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657B1 - 주위 제어하에서 음극선관용 발광성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주위 제어하에서 음극선관용 발광성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657B1
KR0156657B1 KR1019950029774A KR19950029774A KR0156657B1 KR 0156657 B1 KR0156657 B1 KR 0156657B1 KR 1019950029774 A KR1019950029774 A KR 1019950029774A KR 19950029774 A KR19950029774 A KR 19950029774A KR 0156657 B1 KR0156657 B1 KR 0156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creen
opc
humidity
mainta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579A (ko
Inventor
마이클 리트 피터
마이클 웨첼 찰스
로버트 스토크 해리
조셉 모스코니 죤
Original Assignee
데니스 에이치. 얼벡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니스 에이치. 얼벡,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데니스 에이치. 얼벡
Publication of KR960011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 H01J9/2276Development of latent electrostatic ima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3/00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3/22Processes involving a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5/00Photographic processes or agents therefor; Regeneration of such process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1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in continuous layers
    • H01J9/225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in continuous layers by electrosta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면판 패널(12)의 내부 표면에 컬러 CRT 용 발광성 스크린 어셈블리(22,24)를 전자사진식으로 제조하는 방법에서, 휘발성 유기 도전(OC)층(32)이 상기 패널의 내부 표면에 구비되고, 휘발성 유기 광도전(OPC)층(34)이 상기 OC 층을 중첩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OPC 층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정전 전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하에 영향을 주기 위해 가시 광선에 상기 OPC 층의 선택된 영역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OPC 층의 선택된 영역을 마찰전기로 충전된 습식 분말의 스크린 구성 물질로 현상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 구성 물질을 적합한 정착액으로 아래에 있는 OPC 층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 구성 물질을 필름화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을 알루미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차징 단계중의 상대습도(RH)가 그 이하의 습도 레벨에서는 OC 층의 성능이 이온 전송 유동성의 감소에 의해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는 습도 레벨 이상, 그리고, 그 이상의 습도 레벨에서는 상기 OC 층이 팽창하여 상기 OPC 층에 금이 가게 하는 습도 레벨 이하의 범위로 유지되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보다 개선된 것이다. 또한, 상기 현상 단계중의 상기 RH 는 그 이상의 습도에서는 스크린 구성 물질이 물 및 거대응집체를 흡수하여 상기 스크린 구성 물질의 전하 대 질량비를 그것의 증착에 역으로 영향을 미치는 값까지 변화시킨다.

Description

주위 제어 하에서 음극선관(CRT)용 발광성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컬러 CRT 의 일부분은 축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정면도.
제2도는 스크린 어셈블리를 도시한 제1도의 CRT의 면판 패널의 단면도.
제3도 내지 제9도는 제조 작업중의 선택된 단계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CRT 11 : 유리 엔벨로프
12 : 면판 패널 14 : 관형 네크
15 : 퍼넬 16 : 애노드 버튼
18 : 뷰잉 면판 20 : 주변 플렌지
21 : 유리 플리트 22 : 컬러 형광체 스크린
23 : 광흡수 매트릭스 24 : 알루미늄층
25 : 새도우 마스크
