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973B1 -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973B1
KR0156973B1 KR1019950021172A KR19950021172A KR0156973B1 KR 0156973 B1 KR0156973 B1 KR 0156973B1 KR 1019950021172 A KR1019950021172 A KR 1019950021172A KR 19950021172 A KR19950021172 A KR 19950021172A KR 0156973 B1 KR0156973 B1 KR 0156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oor
outlet
product outlet
fro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1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792A (ko
Inventor
도시유끼 호리구찌
히데까즈 야지마
고오지 하찌이
Original Assignee
다까노 야스아끼
상요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68021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5697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노 야스아끼, 상요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노 야스아끼
Publication of KR960011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도어의 깊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체(10)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 도어(4)의 하부 전방에 상품 반출구(5)를 설치하는 한편, 외부 도어(4)에 대향 배치되는 동시에 본체(10)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9)의 하부에 상품 반출구(5)에 대응하도록 상품 반출구(1)를 설치하고, 상품 수납실(6)내에 설치된 상품 슈트를 따라 미끄럼 낙하하는 상품을, 상품 반출구(1)를 통과시킨 후, 상품 반출구(5)로 반출하게 한다. 또, 상품 반출구(1)에 상단이 피봇되는 반출구 도어(11)를 상품이 닿는 전방벽(11a)과, 이 전방벽(11a)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후단이 상품 반출구(1)의 전방 모서리에 맞닿는 양측벽(11b)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전방벽(11a)을 상품 취출구(5)측으로 만곡하여 형성하여 중심 위치를 상품 취출구(5)측으로 치우치게 함으로써 반출구 도어(11)에 양측벽(11b)의 후단을 상품 반출구(1)의 전방 모서리에 맞닿게 하는 방향의 힘을 생기게 한다.

Description

자동 판매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자동 판매기의 요부 측면 단면도.
제2도는 상기 자동 판매기의 내부 도어의 하부 측면 단면도.
제3도는 상기 자동 판매기의 요부 측면 확대 측면 단면도.
제4도는 상기 자동판매기의 내부 도어의 하부 정면도.
제5도는 종래의 자동 판매기의 요부 측면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품 반출구 3,11 : 상품 반출구 도어
4 : 외부 도어 5 : 상품 반출구
6 : 상품 수납실 9 : 내부 도어
11a : 전방벽 11b : 양측판
13 : 종방향 리브 14 : 횡방향 리브
G : 중심
본 발명은 내부 도어를 갖는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내부 도어의 하부에 형성된 상품 반출구를 개폐하는 반출구 도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내부에 상품 수납실이 형성되어 있는 단면 구조의 본체의 전방부에 외부 도어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외부 도어의 하부 전방면에 상품 반출구를 설치하는 한편, 외부 도어에 대향 배치하는 동시에 본체의 전방면 개구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의 하부에 상품 취출구에 대응하도록 상품 반출구를 설치하게 하고 있다. 이로써 상품 수납실 내에 설치된 상품 슈트를 미끄럼 낙하되어오는 상품은 상품 반출구를 통과한 후, 상품 취출구로 반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상품 상품 반출구에는 일본국 특허 공개 평2-8987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이 평판형 반출구 도어가 상단을 피봇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통상 이 반출구 도어는 상품 반출구를 폐색하여 상품 수납실 내로의 외기의 침입을 저지하고, 상품 반출시에는 상품 슈트를 미끄럼 낙하해 오는 상품에 닿아서 밀려 열리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런데, 상품 반출구 도어를 평판형으로 형성하면 도어의 중심은 축부의 수직 하방으로 위치하게 되며, 이와같이 중심 위치가 축부의 하방에 있는 경우에는 상품 반출구 도어에는 상품 반출구의 전방 모서리에 맞닿는 방향의 힘은 생기지 않으므로 상품 반출구 도어가 상품 수납실 내를 순환하는 냉기 또는 난기로 열리는 일이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제5도에 도신한 바와 같이 상품 반출구(1)의 전방 모서리부에 후방으로 경사진 프레임형의 맞닿음부(2)를 돌출 설치하고, 이 맞닿음부(2)에 상품 반출구 도어(3)를 맞닿게 하여 상품 반출구 도어(3)를 경사시키고, 이로써 상품 반출구 도어(3)의 중심 위치를 축부(3a)의 수직 하방 보다 외부 도어(4)의 상품 취출구(5)측으로 치우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중심 위치를 상품 반출구(5)측으로 치우치게 함으로써 상품 반출구 도어(3)에 상품 반출구(1)를 향하는 방향의힘(모멘트)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로써 상품 반출구 도어(3)를 상품 반출구(1)에 밀착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품 수납실(6)내를 순환하는 냉기 또는 난기로 상품 반출구 도어(3)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도면에 있어서, 7은 상품 반출구(1)로부터 낙하해 오는 상품을 받는 상품 받이부, 8은 상품 받이부(7)의 상방에 피봇 지지되어 있는 이탈 방지판, 9는 내부 도어이다.
