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059B1 - 전기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 Google Patents

전기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059B1
KR0156059B1 KR1019950003813A KR19950003813A KR0156059B1 KR 0156059 B1 KR0156059 B1 KR 0156059B1 KR 1019950003813 A KR1019950003813 A KR 1019950003813A KR 19950003813 A KR19950003813 A KR 19950003813A KR 0156059 B1 KR0156059 B1 KR 0156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input
connector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544A (ko
Inventor
야스시 다카기
도시유키 시부타니
Original Assignee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토 후미오
Publication of KR95002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어수단에 의해 데이터의 입력동작이 실행되는 기억수단에 대해 외부로부터 기억데이터의 출력을 실시하기 위한 데이터 출력수단을 접속가능하고, 냉장고의 동작상태 데이터를 기억하는 EEPROM에 대해 외부로부터 데이터 출력장치에 의해 출력동작을 실시하는 경우에 제어회로에 의한 접근과 경합하지 않게 되고, 냉장고 본체측에는 커넥터(9)가 설치되고 데이터 출력장치(6)에는 커넥터(8)가 설치되어 있으며 커넥터(8)를 커넥터(9)에 접속하면 제어회로(1)에 로우레벨의 출력요구신호가 입력되고 제어회로(1)는 출력요구신호가 입력되면 EEPROM(2)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의 입력동작을 중지하지만 입력동작중의 경우에는 사용중 신호를 출력해서 그 데이터의 입력처리가 종료한 후에 중지를 하며 데이터 출력장치(6)는 사용중 신호가 정지되면 EEPROM(2)에 대한 출력동작을 개시하게 되고 제어회로(1)와의 경합이 없어져 정확하게 데이터의 출력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의 전기적 구성도.
제2도는 제어회로의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
제3도는 판독요구신호 발생시의 간섭 프로그램.
제4도는 데이터 판독장치의 데이터 판독프로그램.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제1도 상당도.
제6도는 커넥터의 접속상태 및 이탈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제1도 상당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제1도 상당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회로(제어수단) 2 : EEPROM(기억수단)
3 : 급속냉동용 표시회로(통지수단) 4 : LED
6 : 데이터 판독장치(데이터 판독수단) 7a,7b : 케이블
8,9 : 커넥터 11 : 접속부(신호발생수단)
12,13,17 : 커넥터 14 : 마이크로스위치(신호발생수단)
15 : 냉동기 설정회로 16 : 습도센서
19 : 습도설정회로 20 : 급속냉동 설정회로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어수단에 의해 데이터의 기록 동작이 실행되는 기억수단에 데이터 판독수단을 접속하여 외부에서 기억데이터의 판독을 실행할 수 있는 전기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각동작의 제어나 여러 가지의 제어를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제어회로에 의해 실시하는 구성의 것이 있지만, 최근에는 그 제어중에 발생하는 고장이나 각 부분의 부품의 동작상태 등에 관한 데이터를 제어회로에 의해 생성하여 EEPROM 등의 메모리에 기록 저장하는 구성으로 하여, 동작확인시나 수리전 등에 있어서 외부에서 메모리내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분석함으로써 고장에 이르는 원인을 정확하게 판정하거나 그 원인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수리를 실시하는 시스템이 고안되고 있다.
