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241B1 - 브라운관의형광막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의형광막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241B1
KR100315241B1 KR1019940036915A KR19940036915A KR100315241B1 KR 100315241 B1 KR100315241 B1 KR 100315241B1 KR 1019940036915 A KR1019940036915 A KR 1019940036915A KR 19940036915 A KR19940036915 A KR 19940036915A KR 100315241 B1 KR100315241 B1 KR 100315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conductive layer
binder
solvent
dye
c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6012A (ko
Inventor
김민호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40036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241B1/ko
Priority to JP7312549A priority patent/JP2750289B2/ja
Priority to CN95120216A priority patent/CN1132404A/zh
Priority to US08/573,746 priority patent/US5853928A/en
Priority to MYPI95004050A priority patent/MY131763A/en
Priority to DE19548406A priority patent/DE19548406A1/de
Publication of KR960026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6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2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10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29/18Luminescent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1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in continuous layers
    • H01J9/225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in continuous layers by electrosta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운관의 형광막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운관의 형광막을 전자사진적으로 제조하는 데 있어서 패널 내면에 도전층, 광도전층의 순차적인 코팅과 광도전층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가시광선으로 노광한 후 형광체를 마찰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형광면을 형성할 수 있게 한 형광막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징적인 구성으로는 광도전층액에 사용되는 바인더로서 수용성인 폴리 아세톤 아크릴 아미드를 사용하여 광도전층액의 조성을 수용화하며, 상기 바인더와 함께 사용되는 감광제로서는 4-디아조 디 페닐 아민 1/2 징크 클로라이드 포름 알데히드로 된 염료와, 상기 염료의 용매인 4-4'- 디아지도스틸베니 2,2'- 디설퍼닉 에시드 소디움 솔트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브라운관 제조 공정과 같은 조건하에서도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Description

브라운관의 형광막 제조방법
본 발명은 브라운관의 형광막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운관의 형광막을 전자사진적으로 제조하는 데 있어서, 패널 내면에 도전층, 광도전층의 순차적인 코팅과 광도전층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가시광선으로 노광한후, 형광체를 마찰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형광면을 형성할 수 있게 한 형광막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 사진적으로 형광막을 제조하는 공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패널내면에 도전층 및 광도전층이 코팅되는데 이때의 도전층은 무기 도전체인 주석산화물, 인듐 산화물, 인듐-주석 산화물이 사용되거나 유기 도전물질이 사용되며, 특히 미국특허제 4,921,767호에서는 폴리브렌 10wt% 와 프로패놀 10% 수용액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의 광도전층은 어두운 곳에서는 절연층 역할을 하지만 자외선이나 적외선같은 일정 영역의 파장을 갖는 빛을 받으면 전자 또는 정공을 방출하여 전기적인 특성을 띠는 물질이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상기의 광도전층에 도포될 광도전체는 휘발성 유기 다중체인 염료와 용매로 이루어지며 그대표적인 성분은 폴리비닐 카바졸(polyvinyl carbazole)과 폴리 메틸 메타크릴리트(poly methyl methacrylate)와 같은 바인더 및 염료로는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 클로라이딘 블루(chloridine blue), 로다민(rhodamine) 6G 등이 제안되고, 상기 용매 조성은 클로로 벤젠(chloro benzene)이나 