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840B1 - 표시관 부착구 - Google Patents

표시관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840B1
KR0156840B1 KR1019960006270A KR19960006270A KR0156840B1 KR 0156840 B1 KR0156840 B1 KR 0156840B1 KR 1019960006270 A KR1019960006270 A KR 1019960006270A KR 19960006270 A KR19960006270 A KR 19960006270A KR 0156840 B1 KR0156840 B1 KR 0156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circuit board
attachment port
displa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111A (ko
Inventor
다카히코 이나리
Original Assignee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filed Critical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ublication of KR970017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47Lead-in-hol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을 단시간에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립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표시관 부착구의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회로기판(1)에 부착되는 제1부착구(11)와, 제1부착구(11)에 놓여진 상태에서 제1부착구(11)에 임시 고정수단에 의해서 임시고정되며, 제1부착구(11)와의 임시고정상태를 해제하고서 제1부착구(11)의 돌조(16)를 중심으로 90도 회동시킴으로써, 표시관(41)의 표시부(42)를 유지하는 유지부(22)가 제1부착구(11) 외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부착구(21)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시관 부착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관한 표시관 부착구의 각 구성부품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부착구의 좌단부분을 제1도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부분확대 평면도.
제3도는 제1부착구를 제1도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본 확대 좌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C-C선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제2부착구를 제1도의 화살표 D방향에서 본 정면도.
제6도는 제2부착구를 제1도의 화살표 E방향에서 본 좌측면도.
제7도는 조립시의 설명도.
제8도는 조립시의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표시관 부착구의 각 구성부품을 나타낸 사시도.
제10도는 조립시의 설명도.
제11도는 조립시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로기판 2 : 단자삽입구멍
3 : 부착구멍 4 : 임시고정구멍
11 : 제1부착구 12 : 오목부
13 : 수용부 14 : 걸림편
15 : 하측 단자삽입구멍 16 : 돌조
17 : 가이드 돌기 18 : 걸어맞춤 걸림편
21 : 제2부착구 22 : 유지부
23 : 벽부 24 : 표시부 걸림편
25 : 탄지편 26 : 임시고정 걸림편
27 : 표시부 걸어맞춤편 32 : 지지부
33 : 지지축 34 : 상측 단자삽입구멍
35 : 절결부 36 : 결어맞춤돌기
37 : 임시고정 걸림편 41 : 표시관
42 : 표시부 43 : 단자
본 발명은 회로기판 외형에서 돌출된 정규 위치에 표시부를 위치시키면서 부착되는 형광 표시관 등의 표시관을, 회로기판 외형의 내측에 위치시키고서 도프하여 회로기판에 표시관의 단자를 납땜하기에 적합한 표시관 부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회로기판에서 돌출된 정규 위치에 표시부를 위치시키면서 표시관을 부착할 경우, 표시관 지지용 회로기판을 형성하여, 이 표시관 지지용 회로기판에 단자를 납땜하여 표시관을 부착한 후, 표시관 지지용 회로기판을 회로기판에 부착하고서 양 회로기판을 리드선으로 접속하여 왔다.
회로기판 외형에서 돌출된 정규 위치에 표시부를 위치시키면서 표시관을 부착할 경우, 표시간 지지용 회로기판을 이용하여 양 회로기판을 리드선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왔기 때문에, 조립에 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아울러 조립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립을 단시간에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립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표시관 부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표시관 부착구는, 『회로기판에 부착되는 제1부착구와, 상기 제1부착구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제1부착구의 일부분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킴으로써, 표시관의 표시부를 유지하는 유지부가 상기 제1부착구의 외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부착구로 이루어진』것이다.
또, 또 다른 발명의 표시관 부착구는, 『회로기판에 부착되는 제1부착구와, 상기 제1부착구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제1부착구에 임시고정수단에 의해서 임시고정되며, 상기 제1부착구와의 임시고정을 해제하고서 상기 제1부착구의 일부분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킴으로써, 표시관의 표시부를 유지하는 유지부가 상기 제1부착구의 외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부착구로 이루어진』것이다.
