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9340B1 - 미러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미러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9340B1
KR0159340B1 KR1019950063933A KR19950063933A KR0159340B1 KR 0159340 B1 KR0159340 B1 KR 0159340B1 KR 1019950063933 A KR1019950063933 A KR 1019950063933A KR 19950063933 A KR19950063933 A KR 19950063933A KR 0159340 B1 KR0159340 B1 KR 0159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seat
headrest
cover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859A (ko
Inventor
김재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3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9340B1/ko
Publication of KR97003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9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9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33Seats; Arm rests; Head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7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러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룸미러 등의 방향을 임의로 바뀌어져 운전시 필요할 때 보이지 않는 등의 애로사항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종종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시트쿠션과 시트백(10) 그리고 헤드레스트(20)로 구비된 차량용 시트(S)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20)의 후면에는 수납실(22)을 형성하되 그 수납실(22) 바닥에는 미러(30)와 단자(40) 그리고 램프(50)를 부설하고, 상기 수납실(22)의 상단 모서리에는 일단이 힌지(62)에 의해 축설되어 개폐되게 한 커버(60)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차량의 탑승자들이 미러가 필요할 경우 헤드레스트의 후면으로 설치된 커버를 여는 동시에 램프도 함께 점등되어 어두운 야간의 경우에도 볼 수 있게 되므로 편리하게 되고, 미러가 필요없는 경우 커버를 닫아두면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 발명이다.

Description

미러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거울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 절결 요부 측면도로,
(a)는 커버를 닫았을때이고,
(b)는 커버를 열었을때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회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시트 10 : 시트백
20 : 헤드레스트 22 : 수납실
30 : 미러 40 : 단자
50 : 램프 60 : 커버
62 : 힌지
본 발명은 미러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레스트의 후면으로 미러와 램프를 설치함으로써, 미러 필요시 별도로 찾거나 룸미러 등을 이용할 필요없이 단지 커버를 열어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탑승자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램프의 불빛을 이용하여 어두운 야간에도 미러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는 각종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는 한정된 공간과 중량의 범위내에서 보다 안전하고 쾌적하게 승객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배치에 따라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모양에 따라 긴 의자 형태의 벤치 시트와 각각 분리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는 세퍼레이트 시트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승객의 엉덩이에서 허벅다리를 지지하는 시트의 부분인 시트쿠션과, 시트의 등받이를 지지하는 부분인 시트백과, 머리를 편안하게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인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더불어 운전자 및 탑승자들을 편안하고 안전하게 탑승시킬 수 있도록 각종 안전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헤드레스트는 시트백의 상단부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었으나 탑승자들의 체형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어 더욱 발전된 것이 승강식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 헤드레스트이다. 또한 운전후 차내에서 수면을 취하기 위해 상기 헤드레스트를 베게 대신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잠자는 도중 머리부위가 좌우로 떨어지는 등의 불편함이 있어 헤드레스트의 양편으로 받침대를 돌출형성하기도 했었다.
또한 상기 시트에는 추돌사고를 대비하여 각종 안전장치도 설치하였다. 즉, 안전벨트를 설치하여 시트에 탑승자가 착석한 후 몸을 고정시키도록 하여 추돌시 인체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에는 전후 및 좌우 또는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설계하고 있다. 이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보다 편안한 탑승감을 갖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처럼 차량에도 승차감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기능을 갖추고 있는데, 여기서 특히 차량을 탑승했을 경우 식사를 했을 경우나 얼굴의 모양을 관찰하고자 할 경우 남자들은 보통 거울을 휴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룸미러나 사이드 미러를 보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이때 이용자 스스로 편리한 사용을 위해 룸미러 등의 방향을 임의로 바꾸게 되므로, 운전시 필요할 때 각도가 바뀌어져 있어 운전시 애로사항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종종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내부에서 미러가 필요할 때 일일이 찾을 필요없이 헤드레스트에 내설된 미러를 편리하게 이용하고 또한, 어두운 야간에도 램프의 불빛을 이용하여 주간이나 야간에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후면에는 수납실을 형성하되 그 수납실 바닥에는 미러와 단자 그리고 램프를 부설하고, 상기 수납실의 상단 모서리에는 일단이 힌지에 의해 축설되어 개폐되게 한 커버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서 거울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 절결 요부 측면도로, (가)는 커버를 닫았을 때이고, (나)는 커버를 열었을 때인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쿠션과 시트백(10) 그리고 헤드레스트(20)로 구비된 차량용 시트(S)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20)의 후면에는 수납실(22)을 형성하되 수납실(22) 바닥에는 미러(30)를 부설하고, 헤드레스트 지지부(42)에 탄발되는 단자(40)와 상기 단자(40)가 탄발시 스위칭되는 리미트 스위치(48)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48)가 온되면 점등되는 램프(50)를 부설하며, 상기 수납실(22)의 상단 모서리에는 일단이 힌지(62)에 의해 축설되어 개폐되게 한 커버(60)를 설치하여 된 것이다.
도3에는 본 발명의 회로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리미트 스위치(48)를 배터리(BAT)와 램프(50) 사이의 회로 라인을 통해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48)를 헤드레스트 지지용 구조물(46)에 위치시켜 탄발수단(44)에 의하여 단자(40)가 밀리면서 스위치를 온시키도록 구성하며, 본 발명에서는 리미트 스위치의 기구적인 설치는 도시생략하며 회로 구성 설명만으로 이를 대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운행하는 도중이나 정차시에 차량의 탑승객들은 차내에서 식사를 하거나 다른 음식을 섭취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하 탑승자들은 치아에 음식물 찌꺼기 등이 끼었는지 여부를 살펴보기 위해 미러를 찾게 되는데, 이때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차내부에 설치된 룸미러나 외부의 사이드 미러를 보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탑승자들은 편의에 따라 상기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이후 주행할 때 운전자에게 불편을 끼치는 등의 폐단이 발생하여 본 발명에서는 미리 상기 헤드레스트(20)에 미러(30)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헤드레스트(20)의 후면으로 수납실(32)을 형성한 후 그 수납실(22)에 미러(30)를 부착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의 탑승자들이 미러(30)를 보고자할 때 상기 수납실(22)을 밀폐한 커버(60)를 손으로 열게되면, 상기 커버(60)의 일측이 힌지(62)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곧바로 미러(30)가 보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가 개방됨과 동시에, 헤드레스트 지지부(42)로부터 탄발되는 단자(40)가 리미트 스위치(48)를 온시켜 램프(50)가 점등되도록 하기 때문에, 어두운 야간에도 미러(30)를 볼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미러(30)를 사용하고 난 후에는 상기와 같이 열려진 커버(60)를 손으로 하강시켜 상기 수납실(22)을 밀폐하게 되면, 미러(30)는 다시 밀폐되어 보이지 않게 되고, 상기 단자(40) 역시 헤드레스트 지지부(42)로 밀착되어 리미트 스위치(48)가 오프되므로 램프(50)가 소등된다.
그러면, 탑승자들에게 상기 커버(60)로 인해 걸리는 등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러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차량의 탑승자들이 미러가 필요한 경우 헤드레스트의 후면으로 설치된 커버를 여는 동시에 램프도 함께 점등되어 어두운 야간의 경우에도 볼 수 있게 되므로 편리하게 되고, 미러가 필요없는 경우 커버를 닫아두면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 발명이다.

