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824B1 - 화물차 적재함의 바닥면구조 - Google Patents

화물차 적재함의 바닥면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824B1
KR0157824B1 KR1019950064055A KR19950064055A KR0157824B1 KR 0157824 B1 KR0157824 B1 KR 0157824B1 KR 1019950064055 A KR1019950064055 A KR 1019950064055A KR 19950064055 A KR19950064055 A KR 19950064055A KR 0157824 B1 KR0157824 B1 KR 0157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argo
loading
roll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4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7206A (ko
Inventor
하정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4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7824B1/ko
Publication of KR970037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7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8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 적재함의 바닥면구조에 관한 것으로,
화물차의 적재함에 박스형 화물을 하역작업할 시에 적은 힘으로도 많은 일을 할 수가 있도록 한 것으로 박스형 화물의 하면과 적재함의 바닥면에서 발생되는 저항을 극소화 시키므로 박스형 화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재함의 바닥면에 다수의 롤러(1)를 장착하여 박스형 화물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저항을 극소화 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롤러(1)를 은폐하여 적재한 박스형 화물의 유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하역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차 적재함의 바닥면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장착상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제1도에 따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롤러 2 : 회전축
3 : 회전축지지대 4 : 연결대
5 : 래크어 6 : 모터
7 : 피니언
본 발명은 화물차 적재함의 바닥면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물차의 적재함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한 것으로, 바닥면에 다수의 롤러를 출몰가능하게 장착하여 박스형 화물의 하역작업을 할때에 적은 힘을 들여도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의 후측에는 적재함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적재함에 많은 짐을 적재하여 짐을 운반하는 것으로 인건비가 상승하는 현재 추세에 적은 인력으로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요구되는 것이 현실이다.
종래에는 화물차의 후측에 장착되는 적재함은 바닥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어 박스형 화물을 운반할 때에는 바닥면과 박스형화물의 하면에서 발생되는 많은 저항으로 인하여 많은 힘을 가해야 박스형 화물을 이동할 수가 있으므로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화물차의 적재함에 박스형 화물을 하역 작업할 때에 적은 힘으로도 많은 일을 할 수가 있도록 한 것으로 박스형 화물의 하면과 적재함의 바닥면에서 발생되는 저항을 극소화시키므로서 박스형 화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재함의 바닥면에 다수의 롤러를 출몰가능하게 장착하여 박스형 화물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저항을 극소화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롤러를 바닥면 하부로 하강시켜 적재한 박스형 화물의 유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하역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8)에는 다수의 롤러(1)를 장착하되, 상기 롤러(1)의 양측에 회전축(2)과, 이 회전축(2)의 하부에 회전축지지대(3)를 장착하고 상기 회전축지지대(3)의 하단부에 연결대(4)를 장착하며, 상기 연결대(4)의 양단부에 래크(5)를 수직으로 장착하되 상기 래크(5)는 모터(6)와 동축으로 설치된 피니언(7)과 이맞물림되는 것이다.
상기 모터(6)는 운전석의 컨트롤박스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석의 컨트롤박스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를 작동하면 상기 모터(6)가 작동되면서 피니언(7)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이맞물림되어 있는 래크(5)가 회전되면서 래크(5)에 착설된 연결대(4)가 제3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상승되면서 이 연결대(4)에 연설되어 있는 회전축지지대(3)가 상승되어 상기 롤러(1)가 바닥면(8)의 상부로 돌출하게 되고, 롤러(1)를 바닥면(8)밑으로 하강시키려면 위와는 반대로 모터(6)를 역회전시키면 연결대(4)가 제3도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래크(5)를 피니언(7)이 하강시켜서 이와 연설된 롤러(1)가 바닥면(8)밑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롤러(1)를 바닥면(8)의 상부에 위치시키면 박스형 화물의 롤러(1)위를 미끄러져 적재 및 하역작업을 힘을 덜 들이고 할 수 있고, 보통 운반시에는 모터(6)를 역회전시켜 롤러(11)를 바닥면(8)밑으로 이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박스형 화물이 이동하는 적재함의 바닥면에 롤러(1)를 장착하여 적은 힘으로도 박스형 화물을 이동할 수가 있으므로 작업의 능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적재함의 바닥면(8)에 다수의 롤러(1)를 장착하되, 상기 롤러(1)의 양측에 회전축(2)과, 이 회전축(2)의 하부에 회전축지지대(3)를 장착하고, 상기 회전축지지대(3)의 하단부에 연결대(4)를 장착하며, 상기 연결대(4)의 양단부에 래크(5)를 수직으로 장착하되, 싱기 래크(5)의 측면에 모터(6)와 동축으로 설치된 피니언(7)이 이맞물림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의 바닥면구조.
KR1019950064055A 1995-12-29 1995-12-29 화물차 적재함의 바닥면구조 KR0157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4055A KR0157824B1 (ko) 1995-12-29 1995-12-29 화물차 적재함의 바닥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4055A KR0157824B1 (ko) 1995-12-29 1995-12-29 화물차 적재함의 바닥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206A KR970037206A (ko) 1997-07-22
KR0157824B1 true KR0157824B1 (ko) 1998-10-15

Family

ID=1944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4055A KR0157824B1 (ko) 1995-12-29 1995-12-29 화물차 적재함의 바닥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78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206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4767A (en) Motorized extendible drawer apparatus for a vehicle
US3735885A (en) Sideloader lift truck with powered deck and carriage rollers
KR0157824B1 (ko) 화물차 적재함의 바닥면구조
EP1745980B1 (en) Transport vehicle for sheet material
KR20090130656A (ko)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의 적재장치
US4841883A (en) Shiftable truck bed
JPS6040327A (ja) パレツト用荷役装置
CN112757989B (zh) 一种生产车间用物料搬运装置
JPS61155037A (ja) 貨物自動車
KR940002128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딩장치
JPH0642399U (ja) 貨物自動車における積荷の搬送装置
JP7381179B2 (ja) 車両の自動搬送車
JPH07251667A (ja) 貨物コンテナの選別昇降・格納装置
EP0080989A1 (en) A device in vehicle-mounted lifting arms
JP2891132B2 (ja) 貨物車両のリフト装置
KR102588917B1 (ko) 상하차용 롤러시스템이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
KR0118381Y1 (ko) 상용차의 화물 적재함 회전 이동장치
JP3011534U (ja) 積載物運搬車輌の積載装置
KR0168728B1 (ko) 오토바이 운반차의 적재대구조
KR970005060B1 (ko) 승용차의 운반차의 적재대 승강장치
KR100197018B1 (ko) 화물차용 적재함의 커버장치
SU740559A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 перевозки грузов
KR100253513B1 (ko) 화물차의 보조 덱크장치
KR100203480B1 (ko) 자동차의 도어프레임 적재장치
KR880000685Y1 (ko) 차량 수송용 화차의 받침대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