또한, 또 다른 발명의 표시관 부착구는, 『회로기판에 부착되는 제1부착구와, 상기 제1부착구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회로기판에 임시고정 걸림편에 의해서 임시고정되며, 상기 제1부착구와의 임시고정을 해제하고서 상기 제1부착구의 일부분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킴으로써, 표시관의 표시부를 유지하는 유지부가 상기 제1부착구의 외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부착구로 이루어진』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표시관 부착구의 각 구성부품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부착구의 좌단부분을 제1도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부분확대 평면도, 제3도는 제1부착구를 제1도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본 확대 좌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C-C선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제2부착구를 제1도의 화살표 D방향에서 본 정면도, 제6도는 제2부착구를 제1도의 화살표 E방향에서 본 좌측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조립시의 설명도이다.
또한, 제1부착구의 우단부분은 좌단부분과 같게 구성되며, 제2부착구의 우단부분도 좌단부분과 거의 같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도면에 있어서, 1은 이면측에 프린트 배선이 실시된 회로기판으로서, 후술하는 표시관(41)의 복수개의 단자(43)가 끼워지는 직선상으로 나란이 늘어선 상기 단자(43)와 동일한 개수로 된 단자삽입구멍(2)과; 후술하는 제1부착구(11)의 복수개, 예를 들면 4개의 걸림편(14)이 끼워지는 4개의 부착구멍(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삽입구멍(2)은 좌우로 동일한 개수씩 블록으로 구획되며, 단자삽입구멍(2)의 좌우블록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11은 합성수지제로 성형한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 제1부착구로서, 좌우에 위치하며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이 평탄한 2개의 오목부(12)와; 상기 각 오목부(12)의 센터측에 연이어 접속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후술하는 제2부착구(21)의 지지축(33)을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13)와; 부착구멍(3)에 끼워지는 선단부분에 회로기판(1)의 이면에 걸어맞춰지는 돌기부를 가지며, 탄성을 가진 걸림편(14)과; 각 오목부(12)의 앞측 부분에 일렬로 나란히 늘어선 하측 단자삽입구멍(15)과; 좌우측면의 전단측에 위치하며, 회동 지지점이 되는 상면이 원호면을 이루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돌조(16)와; 좌우측면의 후단측에 위치하며, 돌조(16)의 회동중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면을 가지는 가이드 돌기(17)와; 돌조(16)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L자형상으로 연장되며, 제2부착구(21)의 걸어맞춤돌기(36)와 걸어맞춰져서 거는 수직부분과 수평부분이 L자형상을 이루는 탄성을 가진 걸어맞춤 걸림편(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단자삽입구멍(15)은 단자삽입구멍(2)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2개의 블록으로 구획되며, 단자삽입구멍(2)보다도 많게 오목부(12)에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구멍이 확장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삽입구멍(2)은 하측 단자삽입구멍(15)에 대응하여 있으나, 모두 하측 단자삽입구멍(15)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경우와 소정의 하측 단자삽입구멍(15)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또, 오목부(12)와 수용부(13)의 바닥은 같은 높이로 되어 있다.
21은 합성수지로 성형한 제2부착구로서, 유지부(22)와 지지부(32)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L자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표시관(41)의 표시부(42)를 유지하는 유지부(22)에는, 표시부(42)의 상면, 하면 및 좌우측면을 위치결정하는 벽부(23)와; 후부 및 좌우측부에 위치하며, 내측으로 연장된 일부가 표시부(42)의 일부에 걸어맞춰지는 탄성을 가진 표시부 걸림편(24)과; 표시부(42)를 표시부(42)의 전면측으로 탄지하는 탄지편(25)과; L자형상으로 연장되며, 지지부(32)에서 돌출되는 그 선단부분에 돌기부를 가지는 임시고정 걸림편(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42)의 하면에 대응하는 벽부(23)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43)가 그대로 타고넘을 수 있도록 낮게 되어 있다.
또, 지지부(32)는 그 중앙부분을 상기 임시고정 걸림편(26)이 돌출되도록 오목부(12)의 간격으로 잘라내고, 또 양단부분을 약간 잘라내어 양단부를 길게 형성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32)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각 수용부(13)에 각각 수용되어 바닥에 맞닿는 지지축(33)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축(33)의 중심선상에 하단의 중심이 위치하는 상측 단자삽입구멍(34)이 하측 단자삽입구멍(15)에 대응하여 배열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32)의 양단부의 하단에는 상측 단자삽입구멍(34)측의 모서리에 대략 직각으로 도려낸 상기 돌조(16)와 걸어맞춰지는 절결부(35)가 형성되며, 상기 절결부(35)의 후측 모서리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어맞춤돌기(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부착구(11)에 제2부착구(21)를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수단은 걸어맞춤 걸림편(18)과 걸어맞춤돌기(36)로 구성되어 있다.