그런데, 상품 반출시, 상품을 확실하게 반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상품에 의해 밀려 개방되는 상품 반출구 도어의 선단과 상품 반출구 하단부로부터의 거리가 상품이 확실히 통과할 수 있는 소정 거리 만큼 떨어진 위치 까지 상품 반출구 도어를 상방 회전시키기만 하는 전후 방향의 폭을 가진 공간을 상품 반출구와 상품 취출구 사이에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외부 도어는 소정 깊이 치수를 가져야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상품 반출구 도어가 맞닿음부(2)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상품 반출구 도어의 선단은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닿음부(2)의 하단부의 깊이 치수(d1)만큼 외부 도어(4)에 가까워지게 된다.
이 때문에, 소정 거리(L)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품 반출구 도어(3)의 선단이 외부 도어(4)에 가까워지는 만큼 상품 반출구 도어(3)를 보다 상방 까지 회전시켜야 하고, 그 만큼 외부 도어(4)의 깊이 치수(d1)도 커지며, 자동 판매기의 박형화라고 하는 시장 요구에 응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 도어의 깊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내부에 상품 수납실이 형성되어 있는 단열 구조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하부 전방면에 상품 취출구가 설치되어 있는 외부 도어와, 상기 외부 도어에 대향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본체의 전방면 개구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와, 상기 내부 도어의 하부에 상기 상품 취출구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품 수납실 내에 설치된 상품 슈트를 미끄럼 낙하하는 상품을 상기 상품 취출구로 반출하기 위한 상품 반출구와, 상기 상품 반출구에 상단이 피봇 지지되는 동시에, 중심 위치를 상기 상품 반출구측으로 치우치도록 상기 상품 취출구에 만곡하여 형성된 상기 상품이 닿는 전방벽을 갖는 반출구 도어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반출구 도어를 투명한 부재로 형성한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반출구 도어의 전방벽의 내벽면에 종방향 리브를 다수 형성한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반출구 도어의 전방벽의 하부에 횡방향 리브를 복수개 형성한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단열 구조의 본체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 도어의 하부 전방면에 상품 취출구를 설치하는 한편, 외부 도어에 대향 배치되는 동시에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의 하부에 상품 취출구에 대응하도록 상품 반출구를 설치하고, 상품 수납실 내에 설치된 상품 슈트를 미끄럼 낙하하는 상품을 상품 반출구를 통과사킨 후 상품 취출구로 반출하게 한다. 또, 상품 반출구에 상단이 피봇 지지되는 반추구 문짝의 상품이 닿는 전방벽을 상품 취출구측으로 만곡하여 형성하여 중심 위치를 상품 취출구측으로 치우치게 함으로써 반출구 도어에 양측벽의 후단을 상품 반출구의 전방 모서리에 맞닿게 하는 방향의 힘을 발생시키게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반출구 도어를 투명한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상품 반출구로부터 반출되는 상품을 알아 볼 수 있게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반출구 도어의 전방벽의 내벽면에 종방향의 리브를 다수 형성함으로써 반출구 도어의 전방벽이 미끄럼 낙하 상품에 의해 손상을 입는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청구항 4항의 발명에서는 반출구 도어의 전방벽의 하부에 횡방향의 리브를 복수 형성함으로써 반출구 도어가 횡방향으로 비틀리지 않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자동 판매기의 요부 측면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5도와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10은 자동 판매기 본체, 10a는 상품 취출구(5)에 설치된 투명한 상품 취출구 도어, 11은 상품 반출구 도어이다. 여기서, 이 상품 반출구 도어(11)는 상품 취출구(5)측으로 만곡하여 형성한 상품이 닿는 전방벽(11a)과, 이 전방벽(11a)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후단이 상품 반출구(1)의 전방 모서리부에 맞닿는 양측판(11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상품 반출구 도어(11)의 전방벽(11a)를 상품 취출구(5)측으로 만곡하여 형성함으로써,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 반출구 도어(11)의 중심(G)의 위치를 축부(11c)의 수직 하방으로부터 d2만큼 상품 취출구(5)측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중심 위치를 상품 취출구(5)측으로 치우치게 함으로써 상품 반출구 도어(11)에 상품 반출구(1)의 전방 모서리부에 맞닿는 방향의 힘(모멘트)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품 반출구 도어(11)에 상품 반출구(1)의 전방 모서리부에 맞닿는 방향의 힘을 발생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이 프레임형의 맞닿음부(2)(제5도 참조)를 상품 반출구(1)의 전방 모서리부에 돌출 설치하지 않아도 상품 반출구 도어(11)을 상품 반출구(1)의 전방 모서리부에 맞닿게 할 수 있으므로 상품 반출구 도어(11)의 선단이 외부 도어(4)에 가까워지는 거리는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 반출구(1)의 프레임부(1a)의 두계 치수(d3)만으로 된다.