사이클로 펜타논(cyclo pentanone)등으로 용해하여 사용되며 광도전층액 조성은 바인더로서 폴리비닐 카바졸 200g과, 포리 메틸 메타크릴리트10g과, 감광제로서 클로라이딘 블루 0.1~0.4wt%의 염료와, 그 용매로서 클로로 벤젠 3800g으로 이루어지며 스핀 코팅과 건조를 통하여 2-6um 두께를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광도전층은, 암실에서 일반적인 코로나 방전 기구로 +200~400V로 대전시키고 그후 S/M을 삽입하여 크세논 램프로 노광을 실시하면 형광체 축적 예상층이 방전되며 그리고 현상기에서 양이온 마찰 전기를 띠는 형광체를 공급하는 원하는 모양의 형광막을 얻을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광도전층에 사용되는 염료 및 바인더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클로로 벤젠이나 사이클론 펜타논등의 유기 용제로 용해해야 하므로 작업 환경이 열악하여 공해 문제를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사용되는 염료는 700nm 부근의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작업 환경을 암실로 유지하여야 하므로 제품을 상품화하는데 큰 제약이 따랐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 내면에 도전층, 광도전층을 순차적으로 코팅하고 상기 광도전층의 일부를 가시광선에 의해 선택적으로 노광할 수 있도록 광도전층에 사용되는 바인더를 수용성으로 대치하여 광도전층액 조성을 수용화하여, 광도전층액에 사용되는 감광제는 노광공정이 일반적인 염료와 그 염료의 용매를 대치함으로써 암실이 아닌 브라운관 제조공정과 같은 조건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브라운관의 형광막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운관의 형광막 제조방법의 특징은, 광도전층액에 사용되는 바인더로서 수용성인 폴리 아세톤 아크릴 아미드를 사용하여 광도전층액의 조성을 수용화하며, 상기 바인더와 함께 사용되는 감광제로서는 4-디아조 티 페닐 아민 1/2 징크 클로라이드 포름 알데히드로 된 염료와 상기 염료의 용매인 4-4'- 디아지도 스틸베니 2,2'-디설퍼닉 에시드 소디움 솔트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브라운관 제조 공정과 같은 조건하에서도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운관의 형광막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예로서 패널 내면의 무기 도전체 또는 유기 도전체를 사용하여 도전층을 형성하고 상기 도전층에 코팅되는 광도전층에 있어서, 상기 광도전층에 도포할 광도전층액(광도전체)은 바인더로서 사용하기 위한 수용성의 폴리 아세톤 아크릴 아미드(poly acetone acryl amide) 10 wt%(무게비)와, 상기 바인더의 용매로 사용할 잔량의 불(H2O)과, 감광제로서는 4-디아조 디 폐닐 아민 1/2 징크 클로라이드 포름 알데히드(4-diazo diphenyl amine 1/2 zinc chloride form aldehyde) 0.1 wt%의 염료와, 상기 염료의 용매로서 4-4'- 디아지도 스틸베니 Z,Z'-디설퍼닉 에시드소디움 솔트(4-4'-diazido stilbene Z,Z'-disulfonic acid sodium salt) 0.3 wt%와, 패널내면에 광도전체 도포시 표면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수량의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제 2실시예로서 상기 광도전층액은 그 바인더로서 폴리 아세톤 아크릴 아미드(poly acetone acryl amide) 10 wt%(무게비)와, 상기 바인더의 용매로 사용할 잔량의 물(H2O)과, 감광제로서는 4-디아조 디 페닐 아민 1/2 징크 클로라이드 포름 알데히드(4-diazo diphenyl amine 1/2 zinc chloride form aldehyde) 0.2 wt%의 염료와, 상기 염료의 용매로서 4-4'- 디아지도 스틸베니 2,2'- 디설퍼닉 에시드 소디옴 솔트(4-4'-diazido stilbene 2,2'-disulfonic acid sodium salt) 0.2 wt%와, 패널내면의 광도전층에 광도전체를 도포시 표면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수량의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짐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조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운관의 형광면 제조방법의 제조공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패널 내면을 세정한 후 먼저 도전층을 코팅하고 이때의 도전층은 무기 도전체를 사용하여도 되지만, 소성 공정시 열분해성이 좋은 유기 도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광도전층에 도포할 광도전층액은 용매로는 물(순수)을 사용하며 바인더로는 폴리 아세톤 아크릴 아미드(poly acetone acryl amide)를 사용하고 감광제로서는 350~400mm에서 흡수 파장을 갖는 4-디아조 디 페닐 아민 1/2 징크 클로라이드 포름 알데히드(4-diazo diphenyl amine 1/2 zine chloride form aldehyde)와 4-4'- 디아지도 스틸베니 2,2'- 디설퍼닉 에시드 소디움 솔트(4-4'-diazido stilbene 2.2'-disulfonic acid sodium salt)를 일정 비율 혼합하여 사용하며 이때 상기와 같이 감광제를 두가지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광도전층에서의 전자를 발생하는 역할과 발생된 전자를 이송하는 역할을 함께 유지시켜 주게 된다.