51은 회로기판(1)이 부착되는 샤시로서, 임시고정 걸림편(26)이 걸어맞춰지는 돌출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회로기판(1)에 표시관(41)을 도프하기 전의 부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기판(1)의 각 부착구멍(3)에 제1부착구(11)의 각 걸림편(14)을 대응시킨 상태에서 제1부착구(11)를 회로기판(1)측으로 누르면, 각 걸림편(14)이 휘어지면서 각 부착구멍(3)으로 진입하고, 각 걸림편(14)의 돌기부가 회로기판(1)의 이면측으로 돌출된 후에는 각 걸림편(14)이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각 걸림편(14)의 돌기부가 회로기판(1)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제1부착구(11)가 회로기판(1)에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된다.
이와 같이 제1부착구(11)를 회로기판(1)에 부착하면, 단자삽입구멍(2)위에 하측 단자삽입구멍(15)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부착구(11)의 각 돌조(16)에 제2부착구(21)의 각 절결부(35)를 대응시킨 상태에서 제2부착구(21)를 제1부착구(11)에 얹어놓기 위하여 누르면, 각 지지축(33)이 각 수용부(13)로 진입하여 바닥에 맞닿음과 동시에, 각 걸어맞춤돌기(36)가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걸어맞춤 걸림편(18)의 수평부분을 밀어 확장하면서 각 걸어맞춤 걸림편(18)의 하측까지 진입함으로써 각 걸어맞춤 걸림편(18)의 수평부분의 하단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2부착구(21)를 제1부착구(11)에 얹어놓으면, 제2부착구(21)의 양단부가 회로기판(1)과 가이드 돌기(17)의 하단 앞부분에 맞닿고, 지지축(33)이 수용부(13)의 바닥에 맞닿고, 절결부(35)가 돌조(16)에 맞닿음과 아울러 걸어맞춤돌기(36)가 걸어맞춤 걸림편(18)의 수평부분에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제2부착구(21)가 제1부착구(11)에 대하여 임시고정된 상태가 되며, 따라서 하측 단자삽입구멍(15)위에 소정 간격을 두고서 상측 단자삽입구멍(34)이 위치함과 아울러 절결부(35)가 돌조(16)의 후측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위치에서 L자형상으로 구부린 표시관(41)의 각 단자(43)를 상측 단자삽입구멍(34)에서 하측 단자삽입구멍(15), 단자삽입구멍(2)으로 끼우면서 표시부(42)를 유지부(22)의 벽부(23)내측으로 누르면, 각 표시부 걸림편(24)이 외측으로 휘어진 후에는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표시부(42)를 각 표시부 걸림편(24)으로 유지부(22)에 유지할 수 있으며,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기판(1) 외형의 내측에 제2부착구(21) 및 표시관(41)을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부착구(11,21)를 통하여 회로기판(1)에 표시관(41)를 부착한 상태에서 회로기판(1)을 도프하여 회로기판(1)의 프린터 배선에 각 단자(43)을 납땜할 수 있다.
다음은, 표시관(41)을 납땜한 회로기판(1)의 샤시(51)에 대한 부착 및 표시부(42)의 회로기판(1) 외측으로의 변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기판(1)을 샤시(51)의 소정 위치에 부착한 후, 제2부착구(21)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각 걸어맞춤돌기(36)가 각 걸어맞춤 걸림편(18)의 수평부분을 밀어 확장함으로써 걸어맞춤상태(임시고정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제2부착구(21)가 제1부착구(11)의 각 돌조(16)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제2부착구(21)의 양단부의 하단 후측은 가이드 돌기(17)의 원호면에 의해서 안내되므로 원활하게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걸어맞춤돌기(36)와 걸어맞춤 걸림편(18)의 수평부분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2부착구(21)를 더 회동시키면, 즉 임시고정상태에서 90도 회동시키면, 절결부(35)의 일부가 돌조(16)의 앞측에 맞닿고, 걸어맞춤돌기(36)가 걸어맞춤 걸림편(18)의 수직부분 후측에 맞닿음과 아울러 임시고정 걸림편(26)이 돌출부(52)에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기판(1)의 외형에서 표시부(42)를 돌출시킨 상태로 변위시켜 정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돌기(36)가 걸어맞춤 걸림편(18)의 수직부분 후측에 맞닿고, 지지축(33)이 수용부(13)내에 위치함으로써, 제2부착구(21)가 제1부착구(11)에서 우측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부착구(21)를 회동시킬 때, 상측 단자삽입구멍(34)의 하단이 회동 중심선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단자(43)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일 없이 구부릴 수 있어 단자(43)의 납땜부분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게 된다.