여기서, 이 프레임부(1a)의 두께 치수(d3)는 종래의 상품 반출구(1)에 돌출 설치된 맞닿음부(2)의 하단부의 깊이 치수(d1)보다 작으므로, 그 차 만큼 상품 반출구 도어(11)의 외부 도어(4)에 가까워지는 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이 때문에, 상품 반출구 도어(3)를 그다지 상방까지 회전시키지 않아도 소정 거리(L)를 확보할 수 있게 되며, 그 만큼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도어(4)의 깊이 치수(d2)도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 도면에 있어서, 12는 상품 받침부(7)의 상방에 설치된 스톱퍼이며, 이 스톱퍼(12)에 전방벽(11a)의 중앙 부분이 닿아서 상품 반출구 도어(11)의 상방 회전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상품 반출구 도어(11)가 스톱퍼(12)에 닿는 위치 까지 회전하면, 만곡된 전방벽(11a)의 하부 부분에서 상품 취출구(5)가 막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전방 벽(11a)을 만곡 형성하는 동시에 스톱퍼(12)에서 상품 반출구 도어(11)를 전방벽(11a)이 상품 취출구(5)를 막는 위치까지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이탈 방지판(8)(제5도 참조)을 설치하지 않고, 상품 반출구(11)의 부정 개방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이 이탈 방지판(8)을 설치하지 않게 함으로써 이탈 방지판(8)에 방해를 받지 않고 상품을 취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품 반출구 도어(11)는 투명한 수지로 형성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탈 방지판을 설치하지 않게 하는 동시에, 이와 같이 상품 반출구 도어(11)를 투명한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상품 반출구(1)로부터 반출되는 상품을 알아 볼 수 있고, 예를 들면 상품 반출구(1)에 상품이 걸린 경우에도 상품을 간단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 상품 반출구 도어(11)의 전방벽(11a)을 상품 취출구(5)측으로 만곡하여 형성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상품 슈트를 미끄럼 낙하해 오는 상품을 전방벽(11a)의 만곡한 내벽면을 따라서 미끄러지면서 낙하할 수 있으므로 상품 반출구(1)에서의 상품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한 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벽(11a)의 내벽면에는 이 도면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의 리브(13)가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리브(13)에 의해 상품이 전방벽(11a)에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품 반출구 도어(11)가 손상을 입는 등을 일으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방벽(11a)의 외부 정면 하부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의 리브(14)가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횡방향의 리브(14)에 의해 상품 취출구(5)를 막는 위치 또는 상품 반출구(1)를 막은 상태의 상품 반출구 도어(11)가 횡방향으로 비틀려서 상품이 부정으로 취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 이와 같이 리브(14)를 전방벽(11a)의 외부 정면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리브(14)의 추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품 반출구 도어(11)는 보다 확실하게 상품 반출구(1)의 전방 모서리부에 맞닿을 수 있게 된다. 또, 이 도면에 있어서, 15는 상품 반출구 도어(11)의 측부(11c)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반출구 도어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품 판매시에는 상품은 우선 상품 슈트를 미끄럼 낙하하여 상품 반출구 도어(11)의 전방벽(11a)의 종방향의 리브(13)에 닿아서 상품 반출구 도어(11)을 외부 도어(4)측으로 밀어 개방하면서 또 선단을 만곡한 전방벽(11a)의 재벽면에 따라서 미끄러지면서 상품 반출구(1)를 통과하고, 상품 받침부(7)로 낙하해 간다. 또, 이와 같이 상품이 전방벽(11a)의 종방향의 리브(13)에 닿음으로써, 전방벽(11a)의 내벽면에 손상을 입히는 등의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후, 수요자는 상품 취출구(5)에 설치된 상품 취출구 도어(10a)를 개방하여 상품을 취출하게 된다. 또, 상품이 어떤 이유에서 상품 반출구(1) 부근에 걸린 경우에도 상품 취출구 도어(10a) 및 상품 반출구 도어(11)는 투명하므로 상품을 알아 볼 수 있으므로 취출은 간단하다.
한편, 상품으로 밀려 개방된 상품 반출구 도어(11)는 상품이 통과한 후, 하방 회전하고, 중심 위치를 상품 취출구(5)측으로 치우치게 한 전방벽(11a)에 의해 생긴 양측벽(11b)의 후단을 상품 반출구(1)의 전방 모서리에 맞닿게 하는 방향의 힘에 의해 상품 반출구(1)을 막게 된다.
