럭 내에 있는 노치(66)은 블럭 높이의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된다. 블럭의 나머지 부분은(68)에서 절제된다(cut out). 결과적으로 선단 블럭 핀(64)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핀과 블럭간의 결합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선단 블럭(62)와 결합한다. 그러나, 어느 경우든지 카트리지(20)이 카트리지 구동 장치 내의 하강 위치에 완전히 일치된 후에만 결합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 블럭 핀(64)는 끝 부분이 하부의 절두 원추형으로 테이퍼진 부분(72) 형태로 마무리된 확대된 원통형 확대부(70)을 구비한다. 선단 블럭 핀(64)는 절두 원추형 전이부(frusto-conical transition portion)(76)에 의해 원통형 확대부 (70)에 연결되는 긴 원통형 스템(74)를 포함한다. 선단 블럭 핀(64)의 동작부(operation part)는 직경이 5.95 내지 6.05 mm인 원통형 확대부(70)이다.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62)의 노치(66)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분(78)과 하부 부분(80)을 갖는다. 하부 부분(80)은 대체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선단 블럭 핀(64)의 원통형 확대부(70)을 수납한다. 하부 부분(80) 내에 있는 원통형 공동의 직경은 약 7 mm이고, 이러한 노치부로 개방되는 개구부는 약 4 mm이다. 노치의 상부 부분은 대체로 U 형 형상이고, 그 폭이 약 4.0 mm로 균일하다. 제13도는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62)와 결합된 종래기술 선단 블럭 핀(64)를 예시한다. 노치의 상부 부분(78)의 폭과 노치 하부 부분(80)으로 개방되는 개구부 모두가 선단 블럭 핀(64)의 원통형 확대부(70)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선단 블럭 핀이 이송을 목적으로 블럭 공동 내에 포획된다.
제14도는 종래기술 선단 블럭 핀(64)를 본 발명의 선단 블럭(22)와 결합하고자 시도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블럭(22)의 상부, 중간 및 하부의 노치 부분들의 특별한 치수로 인하여 결합되지 못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제7도 참조)에 있어서, 노치의 하부 부분(54)의 원통형 부분의 직경은 8 mm이고, 노치의 중간 부분(56)의 원통형 부분의 직경은 6.3 mm이며, 개구부(82)는 폭이 7 mm이다.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 핀(64)의 원통형 확대부(70)과 본 발명의 선단 블럭 (22) 내의 노치간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치의 상부 부분(52), 노치의 하부 부분(54) 및 노치의 중간 부분(56) 각각의 개구부 폭은 6.05 mm인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 핀(64)의 원통형 확대부(70)의 직경보다 더 크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조는 종래기술의 원통형 확대부(70)이 포획할만한 구조로는 불충분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 핀(64)는 본 발명의 블럭 내의 노치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 핀 (64)의 원통형 확대부(70)이 본 발명의 선단 블럭(22)의 노치의 중간 부분(56) 내로 삽입된다는 것이다. 이는 카트리지(20)이 카트리지 구동 장치 내에서 하강 위치에 완전히 맞춰질 수 있도록 해주어 조작자는 구동 장치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카트리지가 완전히 맞추어진 후, 아암(26)이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 핀(64)를 본 발명의 선단 블럭(22) 내의 노치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조작자에게 종래기술의 테이프 구동 장치 대신에 본 발명의 테이프 구동 장치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시킨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선단 블럭 핀(24)를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62)에 결합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치의 하부 부분(80)의 직경은 7 mm이다. 반면에, 본 발명의 선단 블럭 핀(24)의 원통형 확대부(46)의 직경은 7.6 내지 7.8 mm이다. 이러한 직경은 종래기술의 노치의 하부 부분(80)의 공동에 수납되기에는 너무 크다. 결국, 본 발명의 선단 블럭 핀(24)는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62)와 결합되지 않고 노치로부터 미끄러져 나오게 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단 블럭 핀(24)의 원통형 확대부(46)의 직경은 본 발명의 선단 블럭(22)의 노치의 하부 부분(54) 내에 꼭 맞게 결합된다. 비교 목적으로,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과 본 발명의 선단 블럭의 노치 부분의 치수를 표 1에 기재하고,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 핀과 본 발명의 선단 블럭 핀의 치수를 표 2에 기재한다.