이 경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냉장고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를 분리하거나 메모리가 설치되어 있는 프린트기판을 분리하는 것은 그 때마나 취급하는데 불편하고 실제로 냉장고가 설치된 장소에서 고장해석 등을 실시하는 것이 불편하게 되는 불합리가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메모리를 냉장고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 메모리내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외부에서 판독할 수 있도록 냉장고 본체측에 메모리에 액세스 가능한 접속단자를 설치하고 데이터 판독시에 데이터 판독장치를 그 접속단자에 접속함으로써 간단하고 신속하게 판독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생각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경우 메모리가 냉장고 본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데이터 판독장치에 의해 데이터를 판독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냉장고 본체측의 제어회로에 의한 메모리로의 데이터 기록동작과 데이터 판독장치에 의한 메모리내의 데이터 판독동작이 경합하면 판독한 데이터가 이상하거나 데이터 판독후에 새로운 데이터를 보존할 수 없게 된다는 불합리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데이터 판독장치를 접속하여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할 때 본체측의 제어수단과 동시 액세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억데이터를 확실하게 판독할 수 있는 전기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장치는 전기기기의 동작상태의 데이터를 판독/기록 가능한 기억수단, 상기 전기기기의 제어를 실시함과 동시에 그 동작 상태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동작을 실시하는 제어수단,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외부에서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수단, 상기 기억수단에 대해 상기 데이터 판독수단이 데이터의 판독동작이 가능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판독요구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수단에 부여하는 신호발생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대한 상기 기록동작을 실시하는 경우에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상기 판독요구신호가 부여되어 있을 때에는 그 기록동작을 중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대한 기록 동작중에는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의 판독요구신호에 대해 그 기록동작이 종료할 때까지 상기 데이터 판독수단에 사용중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판독수단은 상기 판독수단의 실행을 상기 사용중 신호가 소실한 시점으로부터 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입력되어 있는 상기 판독요구신호가 소실했을 때에 상기 기억수단으로의 기록동작의 중지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통지신호에 따라 통지동작을 실시하는 통지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상기 요구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통지수단에 통지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장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전기기기의 동작제어를 실시함과 동시에 그 동작상태를 대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필요에 따라 기억수단에 기록 저장하거나 이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터를 데이터 판독수단에 의해 외부로부터 출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데이터 판독수단이 기억수단에 접속되면 신호발생수단은 제어수단에 판독요구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수단은 이 판독요구신호를 받고 있는 기간중에는 기억수단에 대한 기록동작을 중지하게 되고, 기억수단은 이 기간중에 데이터 판독장치로부터만 데이터의 판독동작이 실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어수단으로부터의 기록동작과 데이터 판독장치로부터의 기록동작과의 경합이 없어지고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가 파괴되거나 제어수단의 기록동작을 실시할 때 기록데이타가 파괴되거나 하는 일이 없어지고, 데이터 판독수단에 있어서도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확실하게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은 기억수단에 대한 기록동작중에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데이터 판독수단에 대해 사용중 신호를 출력하여 데이터 판독수단의 판독동작을 대기시키고, 기록동작이 종료한 시점에서 사용중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고, 이후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동안은 기억수단에 대한 기록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 판독수단은 제어수단으로부터 사용중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기간중은 판독동작의 개시를 대기하고, 사용중 신호가 소실한 시점으로부터 기억수단의 데이터 판독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이에 의해 기억수단에 대하여 제어수단 또는 데이터 판독수단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만 기록동작 또는 판독동작이 실행되게 되고, 데이터교환의 경합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지며, 데이터가 파괴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제어수단은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동안은 기억수단에 대한 기록데이터가 발생한 경우라도 기록동작을 중지하고 있지만, 데이터 판독수단이 분리되거나 해서 판독요구신호가 소실하면 기억수단으로의 기록동작을 개시하도록 구성되고, 데이터 판독수단과의 경합을 없애면서 신속하게 기록동작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수단은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통지수단에 통지신호를 입력하여 데이터 판독수단에 의한 기억수단의 데이터의 판독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음으로 통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데이터 판독수단에 의한 판독동작중인 것을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냉장고에 적용한 경우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회로(1)는 마이크로컴퓨터, ROM, RAM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전기기기로서의 냉장고 본체의 냉각제어를 실행하여 각 부분에 설치된 구동장치를 구동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의 동작상태를 인식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록처리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기억수단으로서의 EEPROM(2)은 전기적으로 기록 및 소거가 가능하고, 또한 전기공급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기억내용을 유지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그 입출력단자는 제어회로(1)의 입출력단자(A)에 접속되어 있다. 급속냉동 표시용의 표시회로(3)는 냉장고내를 급속냉동 운전제어할 때에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것은 통지수단으로서의 기능도 겸비하고 있다. 그리고 표시회로(3)는 LED(4) 및 저항(5)의 직렬회로로 구성되고, 제어회로(1)의 출력단자(B)는 이 표시회로(3)를 통해 직류전원 단자(VD)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회로(1)로부터 통지신호로서의 표시신호(로우레벨 신호)가 출력되면 LED(4)가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
EEPROM(2)의 데이터를 외부에서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수단으로서의 데이터 판독장치(6)는 내부에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구비하고, 판독한 데이터에 의거해 고장해석을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 데이터 판독장치(6)의 입출력단자에는 2개의 케이블(7a, 7b)ㅇ을 통해 커넥터(8)가 접속되어 있다. 이 커넥터(8)에는 4개의 단자(a, b, c, d)가 설치되어 있고, 단자(a, b)는 각각 케이블(7a, 7b)에 접속되며, 단자(c)와 단자(d) 사이는 단락되어 있다.