본 발명은 음극선관(CRT)용 발광성 스크린 어셈블리를 전자사진식으로 제조하는 방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 방법에서 임의의 중대한 단계중에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면서 스크린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1990년 5월 1일에 Datta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921,767 호에 면판 패털의 내부 표면에 배치된 적절한 광수용기상에 연속적으로 증착된 건식 분말의 마찰전기식으로 충전된(charged) 스크린 구성 물질을 사용하는 전자사진식 스크리닝(screening)(EPS)에 의해 컬러 CRT 용 발광성 스크린을 제조하는 기초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광수용기는 바람직하게는 유기도전(OC)층 및 중첩 유기 광도전(OPC)층을 포함한다. 상기 특허 명세서에서, OPC 층은 풀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풀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와 같은 적합한 결합체(binder)에서 용해되는 풀리비닐 카보졸, n-에틸 카보졸, n-비닐 카보졸 또는 테트라페닐 부타트리엔(TPBT)과 같은 휘발성 유기 중합체(polymeric material)이다. 이 OPC 물질들의 결점은 약 75 %의 상대 습도로 약 48 시간 동안 유지했을 때 금이 가기 쉽다는 것이다. 48 시간은 제조작업이 중단될 수 있는 일반적인 주말의 시간을 나타낸다. 금요일에 증착되고 주말동안 제어되지 않은 환경하에 유지된 상기 OPC 층을 갖는 면과 패널은 다음 월요일에는 사용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1992년 8월 4일에 Ritt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5,135,826 호에 EPS 공정에 의해서 스크린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는데, 적합한 양의 디알킬 프탈레이트 가소제(plasticizer)가 OPC 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액에 첨가된다. 가소제는 광수용기로 덮여진 패널이 임의의 특정 습도의 제어없이 주말동안 유지되게 한다. OPC 층에 상기 가소제를 갖는 광수용기로 덮혀진 패널은 21℃ 및 68% 의 주위 대기에 30 분동안 충전되었을 때 수용가능한 전기 성질을 나타낸다. 그러나, 카보졸 함유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된 패널은 필름화(filming)중에 금이 가는 경향을 나타내고 스크린을 굽는(back) 중에 휘발성 성분을 베이크 아웃(bake out)하는데 장시간을 요구한다. TPBT를 사용하여 제조된 패널은 OPC 층을 결정화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상기 층은 파장 400 -500 ㎚에서 감지할 수 없을 정도의 감도를 갖는다. 상기 결정화는 전기 항복이 결정 위치에서 발생하고, 이 위치에서 형광체 및/또는 매트릭스 결점을 생성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개선된 OC 층은 1994년 12월 6일에 Datta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5,370,952 호에 인용된 임의의 4가 암모늄 고분자 전해질(polyelectrolytes)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OPC 층은 풀리스틸렌; 1,4-디(2,4-메틸 페닐)-1,4 디페닐부타트리엔(이하 2,4-DMOBT)과 같은 전자 공여 물질; 2,4,7-트리니트로-9-풀루오레논(이하 TNF) 및 2-에틸안트로퀴논(이하 2-EAQ)과 같은 전자 수용 물질; 및 톨루엔 또는 크실렌과 같은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OPC 층은 상기 물질들의 결점을 거의 갖지 않는다. 그러나, 개선된 OPC 층을 구비하고 있을 지라도 EPS 공정의 임의의 단계가 이 공정 단계중에 적어도 온도 뿐만 아니라 상대 습도를 제어하므로써 더욱 더 최적화될 수 있다는 것이 확정된 바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면판 패널의 내부 표면에 컬러 CRT 용 발광성 스크린 어셈블리를 전자사진식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된다. 휘발성 유기도전(OC)층이 상기 패널의 내부 표면에 구비되고, 휘발성 유기광도전(OPC)층은 상기 OC 층을 중첩한다. 상기 방법은 OPC 층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정전 전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하에 영향을 주기 위해 가시광선에 상기 OPC 층의 선택된 영역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OPC 층의 선택된 영역을 마찰전기로 충전된 습식 분말의 스크린 구성 물질로 현상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 구성 물질을 적합한 정착액으로 아래에 있는 OPC 층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 구성 물질을 필름화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을 알루미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차징 단계중의 상대 습도( RH)가 그 이하의 습도 레벨에서는 OC 층의 성능이 이온 전송 유동성의 감소에 의해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는 습도 레벨 이상, 그리고, 그 이상의 습도 레벨에서는 상기 OC 층이 팽창하여 상기 OPC 층에 금이 가게 하는 습도 레벨 이하의 범위로 유지되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보다 개선된 것이다. 또한, 상기 현상 단계중의 상기 RH 는 그 이상의 습도일 경우 스크린 구성 물질이 물 및 거대응집체(macro-agglomerate)를 흡수하여 상기 스크린 구성 물질의 전하 대 질량비를 그것의 증착에 역으로 영향을 미치는 값까지 변화시킨다.