또, 제2부착구(21)는 지지축(33)에 의해서 중앙부분도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휘는 일 없이 스므스하게 회동하게 된다.
상기한 표시관(41)의 회로기판(1)에 대한 부착방법은, 제2부착구(21)를 제1부착구(11)에 얹어놓은 상태에서 상하측 단자삽입구멍(15,34)이 일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하측 단자삽입구멍(15, 34)이 약간 어긋나 있는 경우의 표시관(41)의 회로기판(1)에 대한 부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부착구(11)를 회로기판(1)에 부착하면, 단자삽입구멍(2)위에 하측 단자삽입구멍(15)이 위치한다.
그리고,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위치에서 L자형상으로 구부린 표시관(41)의 각 단자(43)를 상측 단자삽입구멍(34)에 끼우면서 표시부(42)를 유지부(22)의 벽부(23)의 내측으로 누르면, 각 표시부 결림편(24)이 외측으로 휘어진 후에는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표시부(42)를 각 표시부 걸림편(24)으로 유지부(22)에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측 단자삽입구멍(34)에 돌출된 각 단자(43)를 하측 단자삽입구멍(15)에 끼우면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부착구(11)의 각돌조(16)에 제2부착구(21)의 각 절결부(35)를 대응시킨 상태에서 제2부착구(21)를 제1부착구(11)에 얹어놓기 위하여 누르면, 각 단자(43)가 각하측 단자삽입구멍(15)에서 각 단자삽입구멍(2)으로 끼워지고, 각 지지축(33)이 각 수용부(13)로 진입하여 바닥에 맞닿고, 각 걸어맞춤돌기(36)가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걱 걸어맞춤 걸림편(18)의 수평부분을 밀어 확장하면서 각 걸어맞춤 걸림편(18)의 하측까지 진입하여 각 걸어맞춤 걸림편(18)의 수평부분 하단에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부착구(11, 21)를 통하여 표시관(41)을 부착할 수 있다.
상기한 표시관(41)의 회로기판(1)에 대한 부착방법과는 다른 부착방법으로서, 회로기판(1)에 고정하지 않은 제1부착구(11)에 표시관(41)을 부착한 제2부착구(21)를 임시고정한 후, 제1부착구(11)를 회로기판(1)에 부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회로기판(1)에 제1 및 제2부착구(11, 21)를 통하여 표시관(41)을 부착하면, 각 단자삽입구멍(2)과 각 하측 단자삽입구멍(15)이 약간 어긋나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표시관(41)을 회로기판(1)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부착구(11, 21)를 통하여 회로기판(1)에 표시관(41)을 부착한 상태에서 도프하여 단자(43)를 회로기판(1)에 납땜한 후, 제1부착구(11)에 대하여 제2부착구(21)를 회동시킴으로써 표시관(41)의 표시부(42)를 정규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을 단시간에 할 수 있으며, 조립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또, 제2부착구(21)의 회동을 가이드 돌기(17)로 안내하기 때문에 제2부착구(21)를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부(42)를 정규 위치로 변위시킨 상태에서는 걸어맞춤돌기(36)가 걸어맞춤 걸림편(18)의 수직부분 후측에 맞닿기 때문에, 걸어맞춤 걸림편(18)의 수직부분의 강성을 높힘으로써 제2부착구(21)가 제1부착구(11)에 빠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부착구(21)를 제1부착구(11)에 얹어놓은 상태로 임시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43)를 각 단자삽입구멍(34,15,2)에 끼우면서 표시부(42)를 유지부(22)에 유지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제1부착구(11)와 제2부착구(21)가 별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삽입구멍(2) 및 상하측 단자삽입구멍(34, 15)의 일치 상태에 따라서 여러 방법으로 표시관(41)을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43)를 각 단자삽입구멍(34,15,2)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된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표시관 부착구의 각 구성부품을 나타낸 사시도, 제10도 및 제11도는 조립시의 설명도이며, 제1도∼제8도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1부착구의 우단부분도 좌단부분과 같게 구성되어 있다.