상기에서 광도전층액에 사용되는 감광제의 양은 0.1~0.5무게% (wt%)로 혼합되며 광도전체의 점도는 4~8 [cps](25C)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혼합된 광도전층액을 통상적인 스핀 코팅 또는 스프레이 코팅방법을 이용하여 도전층위에 코팅하며, 이때의 일반적인 광도전막의 두께는 10~2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소성공정시 가스 발생량이 많으므로 3~10㎛의 두께를 유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패널 내면의 광도전층에 광도전체를 도포시 상기와 같이 소량의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여 주게 되면 광 도전층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켜 줄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운관의 형광막 제조방법에 의하면, 전자 사진적으로 형광막을 제조함에 따라 발생하는 유기용제에 의한 공해문제 및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암실에서 실시하여야 하는 종래의 형광막제조방법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함으로써 제품의 상품화를 실현할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Claims (5)

  1. 전자 사진적으로 도전층, 광도전층을 순차적으로 코팅하여 형광막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광도전층에 사용되는 조성이 폴리 아세틸 아크릴 아미드로 된 수용성 바인더와,
    상기 바인더의 용매로 사용할 잔량의 물(H2O)과,
    4-디아조 디페닐 아민 1/2 징크 클로라이드 포름 알데히드로 된 염료와,
    4-4'-디아지도 스틸베니 2,2'-디 설퍼닉 에시드 소디움 솔트로 된 상기 염료의 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형광막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전체의 조성비는
    폴리 아세톤 아크릴 아미드 10 wt%의 바인더와,
    상기 바인더의 용매로 사용할 잔량의 물(H2O)과,
    4-디아조 디 페닐 아민 1/2 징크 클로라이드 포름 알데히드 0.1 wt%의 염료와,
    4-4'- 디아지도 스틸베니 2,2'- 디설퍼닉 에시드 소디움 솔트 0.3 wt%의 염료용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형광막 제조방법.
  3. 제 1항 있어서, 상기 광도전체의 조성비는
    폴리 아세톤 아크릴 아미드 10 wt%의 바인더와,
    상기 바인더의 용매로 사용할 잔량의 물(H2O)과,
    4-디아조 디 페닐 아민 1/2 징크 클로라이드 포름 알데히드 0.2 wt%의 염료와,
    4-4'- 디아지도 스틸베니 2,2'- 디설퍼닉 에시드 소디움 솔트 0.2 wt%의 염료용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형광막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전체는
    4~8 [cps](25℃)의 점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형광막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전체는
    패널 내면의 광도전층에 도포시 표면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소량의 계면활성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형광막 제조방법.
KR1019940036915A 1994-12-26 1994-12-26 브라운관의형광막제조방법 KR100315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915A KR100315241B1 (ko) 1994-12-26 1994-12-26 브라운관의형광막제조방법
JP7312549A JP2750289B2 (ja) 1994-12-26 1995-11-30 ブラウン管の螢光膜製造方法
CN95120216A CN1132404A (zh) 1994-12-26 1995-12-04 布朗管荧光膜的制造方法
US08/573,746 US5853928A (en) 1994-12-26 1995-12-18 Method for forming braun tube's fluorescent layer
MYPI95004050A MY131763A (en) 1994-12-26 1995-12-22 Method for forming braun tube''s fluorescent layer.