제1도는 직사각형 면판 패널(12)과 직사각형 퍼넬(15)에 접속된 관형네크(14)를 포함하는 유리 엔벨로프(11)를 구비한 컬러 CRT(10)를 도시한다. 상기 퍼넬(15)은 상기 네크(14)로 연장하는 애노드 버튼(16)을 접촉시키는 내부 도전 코팅(도시생략)을 갖는다. 상기 패널(12)은 뷰잉 면판 또는 기판(18)과 유리 플리트(21)에 의해 상기 퍼넬(15)에 봉합된 주변 플랜지 또는 측벽(20)을 포함한다. 3개의 발광성 컬러 형광체 스크린(22)은 상기 면판(18)의 내부표면에 구비한다. 제2도에 도시된 스크린(22)은 순환적으로 3개의 스트라이프 또는 트리어드의 컬러 그룹 또는 화상 요소로 배열된 각각 적색 방출, 녹색 방출 및 청색 방출 형광체 스트라이프(R,G,B)로 이루어진 다양한 스크린 요소를 포함하는 라인 스크린이다. 상기 스트라이프는 전자빔이 발생되는 평면에 통상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한다. 전자빔이 발생되는 평면에 통상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상 시청위치에서, 상기 형광체 스트라이프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형광체 스트라이프의 일부가 바람직하게는 1971년 1월 26일에 Mayaud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558,310호에 게재되어 있는 습식공정에 의해 형성된 형태의, 또는 앞서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 4,921,767호에 게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1단계의 EPS 공정에 의해 형성된 형태의, 또는 1993년 7월 20일에 Riddle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5,229,234호에 게재되어 있는 2단계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형태의 비교적 얇은 광흡수 매트릭스(23)를 중첩한다. 상기2단계 매트릭스 증착 공정은 그 결과 매트릭스의 불투명도를 1단계 공정의 불투명도보다 증가시켜서 습식공정에 의해 형성된 매트릭스의 불투명도와 동등한 불투명도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매트릭스는 1993년 8월 31일에 Ehemann,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5,240,789호에 게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스크린 요소들이 증착된 후에 EPS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트스크린 또한 새로운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얇은 도전층(24)은 상기 스크린(22)을 중첩하고, 상기 스크린에 균일한 전위를 인가하는 수단 뿐만아니라 상기 면판을 통해 형광 요소로부터 광을 반사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스크린(22)과 중첩 알루미늄층(24)은 스크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다중 개구 컬러 선택 전극 또는 새도우 마스크(25)는 스크린 어셈블리에 소정의 이격관계로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도에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전자총(26)은 상기 네크(14)의 중앙에 장착되어 상기 마스크(25)의 개구를 통해 콘버전트 경로를 따라 3개의 전자빔(28)을 발생하여 상기 스크린(22)에 송달한다. 상기 전자총은 통상적인 것이며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적합한 총일 수도 있다.
상기 음극선관(10)은 퍼넬-네크 접합부분에 위치되는 요크(30)와 같은 외부 자기 편향 요크를 구비하여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가동될 때, 상기 요크(30)는 3개의 빔(28)을 자기장을 따르기 쉽게 하여 상기 빔이 상기 스크린(22)상의 직사각형 래스터에 수평 및 수직으로 주사하게 한다. 편향의 초기 평면(제로(0) 편향에서)은 상기 요크(30)의 대략 중앙에 제1도의 선 P-P 에 의해 도시된다. 간략하게 하기위해, 편향존에서 편향 빔 경로의 실제 곡선은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스크린이 전자사진식 스크리닝(EPS)공정에 의해 제조된다는 것이 제3도 내지 제9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처음에, 상기 패널(12)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성 용액으로 씻어내고, 완층 하이드로플루오릭산으로 에칭하며, 물로 다시 헹굼으로써 깨끗해진다. 상기 뷰잉 면판(18)의 내부 표면에는 바람직하게는 앞서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 3,558,310 호에 게재되어 있는 통상의 습식 매트릭스 공정을 사용하는 광흡수 매트릭스(23)가 구비된다. 패널(12)이 51 cm(20 인치)의 대각크기를 갖게하기 위해, 상기 매트릭스에 형성된 윈도우 개구는 약 0.13 내지 0.18 mm 의 폭을 갖고, 상기 매트릭스 라인은 약 0.1 내지 0.15mm 의 폭을 갖는다. 매트릭스(23)를 갖는 면판 패널(18)의 내부 표면은 유기 도전(OC) 층 (32)을 형성하기 위해 적합한 휘발성 유기 도전 물질로 덮여지고, 휘발성 유기 광도전OPC)층 (34)을 중첩하기 위해 전극을 구비한다. 결합되어 제3도에 도시된 상기 OC 층(32) 및 OPC 층(34)은 광수용기(36)를 포함한다.