또, 이 상태에서 부정으로 상품을 취출하려고 예를 들면 상품 반출구 도어(11)를 외부 도어(4)측으로 개방하려 해도 상품 반출구 도어(11)가 스톱퍼(12)에 닿게 되어 상품 반출구 도어(11)를 개방할 수는 없다. 또, 스톱퍼(12)에 닿는 위치에서는 상품 반출구 도어(11)가 상품 취출구(5)를 막게 되므로 상품 취출구(5)를 개방할 수도 없다. 또, 상품 취출구(5)를 억지로 열려고 비틀려 해도 횡방향의 리브(14)에 의해 비틀 수가 없다. 따라서, 상품을 부정으로 취출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이 반출구 도어의 전방벽(11a)을 상품 취출구(5)측으로 만곡하여 형성하여 중심 위치를 상품 취출구(5)측으로 치우치게 함으로써 반출구 도어(11)에 양측벽(11b)의 후단을 상품 반출구(1)의 전방 모서리에 맞닿는 방향의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이제까지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품 반출구 도어(11)는 전방벽(11a)과, 양측판(11b)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상품 반출구 도어(11)를 전방벽(11a)만으로 하는 한 편, 상품 반출구(1)의 프레임부(1a)의 양측 부분을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동시에 그 전방단을 만곡 형상으로 하고, 이 만곡된 프레임부(1a)의 양측 부분에 반출구 도어(11)의 전방벽(11a)을 맞닿게 하여 상품 반출구(1)를 막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이제까지의 설명에 있어서는 횡방향의 리브(14)를 전방벽(11a)의 외부 정면 하부에 형성한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가로 방향의 리브(14)를 전방벽(11a)의 내벽면에 형성하게 해도 좋다. 또, 이와 같이 횡방향의 리브(14)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 리브(14)에 상품이 걸리는 일이 없도록 리브(14)의 높이는 종방향의 리브(13)보다 낮아지도록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출구 도어의 중심 위치를 상품 취출구측으로 치우치게 함으로써 반출구 도어에 상품 반출구의 전방 모서리에 맞닿게 하는 방향의 힘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반출구의 전방 모서리에 맞닿음부를 설치하지 않고 상품 반출구를 막을 수 있으므로, 외부 도어의 깊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Claims (4)

  1. 내부에 상품 수납실이 형성되어 있는 단열 구조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하부 전방면에 상품 취출구가 설치되어 있는 외부 도어와, 상기 외부 도어에 대향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본체의 전방면 개루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와, 상기 내부 도어의 하부에 상기 상품 취출구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품 수납실 내에 설치된 상품 슈트를 미끄럼 낙하하는 상품을 상기 상품 취출구로 반출하기 위한 상품 반출구와, 상기 상품 반출구에 상단이 피봇 지지되는 동시에 중심 위치를 상기 상품 반출구측으로 치우치도록 상기 상품 취출구에 만곡하여 형성된 상기 상품이 닿는 전방벽을 갖는 반출구 도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구 도어를 투명한 부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구 도어의 전방벽의 내벽면에 종방향 리브를 다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 판매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구 도어의 전방벽에 하부에 횡방향 리브를 복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KR1019950021172A 1994-09-19 1995-07-19 자동판매기 KR0156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23689 1994-09-19
JP22368994A JP3203134B2 (ja) 1994-09-19 1994-09-19 自動販売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792A KR960011792A (ko) 1996-04-20
KR0156973B1 true KR0156973B1 (ko) 1998-12-15

Family

ID=1680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1172A KR0156973B1 (ko) 1994-09-19 1995-07-19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03134B2 (ko)
KR (1) KR01569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6000B2 (ja) * 2006-10-18 2011-02-23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03134B2 (ja) 2001-08-27
KR960011792A (ko) 1996-04-20
JPH0887660A (ja) 1996-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822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KR0156973B1 (ko) 자동판매기
US4744175A (en) Vending machine door closure mechanism
JP5416733B2 (ja) 自動販売機
JP5014298B2 (ja) 自動販売機
JP4247068B2 (ja) 自動販売機
JP4797746B2 (ja) 自動販売機
JP4600186B2 (ja) 自動販売機の釣銭返却口ユニット
JP3537508B2 (ja) 自動販売機
JP2589774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
JP2007094790A (ja) 自動販売機
JP4631737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装置
JP2005196473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構造
JP2006243885A (ja) 自動販売機の販売口装置
US3606145A (en) Coin box device
JP3684922B2 (ja) 自動販売機の内扉
US1012857A (en) Money-box.
JP4007285B2 (ja) 自動販売機用扉体
JPH07272081A (ja) 物品の排出装置
JP2007310598A (ja) カード払出装置
JP4967471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装置
JP4965355B2 (ja) 自動販売機
JP2791254B2 (ja) 自動販売機
JPH028988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
JP4007284B2 (ja) 自動販売機用扉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