제16도는 카트리지(20)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구동 장치(28)을 도시한다. 선단 블럭 핀(24)는 아암(26)에 의해 릴(84)의 중심 위치와 카트리지 리셉터클(86)에 인접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초기 위치(first position)가 제16도에 도시된다. 핀(24)가 리셉터클(86)에 인접된 경우, 카트리지는 슬롯(88)을 통해서 리셉터클(86)에 삽입된 다음, 선단 블럭(도시되지 않음)이 핀(24)와 결합하도록 카트리지가 하강한다. 그 다음으로, 아암 (26)은 자기 테이프 선단이 연결된 선단 블럭을 리셉터클(86)으로부터 릴(84)에 있는 레이디얼 슬롯(radial slot) (90)을 통해 중앙의 릴 지점까지 이송한다. 그 다음으로, 릴(84)가 회전하여 테이프를 감고, 리셉터클(86)에 인접한 판독/기록 헤드가 테이프를 처리한다. 테이프를 처리한 후, 카트리지 내의 릴(도시되지 않음)이 리셉터클(86) 내에서 구동되어 테이프 및 선단 블럭을 카트리지로 복귀시킨다.
본 발명이 신규한 선단 블럭과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 핀간의 결합 또는 종래기술의 선단 블럭과 신규한 선단 블럭 핀간의 결합을 방지할 수 있는 신규한 선단 블럭 및 신규한 선단 블럭 핀을 제공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는 종래의 테이프와는 다른 자기 테이프가 종래기술의 카트리지 구동 장치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종래기술의 테이프가 본 발명의 테이프 구동 장치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지책이 없으면, 각각의 테이프는 대부분 파손되기 쉽고, 유용한 데이터가 소실되게 된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들 가운데 하나는 기존의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및 기존의 카트리지 구동 장치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카트리지 선단 블럭 및 그에 부착된 테이프가 이송되기 전에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단 블럭과 선단 블럭 핀은 카트리지 구동 장치의 이송 조립체(transport assembly)에 의해 급격한 이동(radical movement)이 초래된 경우라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특별하게 구성된다.
비록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구성 요소들에 변형 및 치환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변형 및 치환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며,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32)

  1. 스템(stem)에 연결된 원통형 확대부(enlarged cylindrical portion)를 갖는 선단 블럭 핀(leader block pin)을 수납 체결(receiving and capturing)하는 선단 블럭을 구비한 형태의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에 있어서, a) 상하부 판, 전후방 판, 및 한쌍의 측면판을 구비하고, 상기 판들이 한쌍의 전방 모서리와 한쌍의 후방 모서리를 제공하는 대체로 장방형인 용기(rectangular container); 및 b) 상기 용기 내에 있으며 72 게이지(gauge) 미만의 두께를 갖는 자기 테이프의 선단부(leader end)와 적합하게 연결되도록 대체로 장방형으로 되어있는 선단 블럭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의 전방 모서리 중 경사져(bevelled) 있는 한 모서리에는 선단 블럭을 삽입 위치(nested position)에 수납하는 웰(well)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단 블럭에는 상부, 하부, 및 중간 부분으로 이루어져 상기 선단 블럭의 두께 전체에 걸쳐 관통되어 연장되는 긴 노치(elongated notch)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치의 종축(longitudinal axis)은 선단 블럭이 상기 용기의 웰에 삽입되는 경우 용기의 상하부 판에 대해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노치의 중간 부분의 단면은 상기 노치의 하부 부분의 단면보다 더 작고, 상기 노치의 상부 부분의 단면은 상기 노치의 중간 부분의 단면보다 더 작으며, 상기 노치의 상부, 중간 및 하부 부분들은 각각 6.05 mm보다 큰 폭을 갖는 측방향 개구부(lateral opening)을 가지며, 상기 노치의 하부 부분의 단면은 선단 블럭 핀의 원통형 확대부를 수납 체결하도록 180° 보다 큰 원호(circular arc)로 형성되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의 중간 부분의 단면이 6.05 mm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호에 의해 정해지는 