상기 OC 층 (32)에 적합한 물질은 앞서 참조된 미합중국 특허 제 5,370,952 호에서 인용된 임의의 4가 암모늄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OPC 층(34)은 풀리스틸렌; 1,4-디(2,4-메틸 페닐)-1,4 디페닐부타트리엔(2,4-DMPBT)과 같은 전자 공여 물질; 2,4,7-트리니트로-9-플루오레논(TNF) 및 2-에틸안트로퀴논(2-EAQ)과 같은 광수용 물질; 및 톨루엔 또는 크실렌과 같은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코팅하므로써 형성된다. 실리콘 U-7602와 같은 계면활성제와 디옥틸 프탈레이트(이하 DOP)와 같은 가소재가 상기 용액에 또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U-7602는 Danbury CT 에 소재한 Union Carbide 로부터 사용할 수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OPC 층(34)은 1992년 1월 28일에 Datta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5,083,959 호에 게재되어 있는 코로나 방전 장치(38)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정전 충전되는데, 상기 코로나 방전 장치는 상기 OPC 층(34)을 대략 +200 내지 +700 볼트의 범위내의 전압으로 충전한다. 충전기의 상대 습도(RH) 레벨은 대략 40-65 % 범위내에 유지되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45-55 % 범위내에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 확정된 바 있다. 45% 이하의 상대 습도 레벨은 상기 OC 층의 이온 전송 유동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OC 층(32)의 성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상기 중첩 OPC 층(34)에 사용할 수 있는 코로나 충전을 인가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55% 이상의 습도는 상기 OPC 층(34)을 팽창하게 하며, 상기 OPC 층(34)의 예측불가능한 금이 생기게끔 유도할 수 있다. 금이 생기는 현상은 상기 2개의 층을 분리하게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OPC 층을 파괴시킨다. 상기 OPC 층의 지연된 금 생성은 55%를 초과하는 습도 레벨에 노출되기 전에 상기 OC 층으로부터 저속의 습기 방출에 기인하여 유지된 바 있다. 상기 충전기의 온도를 대략 20-35℃의 범위내로 바람직하게는 22-28℃의 범위내로 조정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상기 EPS 공정의 상대 습도 및 온도는 45±3%의 RH 로 및 22℃±2℃의 온도로 유지되는 제어된 환경을 갖는 룸(room)에서 스크리닝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제어된다.
상기 새도우 마스크(25)는 제5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라이트 하우스(lighthouse)(40)상에 위치된 상기 패널(12)에 삽입되고, 상기 정(+)으로 충전된 OPC 층(25)은 새도우 마스크(25)를 통해 상기 라이트 하우스내에 배치된 크세논 플래쉬 램프(42) 또는 머큐리 아크(mercury ark)와 같은 충분한 강도의 다른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노출된다. 상기 음극선관의 전자총으로부터의 전자 빔 중의 하나와 동일한 각도로 상기 새도우 마스크(25)의 개구를 통과하는 광은 입사되는 상기 OPC 층(34)의 조광 영역을 방전한다. 