또, 제2부착구의 우단부분도 좌단부분과 거의 같게 구성되어 있다.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회로기판(1)에는 제2부착구(21)를 제1부착구(11)에 얹어놓은 상태로 임시고정하기 위한 임시고정구멍(4)이 단자삽입구멍(2) 및 부착구멍(3) 외측에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부착구(11)에는 오목부(12), 수용부(13) 및 걸어맞춤 걸림편(18)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1실시예에서의 오목부(12) 부분이 아래까지 관통되어 있다.
또, 제2부착구(21)의 유지부(22)에는 탄지편(25)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표시부(42)의 하면을 위치결정하는 벽부(23) 대신에 표시부(42)의 하면에 맞닿는 돌기부를 가지며, 표시부(42)의 하면을 위치결정하는 벽부(23)와 같은 높이로 된 탄성을 가진 표시부 걸어맞춤편(27)이 2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부착구(21)의 지지부(32)에는 지지축(33)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걸어맞춤돌기(36) 대신에 임시고정구멍(4)에 끼워지는 선단부분에 회로기판(1)의 이면에 걸어맞춰지는 돌기부를 가지며, 탄성을 가진 임시고정걸림편(37)이 좌우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부착구(11)에 얹어놓인 상태의 제2부착구(21)를 회로기판(1)에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수단은 임시고정구멍(4)과 임시고정 걸림편(3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회로기판(1)에 표시관(41)을 도프하기 전의 부착에 대하여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우선, 제1부착구(11)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부착함으로써 회로기판(1)에 제10도 및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된다.
그리고,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부착구(11)의 각 돌조(16)에 제2부착구(21)의 각 절결부(35)를 대응시킴과 아울러 회로기판(1)의 각 임시고정구멍(4)에 각 임시고정 걸림편(37)을 대응시킨 상태에서 제2부착구(21)를 제1부착구(11)에 얹어놓기 위하여 누르면, 각 임시고정 걸림편(37)이 휘어지면서 각 임시고정구멍(4)으로 진입하고, 각 임시고정 걸림편(37)의 돌기부가 회로기판(1)의 이면측으로 돌출된 후에는 각 임시고정 걸림편(37)이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각 임시고정 걸림편(37)이 회로기판(1)에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이 제2부착구(21)를 제1부착구(11)에 얹어놓으면, 제2부착구(21)의 양단부가 회로기판(1)과 가이드 돌기(17)의 하단 앞부분에 맞닿고 절결부(35)가 돌조(16)에 맞닿기 때문에, 제2부착구(21)가 제1부착구(11)에 대하여 임시고정된 상태가 되며, 따라서 단자삽입구멍(2)위에 상측 단자삽입구멍(34)이 위치함과 아울러 절결부(35)가 돌조(16)의 후측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위치에서 L자형상으로 구부린 표시관(41)의 각 단자(43)를 상측 단자삽입구멍(34)에서 단자삽입구멍(2)으로 끼우면서 표시부(42)를 유지부(22)의 벽부(23) 및 표시부 걸어맞춤편(27) 내측으로 누르면, 각 표시부 걸림편(24)이 외측으로 휘어진 후에는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표시부(42)를 표시부결림편(24) 및 표시부 걸어맞춤편(27)으로 유지부(22)에 유지할 수 있으며,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기판(1) 외형의 내측에 제2부착구(21) 및 표시관(41)을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부착구(11, 21)를 통하여 회로기판(1)에 표시관(41)을 부착한 상태에서 회로기판(1)을 도프하여 회로기판(1)의 프린터 배선에 각 단자(43)을 납땜할 수 있다.