냉장고 본체측에는 커넥터(8)가 접속가능한 커넥터(9)가 설치되어 있고, 이 커넥터(9)에는 4개의 단자(a, b, c, d)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9)의 단자(a)는 EEPROM(2)의 입출력단자에 접속되고, 단자(b)는 제어회로(1)의 출력단자(C)에 접속되고, 단자(c)는 제어회로(1)의 입력단자(D)에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10)을 통해 직류전원단자(VD)에 접속되며, 단자(d)는 접지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회로(1)는 출력단자(C)로부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요에 따라 하이레벨의 사용중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커넥터(9)와 커넥터(8)가 접속되는 것으로 커넥터(9)의 단자(c)가 접지되고, 입력단자(D)에는 로우레벨의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커넥터(8) 및 커넥터(9)에 의해 신호발생수단으로로서의 접속부(11)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히 제2도 내지 제4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어회로(1)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냉장고 본체의 각 부분의 구동제어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이들의 제어동작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EEPROM(2)과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입출력동작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제어회로(1)는 상기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구동제어를 실시하고, 그 동작상태를 나타낸 데이터를 예을 들면 소정시간마다 EEPROM(2)에 기록처리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고, 이 기록처리 데이터가 발생하면 제2도에 나타낸 기록프로그램의 풀로우챠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첫번째로, 커넥터(9)에 데이터 판독장치(6)의 커넥터(8)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즉 제어회로(1)는 기록프로그램을 스타트하면 기록 금기 플래그(F)가 「1」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단계 S1), 여기서는 플래그(F)의 값이 아직 「0」인 상태이기 때문에 「NO」로 판단하여 단계(S2)로 진행하고 기록처리의 단계를 실행하게 된다. 이 때, 제어회로(1)는 출력단자(A)로부터 기록신호를 출력하여 EEPROM(2)에 데이터를 기억(기록)시키도록 된다. 그리고 기록처리가 종료하면 제어회로(1)는 후술하는 사용중 신호이 출력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여기서는 「NO」라 판단하여 기록프로그램을 종료하여 메인프로그램으로 돌아가도록 한다. 이에 의해 EEPROM(2)내에 냉장고의 동작상태의 이력을 나타낸 1회분의 데이터가 기록된 기억이 유지되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제어회로(1)가 기록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지 않을 때, 커넥터(9)에 데이터 판독장치(6)의 커넥터(8)가 접속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커넥터(9)가 커넥터(8)과 접속되면, 커넥터(9)의 단자(c, d)간이 단락되고, 이에 의해 제어회로(1)의 입력단자(D)는 그때까지 저항(10)을 통해 공급되는 직류전원단자(VD)에 의한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던 것이 접지전위로 내려가고, 로루레벨의 신호가 판독요구신호로서 입력되게 된다.
제어회로(1)는 입력단자(D)에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제3도에 나타낸 플로우챠트에 따라 간섭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된다 즉 제어회로(1) 우선 기록금지 플래그(F)의 값을 「1」로셋트하고(단계 T1), 이어서 급속냉동을 표시하는 표시회로(3)에 표시신호를 출력하여 LED(4)를 점등시킨다(과정 T2). 다음으로 제어회로(1)는 간섭 프로그램이 실행개시된 시점에서 실행되어 있던 처리내용이 기록 처리 시스템(S2)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T3). 여기서는 기록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지 않았을 때를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회로(1)는 단계T3에서「NO」로 판단하여 간섭처리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데이터 판독장치(6)가 EEPROM(2)내의 데이터이 판독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제4도에 나타낸 플로우챠트의 판독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한다. 데이터 판독장치(6)는 우선 제어회로(1)측으로부터 EEPROM(2)이 데이터 기록을 위해 사용중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사용중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단계P1), 이 경우에는 기록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지 않다고 추정하고 있기 때문에「NO」라고 판단하여 단계(P2)로 진행하고, 여기서 판독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판독장치(6)은 케이블(7a, 7b), 커넥터(8, 9)를 통해 EEPROM(2)내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판독하게 된다.