상기 새도우 마스크는 상기 패널(12)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패널은 제 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 형광체 현상제(developer)(44)상에 위치된다. 상기 현상제는 55% 이하 및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의 상대 습도로 유지되는 형광체 저장부(reservoir)(도시생략)를 포함한다. 50%를 초과하는 RH 에서, 상기 형광체는 물을 흡수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형광체 증착에 역으로 영향을 미치는 레벨로 그것들의 전하 대 질량 비를 감소시킨다. 또한, 50%를 초과하는 RH 는 상기 저장부내의 형광체 입자의 클럼핑(clumping) 또는 거대응집체를 야기하여 허용 입자 크기가 대략 7.0μ이지만 250μ 만큼 큰 공칭 직경을 갖는 응집된 입자를 생성한다.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입자들은 공기에 의해 마찰전기식 총(46)을 통해 반송되어 -40℃ 이하의 이슬점(dew point)을 갖도록 제어된다. -40℃ 이상의 이슬점에서, 상기 개개의 형광체 입자들은 15-50μ 의 공칭 직경을 갖는 형광체 입자를 형성하도록 거대응집체를 형성할 것이고, 상기 마찰전기의 작용에 의해 분리된 상기 전하는 분산되며 그 결과 상기 입자들의 전하 대 질량 분산은 최적화되지 않는다. 공기의 낮은 이슬점은 형광체 증착 중에 대략 3%로 상기 현상제(44)의 습도를 더 감소시킨다. 상기 제 1 컬러 방출 형광체 물질은 상기 마찰전기식 총(46)에 의해 상기 현상제(44)내로 마찰전기식으로 정으로 충전되고 상기 OPC 층(34)을 향하게 된다. 상기 정으로 충전된 제 1컬러 방출 형광체 물질은 상기 OPC층(34)에 정으로 충전된 영역에 의해 반발되고, 당업계에서 반전(reversal) 현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해 그것의 방전된 영역상에 증착된다. 반전 현상에서, 스크린 구성 물질의 마찰전기식으로 충전된 입자들은 상기 OPC층(34)의 유사하게 충전된 영역에 의해 반발되고, 그것의 방전된 영역상에 증착된다. 상기 제1컬러 방출 형광체의 각각의 라인들의 크기는 각각의 개구의 완전한 건폐율(coverage) 및 상기 개구 둘레의 광흡수 매트릭스 물질을 약간 중첩하게 하기 위해 광흡수 매트릭스의 개구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된다. 상기 패널(12)은 상기 코로나 방전 장치를 사용하여 방전된다. 정의 전압이 상기 OPC 층(34)에 설정되고 그 위에 증착된 제1 컬러 방출 형광체에 설정된다. 상기 광 노출 및 형광체 현상 단계는 상기 제 1컬러 방출 형광체의 증착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RH 및 온도를 제어하여 유지하는 2개의 컬러 방출 형광체의 각각에 대해 반복된다. 상기 OPC층(34)의 컬러 방출 형광체의 각각의 라인의 크기는 갭(gap)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위해 및 제공된 개구 둘레의 광흡수 매트릭스의 약간 중첩하게 하기위해 상기 매트릭스 개구의 크기보다 크게 된다. 그 합성 스크린(22)은 제 7도에 도시된다.
상기 스크린(22)의 3개의 광방출 형광체는 제8도에 도시된 정전 스프레이(spray)총에 의해 마찰전기식으로 충전된 적합한 정착제로 상기 형광체들을 접착함으로써 상기 OPC 층 (34)에 고정된다. 적합한 정착제는 아세톤, 아밀 아세톤, 부틸 아세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MIBK), 메틸 에틸케톤(M다), 톨루엔 및 크실렌과 같은 용매와; MIBK에 용해되는 아크릴 수지 및 MIBK에 용해되는 풀리-알파메틸 스틸렌(AMS)과 같은 중합체 용액을 포함한다.