자기테이프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테이프가 금속 입자형(metal particle type)인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블럭 내의 노치의 하부 부분의 원호(arc)가 181° 내지 250° 범위에 속하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블럭의 노치하부 부분의 원호는 그 하부에서 최대이고 상부에서 최소가 되도록 일측부가 테이퍼진(tapered) 형태인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원호는 180° 보다 크고 190° 보다 작으며, 상기 최대 원호는 190° 내지 260° 인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7. 제1항의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콤비네이션(combination)에 있어서, 원통형 스템 부분에 연결되고 직경이 6.05 mm 이상인 하부가 확대된 원통형 확대부(bottom enlarged cylindrical portion)를 갖는 단단한 선단 블럭 핀(solid leader block pin)을 구비하며, 상기 원통형 확대부는 상기 선단 블럭의 노치의 하부 부분에 체결되도록 적합하게 되어 있고, 상기 스템 부분은 상기 선단 블럭의 노치의 상부 부분에 의해 체결되도록 적합하게 되어 있는 있는 콤비네이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블럭의 노치 하부 부분의 원호는 그 하부에서 최대이고 상부에서 최소가 되도록 일측부가 테이퍼진 형태이며, 상기 최소 원호는 180° 보다 크고 190° 보다 작으며, 상기 최대 원호는 190° 내지 250° 인 콤비네이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하부 부분의 원호의 직경이 6.05 mm 보다 더 큰 콤비네이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의 중간 부분의 단면 직경이 6.05 mm 보다 더 크나 상기 선단 블럭 핀의 원통형 확대부의 직경보다는 작은 원호에 의해 정해지는 콤비 네이션.
  11. 콤비네이션에 있어서, a) 긴 선단 블럭(leader block)을 구비한 형태의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b) 상기 카트리지 내에 장착되고, 상기 선단 블럭에 연결되는 선단(leader)을 갖는 자기 테이프; 및 c) 상기 선단 블럭과 결합하는 아암 작동식 선단 블럭 핀(arm actuated leader block pin)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구동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자기 테이프는 두께가 72 게이지(gauge) 미만이고, 상기 선단 블럭에는 상기 선단 블럭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관통하는 상부, 하부, 및 중간부분으로 이루어진 연장된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 부분의 단면은 하부 부분의 단면보다 작고, 상부 부분의 단면은 중간 부분의 단면보다 작으며, 상기 노치의 하부 부분의 단면은 180° 보다 큰 원호에 의해 정해지며, 상기 선단 블럭의 노치의 상부, 하부, 및 중간 부분들은 각각 폭이 노치의 종축(longitudinal axis)에 대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개구부(outer opening)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외측 개구부의 폭은 6.05 mm 보다 더 크며, 상기 선단 블럭 핀은 원통형 스템 부분에 연결되며 또 6.05 mm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 확대부를 가지며, 상기 원통형 확대부의 직경은 상기 노치의 하부 부분의 직경보다는 작으나 중간 부분의 직경보다는 더 큰 직경을 가져, 상기 원통형 확대부는 상기 리더 블럭의 노치 하부 부분 내에 체결(capturing)되고 상기 스템 부분은 상기 선단 블럭의 노치의 상부 부분에 의해 규제될 수 있으며, 상기 아암과 선단 블럭 핀이 상기 선단 블럭과 자기 테이프를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처리 지점(remote location for processing)으로 이송할 수 있는 콤비네이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의 부분의 단면이 포물선 형이고, 상기 스템의 측방향 이동량을 소정 범위로 규제하는 콤비네이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의 중간 부분의 단면 직경이 6.05 mm 보다 더 크나 상기 선단 블럭 핀의 원통형 확대부의 직경보다는 작은 원호에 의해 정해지는 콤비네이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블럭의 노치 하부 부분의 원호는 그 하부에서 최대이고 상부에서 최소가 되도록 일측부가 테이퍼진 형태인 콤비네이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원호는 180° 보다 크고 190° 보다 작으며, 상기 최대 원호는 190° 내제 260° 인 콤비네이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블럭의 노치의 상부 부분이 스템의 측방향 이동량을 소정 범위로 규제하는 자기테이프 카트리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블럭에 형성된 노치의 상부 부분의 단면(cross section)이 대체로 포물선 형인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18. 