또한 제어회로(1)는 이와 같이 커넥터(9)에 커넥터(8)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EEPROM(2)에 기록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이경우에는 제2도에 나타낸 기록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단계(S1)에서「YES」로 판단되고, 이어서 단계(S4)에 있어서 판독요구신호가 입력중인지 아닌지의 판단이 실행되지만, 여기서는「YES」라고 판단되어 단계(S5)로 이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어회로(1)는 기록처리의 실행을 보류하고, EEPROM(2)에 기록해야할 데이터를 일단 내부의 RAM등에 보존하고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
이에 의해, 판독요구신호가 제어회로(1)에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EEPROM(2)이 데이터 판독장치(6)에 의해 데이터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로 하여, 제어회로(1)에 의한 EEPROM(2)으로의 기록을 중지하여 양자가 경합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EEPROM(2)에 기록되지 않는 데이터는 제어회로(1)내의 RAM등에 일시적으로 입력되어 퇴피시킨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이 때 일시적으로 입력되어 퇴피시킨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이 때 일시적으로 퇴피시킨 기록 데이터는 판독요구신호의 입력이 없어진 상태에 있어서 제어회로(1)에 의해 수시 기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EEPROM(2)내에 기록되거나 혹은 다음번의 기록 데이터 발생시에 함께 기록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커넥터(9)에 데이터 판독장치(6)의 커넥터(8)가 접속된 시점에서 제어회로(1)가 EEPROM(2)에 대해 데이터를 액세스하고 있는 상태, 즉 기록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처리(단계 S2)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우선 제어회로(1)는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단자(D)에 입력됨으로써 제3도의 간섭 프로그램을 실행하던 단계(T1)에거 기록금지 플래그(F)의 값을 「1」로 세트하고, 이어서 단계(T2)에서 표시회로(3)의 LED4를 점등시키고 다음 단계(T3)에서는 기록처리를 실행중이기 때문에 「YES」라고 판단하고, 단계(T4)로 진행하게 된다. 제어회로(1)는 이 단계(T4)에서 사용중 신호를 출력단자(C)로부터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 제어회로(1)는 기록 프로그램의 기록처리 단계(S2)를 중지시키지 않고, 데이터의 EEPROM(2)으로의 기록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실행되고, 계속해서 단계(S3)에서는 사용중 출력이 나와 있기 때문에 「YES」로 판단하여 단계(S6)를 이행한다. 단계(S6)에서는 제어회로(1)가 사용중 신호를 정지시키고 기록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데이터 판독장치(6)는 제어회로(1)로부터 상술한 간섭 프로그램의 단계(T4)에서 사용중 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제4도의 판독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단계(P1)에서는 사용중 신호가 입력되어 있기 때문에 「YES」라고 판단하여 단계(P3)로 이행하게 되고, 여기서 제어회로(1)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중 신호가 소실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회로(1)측의 기록처리가 종료하여 사용중 신호의 출력이 정지되면 데이터 판독장치(6)는 단계(P3)에서 「YES」로 판단하여 단계(P2)로 이행하고, EEPROM(2)내에 액세스하여 데이터 판독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 판독장치(6)는 EEPROM(2)에 대해 제어회로(1)가 기록을 위해 액세스하고 있을 때에 동시에 입력을 위해 액세스하는 경우가 없어지고, 데이터의 파괴 등의 불합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넥터(9)로부터 커넥터(8)가 분리되면 제어회로(1)의 입력단자(D)에는 다시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게 되고, 판독요구신호의 입력이 없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회로(1)는 EEPROM(2)으로의 기록데이터가 발생하여 기록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기록금지 플랙(F)는 그래도 「1」이기 때문에 단계(S1)에서 「YES」라고 판단하고 단계(S4)로 이행하지만, 여기서는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응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NO」라고 판단하여 단계(S7)로 진행하고, 기록금지 플래그(F)를 「0」으로 재세트함과 동시에 표시회로(3)의 LED(4)를 소등하고 나서(단계 S8) 단계(S2)로 이행하게 되고. 