상기 용매중 임의의 하나는 아래의 OPC 층(34)에 상기 형광체들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정전 스프레이 총은 OH, Toledo 에 소재한 ITW Ransburg 로부터 사용할 수 있는 AEROBELL 모델이다. 상기 정전 총은 상기 형광체들의 이동없이 상기 형광체와 상기 아래의 OPC 층(34)을 적시는 일정한 크기의 부(-)로 충전된 소적(droplets)을 제공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12)은 상기 OPC 층 (34)과 같은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형광체는 상기 정전 총의 아래 방향으로 향한다. 상기 패널의 아래 방향의 지향성은 상기 총에 형성된 임의의 큰 소적을 상기 스크린(22)에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형광체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OPC 층 (34)에 사용된 풀리스틸렌은 아밀 아세티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MIBK, 톨루엔 및 크실렌에 완전히 용해되고, 아세톤에 일부 용해된다. 그러나, MIBK는 다른 용매보다 더 느리게 상기 OPC 층(34)의 풀리스틸렌을 용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린(22)은 제9도에 도시된 층(60)을 제공하게끔 필름화되고, 상기 층(60)은 증착된 알류미늄 층(24)상의 상기 스크린(22)상에 부드러운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필름화는 종래의 감광유제(emulsion) 필름화 또는 상기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 5,028,501 호에 게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건식 필름일 수 있고; 또는 상기 필름화는 정전기식으로 증착된 중합체 용액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임의의 바람직한 물질은 MIBK 에 용해되는 아크릴 수지이다. 좋은 결과가 NY, Buffalo에 소재하는 Pirece and Stevens 로부터 사용할 수 있게 된 수지를 사용하여 얻어진 바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가소제 DOP 와 니트로셀루로즈의 균형이 잡힌 90 wt.% 의 풀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9 wt.% 의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수지는 약 3-10 wt.% 의 필름화 용액을 포함한다. 필름화 후에, 상기 스크린 어셈블리는 상기 스크린 어셈블리의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약 30 분 동안 약 425℃의 온도에서 구워진다.

Claims (6)

  1. a) 면판 패널(12)의 내부 표면에 유기 도전(OC)층(32)을 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OC 층에 중첩 유기 광도전(OPC)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OPC 층을 정전기식으로 자칭하는 단계와; d) 상기 OPC 층에 충전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OPC 층의 선택된 영역을 광에 노출하는 단계와; e) 제1 마찰전기식으로 충전된 스크린 구성 물질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OPC 층에 상기 충전된 이미지를 현상하는 단계와; f) 발광성 컬러 스크린(22)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추가의 마찰전기식으로 충전된 스크린 구성 물질에 대해 c)-e)의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와; g) 상기 OPC 층에 상기 스크린 구성 물질을 고정하는 단계와; h) 상기 스크린을 필름화하는 단계와; i) 상기 스크린을 알루미늄처리하는 단계와; j)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여 발광성 스크린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알루미늄처리된 스크린을 굽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사진식 스크리닝(EPS) 공정에 의해 컬러 CRT(10)의 면판 패널(12)의 내부 표면에 발광성 스크린 어셈블리(22,24)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동안의 상대 습도(RH)는 그 이하의 습도일 경우 상기 OC 층(32)의 성능이 이온 전송 유동성의 감소에 의해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는 습도 이상, 그리고 그 이상의 습도 레벨일 경우 상기 OC 층(34)의 금이 발생할 수 있는 습도 이하의 범위에서 유지되고; 상기 단계 e) 동안의 상대 습도(RH)는 그 이상의 습도일 경우 상기 스크린 구성 물질이 물 및 거대응집체를 흡수하여 상기 물질의 전하 대 질량비를 그것의 증착에 역으로 영향을 미치는 값까지 변화시키는 습도 이하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성 스크린 어셈블리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동안의 상대 습도(RH)는 대략 40-65 % 의 범위내에서 유지되고, 그 온도는 대략 20-35℃의 범위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성 스크린 어셈블리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동안의 상대 습도(RH)는 대략 45-55 % 의 범위내에서 유지되고, 그 온도는 대략 22-28℃의 범위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성 스크린 어셈블리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 동안의 상대 습도 (RH)는 55 % 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성 스크린 어셈블리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 동안의 상대 습도 (RH)는 50 % 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성 스크린 어셈블리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의 이슬점은 상기 스크린 구성 물질을 인가하도록 대략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성 스크린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19950029774A 1994-09-16 1995-09-13 주위 제어하에서 음극선관용 발광성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 KR0156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05,952 US5474867A (en) 1994-09-16 1994-09-16 Method of manufacturing a luminescent screen for a CRT under ambient controls
US8/305,952 1994-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579A KR960011579A (ko) 1996-04-20