DE19548406A DE19548406A1 (de) 1994-12-26 1995-12-22 Verfahren zur Bildung einer Fluoreszenzschicht einer Braunschen Röh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915A KR100315241B1 (ko) 1994-12-26 1994-12-26 브라운관의형광막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012A KR960026012A (ko) 1996-07-20
KR100315241B1 true KR100315241B1 (ko) 2002-04-24

Family

ID=1940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915A KR100315241B1 (ko) 1994-12-26 1994-12-26 브라운관의형광막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53928A (ko)
JP (1) JP2750289B2 (ko)
KR (1) KR100315241B1 (ko)
CN (1) CN1132404A (ko)
DE (1) DE19548406A1 (ko)
MY (1) MY1317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994B1 (ko) * 1996-12-31 2004-09-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감광성수지조성물및이를이용한형광막패턴의형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319A (ko) * 1996-09-06 1998-06-25 손욱 감광성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KR100424634B1 (ko) * 1996-12-31 2004-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칼라 브라운관용 광도전성 물질 및 이를 이용한 형광막의 제조방법
GB2334727A (en) * 1998-02-28 1999-09-01 Horsell Graphic Ind Ltd Planographic printing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1643A (en) * 1979-09-14 1981-04-18 Hitachi Ltd Photosensitive composition
JPS5660431A (en) * 1979-10-24 1981-05-25 Hitachi Ltd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pattern forming method
US4526854A (en) * 1982-09-01 1985-07-02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Photoresist composition with water soluble bisazide and diazo compound
US4501806A (en) * 1982-09-01 1985-02-26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for forming pattern and photoresist used therein
JPS63181234A (ja) * 1987-01-22 1988-07-26 Toshiba Corp カラ−受像管蛍光面の形成方法
US4921767A (en) * 1988-12-21 1990-05-01 Rca Licensing Corp. Method of electrophotographically manufacturing a luminescent screen assembly for a cathode-ray-tube
US5229234A (en) * 1992-01-27 1993-07-20 Rca Thomson Licensing Corp. Dual exposure method of forming a matrix for an electrophotographically manufactured screen assembly of a cathode-ray tube
JP3402743B2 (ja) * 1994-04-06 2003-05-06 日立粉末冶金株式会社 ブラウン管内装用塗料
US5474867A (en) * 1994-09-16 1995-12-1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luminescent screen for a CRT under ambient contro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994B1 (ko) * 1996-12-31 2004-09-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감광성수지조성물및이를이용한형광막패턴의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50289B2 (ja) 1998-05-13
US5853928A (en) 1998-12-29
MY131763A (en) 2007-08-30
KR960026012A (ko) 1996-07-20
DE19548406A1 (de) 1996-07-04
JPH08335437A (ja) 1996-12-17
CN1132404A (zh) 1996-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20637C1 (ru) Способ электрофотографическ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нструкции люминесцентного экрана на подложке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электронно-лучевой трубке
US3965278A (en) Method of making screens for cathode-ray tubes
KR100315241B1 (ko) 브라운관의형광막제조방법
KR910001866B1 (ko) 칼라수상관의 인광스크린 제조방법 및 그 감광성 내식막 조성물
US5916719A (en) Composition of photoconductive layer for a color display panel
JPH02204750A (ja) 感光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KR100222601B1 (ko) 칼라표시패널용 광도전층 조성물
KR100199556B1 (ko) 칼라표시패널용 광도전층 조성물
KR100388899B1 (ko) 도전막조성물및이를사용하여형성된도전막을채용한음극선관용벌브
KR100424634B1 (ko) 칼라 브라운관용 광도전성 물질 및 이를 이용한 형광막의 제조방법
KR100477983B1 (ko) 고감도를가진포토레지스트조성물
KR100222600B1 (ko) 칼라표시패널 광도전층용 전자수용체
KR100399651B1 (ko) 칼라표시패널용 광도전층 조성물
KR100450188B1 (ko) 칼라표시패널광도전층용전자수용체
KR100229316B1 (ko) 칼라음극선관의 형광막 슬러리 조성물
KR100424633B1 (ko) 양극성 단층형 전자사진용 광도전체 조성물
US5750296A (en) Photo-conductive composition and CRT bulb having photo-conductive layer formed of the same
KR970006718B1 (ko) 칼라브라운관 3색 형광면 형성시 회수형광체의 재사용방법
KR19980043653A (ko) 칼라표시패널 광도전층용 전자수용체
KR100267176B1 (ko) 음극선관의 건식전자사진식 스크린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광전도막도포용액
KR100202870B1 (ko) 음극선관의전자사진식스크린제조에있어라커막형성방법
MXPA97000187A (en) Conductive composition and cathode ray tube light bulb that uses the mixed conductor layer
US6054236A (en) Solution for making a photoconductive layer and a method of electrophographically manufacturing a luminescent screen assembly for a CRT using the solution
KR100232573B1 (ko) 음극선관의 건식전자사진식 스크린 제조용 광전도막도포용액 및 이에 의한 스크린 제조방법
KR100265784B1 (ko) 광도전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광도전막을 채용하고 있는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