기록처리가 실행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판독장치(6)측의 커넥터(8)에 단자(c, d)를 설치하여 커넥터(9)에 접속함으로써 제어회로(1)의 입력단자(D)에 판독요구신후를 입력하도록 함과 동시에, 판독요구신호가 제공될 때에 기록금지 플래그(F)를 「1」로 세트하여 이 상태에서는 EEPROM(2)으로의 기록처리를 실시하지 않도록 했기 때문에 EEPROM(2)에 대해 제어회로(1)아 데이터 판독장치(6)가 동시에 접근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데이터가 파괴되는 등의 불합리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회로(1)가 EEPROM(2)에 대해 기록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데이터 판독장치(6)로부터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사용중 신호를 출력하여 데이터 판독장치(6)에 의한 판독처리의 실행을 일시 대기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동시에 액세스하는 불합리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판독장치(6)의 커넥터(8)를 분리했을 때에는 제어회로(1)에 데이터의 기록처리를 실행 재개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 때마다 스위치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사용하기 편리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판독장치(6)의 커넥터(8)가 냉장고 본체츠그이 커넥터(9)에 접속되었을 때에 제어회로(1)에 의해 표시회로(3)의 LED(4)를 점등시키고 판독동작이 실행되는 것을 표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사용자가 판독동작을 실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조작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 제1실시예와 다른점은 데이터 판독장치(6)를 외부에서 냉장고 본체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부분이다. 즉, 제5도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측에 설치되는 커넥터(12)는 커넥터(9)를 대신하는 것으로 2개의 단자(a, b)를 가지고 단자(a)는 EEPROM(2)에 접속되고 단자(b)는 제어회로(1)의 출력단자(C)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판독장치(6)측에는 커넥터(8)를 대신하여 단자(a, b)를 가지는 커넥터(13)가 케이블(7a, 7b)의 선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고 본체측의 커넥터(11) 부분에는 마이크로스위치(14)가 설치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커넥터(13)가 접속되면 제6(a) 도의 상태에서 (b)의 상태가 되고, 커넥터(13)의 측면부가 조작자(14a)를 누름으로써 스위치(14b)를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스위치(14)는 신호발생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한쪽의 단자는 접지되고, 다른쪽의 단자는 제어회로(1)의 입력단자(D)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13)를 냉장고 본체측의 커넥터(12)에 접속하면 마이크로스위치(14)가 온되어 제어회로(1)의 입력단자(D)에는 로우레벨의 신호, 즉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되게 되며, 따라서 이러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제1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 제1실시예와 다른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즉 제1실시예에 잇어서 데이터 판독장치(6)의 커넥터(8)를 커넥터(9)에 접속했을 때에 제어회로(1)의 입력단자(D)에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회로(1)의 입력단자(D)에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이 잡음 등에 의해 제로볼트가 되어 버릴 경우, 즉 데이터 판독장치(6)의 커넥터(8)가 커넥터(9)에 접속되어 있지 않는 상태이면서 입력단자(D)에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되어 버리는 불합리를 예상하여 이것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제7도에 있어서 냉동실(도시하지 않았음)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냉동기 온도 검출회로(15)는 제2신호발생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온도센서(16)의 양단자는 커넥터(17)에 접속된고, 그 커넥터(17)의 한쪽 단자는 직류전원단자(VD)에 접속되며, 다른쪽 단자는 저항(18)을 통해 접지됨과 동시에 제어회로(1)의 입력단자(E)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냉동기 온도 검출회로(15)의 온도센서(16)가 커넥터(17)로부터 분리되면 제어회로(1)의 입력단자(E)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어회로(1)는 데이터 판독장치(6)의 커넥터(8)기 냉장고 본체측의 커넥터(9)에 접속되어 입력단자(D)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냉동기 온도 검출회로(15)의 커넥터(17)가 불리되어 입력단자(E)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되었다고 인식하도록 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기록금지 플래그(F)를 「1」로 세트하여 그 후의 기록처리의 실행을 보류하고, 기록처리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사용중 신호를 출력하여 그 때의 입력 데이터의 기록처리를 종료하고 나서 사용중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여 그 후의 기록처리를 보류하게 된다.