KR0156657B1 true KR0156657B1 (ko) 1998-12-15

Family

ID=2318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774A KR0156657B1 (ko) 1994-09-16 1995-09-13 주위 제어하에서 음극선관용 발광성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74867A (ko)
JP (1) JPH08180808A (ko)
KR (1) KR0156657B1 (ko)
CN (1) CN106297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241B1 (ko) * 1994-12-26 2002-04-24 김순택 브라운관의형광막제조방법
KR100288720B1 (ko) * 1996-11-13 2001-10-24 김영남 실리카및티타네이트계카플링으로이중코팅된음극선관의건식전자사진식스크린제조용형광체의제조방법,이를사용하는스크린제조방법및이에제조된음극선관
KR19980060817A (ko) * 1996-12-31 1998-10-07 손욱 음극선관 벌브 및 그 제조방법
KR100424634B1 (ko) * 1996-12-31 2004-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칼라 브라운관용 광도전성 물질 및 이를 이용한 형광막의 제조방법
US6300021B1 (en) * 1999-06-14 2001-10-09 Thomson Licensing S.A. Bias shield and method of developing a latent charge image
JP2005062307A (ja) * 2003-08-08 2005-03-10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8310A (en) * 1967-03-29 1971-01-26 Rca Corp Method for producing a graphic image
US4921767A (en) * 1988-12-21 1990-05-01 Rca Licensing Corp. Method of electrophotographically manufacturing a luminescent screen assembly for a cathode-ray-tube
US5028501A (en) * 1989-06-14 1991-07-02 Rca Licensing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a luminescent screen assembly using a dry-powdered filming material
EP0447078B1 (en) * 1990-03-12 1994-09-2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ethod of electrophotographically manufacturing a luminescent screen assembly for a CRT
US5083959A (en) * 1990-08-13 1992-01-28 Rca Thomson Licensing Corp. CRT charging apparatus
US5229234A (en) * 1992-01-27 1993-07-20 Rca Thomson Licensing Corp. Dual exposure method of forming a matrix for an electrophotographically manufactured screen assembly of a cathode-ray tube
US5240798A (en) * 1992-01-27 1993-08-3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Method of forming a matrix for an electrophotographically manufactured screen assembly for a cathode-ray tube
US5370952A (en) * 1993-12-22 1994-12-06 Rca Thomson Licensing Corp. Organic conductor for an electrophotographic screening process for a C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579A (ko) 1996-04-20
CN1062971C (zh) 2001-03-07
CN1120239A (zh) 1996-04-10
JPH08180808A (ja) 1996-07-12
US5474867A (en) 1995-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67334C1 (ru) Способ электрофотографическ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люминесцентного экранного узла на подложке электронно-лучевой трубки и способ электрофотографическ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люминесцентной экранной сборки на внутренней поверхности панели планшайбы для цветной электронно-лучевой трубки
JP2007305599A (ja) 有機光伝導体層を使用するcrtの電子写真スクリーニング方法
KR100220282B1 (ko) Crt용 발광 화면 제조 방법
KR0156657B1 (ko) 주위 제어하에서 음극선관용 발광성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
CA2199299C (en) Method of electrophotographically manufacturing a screen assembly
US6040097A (en) Solution for making photoconductive layer and an electrophotograph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yer in CRT
EP0983604B1 (en) Color cathode-ray tube having phosphor elements deposited on an imperforate matrix border
KR100629188B1 (ko) 음극선관용 형광 스크린 제조 방법
KR100597975B1 (ko) 전하잠상 현상 장치 및 방법
US6090509A (en) Solution for making photoconductive layers and their electrophotographical manufacturing in CRTs
US6187487B1 (en) Method of developing a latent charge image
US6054236A (en) Solution for making a photoconductive layer and a method of electrophographically manufacturing a luminescent screen assembly for a CRT using the solution
US657638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uminescent screen for a CRT
KR100206276B1 (ko) 음극선관의 스크린 제조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칼라음극선관
JPH09199028A (ja) 陰極線管球用の発光スクリーン組立体を電子写真的に製造する方法
JP2001516138A (ja) 電荷潜像の現像方法
WO1999012180A1 (en) SOLUTION FOR MAKING A RESIN FILM AND ITS APPLICATION AT SCREENS OF CRTs
MXPA00002341A (es) Metodo para revelar una imagen de carga lat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