서로 호환 가능하지 않은 제1 및 제2자기 테이프 이송 조립체(transport assembly)의 콤비네이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및 제2자기 테이프 조립체는 각각 a) i)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ii) 상기 카트리지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릴(reel); iii) 상기 릴 상에 감겨진 자기 테이프-여기서 자기 테이프는 선택적으로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인출되며 또 상기 카트리지로 복귀될 수 있도록 선단 블럭에 연결됨-; 및 iv) 상기 카트리지에 해제 가능하도록(releasably) 장착된 선단 블럭 b) i) 자기 테이프 구동 장치(magnetic tape drive); 및 ii) 카트리지가 상기 구동 장치에 로딩(loading)되는 경우 상기 선단 블럭과 결합할 수 있는 선단 블럭 핀-여기서 선단 블럭 핀은 상기 구동 장치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자기 테이프가 상기 선단 블럭과 결합되면 구동 장치 내에서 상기 자기 테이프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선단 블럭 핀에 의해 이송될 수 있음-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체의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 및 자기 테이프 구동 장치는 상기 제2조립체의 상기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및 자기 테이프 구동 장치 각각과 거의 동일하며, 상기 제1조립체의 핀은 스템에 연곁되고 또 직경이 d1인 원통형 확대부를 가지며, 상기 제1조립체의 블럭은 상부 및 하부 노치 부분-여기서 노치의 하부 부분은 d1이상인 직경 d2를 가지며, d1보다 작은 폭을 갖는 폭방향 개구부(lateral opening)를 가짐-을 구비하므로써, 상기 제1조립체의 핀이 상기 제1조립체의 블럭의 노치 하부 부분 내로 수납(cxtending)되어 그 내부에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조립체의 핀은 스템에 연결되고 또 d2보다 큰 직경 d3를 갖는원통형 확대부를 가져, 상기 제2조립체의 핀이 상기 제1조립체의 블럭의 노치 하부 부분 내로 수납될 수 없어 그 내부에서 결합될 수 없으며, 상기 제2조립체의 블럭은 상부 및 하부 노치 부분-여기서 상기 노치의 하부 부분은 d3이상인 직경 d4를 가지며, d3보다는 작으나 d1보다는 큰 폭을 갖는 측방향 개구부(lateral opening)를 가짐-을 구비하므로써, 상기 제2조립체의 핀은 상기 제2조립체의 블럭의 노치 하부 부분 내로 수납되어 그 내부에서 결합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제1조립체의 핀은 상기 제2조립체의 블럭의 노치 하부 부분 내로 수납될 수 있으나 그 내부에서는 결합될 수 없는 콤비네이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조립체의 노치의 하단 부분이 각각의 측방향 개구부의 폭을 정하는 180° 보다 큰 원호를 각각 가지는 콤비네이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체의 핀의 원통형 확대부의 직경 d1이 대체로 6.05 mm인 콤비네이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조립체의 각 블럭의 노치의 상단 부분이 상기 제1 및 제2 조립체의 각 핀의 스템을 수납하는 측방향 개구부를 가지는 콤비네이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조립체의 각 블럭의 노치의 상단 부분의 단면이 대체로 포물선 형인 콤비네이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체의 테이프는 두께가 72 게이지 미만인 콤비네이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체의 테이프는 두께가 대체로 72 게이지이며, 상기 제2조립체의 테이프는 두께가 72 게이지 미만인 콤비네이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체의 테이프는 두께가 대체로 57 게이지인 콤비네이션.