또한 제어회로(1)는 입력단자(D, E)에 어느 한쪽에만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기록금지 플래그(F)를 「1」로 세트하지 않고, 입력처리를 중지하지 않고 그래로 실행하지만, 이 때 기록처리를 실행할 경우에는 사용중 신호를 출력한 상태에서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판독장치(6)의 커넥터(8)가 냉장고 본체측의 커넥터(9)에 접속된 상태에서 냉동기 온도검출 회로(15)의 커넥터(17)가 분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잘못하여 데이터 판독장치(6)측으로부터 판독동작이 실행되어 EEPROM(2)으로의 액세스가 경합하는 겻을 방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회로(1)는 입력단자(D, E) 중 어느 한쪽에서도 로우레벨이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을 때 EEPROM(2)으로의 기록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에 의하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어회로(1) 및 데이터 판독장치(6)가 각각 EEPROM(2)에 대해 동시에 액세스하는 불합리가 해소되고, 또한 데이터 판독장치(6)에 의한 데이터 판독시에는 커넥터(8)를 접속할 뿐만 아니라 온도센서(18)를 분리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판독장치(6)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잡음 등에 의해 불필요하게 판독요구신호가 제어회로(1)측에 입력되는 일이 없어지고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3실시예와 다른 것은 신호발생수단으로서 냉동시 온도 검출회로(15) 대신에 냉장고 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설정회로(19)의 스위치(19a) 및 급속냉동 설정회로(20)의 스위치(20a)를 이용하고 있다.
즉 온도 설정회로(19)는 스위치(19a)와 저항(19b)가 직렬회로가 직류전원단자(VD)와 접지 사이에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고, 그 출력단자는 제어회로(1)의 입력단자(F)에 접속되고, 또한 급속냉동 설정회로(20)는 스위치(20a)와 저항 (20b)의 직렬회로가 직류전원단자(VD)와 접지 사이에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고, 그 출력단자는 제어회로의 입력단자(G)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회로(1) 데이터 판독장치(6)의 커넥터(8)가 냉장고 본체측의 커넥터(9)에 접속됨과 동시에, 스위치(19a) 와 스위치(20a) 가 동시에 온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 한해 판독요구신호의 입력을 인식하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제4실시예에 의해서도 제3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만 설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과 같이 변형 또는 확장할 수 있다. 즉 기억수단은 백업전원을 가지는 RAM에 의해서도 구성할 수 있다. 통지수단은 다른 표시회로 또는 부저 등이라도 좋다. 커넥터(8, 9)에 의해 접속 수단이 구성된다. 냉동기 온도세선, 온도조절 스위치, 급속냉동 스위치는 버속검지수단에 성당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신호발생수단을 설치하여 데이터 판독수단이 기억수단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동작이 가능하게 접속된 상태에서는 판독요구신호를 제어수단에 입력하도록 하고, 제어수단에 의해 기억수단에 대한 기록동작을 실시하는 경우에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에는 그 기록동작을 중지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기억수단은 이 기간중에 데이터 판독장치로부터만 데이터의 판독동작이 실행되게 되며, 따라서 데이터 판독장치에 의한 판독동작과 제어수단에 의한 기록동작과의 경합이 없어지고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가 파괴되거나 제어수단의 기록동작을 실시하는 경우에 기록 데이터가 파괴되거나 하는 일이 없어지고 데이터 판독수단에 있어서도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확실하게 판독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기억수단에 대한 기록동작중에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의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그 기록동작이 종료할 때까지 데이터 판독수단에 사용중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데이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동작의 실행을 사용중 신호가 소실한 시점으로부터 개시하도록 구성했지 때문에 제어수단에 의한 기록동작중에 판독요구신호가 발생한 경우라도 그 때의 기록데이터를 확실하에 기억수단에 기억시킨 상태로서 그 후의 기록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신호발생수단에서 입력되어 있는 상기 판독요규신호가 제어수단에서 소실될 때, 기억수단에 대한 기록동작의 중지상태를 해제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데이터 판독수단이 분리되거나 해서 판독요구신호가 소실하면 기억수단으로의 기록동작을 재개하게 되고 데이터 판독수단과의 경합을 없애면서 신속하게 기록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어수단으로부터의 통지신호에 따라 통지동작을 실행하는 통지수단을 설치하고 제어수단에 의해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통지수단에 통지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을 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데이터 판독수단에 의한 판독동작중인 것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전기기기의 동작상태의 데이터를 판독/기록 가능한 기억수단, 상기 전기기기의 제어를 실시함과 동시에 그 동작 