Claims (1)

  1. 시트쿠션과 시트백(10) 그리고 헤드레스트(20)로 구비된 차량용 시트(S)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20)의 후면에는 수납실(22)을 형성하되 그 수납실(22) 바닥에는 미러(30)를 부설하고, 헤드레스트 지지부(42)에 탄발되는 단자(40)와 상기 단자(40)가 탄발시 스위칭되는 리미트 스위치(48)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48)가 온되면 점등되는 램프(50)를 부설하며, 상기 수납실(22)의 상단 모서리에는 일단이 힌지(62)에 의해 축설되어 개폐되게 한 커버(60)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
KR1019950063933A 1995-12-29 1995-12-29 미러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 KR0159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3933A KR0159340B1 (ko) 1995-12-29 1995-12-29 미러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3933A KR0159340B1 (ko) 1995-12-29 1995-12-29 미러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859A KR970036859A (ko) 1997-07-22
KR0159340B1 true KR0159340B1 (ko) 1998-12-01

Family

ID=1944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3933A KR0159340B1 (ko) 1995-12-29 1995-12-29 미러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93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859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95025A1 (en) Vehicle seat
KR20030043903A (ko) 간이침대 겸용 운송수단 시트
KR20010015233A (ko) 컨버터블 헤드레스트
KR0159340B1 (ko) 미러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
JPH10166917A (ja) 自動車用シート
KR0138702Y1 (ko) 유아 보호 시트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KR0149142B1 (ko) 아암레스트와 연동되는 승용차 뒷좌석 중앙부의 헤드레스트
KR0124111Y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 백 구조
KR200311908Y1 (ko) 헤드레스트 장착형 쿠션
KR0166546B1 (ko)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동전박스
KR0120326Y1 (ko) 차량용 시이트의 머리받침대 구조
KR0128138Y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 구조
KR19980024390U (ko) 유아용 변기를 내장한 리어시트의 아암레스트
KR200141608Y1 (ko)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장착구조
JP2582029Y2 (ja) 車輌用シート
KR970001477Y1 (ko) 차량의 시트백에 설치된 가리개
KR19990021288U (ko) 차량의 어린이용 보조시트
KR19980039618U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KR19980018745U (ko) 차량의 조수석 우측부에 설치된 암레스트
KR19980018746U (ko) 차량의 조수석 좌측부에 설치된 암레스트
KR19980018744U (ko) 차량의 조수석 좌,우측부에 설치된 암레스트
KR19980048118U (ko) 자동차용 시트
JPH0612170U (ja) 幼児用シートに切替可能な車輌用シート
JPH0411528A (ja) ヘッドレストを備えたシート
KR19980029824U (ko) 거울을 내장한 자동차 헤드 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