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체의 블럭은 노치의 중간 부분-여기서 노치의 중간 부분은 상기 제2조립체의 핀이 상기 제2조립체의 블럭의 노치의 중간 부분 내로 수납될 수 없어 그 내부에서 결합하지 않도록 d3보다 작은 직경 d5를 가지며 또 상기 제1조립체의 핀이 상기 제2조립체의 노치의 중간 부분 내로 수납될 수 있으나 그 내부에서 결합하지 않도록 d1보다 큰 직경 d5를 가지며 d1보다 큰 폭의 측방향 개구부를 가짐-을 포함하며, 상기 제2조립체의 블럭의 노치의 상부, 중간 및 하부 부분은 상기 제2조립체의 블럭의 전체 폭에 걸쳐서 관통하여 연장되는 콤비네이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조립체의 각 블럭의 노치의 하단 부분이 각각의 측방향 개구부의 폭을 정하는 180° 보다 큰 원호를 가지는 콤비네이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체의 테이프는 두께가 72 게이지 미만인 콤비네이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체의 핀의 원통형 확대부의 직경 d1이 대체로 6.05 mm인 콤비네이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조립체의 각 블럭의 노치의 상단 부분이 상기 제1 및 제2조립체의 각 핀의 스템을 수납하는 측방향 개구부를 가지는 콤비네이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조립체의 각 블럭의 노치의 상단 부분의 단면이 대체로 포물선형인 콤비네이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의 테이프는 두께가 대체로 72 게이지이고, 상기 제2조립체의 테이프는 두께가 대체로 57 게이지인 콤비네이션.
KR1019940010173A 1993-06-14 1994-05-10 선단 블럭을 구비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및 선단 블럭 핀 KR0162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6,321 1993-06-14
US93-076,321 1993-06-14
US08/076,321 US5379167A (en) 1993-06-14 1993-06-14 Magnetic tape cartridge with second generation leader block and leader block p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738A KR950001738A (ko) 1995-01-03
KR0162120B1 true KR0162120B1 (ko) 1998-12-15

Family

ID=2213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173A KR0162120B1 (ko) 1993-06-14 1994-05-10 선단 블럭을 구비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및 선단 블럭 핀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5379167A (ko)
EP (1) EP0708963B1 (ko)
JP (1) JPH0823981B2 (ko)
KR (1) KR0162120B1 (ko)
CN (1) CN1042574C (ko)
AT (1) ATE149265T1 (ko)
CA (1) CA2114881C (ko)
CZ (1) CZ9503253A3 (ko)
DE (1) DE69308332T2 (ko)
ES (1) ES2098908T3 (ko)
HU (1) HU216220B (ko)
MY (1) MY115150A (ko)
PL (1) PL172869B1 (ko)
RU (1) RU2123729C1 (ko)
SG (1) SG46226A1 (ko)
TW (1) TW255035B (ko)
WO (1) WO19940298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9651A (en) * 1997-10-23 2000-06-27 Seagate Technology, Inc. Tape coupling arrangement for single reel cartridge
JP3755633B2 (ja) 1998-08-12 2006-03-1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6186430B1 (en) 1999-04-16 2001-02-13 Benchmark Tape Systems Corporation Tape drive connection sensing assembly
US6450431B1 (en) 2000-04-04 2002-09-17 Benchmark Storage Innovations, Inc. Method for preventing a reverse connection failure in a single reel tape drive
JPWO2002039445A1 (ja) * 2000-11-13 2004-03-18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ドライブ装置及びテープ引出装置並びにテープカセット
JP4146624B2 (ja) * 2001-05-28 2008-09-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のリーダピン脱着力測定器
US6860444B2 (en) * 2002-11-15 2005-03-01 Imation Corp. Leader block assembly with tapered engagement surfaces for a data storage tape cartridge
JP5289497B2 (ja) * 2011-03-31 2013-09-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3660A (en) * 1981-03-30 1983-05-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ingle reel tape cartridge with leader block door seal