상태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동작을 실시하는 제어수단,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외부에서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수단 및 상기 기억수단에 대해 상기 데이터 판독수단이 데이터의 판독동작이 가능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판독요구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수단에 입력하는 신호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대한 상기 기록동작을 실시하는 경우에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상기 판독요구신호가 부여되어 있을 때에는 그 기록동작을 중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대한 상기 기록동작중에는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의 판독요구신호에 대해 그 기록동작이 종료할 때까지 상기 데이터 판독수단에 사용중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판독수단은 상기 판독동작의 실행을 상기 사용중 신호가 소실한 시점으로부터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데이터 입출력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입력되어 있는 상기 판독요구신호가 소실했을 때에 상기 기억수단으로의 기록동작의 중지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통지신호에 따라 통지동작을 실시하는 통지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상기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통지수단에 통지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데이터 입출력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통지신호에 따라 통지동작을 실시하는 통지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상기 판독요구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통지수단에 통지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데이터 입출력 장치.
KR1019950003813A 1994-02-28 1995-02-27 전기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KR0156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030574 1994-02-28
JP94-30574 1994-02-28
JP6030574A JPH07239809A (ja) 1994-02-28 1994-02-28 電気機器のデータ入出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544A KR950025544A (ko) 1995-09-18
KR0156059B1 true KR0156059B1 (ko) 1998-11-16

Family

ID=1230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813A KR0156059B1 (ko) 1994-02-28 1995-02-27 전기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7239809A (ko)
KR (1) KR0156059B1 (ko)
CN (1) CN1096032C (ko)
TW (1) TW37173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289B1 (ko) * 2000-11-01 200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289B1 (ko) * 2000-11-01 200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544A (ko) 1995-09-18
TW371739B (en) 1999-10-11
JPH07239809A (ja) 1995-09-12
CN1096032C (zh) 2002-12-11
CN1142638A (zh) 1997-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6619A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with self-diagnostic function for use in motor vehicle
KR20020059647A (ko) 센서데이터의 시간제한검색시스템과 방법
US5166503A (en) IC memory card
US5930738A (en) Vehicle computer system environment monitor
KR0156059B1 (ko) 전기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US5070476A (en) Sequence controller
JP2666363B2 (ja) 電気機器
EP4206697A1 (en) Self-locking and detection circuit an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10962774B (zh) 电源监测装置、电源控制系统以及电源监测方法
JP3491358B2 (ja) 電源遮断検出装置
CN105528165A (zh) 移动终端的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3099037B2 (ja) 記憶型ダイアグノーシス装置
JP4972373B2 (ja) 携帯端末装置、異常動作検出回路および電力供給制御方法
EP0293223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domestic appliances
KR100264554B1 (ko) 전자 제어 유닛의 메모리 구동 전원의 이상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JP2002002419A (ja) 車両用電子制御ユニット
JP3340957B2 (ja) 異常監視装置
JPH0743062A (ja) 冷凍・冷蔵庫監視装置
JPH11219238A (ja) 電源監視回路及びその電源監視方法
JPH0711072U (ja) テレビジョンカメラ装置の故障診断装置
KR920006301B1 (ko) Vtr고장원인 표시방법
JPH03122788A (ja) Icカード
JP3036926B2 (ja) カード式タイマ
KR100284044B1 (ko) 연관 관계를 갖는 기능 기기들의 이상 동작 복구 방법
JP2000241007A (ja) 機器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