이어서, 표시관(41)을 납땜한 회로기판(1)의 샤시(51)에 대한 부착 및 표시부(42)의 회로기판(1) 외측으로의 변위에 대하여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우선,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기판(1)을 샤시(51)의 소정 위치에 부착한 후, 각 임시고정 걸림편(37)을 휘어서 회로기판(1)과의 임시고정 상태를 해제하면서 제2부착구(21)를 화살표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2부착구(21)가 제1부착구(11)의 돌조(16)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각 임시고정 걸림편(37)이 각 임시고정구멍(4)에서 빠지기 때문에 임시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각 임시고정 걸림편(37)이 각 임시고정구멍(4)에 빠지면, 각 임시 고정 걸림편(37)을 휘게 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임시고정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제2부착구(21)를 더 회동시키면, 즉 임시고정상태에서 90도 회동시키면,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회로기판(1)의 외형에서 표시부(42)를 돌출시킨 상태로 변위시켜 정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1부착구(11)에 하측 단자삽입구멍(15)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자(43)를 각 단자삽입구멍(34,2)으로 용이하게 끼울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지지축(33)을 형성하였으나, 지지축(33)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부착구를 통하여 회로기판에 표시관을 부착한 상태에서 도프하여 표시관의 단자를 회로기판에 납땜한 후, 제1부착구에 대하여 제2부착구를 회동시킴으로써, 표시관의 표시부를 제1부착구 및 회로기판 외형의 외측에 있는 정규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을 단시간에 할 수 있으며, 조립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또, 제2부착구를 제1부착구에 얹어놓은 상태로 임시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관의 단자를 각 단자삽입구멍에 끼우면서 표시관의 표시부를 유지부에 유지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1부착구와 제2부착구가 별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관의 단자가 끼워지는 각 단자삽입구멍의 일치 상태에 따라서 여러 방법으로 표시관을 부착할 수 있으므로, 표시관의 단자를 각 단자삽입구멍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Claims (3)

  1. 회로기판에 부착되는 제1부착구와; 상기 제1부착구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제1부착구의 일부분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킴으로써, 표시관의 표시부를 유지하는 유지부가 상기 제1부착구의 외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부착구;로 이루어진 표시관 부착구.
  2. 회로기판에 부착되는 제1부착구와; 상기 제1부착구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제1부착구에 임시고정수단에 의해서 임시고정되며, 상기 제1부착구와의 임시고정을 해제하고서 상기 제1부착구의 일부분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킴으로써, 표시관의 표시부를 유지하는 유지부가 상기 제1부착구의 외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부착구;로 이루어진 표시관 부착구.
  3. 회로기판에 부착되는 제1부착구와; 상기 제1부착구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회로기판에 임시고정 걸림편에 의해서 임시고정되며, 상기 제1부착구와의 임시고정을 해제하고서 상기 제1부착구의 일부분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킴으로써, 표시관의 표시부를 유지하는 유지부가 상기 제1부착구의 외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부착구;로 이루어진 표시관 부착구.
KR1019960006270A 1995-09-19 1996-03-09 표시관 부착구 KR0156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63626 1995-09-19
JP26362695A JP3618151B2 (ja) 1995-09-19 1995-09-19 表示管取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111A KR970017111A (ko) 1997-04-30
KR0156840B1 true KR0156840B1 (ko) 1998-12-01

Family

ID=1739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270A KR0156840B1 (ko) 1995-09-19 1996-03-09 표시관 부착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18151B2 (ko)
KR (1) KR01568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111A (ko) 1997-04-30
JPH0981052A (ja) 1997-03-28
JP3618151B2 (ja) 200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3708A (en) Electrical receptacle box assembly
US5318452A (en) Electrical connector
EP0420650B1 (en) Meter device
US6457980B2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KR0156840B1 (ko) 표시관 부착구
EP0884809B1 (en) Connector for circuit board
ES2243190T3 (es) Casquillo conector.
JP2583978Y2 (ja) 回路基板の収納ハウジングの構造
JPH0567021U (ja) Ledホルダ及びledホルダ装置
EP1237396B1 (en) Component carrier
JPH04322087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プラグコネクタ構造
JPH0411351Y2 (ko)
EP3857648B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JPS6221025Y2 (ko)
JPS5935028Y2 (ja) プリント基板収容筐体
JP4418859B2 (ja) コネクタの誤接続防止表示
JP2679922B2 (ja) 端子装置
KR940004599Y1 (ko) 차량계기판 전원접속용 암컨넥터
JPS6363908B2 (ko)
JPS5911497Y2 (ja) プリント基板の誤插入防止機構
JP2006156833A (ja) 立ち基板の取付構造
JPH0436159Y2 (ko)
KR200156788Y1 (ko) 디지트론 설치 장치
JPH0542462Y2 (ko)
JPH03963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