US4426047A (en) * 1982-03-26 1984-0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ingle reel tape cartridge
US4452406A (en) * 1982-03-26 1984-06-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eader block for single reel tape cartridge
JPS63108551A (ja) * 1986-10-27 1988-05-13 Nakamichi Corp リ−ダ−ブロック引出し装置
JPH0268344U (ko) * 1988-11-10 1990-05-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08963B1 (en) 1997-02-26
PL314470A1 (en) 1996-09-16
JPH0714344A (ja) 1995-01-17
MY115150A (en) 2003-04-30
CZ289017B6 (cs) 2001-10-17
EP0708963A1 (en) 1996-05-01
US5379167A (en) 1995-01-03
KR950001738A (ko) 1995-01-03
CA2114881A1 (en) 1994-12-15
RU2123729C1 (ru) 1998-12-20
HUT73987A (en) 1996-10-28
HU216220B (hu) 1999-05-28
PL172869B1 (pl) 1997-12-31
CZ9503253A3 (cs) 2001-10-17
CA2114881C (en) 1997-09-23
SG46226A1 (en) 1998-02-20
HU9503443D0 (en) 1996-01-29
WO1994029859A1 (en) 1994-12-22
ATE149265T1 (de) 1997-03-15
DE69308332T2 (de) 1997-08-14
DE69308332D1 (de) 1997-04-03
JPH0823981B2 (ja) 1996-03-06
ES2098908T3 (es) 1997-05-01
TW255035B (ko) 1995-08-21
CN1042574C (zh) 1999-03-17
CN1108419A (zh) 1995-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90149B1 (en) Leader block in a single reel magnetic tape catridge
KR0162120B1 (ko) 선단 블럭을 구비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및 선단 블럭 핀
KR100686267B1 (ko) 휴대식 데이터 저장 매체형 카트리지에 장착되는 저장 장치
US5247406A (en) Tape cartridge magazine
EP0288277A2 (en) Cassette stor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JPH0559676U (ja) ビデオ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H02195564A (ja) 光ディスク挿入装置
DE3736692A1 (de) Speichervorrichtung fuer elektronische chipfoermige bauelemente
DE10045032A1 (de) Minicassette und Adapter für eine Anpassung an Industriestandard-Bandkassetten-Eigenschaften
US20050275965A1 (en) Lockout ramp
US5345349A (en) Magazine latching and ejection mechanism for a cassette autoloader
JP2003039253A (ja) 組付部品の位置調整方法
US5325249A (en) Differentiation of media types via leader block characteristics
DE60107750T2 (de) Halte- und Auswurfsystem für Medienkasstte
EP0749121A2 (en) Door assembly for a cartridge handling device
US6943982B2 (en) Lockout mechanism for I/O station of automated library
US4645136A (en) Takeup spindle
DE60216669T2 (de) Schnittstelle für Kassette eines automatischen Bibliotheksystem mit automatischer Ladung von Bandkassetten
EP0188527B1 (en) Takeup spindle
CA1285652C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a tape cartridge
US63864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the assembly of data storage devices
US6880225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leader pin assembly to data tape on a tape cartridge
DE4329137A1 (de) Magnetband-Aufwickelsystem
JPH02201762A (ja) カセット装填装置
JPH0335467A (ja) カセットテープ自動給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